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법과 복음과 언약!! 482

복음이란 무엇인가?

복음이란 무엇인가? 복음의 기원 복음은 문자적으로는 기쁜 소식입니다. 그 대상은 '누구든지'이지만 '아무에게나'는 아닙니다. 복음은 기다렸던 사람들에게 있어서만 기쁜 소식입니다. 그들은 마치 배가 고파 죽어가는 사람들이 음식을 고대하는 것같이 오직 그리스도가 오시기만 학수고대하던 사람들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는 하나님의 말씀이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그 말씀들을 잘 지키면 복과 형통이 있지만 불순종하면 저주와 멸망이 있으리라고 경고하셨습니다. 그러나 오랜 이스라엘 역사를 지나오면서 백성들은 그 말씀을 온전히 지키지 못했습니다. 그러자 저주와 멸망이 그들에게 찾아왔습니다. 타락한 백성 사실 하나님의 말씀은 사람이 온전히 지킬 수 없는 말씀이었습니다. 하나님은 백성들이 지키지도 못할 말씀을..

언 약

언 약 서 론 성경은 언약의 책이다. 성경을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때 구약과 신약을 말한다. 이 구분을 언약적 관점에서 말하면, 구약은 메시야에 대한 예언의 말씀이고 신약은 예언대로 오신 메시야에 대한 성취의 말씀이다. 그리고 다시 신약은 재림하실 예수 그리스도를 예언하고 있으며, 초대교회 이래로 인류의 역사를 포함하는 교회사는 예수께서 말씀하신 언약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져 가고 있는 성취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그러므로 성경을 언약과 성취의 역사로 해석할 수 없다면, 성경해석에 있어서 많은 난관에 부딪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초대교회 이래로 종교개혁시대를 거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성경해석의 관심은 언약이 항상 그 중심을 이루어왔다. 교부시대에 터툴리안(Turtulian)이 신약(Novum Testame..

왜 하나님께서 언약을 맺으셨을까요?

왜 하나님께서 언약을 맺으셨을까요? 왜 하나님께서 언약을 맺으셨을까요?언약은 약속입니다. 그러나 언약과 약속의 의미는 서로 조금 다릅니다.사전을 보면 언약이라는 단어가 이렇게 정의되어 있습니다. 언약: "말로 약속함, 또는 그런 약속"백과사전에는 언약이란 말이 "계약"이라는 단어로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계약: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맺은 약속, 히브리어인 '베리트'에서 온 말로 "속박"이라는 뜻이다. 원래 사람과 사람, 나라와 나라 사이에 약속이 이루어지면, 짐승을 둘로 쪼개어 나누어 가지는 유대민족의 풍습에서 유래한 것이다."그러므로 창조주이신 하나님께서 피조물인 인간에게 하신 약속을 언약이라고 부릅니다. 1. 성경에 등장하는 최초의 언약언약이란 말은 성경에 많이 나오는데, 언약이란 단어가 제..

언약(言約, Covenant)에 대한 이해

언약(言約, Covenant)에 대한 이해 ♥ 들어가며성경은 구약(옛 언약, Old Testament)과 신약(새 언약, New Testament)으로 구성된 언약의 책입니다.성경의 여러 언약들은 표면적으로는 시대와 인물에 따라 각각 다양하고 단편적인 것 같지만,그 근본 목적과 본질은 예수의 십자가 희생 수난을 통한 인간 구속의 언약으로서모두 다 동일한 통일성을 이루고 있습니다.즉 성경의 여러 언약은 죄인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이 은혜의 약속이라는 동일한 본질이부분적으로 반영된 다양한 모습으로 각각 다르게 드러난 것입니다.여기에 이해를 돕고자 대표적인 언약들을 한자리에 모아보았습니다. 1. 언약의 개념(槪念)1) 구약에서의 언약(베리트)은 동물을 둘로 쪼개어 마주 대하여 놓고(창15:10) 언약 ..

개혁주의 언약사상: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정암 박윤선과 개혁주의 언약사상: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문병호(총신대학교) 1. 서론: 주제의 적합성 개혁주의 언약사상을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다루는 것은 낯선 작업이 아니다. 언약사상을 개혁주의로 한정하여 개념화하는 자체가 이미 조직신학적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정암 박윤선 박사님의 작품들에 나타난 개혁주의 언약사상을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추구하는 것은 그리 여상치 않다. 우선 정암 자신이 조직신학적 논구를 정치하게 추구했는지에 대한 질문이 놓여있다. 신약신학을 조직신학에 연결시켜 개혁신학을 한결 심오하고 부요하게 만든 학자들로서 G. 보스, B. B. 워필드, J. G. 메이천, J. 머레이, 오늘날 R. 레이몽드 등을 쉽게 떠올릴 수 있다. 이들이 추구한 것은 성경적 조직신학이라고 불리기도 ..

