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신학 229

교회사 개관 1

교회사 개관 1 송인설목사(소망교회) I. 시대 구분 교회사는 고대 교회, 중세 교회, 종교개혁 교회, 근대 교회, 현대 교회의 다섯 시대로 시대를 구분한다. 고대 교회는 다시 B.C. 4년부터 70년까지 예수와 사도들의 시대, 70년부터 313년까지 박해 시대, 313년부터 590년까지 제국 교회 시대로 나눌 수 있다. 다음 중세 교회는 590년부터 1100년까지 중세 초기와 1100년부터 1300년까지 중세 절정기와 1300년부터 1517년까지 중세 후기로 구분된다. 종교개혁 시대는 1517년부터 1648년까지이다. 근대 교회는 1648년부터 1789년까지의 전반부와 1789년부터 1914년까지 후반부로 구분할 수 있고, 현대 교회는 1914년부터 현재까지이다. 고대 교회 중세 교회 종교개혁 현대 근..

역사신학 2021.01.15

기독교는 역사를 어떻게 보는가?

Ⅰ.기독교와 역사 1. 기독교는 역사를 어떻게 보는가? 삶과 역사는 동일선 상에 서 있다. 그래서 히브리인들에게 삶은 곧 종교의 문제였고 종교는 역사적으로 설명되었다. 삶 속에서 신앙을 가진 사람들에게 신앙과 역사의 관계는 하나의 절실한 문제인 것이다. 역사란 말의 다면성 역사란 넓게 보면 시간속에서 일어난 모든 변화를 말할 수 있는데, 역사란 말은 탐구,기록이라는 뜻으로 정의 할 수 있다. 역사란 탐구자 즉, 의미 부여자와 탐구 대상이 있어야 하며 두 대상사이의 상호작용의로 배태된 기록이 있어야 한다. 그래서 History란 단순히 변화된 사실을 의미하는것이 아니라 탐구하여 얻어진 지식, 탐구한 내용,탐구한 결과라는 의미가 탐색되고 부여된 사실이다. 역사란 인간들에게 일어난 모든것, 어떠한 형태로든지 ..

역사신학 2021.01.15

복음주의란 무엇인가

복음주의란 무엇인가 * 한국교회와 복음주의 운동 목 차 1. 복음주의란 무엇인가 .............................제 1 항 I. 보수주의로서의 복음주의 ......................... II. 하나되게 하는 복음주의 .......................... III.복음주의의 장래 ................................. IV. 맺음말 .......................................... 2. 복음주의,근본주의,개혁주의 비교 ..................제 2 항 I. 복음주의 ........................................ II. 근본주의 .................................

역사신학 2021.01.15

장로교회사 요약

장로교회사 요약 제 1 장 초대교회의 교회정부 형태 1) 교회정치의 제 유형 2) 장로정치의 성경적 배경 3) 초대교회의 교회정부 형태 제 2 장 중세교회와 장로정치 1) 교황정치의 일어남 2) 교황권의 신장 3) 피터 왈도와 교회개혁 운동 4) 로마교회와 교회개혁의 시도들 5) 교회개혁의 선구자들 제 3 장 종교개혁자와 장로정치의 이상 1) 마틴 루터 2) 쯔빙글리 3) 존 칼빈 제 4 장 위그노와 바다의 거지들 1) 위그노에 있어 교회와 국가의 문제 2) 알미니안 문제를 둘러싼 교회와 국가의 문제 제 5 장 영국 청교도와 장로정치 1) 청교도와 교회정치의 개혁 - 자율, 평등, 연합성의 원리 2) 웨스트민스터 총회와 장로정치 3) 웨스트민스터 총회와 예배의 모범 제 6 장 스코틀랜드의 장로정치 1) ..

역사신학 2021.01.15

케노시스(kenosis)에 대한 이해

케노시스(kenosis)에 대한 이해 I. 케노시스라는 개념의 기원 그리스도의 자기 비우심(THE SELF-EMPTYING OF CHRIST) 혹는 케노시스(kenosis, 빌 2:7절에 나오는 동사로부터 유래된 어휘)에 관한 문제는 교회사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논의되었던 문제였습니다. 주후 341년에 있었던 ‘안디옥 공의회(The Synod of Antioch)’에서는 그리스도의 충만한 신성을 명백하게 수호하면서도 동시에 그리스도께서 “하나님과 동등하게 존재하심(the being equal with God)”으로부터 그분 자신을 비우셨다고 선언했습니다. 종교개혁 기간 동안에는 그 논의가 신성의 본질을 훼손 받지 않은 상태에서도 그리스도께서 과연 스스로 전능성, 전지성, 편재성과 같은 특질을 비우는 것이 ..

