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상식 이야기!! 1226

유대인의 절기

유대인의 절기    유대인의 절기 성경을 보다 쉽게 이해하려면 유대인의 절기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필요한데,우리에게도 명절이 있듯이 이들에게도 전통적으로 지키는 중요한 절기들이 있다.그중에서 기본적으로 알아야 몇 가지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1. 달력(Lu-ach) : 음력을 근거로 하는 유대인의 달력으로, 태양력을 쓰고 있는이 땅에 모든 인종들의 달력과 구분되나, 실제로 우리 민족이 오늘날까지 쓰는 음력도 이를 근거로 하였다고 본다. 어쨌든 유대인들의 날의 시작은 해가 지는 저녁에서부터 24시간이 지난 그 다음 날 해가 지는 때까지로, 유대인의 일 년은 12개월과 윤년의 13개월로 이루어진다. 2. 달(Cho-desh) : 유대인의 한 달은 29일 혹은 30일로 이루어지는데, 달이 시 작하는 초승달의 ..

성경에 대한 잘못된 견해들

성경에 대한 잘못된 견해들  성경에 대한 바른 태도그리스도인은 성경을 어떤 태도로 대해야 하는가? 그리스도인은 하나님께서 나누시면 나누고, 합치시면 합치는 사람이며, 하나님께서 원하시면 원하고, 원치 않으시면 원치 않는 사람이다. 그렇다면 하나님의 뜻을 어떻게 알고 그대로 행할 수 있겠는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성경(딤후 3:16)을 통해서 그리스도인은 그렇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성경 자체에 대한 태도가 올바르지 않다면 그 안에 계시되어 있는 하나님의 뜻을 올바로 이행할 것을 기대할 수 없다. 그러므로 성경에 대한 잘못된 태도와 견해들을 정리함으로써 사람들이 성경에 대해 갖고 있는 생각이 성경적 가르침과 일치하고 있는가, 아니면 얼마나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를 정확히 분별해야 하며, 성경에 대해 어..

하나님의 뜻 알기

하나님의 뜻 알기신앙 생활을 하면 할수록 점점 절실하게 다가오는 것이 이 주제일 것이다. 우리는 일상 생활 속에서하루에도 여러 번 선택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한다. 그럴 때마다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선택을 해야 하는고민을 하게 되며 특히 중대한 문제에 직면하면 더욱 하나님의 뜻이 절실해진다.과연 하나님의 뜻이 있는가? 있다면 하나님의 뜻이란 무엇인가?세상의 모든 것이 하나님의 뜻에서 떠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이것은 넓은 의미의 하나님의 뜻이며,하나님의 작정이라고 하며, 주권적인 뜻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좁은 의미로 보면 내가 오늘 살아가면서결정해야 하는 것에 대한 하나님의 선하신 뜻이 있다. 우리는 이것이 알고 싶은 것이다.하나님의 뜻을 세분하면 하나님의 지혜(지성적 측면)와 하나님의 작정(의지적 ..

이스라엘의 양

이스라엘의 양   양1) 이스라엘에서 가장 유명한 양은 기름진 꼬리를 가진 양(fat tailed 녿데)이다. 낙타가 등의 혹에 힘을 저축하듯이 양은 기름진 꼬리 부분에 힘을 예비해 두었다. 양을 잡게 되면 이 꼬리 부분이 요긴하게 사용되었다. 지금도 꼬리 부분만 사서 요리를 하는 경우가 있다. 성경에서도 이 기름진 꼬리 부분에 관한 내용이 소개되어 있다.   출애굽기 29:22 "또 너는 수양의 기름과 기름진 꼬리와 그 내장에 덮힌 기름과..."   레위기 3:9 "곧 미려골에서 벤 바 기름진 꼬리와..."2) 일반적으로 그 집의 막내둥이가 양을 돌보는 일을 하였다. 그 막내 아들이 나이가 들고 동생을 보게 되면 양지키는 막내 동생에게 넘겨지고 그는 아버지를 도와 농사일을 하였다. 사무엘이 이새의 아들..

성경의 물 이야기

성경의 물 이야기           김 문 영 물은 지구에 살고 있는 인류를 비롯하여 모든 생물의 생명줄이다. 물은 인간의 생명과 문명을 위해서 뿐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위해서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자원인 것이다. 과학자 벤저민 프랭클린은 "우물이 마르고 나서야 우리는 물의 가치를 알게 된다."고 했고, 세계은행 부총재인 이스마일 세라게딘은 "20세기에는 석유를 차지하기 위해 전쟁을 벌였다면 21세기에는 물을 차지하기 위해 전쟁을 벌일 것이다."라고 하여 앞으로 물 관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역설했다. 지금 우리가 무심코 마시는 물이 태고(太古)적 사람들이 마시는 물과 같은 물 그 물을 지금 우리가 마시는 물이라고 생각할 때 창조주 하나님의 섭리에 얼마나 감사한지 모른다. 물은 사람의 몸에 약..