율법은 폐지 되었는가 !

율법은 폐지 되었는가 ! 율법은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 성막중심으로 행해지는 제사법과 사법부에 해당하는 민형사법 - 신앙의 행동원칙을 제시해 주는 십계명 즉, 도덕법이 있다. 이 3가지 율법 중에는 폐지된 율법이 있고 - 장차 그 효력을 발생할 율법이 있으며 - 만고불변의 율법도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율법을 구분짓지 못해 하고 성경구구절절 근거로 제시하면서 논쟁을 벌리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어떤 율법이 폐지되었는가 ! 1. 폐지된 제사법 (의식법)제사법은 레위기 1장에서부터 장황하게 소개되고 있다. 번제. 소제. 속죄제. 속건제. 화목제 - 이 5대 제사는 평상시 드리는 개인적인 제사(레1장-4장)와 - 7대 절기를 중심으로 하는 민족적인 제사(레23장) 가 있다. 구약은 성막을 중심으..

복음의 예언과 표현

복음의 예언과 표현  1,복음의 일반적인 말씀@,복음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이다,롬1;2,이 복음은 하나님이 선지자들로 말미암아 그의 아들에 관하여 성경에 미리 약속하신 것이라갈3;8,또 하나님이 이방을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로 정하실 것을 성경이 미리 알고 먼저 아브라함에게 복음을 전하되 모든 이방이 너를 인하여 복을 받으리라 하셨으니@,하나님 아버지로부터 온 것이다,살후2;13,14,주의 사랑하시는 형제들아 우리가 항상 너희를 위하여 마땅히 하나님께 감사할 것은 하나님이 처음부터 너희를 택하사 성령의 거룩하게 하심과 진리를 믿음으로 구원을 얻게 하심이니 이를 위하여 우리 복음으로 너희를 부르사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사람의 뜻으로 된 것이 아니다,갈..

네가지 복음

XXIThe Four Gospels 네가지 복음 복음(Gospel)이라는 말은 복된 소식(Good News)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말은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하기 때문에 모두 다 같은 것으로 적용하고 있다. 그래서    왕국의 복음,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   영광스러운 복음,   영원한 복음을, 이야기 할 때 그것들이 모두 하나이며 똑같은 것으로 생각되어 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복음들은 같은 것이 아니다.  1. 왕국 복음 (THE GOSPEL OF "THE KINGDOM")마태복음24:14이 "복음"은 누가복음 1:32,33에 예언된 것으로 다윗의 자손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통치하실 지상 왕국을 건설하시려고 하나님께서 계획하신 복된 소식이다. 이 복음은 침례인 요한의 사역과 ..

창세기에 나타난 복음과 예수 그리스도

창세기에 나타난 복음과 예수 그리스도   말씀.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너의 후손도 여자의 후손과 원수게 되게 하리니 여자의 후손은 네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요 너는 그의 발꿈치를 상하게 할 것이니라 하시고.” (창 3:15). 2. 서론.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계시하시는 하나님의 말씀이다. 주님은 성경이 자신에 대하여 증거하는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너희가 성경에서 영생을 얻는 줄 생각하고 성경을 상고하고니와 이 성경이 곧 내게 대하여 증거하는 것이로다.” (요 5:39). 우리는 창세기에서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를 발견함으로 구속사적인 관점에서 창세기를 이해할 수 있다. 3. 창세기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는 무엇인가? ‘여자의 후손’ (창 3:15) 여자의 후손은 사탄의 머리를 ..

구약과 신약의 관계

구약과 신약의 관계 성 경구약(율법)신약(복음)법적 차원옛 법새 법언약적 착원옛 언약새 언약기능적 차원오실 그리스도의 안내오실 메시야 안내죄를 깨닫도록 함오신 그리스도 안내오신 메시야 안내죄를 용서 함민족적 차원히브리인(이스라엘, 유대인)모든 백성(유대인+이방인)종교적 차원유대교기독교대표적 인물모 세그리스도자녀적 차원육적 유대인영적 유대인유언적 차원옛 유언새 유언성전적 차원건물적 성전몸 된 성전의식적 차원제사와 절기예배율법적 차원사람이 지킬 수 없는 율법그리스도가 완성한 율법구원적 차원율법의 행위와 제사믿음계시적 차원오실 메시야 계시오신 메시야 안내행위적 차원강요와 의무자유와 자발상징적 차원그림자본체존재적 차원사라짐영원히 존재  율법과 복음(행위와 믿음)의 관계 율 법복 음행위가 중심믿음이 중심자신이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