구약성서의 관점에서 본 다문화 사회와 대응방안 -와 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이주민이 100만을 넘어서는 한국사회는 이미 ‘다문화사회’로 진입하였으며,‘다문화사회’의 위험과 기회를 동시에 제공한다. 구약성서에는 크게 두 종류의 외 국인/이주민이 나타난다. 이스라엘에 정착할 의향이 없이 일시적으로 머물게 된 외 국인/이주민과 이스라엘에 정착하여 이스라엘 사람으로 동화되기를 원하는 외국 인/이주민이다. 구약성서는 전자를 (nokrî)로 후자를 (gēr)로 부른다. 전반적으로 는 야훼 종교로 개종하기를 원치 않는 사람들이지만, 는 야훼 종교를 따라 이스라엘의 일원이 되기를 바라는 사람이었다. 이스라엘 역사의 초기에 는 이스라엘 사람들과 더불어 살던 가나안 사람들이나 멸망 당한 북이스라엘에서 온 난민들을 의미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