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신학 229

히브리적 사고란 무엇인가?

히브리적 사고란 무엇인가? 성서를 읽을 때 히브리적 사고를 해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히브리적 사고란 어떤 것입니까? 구약성서는 히브리 문화권에서 히브리어로 기록되었고, 신약성서는 헬라문화권에서 헬라어로 기록되었습니다. 헬라문화는 오늘날 서구문화의 모태가 되었고, 오늘 우리는 서구문화의 영향권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그 문화는 우리에게 친근하고 익숙합니다. 그러나 히브리 문화는 우리에게, 특히 서구문화에 익숙한 현대인들에게, 다소 생소한 문화입니다. 그래서 구약성서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것입니다. 따라서 히브리 문화를 (특히 히브리적 언어문화를) 이해하고 히브리적 안목으로 구약성서를 읽으면 비교적 바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히브리적 사고를 모두 열거할 수는 없..

역사신학 2020.08.26

언약에 관한 학위논문 발췌안

언약에 관한 학위논문 발췌안(Dissertation Presentation) | 김성주목사 A Study on the Covenantal Correspondence and Continuity involved in the context between Ephesians 1:4-14 and Genesis ch. 1-3 (언약의 진전과 상호 연계성에 관한 연구) 성경은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들에게 언약을 방편삼아 말씀하신 언약적 자기계시서이다. 그런 의미에서 구약에는 오실 메시아가 약속돼 있고 신약에는‘선 언약-후 성취'라는 맥락에서 오신 메시아를 기술한다. 혹자는 이런 신구약의 언약적 연속성과 통일성에 근거해 구약의 중심 주제를‘하나님은 여호와'로, 신약의 중심 주제를‘예수는 그리스도'로 집약해 해설한다. 언..

역사신학 2020.08.21

역사란 무엇인가?(E.H.Carr)

역사란 무엇인가?(E.H.Carr) 역사란 무엇인가? - 지은이 Edward Hallet Carr 작가 및 작품 해설 E.H. Carr는 1892년에 영국의 런던에서 태어난 정치학자 역사가로서, Cambridge대학을 졸업했다. 1916년 영국 외무성에 들어가 1919년에는 1차 세계대전 이후에 파리에서 열린 국제강화회의에 참가하기도 했다. 그 후 피는 영국 외무성에서 러시아 혁명 (1917)이 일어난 뒤의 소련문제를 다루는 전문위원이 되었는데 이 경력이 소련을 연구하는 사학자가 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으며 그의 대표저작들은 대부분 소련에 관한 것이다. 외무성 근무중 Riga (소련 라트비아 공화국의 수도)주재 영국공관, 국제연맹 등에서 근무하기도 했다. 1936년 외무성에서사임하고 Wales대학의 국제..

역사신학 2020.04.09

어거스틴의 사상과 역사이해

어거스틴의 사상과 역사이해 I. 머 리 말 "신앙은 찾고 지성은 발견한다"는 명제를 가지고 서방 교회의 사상과 동방 교회의 사상을 종합한 초대 교회 최대의 사상가는 어거스틴이다. 또한 그는 역사, 철학, 문화 등에서 교회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는 "고대 철학과 기독교의 종합"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그의 가장 큰 공헌은 동방 교회의 전통을 거부하지 않고 그들의 기독교 전통을 정통주의화하면서 서방교회의 신학을 집대성함으로써 중세의 스콜라 철학, 교황의 정치 및 교회 제도 정립의 초석을 이룬 것이다. 어거스틴은 그후 중세 로마 카톨릭의 모든 정신적, 신학적 사상의 근원이 되었고 또한 아이러니 하게도 종교개혁자들의 사상의 근거가 되었다. 종교 개혁자들은 그의 사상을 통해 로마 카톨릭과 투..

역사신학 2020.04.09

역사신학(歷史神學, historical theology)

역사신학(歷史神學, historical theology) 역사신학은 그리스도교를 역사적으로 연구함을 목적으로 하는 신학의 한 부문이다. 오늘날 교회사·교리사와 거의 같은 뜻으로 쓰인다. 일반적으로 신학이 그리스도교를 역사현상으로 간주하여, 연구대상으로 보고 역사연구방법으로 처리할 경우에는 성서, 신앙의 체계적 사고, 신앙실천 모두가 역사적 고찰의 대상이 되며 성서학·조직신학·실천신학도 그 일부분 또는 전체가 역사신학에 포함된다. 즉 역사와 신학 각각의 의미부여에 따라 역사신학의 내용과 범위가 바뀐다는 것이다. 특히 19세기에서 20세기초에 걸친 자유주의신학에서 역사신학은 전성기를 맞으며 F.E.D. 슐라이어마허는 교의학도 역사신학의 일부분이라고 주장하였다. 20세기에는 변증법 신학이 주류를 이루어 K. ..

