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신학!! 자유주의 !! 기타!! 82

칼 바르트의 신학은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칼 바르트-2 칼 바르트의 신학은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1999.10.11/장로회신학대학원 특강)들어가는 말올해는 칼 바르트가 서거한 지 어언 31년이 된다(1886-1968). 우리 말로 "강산이 세번 바뀌었다" 할 정도로,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세월이 지나갔다. 그는 아직도 우리에게 말하고 있는가? 말하고 있다면,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그는 이미 살아 있을 때부터 교부(敎父)라는 명예로운 이름으로 불릴 정도로 온 세계로부터 크나큰 존경과 찬사를 받았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교회의 위대한 신학자들의 명단을 작성할 때, 어거스틴과 아퀴나스, 루터와 칼빈, 슐라이어마허 다음으로 칼 바르트를 열거하기도 한다. 또 어떤 사람들은 맑스와 야스퍼스와 함께 또 하나의 위대한 칼(Karl)인 그를 말하기도 ..

칼 바르트 [Barth, Karl]

칼 바르트-1  칼 바르트 [Barth, Karl]  1886. 5. 10 스위스 바젤~1968. 12. 9 바젤 개요20세기에 큰 영향을 끼친 사람으로서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의 인간중심주의에 대해 '하느님의 전적인 타자성(他者性)'을 강조함으로써 프로테스탄트 사상의 근본적인 변화를 주도했다(→ 신학적 자유주의). 독일의 국가사회주의에 강력히 저항해 본에서 신학회 의장직을 박탈당하기도 했는데, 그 덕분에 바젤에서 기념비적인 저작 〈교회교의학 Kirchliche Dogmatik〉(4권 완성) 집필을 계속했고 500회가 넘는 설교를 했다. 초기생애와 경력베른대학교에서 교회사와 신약학을 가르친 개혁파 교수 프리츠 바르트와 안나 자르토리우스의 아들로 바젤에서 태어났다. 베른에서 프리 김나지움에 다녔는데 젊은 ..

문서설에 대하여

문서설에 대하여1753년 프랑스의 의사였던 평신도 진 아스트룩은(Jean Astruc) 창세기의 기록에서 하나님의 명칭이 때로는 "엘로힘"으로, 또 때로는 "여호와"로 되어 있는 점을 보고 E 문서, J 문서라고 명칭하는 두 가지의 문서가 조합이 되어 있지 않는가라는 하나의 "가설"을 제시하였다.그는 창세기의 저자가 모세라는 것은 부정하지 않았지만, 모세가 이 두 가지의 문서를 조합하고 참고하여 창세기를 기록하지 않았는가 하는 가설을 세웠던 것이다.그러나 그 주장은 곧 잊혀진 주장이 되었다.그리고 합리주의시대에 들어서서 프랑스와 영국에서 그후 저술가들이 아스트룩의 가설을 상기하면서 문서설이 확대되기 시작했다.그들은 아스트룩의 견해를 더욱 발전시켜, 모세오경의 저자가 모세가 아닌 모세 이후의 어떤 인물인 ..

20세기의 신학

20세기의 신학  서론초월적 내재 그리고 현대 신학사기독교 신학은 항상 하나님의 초월성과 내재성이라는 성경의 이중적 진리를 균형 있게 표현하기를 추구해 왔다. 성경이 하나님을 이 세상 너머에 계신 초월자이며 동시에 이 세상에 존재하는 내재자로소 제시하고 있다는 사실 때문에 창조적 긴장과 균형의 방법을 찾아야 하는 도전에 직면했던 것이다. 금세기의 신학은 하나님의 내재성을 강조하는 전(前) 세기의 낙관론적이고 이 세상 중심적인 사상의 연장(延長)으로서 시작되었다. 19세기 신학의 중심은 ,르네상스 이후 서구인의 사고에서 그 도록 중요했던 신의 내재성이라는 측면의 강조를 포함한다. 금세기의 신학 이야기는 ꡒ전쟁의 참화가 지나간 이 마당에 하늘에서 들어오는 하나님의 말씀은 과연 한 마디라도 있단 할인가?ꡓ라며..

자유주의 이성주의

자유주의 이성주의 인간의 이성에 대한 자부심과 신뢰는 19세기에 그 절정을 이루었다. 그것은 자유주의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이름과 형태로 나타난 이 전통 전체를 자유주의라고 부르지만, 좀더 세분한다면 특히 19세기 후반부의 사상을 그렇게 부른다. 역사와 과학의 새로운 학설이 그 시발점이었다. 자신만만한 이성은 자신의 힘으로 건설할 이상향을 바로 앞에 보고 있었다. 1. 슐라이에르마허 현대 자유주의 신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프리드리히 슐라이에르마허(Friedrich Schleiermacher, 1768-1834)는 독일 실레지아의 목사 가문에서 출생하여 어렸을 때부터 경건주의의 감화를 받았다. 그의 아버지는 소년 슐라이 에르마허를 모라비아파 학교에 보내어 교육을 받게 했고, 후에는..