역사신학 2021.01.15

역사 연구 결과

역사 연구 결과 찰스 베어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역사가입니다. 그에게 어떤 기자가 물었습니다. “당신은 한평생 역사를 연구했습니다. 당신이 그 많은 시간동안 세계 역사를 연구하면서 얻은 것이 무엇입니까?” 찰스 베어드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나는 역사를 연구하면서 네 가지 진리를 깨달았습니다. 이 네 가지가 바로 오랜 시간 동안 세계 역사를 연구하면서 내가 얻은 것의 전부입니다.” 그 첫째는, 하나님께서 어떤 것을 멸하시려고 할 때에는 그것이 개인이건 국가건 막론하고 권세욕에 날뛰게 하신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겸손하게 만드시면 그것은 축복이요, 교만하도록 내버려두신다면 그것은 심판이라는 것입니다. 권세욕에 날뛰면서 자기자랑하고 자기 명예에 빠지고 교만해지는 것을 보면 '하나님께서 저들을 버리시는구나..

역사신학 2021.01.15

역사신학과 설교

역사신학과 설교 역사신학(Historical Theology)과 설교(Preaching)가 어떤 관련이 있을까? 역사신학을 공부하는 학도들만 아니라 목회 하시는 목회자님들로부터 늘 받는 질문이다. 이 질문에 대한 대체적인 답변은 실질적인 예화들(illustrations), 즉 생생한 예화들을 교회사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고 이해하는 듯싶다. 판에 박힌 예화들보다는 사실적이고 현장감 넘치는 예화들이 설교와 함께 전해지면 설교를 듣는 성도들이 보다 감동적이 아닐까 생각하기도 한다. 그래서 교회사에 나타난, 특히 초대교회나 청교도 전쟁 때에 나타난 신앙의 선배들, 즉 영웅적 순교장면과 극적인 삶들을 수집하여 설교에 적절하게 예화들로 삽입하여 설교의 내용을 보다 감동적이고 이해하기 쉽게 만들 수 있다는 말씀들을 ..

역사신학 2021.01.15

역사신학 총론

역사신학 총론 1. 서론(序論) 기독교의 신앙과 역사는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신 그 순간부터 시작이 되었다. 그리고 그 역사는 누가 기록을 하든지 하지 않든간에 지금까지 기록되어 왔고 앞으로도 주님이 재림하시는 그날까지 계속 기록되어 질 것이다. 또한 하나님의 예정된 구속의 역사는 그누구도 잡아 놓거나 중단시킬수 없으며 또한 뒤로 물러가게 할수도 없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예정된 구속의 역사는 이 땅의 피조물들에 의하여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로 이루어 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태어난 이 세상의 모든 인간들은 하나님의 살아계심에 역사를 부인할수도 없으며 부인해서도 안된다. 다만 피조물들은 하나님의 구속의 역사속에 들어가 그의 살아 계심을 인정하고 그와함께..

역사신학 2021.01.15

왜 기독교 역사를 배워야 하는가?

왜 기독교 역사를 배워야 하는가? ‘성경으로 돌아가자’는 말의 허와 실 미국의 텍사스(Texas)주의 휴스톤(Houston)에 있는 레이크우드(Lakewood Church) 교회의 조엘 오스틴(Joel Osteen)이라는 목사는 매주일 설교를 하기 전에 약 30,000명의 교인들을 기립시키어 성경을 손에 들고 다음과 같이 기도를 하고 설교를 시작한다고 한다. “이것은 나의 성경책입니다. 성경이 말하는 내가 나입니다. 나는 성경이 가지고 있다고 하는 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는 성경이 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을 할 수 있습니다. 오늘 나는 하나님의 말씀을 배우게 됩니다. 나의 정신은 깨어있고 마음은 받을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담대하게 고백합니다. 나는 이제 섞지 않고, 불멸하며, 영원한 하나님의 말씀의 ..

역사신학 2021.01.15

신학의 흐름

신학의 흐름 I. 신학의 발생기(1-3C) 이 시대는 고대 동방문화권(셈족의 문화-유프라테스, 티그리스강 유역) 안에서 기독교가 발생하고 신앙에 대해 이성적 이해가 싹튼 시기이다. 초기에는 이교도들의 중상이나 공격에 대한 답변이 필요해서, 또는 기독교 내에서 발생하는 이단에 대해 논박할 필요가 있어서 주로 변증학적 연구가 일어났다. 이 시기의 주 관심사는 말씀의 신비 즉 로고스(Logos)에 대한 탐구였다. 그래서 성삼위 교리, 창조 교리, 강생 교리에 대해서 많이 말하고 있다. 이 시대의 학자로서 많은 변증가(辨證家)들을 볼 수 있다. A. 속사도시대 교부들 초기에서 2세기 중엽까지의 학자들을 속사도시대 교부라고 한다. 그들은 사도들의 직접제자(直接弟子)이거나 그 가까운 제자들이며 초기에 새로 출발한 ..

역사신학 202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