역사신학 2020.04.09

신학사 벵트 헤그룬드 저

신학사 벵트 헤그룬드 저 1) 다음을 설명 하시요 A. 교부시대의 변증 가들을 열거하고 그들의 특징을 말하시오. 교부 시대의 변증 가들로는 '져스틴(Justin)', '아리스티데스(Aristides)', '타티안(Tatian)', 아테나고라스, 테오필루스 등이 있다. 이들은 당시 희랍철학과 유대교 분파들로부터 생겨난 이단 사상들과 맞서서 기독교를 수호하려 했었으며 기독교만이 진정한 철학이었고 헬라철학과 유대 종교를 대신 해 줄 완벽한 대치 물이었다고 주장했다. 져스틴은 두 '변증문', '유대인 트리포와의 대화'등을 써서 기독교를 변증했다. '유대인 트리포와의 대화'에서 기독교와 철학의 관계를 어떻게 인식했는가가 나타난다. 져스틴은 '철학의 목적은 하나님과 실존에 관한 진정한 지식을 제공해 줌으로써 인간들..

역사신학 2020.04.09

그리스도인의 역사의식

그리스도인의 역사의식 남포교회 특강, 2000.1.24 이정석 (풀러신학교 조직신학교수) 우리는 제3의 밀레니움으로 진입하는 시점에서, 역사의 의미를 생각해 본다. 어떤 사람들은 역사에 아무런 의미도 없으며, 역사란 인류의 변화 과정을 단순히 서술한 기록에 부과하다고 생각한다. 한편, 어떤 사람들은 역사가 분명한 목적과 이상을 향해서 진보한다고 생각한다. 전자는 무신론자와 허무주의자들이 가지는 역사관이다. 이 세계와 인류는 아무런 이유없이 자연발생하였으며 아무런 목적도 없이 존재하다가 소멸한다고 생각하고, 하루 하루 생존과 쾌락을 위해 살아간다. 한편, 후자는 역사의 인도자가 있어서 거시적 구도에서 진보한다고 생각하는데, 그 인도자는 자연이든, 가이스트이든, 절대이성이든, 신이든, 유한한 인간을 초월한 ..

역사신학 2020.04.09

현대 역사신학의 해석학적 입장

현대 역사신학의 해석학적 입장 1970년대 이래 그리스도 신학계는 하느님의 계시가 개인과 사회,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가 종결되지 않고 개방되어 있는 과정인 역사로서 발생한다고 보는 소위 역사신학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역사를 평가하는 데에서 입장을 조금씩 달리하는 대표적인 신학자들, 판넨베르그(W. Pannenberg)와 몰트만(J. Moltmann), 멧츠(J.B. Metz)와 카스퍼(W. Kasper) 등의 해석학적 입장을 살펴 보기로 한다. I. 판넨베르그의 보편사적 해석학 판넨베르그(W. Pannenberg, 1928- )는 약관 30세에 교수가 되어 60년대부터 세계적 명성을 얻고, 65세에 정년은퇴할 때까지 독일 뮌헨대학교에서 활약한 개신교 신학자이다. 그는 금세기 20년대부터 거의 반세..

역사신학 2020.04.09

교회사 연구의 필요성

교회사 연구의 필요성 서론(序論) 기독교의 신앙과 역사는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신 그 순간부터 시작이 되었다. 그리고 그 역사는 누가 기록을 하든지 하지 않든간에 지금까지 기록되어 왔고 앞으로도 주님이 재림하시는 그날까지 계속 기록되어 질 것이다. 또한 하나님의 예정된 구속의 역사는 그누구도 잡아 놓거나 중단시킬수 없으며 또한 뒤로 물러가게 할수도 없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예정된 구속의 역사는 이 땅의 피조물들에 의하여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로 이루어 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태어난 이 세상의 모든 인간들은 하나님의 살아계심에 역사를 부인할수도 없으며 부인해서도 안된다. 다만 피조물들은 하나님의 구속의 역사속에 들어가 그의 살아 계심을 인정하고 그와함..

역사신학 2020.04.09

기독교와 역사서술의 객관성

기독교와 역사서술의 객관성 Ⅰ : 기독교적 진보 개념은 12세기에 이르러 Jdachim에 의해 섭리와 역사와의 관계를 양분화 시킴으로써, 기독교적 진보관이 근대적 세속적 진보 개념으로의 탈 바꿈을 가능하게 되었다. 이같은 배경아래서 전통적인 유대교적 기독교적 역사이해가 방기되자 궁극적인 문제의 답을 역사 그 자체 속에서 구할 수 밖에 없었다. 역사주의 자들은 역사적 방법의 엄밀한 이용에 의해서 사실을 허위로부터 구별하려고 했으며, 역사는 가치를 탐구 할 뿐 아니라 생의 안내자의 역할 까지도 담당해야 한다고 주장하게 되었다. 결국 역사가 기독교와의 관계가 어떻게 수립되어야 할 것인가의 문제에 귀착된다고 본다. Ⅱ : 학자적 자유를 귀중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선입견 없는 탐구적 노력을 통하여 객관적 진리에 도..

역사신학 2020.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