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신학 225

성경 역사의 시대 구분

성경 역사의 시대 구분  창세기부터 – 초대시대까지 1.창조시대(태초-B.C.2166)  먼저 우주만물은 저 혼자 영원히 있거나 아니면 우연히 생겨난 것이 아니라 절대 초월자이신 하나님에 의하여창조된 것이며 따라서 전 우주가 하나님의 섭리 아래 다스려지고 있음이 선포되었다.또한 인간은 하나님의 창조의 목적이자 모든 피조물의 통치자로서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음이 보도된다.그러나 하나님의 크신 은혜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선악과를 두고 맺은 행위 언약인 선악과 언약을 깨고 범죄함으로써하나님이 인간에게 주신 옛 낙원이었던 에덴에서 쫓겨나고 에덴도 폐쇄하게 되었음이 보도된다.그러나 이것은 인류사의 끝이 아니었다. 사실 전날 맺은 선악과 언약의 내용대로라면 인간은 그 즉시 죽어야만 했었다.그러나 하나님은 죄의 대..

역사신학 2024.05.03

기독교와 역사발전

기독교와 역사발전 1. 하나님 중심주의의 문화적 방향 역사란 종국적으로 인간의 정신이 물질과 제도라는 수단을 통해 자기구현하는 결실이라고 볼 때 서구인을 그다지도 동적,활력적,미래지향적,성취의욕적,변화지향적으로 만든 정신토대, 정신풍토가 무엇이냐 하는 물음에서 먼저 주목하고 그 해답을 구한 후 여타의 요인들을 살펴봄이 더 생산적 접근방법인 것이다. 이 점에 있어서 기독교는 서구문명의 탄생기로부터 그 정신적 초석, 심리적 모태가 되었으며 르네상스기 이전의 서구인이 발전시킨 정치제도, 경제구조, 교회조직, 문학, 예술, 사상, 등에 기독교의 정신이 구현되지 않은 곳이 거의 없을 정도였다는 사실을 부인할 사람은 없다. 즉 성서의 가르침의 가장 기본적인 사상은 철저한 하나님 중심주의인바, 이는 개인의 구원뿐아니..

역사신학 2024.04.30

기독교 역사의식

기독교 역사의식역사란 시간과 공간 안에서 인간이 관계하여 과거에 일어났던 사건의 기록을 문자로 기록한 것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기록자의 주관에 따라 당시의 사건들을 어떻게 이해하며 기록 했느냐하는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역사는 사건의 연속만을 보여주는 'Historie'로서의 역사와 이를 해석하는 'Geschichte'로서의 역사로 나뉘는데 역사관이나 역사의식은 이 ‘Geschichte'에 관한 것을 말한다. 특히 역사를 해석하는데 있어서는 사건발생의 원인, 사건의 우연성과 필연성, 사건당시의 사람들의 이해, 후대 사람들의 이해와 해석 첨가 여부등 기록자의 객관적인 입장에 따라 갖가지 비판의식이 따르기 마련이다. 기독교 역사의식이란 역사를 비판하는 사람의 주관성을 기독교의 신앙원리와..

역사신학 2024.04.30

기독교 역사의식

기독교 역사의식역사란 시간과 공간 안에서 인간이 관계하여 과거에 일어났던 사건의 기록을 문자로 기록한 것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기록자의 주관에 따라 당시의 사건들을 어떻게 이해하며 기록 했느냐하는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역사는 사건의 연속만을 보여주는 'Historie'로서의 역사와 이를 해석하는 'Geschichte'로서의 역사로 나뉘는데 역사관이나 역사의식은 이 ‘Geschichte'에 관한 것을 말한다. 특히 역사를 해석하는데 있어서는 사건발생의 원인, 사건의 우연성과 필연성, 사건당시의 사람들의 이해, 후대 사람들의 이해와 해석 첨가 여부등 기록자의 객관적인 입장에 따라 갖가지 비판의식이 따르기 마련이다. 기독교 역사의식이란 역사를 비판하는 사람의 주관성을 기독교의 신앙원리와..

역사신학 2024.04.30

족장시대의 사회

족장시대의 사회1. 용어의 정의1) 족장(patriarchs)이란?: 한 부족의 우두머리로서 성경에서는 주로 아브라함, 이삭, 야곱, 야곱의 열두 아들을 의미함(예: 홍수 이전 족장/홍수 이후 아브라함까지/이스라엘의 족장)/에돔의 족장(창36:15-19).2) 족속(kinsmen)이란?: 같은 종족의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로 가족보다는 큰 개념이며 부계혈족을 기준함(창16:11;25:12-16).3) 지파(tribe)란?: 종족과 같은 의미로서 구약성경에서는 야곱의 12아들부터 지파의 용어가 시작됨.4) 가족(family)이란?: 지파를 이루는 최소 단위(수7:16-18).2. 족장시대 주변국의 사회법1) 법의 배경․그 시대의 사회구성원의 풍습과 인식을 반영하여 제정.․양심과 도덕2) 규정의 성격․도덕성 ..