로고스와 레마의 뜻

로고스와 레마의 뜻 레마와 로고스의 뜻에 차이가 있는가 말씀이란 단어에는 원어로 레마와 로고스가 있으며, 로고스는 일반적인 말씀, 레마는 깨닫은 말씀이라고 구분하여 가르치는 것을 듣은적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로고스를 깨닫았을 때에 레마를 받게 되는 것이니 모두 레마를 받을 수 있도록 하라는 것입니다.어떤 분들은 어디서 이런 말을 듣거나 혹은 읽은 후에, 선한 뜻으로 사용하려는 경우도 있습니다. 성경말씀을 깨닫아서 레마가 되도록하라는 것입니다.어떤 사람은 더 심각하게 들어가서, 자신은 레마의 영을 받았기에, 성경말씀을 다시 새롭게 해석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일반 목회자나 선생들은 로고스 정도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자신은 레마의 수준에 들어갔다고 하는데, 로고스 정도의 수준에 머물고 있는 자들은..

성경속의 5대 제국

성경속의 5대 제국 1. 앗수르 제국BC 900년경, 앗수르(아시리아)제국이 고대 근동의 패권을 장악했다.앗수르는 BC 722년에 북이스라엘 왕국을 정복하여 백성들을 곳곳에 흩어버리는 한편,인종 혼합 정책을 써서 팔레스타인에 남아 있던 유대인들과 이방인들을 통혼시켜 ‘사마리아인’이라는 혼혈족을 만들었다.그래서 예수님 당시 순수 혈통을 지녔던 유대인들이 사마리아 사람들을 몹시도 경멸했던 것이다.근동의 패자로서 앗수르의 세력은 BC 612년까지만 지속되었다.​2. 바벨론 제국신흥 제국 바벨론이 BC 612년에서 BC 536년까지 새로운 패자로 세상을 지배했기 때문이다.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은 BC 606년에 남유다 왕국을 정복했고,BC 586년에 예루살렘 성전과 성벽을 완전히 파괴했다.그 후 바벨론에 포로로..

양과 염소

양과 염소 원래 크레테(Crete) 섬의 야생 양(Cretan Wild Goat)을 BC 8000-6000년경부터 서아시아에서 가축화가 시작되어 현재 그 품종 개량종이 1.000여 종에 이르는 “양(羊)”을 가축으로 사육하는 목적은 양젖과 양털을 얻는 것, 그리고 양고기와 모피를 얻는 것입니다.​가축으로 길러지는 양(羊)은 야생 양을 오랜 기간에 걸쳐 사람들의 필요에 맞게 개량한 것입니다.예로부터 양털은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었는데, 품종 개량으로 원래 야생 양의 거칠었던 양의 털은 오늘날의 부드러운 양털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최근 200년 동안에는 주로 좋은 고기를 얻기 위해서 품종을 개량하였습니다.​양털은 다른 섬유에 비해 습기를 빨아들이는 힘이 강하고 꼬불꼬불한 곱슬기가 있어 탄력성이 매우 좋..

구약에서 죽은 자가 살아난 사례

구약에서 죽은 자가 살아난 사례  신.구약 성경 66권 중에 육신이 죽은 자가 살아나는 얘기는 전체적으로 8번이나 나온다.구약에 2번 그리고 나머지 6번은 신약에 실려 있다. ① 사르밧 땅의 과부아들(왕상17:17-24)② 수넴 여인의 아들(왕하4:17-37) ③ 유대 관원인 야이로의 딸(막5:22-43)④ 나인성의 청년(눅7:11-17)⑤ 나사로(요11:17-44) ⑥ 여 제자 다비다(행9:36-43)⑦ 졸다가 떨어져 죽었던 유두고(행20:7-12)*  예수님(마28:6; 막16:6; 눅24:6; 요20:14) - 부활하심등이 죽었다가 살았으나 부활은 아니다. 예수님이 부활의 첫 열매이기 때문이다.그들은 죽었다가 소생했을 뿐 부활의 몸을 받은 것이 아니었다.구약에 나오는 2번의 죽은 자를 살린 얘기는 ..

성경이란 무엇인가?

성경이란 무엇인가? 성경의 구성기독교의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하여, 하나님의 계획과 인류 역사를 담고 있는 책입니다. 성경은 창세기(Genesis)부터 요한계시록(Revelation)까지 총 66권의 장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성경은 히브리어, 그리스어, 아람어 등 다양한 언어로 작성되었으며 현재는 수많은 언어로 번역되어 각 지역에서 읽히고 있습니다.  성경은 구약성경(옛 언약)과 신약성경(새 언약)으로 나누어지며, 각각의 성경은 다양한 장르의 문학작품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구약성경은 총 39권으로 유대교의 성전이자 유대인의 역사와 율법, 선지서, 지혜서, 예언서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니엘, 에스라 같이 아람어로 쓰인 성서를 제외하면 대다수는 당시 유대인들의 언어인 히브리어로 쓰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