자유주의 신학의 역사적 배경

자유주의 신학의 역사적 배경 1). 영국의 이신론(deism) 특징: 이성에 의해 종교를 재해석했다. 마틴 루터의 믿음을 통한 종교해석에 반기를 들었다. 성경의 특수계시, 즉 예수 그리스도만을 구세주로 보는 것에 대해 부정했으며 종교의 보편성을 주장했다. 하나님을 시계 제조업자로 생각하고 역사를 만드신 다음 전혀 역사를 섭리하거나 간섭하지 않는다고 믿었다. 대표적 학자로는 매튜 틴달, 토마스 첩, 로드 허버트 등이 있다. ​ ​ 2). 프랑스의 자연주의(naturalism) 특징: 부자와 빈자, 종과 주인의 대립으로 나타나는 현대 사회의 타락상을 지적하고 자연에로의 복귀를 구원으로 생각한다. 교육에 의한 유토피아 왕국을 자연세계 속에 이루려고 한다. 자연계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제도와 교리의 종교를 부인..

자유주의 신학의 일반적 특징

자유주의 신학의 일반적 특징 1). 성경의 합리적 해석을 시도한다. 예를들면 파울루스(Paulus)는 예수의 기적을 합리적으로 해석하여, 예수께서 물 위로 걸어오신 기적은 물 위로 걸어오심이 아니라 어두운 해변을 따라 걸어오신 것을 제자들이 물 위로 걸어오신 것으로 착각을 하였고, 오병이어의 기적도 사실은 소년의 보리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받으신 후에 예수께서 축사하실 때 모든 어른들도 감동을 받아 싸두었던 도시락을 모두 꺼내 먹었다고 해석하였으며, 예수의 몸의 부활이 진짜 일어난 것이 아니라 예수의 시체를 제자들이 훔쳐갔다고 해석하기도 했다(실제로 그런 염려가 성경에 기록되어 있다. 마 27:63-64 참고). 이러한 성경의 합리적 해석과 비평적 연구 방법이 시작되었다. ​ ∎비평적 성서해석:..

칼 바르트(Karl Barth)의 성경관

칼 바르트(Karl Barth)의 성경관 I. 바르트 신학이란 무엇인가? 바르트의 신학에 관해서 짤막한 지면에 제대로 논한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많은 전기 내지 평전들이 작성되어 출판되었으며 (대표작은 일반적으로 에버하르트 부쉬 (Eberhard Busch)에 의해 쓰인 것으로 평가된다) 그의 신학을 다양한 측면에서 다룬 신학적 평가서들도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그러나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그의 신학을 분석하고 비판하는 글들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화란의 G. C. Berkouwer, 미국의 C. VanTil 같은 인물들의 글들을 어렵지 않게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는 간략한 방식으로 다음의 세 가지 차원에서 고찰한 후에 개혁주의 신학의 관점에서 나름대로의 비판을 ..

칼 바르트(Karl Barth)의 성경관

칼 바르트(Karl Barth)의 성경관 I. 바르트 신학이란 무엇인가? 바르트의 신학에 관해서 짤막한 지면에 제대로 논한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많은 전기 내지 평전들이 작성되어 출판되었으며 (대표작은 일반적으로 에버하르트 부쉬 (Eberhard Busch)에 의해 쓰인 것으로 평가된다) 그의 신학을 다양한 측면에서 다룬 신학적 평가서들도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그러나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그의 신학을 분석하고 비판하는 글들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화란의 G. C. Berkouwer, 미국의 C. VanTil 같은 인물들의 글들을 어렵지 않게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는 간략한 방식으로 다음의 세 가지 차원에서 고찰한 후에 개혁주의 신학의 관점에서 나름대로의 비판을 ..

신정통주의

신정통주의 자유주의는 기독교를 과학에 복종시켰다. 하나님은 모든 만물, 특히 인간 속에 내재되었기에 인류는 스스로 자신을 구원할 것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이성에 대한 이러한 자부심은 인간이 만들어 낸 엄청난 악, 바로 세계 대전 앞에서 무너졌다. 이 전쟁을 통해 인간의 본성에 대해 완전히 착각하고 있었다는것을 깨달았던 것이다. 또한 하나님의 초월하심도 깨달았다. 그러나 자연 과학에 사로잡힌 자유주의의 후손들은 다시 옛날의 정통 신앙으로 돌아갈 수가 없었다. 결국 양쪽을 다 거부하며 신정통주의라는 중간노선이 나타나게 되었다. 1. 배경 19세기 후반‘역사적 예수’운동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랑케의 새로운 역사 방법, 즉 객관적이고 과학적이며, 있던 그대로의 과거를 재현하려는 운동은 신학에도 영향을 주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