역사신학 2024.04.30

왜 기독교 역사를 배워야 하는가?

왜 기독교 역사를 배워야 하는가?  (Why Should Christian Study the History of Church?)‘성경으로 돌아가자’는 말의 허와 실미국의 텍사스(Texas)주의 휴스톤(Houston)에 있는 레이크우드(Lakewood Church) 교회의 조엘 오스틴(Joel Osteen)이라는 목사는 매주일 설교를 하기 전에 약 30,000명의 교인들을 기립시키어 성경을 손에 들고 다음과 같이 기도를 하고 설교를 시작한다고 한다.“이것은 나의 성경책입니다. 성경이 말하는 내가 나입니다. 나는 성경이 가지고 있다고 하는 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는 성경이 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을 할 수 있습니다. 오늘 나는 하나님의 말씀을 배우게 됩니다. 나의 정신은 깨어있고 마음은 받을 준비가 되어 있..

역사신학 2024.04.30

역사신학과 설교

역사신학과 설교  역사신학(Historical Theology)과 설교(Preaching)가 어떤 관련이 있을까? 역사신학을 공부하는 학도들만 아니라 목회 하시는 목회자님들로부터 늘 받는 질문이다. 이 질문에 대한 대체적인 답변은 실질적인 예화들(illustrations), 즉 생생한 예화들을 교회사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고 이해하는 듯싶다. 판에 박힌 예화들보다는 사실적이고 현장감 넘치는 예화들이 설교와 함께 전해지면 설교를 듣는 성도들이 보다 감동적이 아닐까 생각하기도 한다.그래서 교회사에 나타난, 특히 초대교회나 청교도 전쟁 때에 나타난 신앙의 선배들, 즉 영웅적 순교장면과 극적인 삶들을 수집하여 설교에 적절하게 예화들로 삽입하여 설교의 내용을 보다 감동적이고 이해하기 쉽게 만들 수 있다는 말씀들을 ..

역사신학 2024.04.29

역사신학 총론

역사신학 총론    1. 서론(序論)     기독교의 신앙과 역사는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신 그 순간부터 시작이 되었다. 그리고 그 역사는 누가 기록을 하든지 하지 않든간에 지금까지 기록되어 왔고 앞으로도 주님이 재림하시는 그날까지 계속 기록되어 질 것이다.또한 하나님의 예정된 구속의 역사는 그누구도 잡아 놓거나 중단시킬수 없으며 또한 뒤로 물러가게 할수도 없다.왜냐하면 하나님의 예정된 구속의 역사는 이 땅의 피조물들에 의하여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로 이루어 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태어난 이 세상의 모든 인간들은  하나님의 살아계심에 역사를 부인할수도 없으며 부인해서도 안된다.다만 피조물들은 하나님의 구속의 역사속에 들어가 그의 살아 계심을 인정하..

역사신학 2024.04.29

초대 교회시대부터 종교개혁 전후까지 중요 사건

초대 교회시대부터 종교개혁 전후까지 중요 사건 년도 사건 내용 54 네로 즉위 기독교 대박해 시작 70 예루살렘 멸망 로마의 티투스 군단의 공격으로 예루살렘 내의 유대인 대학살 당함 286 로마의 분할 통치 디오클레시안 황제의 4두 정치(테트라키아: 2명의 황제와 2명의 부황제) 313 기독교 공인 콘스탄틴의 밀라노 칙령 325 네케아 공의회 콘스탄틴에 의해 소집되어 아리우스의 양자론 이단을 정죄(아타나시우스) 380 기독교 국교 선포 테오도시우스 1세(서고트족과 화해, 기독교 제국 유지에 열정적) 390 히포 공의회 신약성경 27권을 정경으로 확정됨 395 로마의 동서 분열 테오도시우스 사망 후 장남이 동로마를, 차남이 서로마를 지배하게 됨 397 카르타고 공의회 신약성경(27권) 정경화 재확인(cf...

역사신학 2024.04.10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 역사신학 고찰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 역사신학 고찰 “개혁신학과 한국교회의 갱신(Renovation): 장로교회를 중심으로”이라는 주제 아래 있었던 한국개혁신학회 정기 학술심포지엄에서 역사적인 사례로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과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의 개혁주의생명신학 운동을 제시하여 발표했던 글을 정리한 것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표제어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를 역사신학적인 접근으로 고찰하였다. 신학은 학문이 아니라는 주장은 신학 하는 자들에게 거북하게 들릴지 모르나 사변화 된 신학과 학문적인 열정으로 머물고 목회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에 대한 비판으로 이해한다면 받아들이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신학의 학문성 논쟁은 이미 18-19세기에도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신학”이라는 용어도 13세기 스콜라신학에서 사용되..

역사신학 2024.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