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란! 예배 기타!!! 987

예배란 무엇인가?

예배란 무엇인가? 1. 예배의 정의​ 예배란 하나님을 찬양하고 경배하며, 그분의 은혜와 사랑에 감사하는 행위입니다. 성도들에게 있어 예배는 단순한 종교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과의 깊은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영적 소통의 과정입니다. 이는 개인적인 기도와 찬양뿐만 아니라, 공동체적인 예배를 통해 함께 하나님을 높이 는 시간을 포함합니다.​2. 예배의 성경적 기원​ 성경에서 예배의 가장 초기 형태는 창세기 4장에서 가인과 아벨의 제사에서 등장 합니다. 이후 노아가 홍수 후 하나님께 드린 제사(창 8장), 아브라함, 이삭, 야곱이 드린 제사 (창 12장) 등으로 이어집니다. 초기 예배는 특정한 장소 없이 개인 또는 가족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3. 예배의 역사적 변..

성경에 나타난 예배 변천사

성경에 나타난 예배 변천사 1. 돌단 예배(족장시대)족장 시대의 예배 행위는 애니미즘적, 다신론적, 그리고 암시적 유일신론(implicit monotheism)적 신앙이 혼재되어 있는 성격을 띠고 있는데 예배의 가장 우선적이고 일차적인 요소는(가) 신 현현(theophany)의 경험이다. 아브라함, 이삭, 야곱으로 대표되는 족 장들의 예배행위는 무엇보다 신 현현의 경험에 대한 고백적 보도다.(나) 신의 약속 선포다.(다) 헌물을 드리는 제사행위가 따른다. 전제물과 기름을 드리는 행위와 그리 고 동물희생제 또는 정결례 등의 제의적 행위가 따른다.(라) 이러한 헌물을 드리는 행위에는 일반적으로(늘 수반되는 것은 아님) 맹세 의 기도나 기원이 따르는 경향이 있다.그리나, 족장시대의 이러한 예배행위는 발달된 형..

하나님이 원하시는 9가지 좋은 예배 / 가진수

하나님이 원하시는 9가지 좋은 예배 / 가진수 교회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 하나님께 예배드리는 것이고, 우리를 창조하신 하나님의 가장 큰 계획이 영광을 받으시기 위함이라면, 우리는 다른 무엇보다도 예배에 집중하고 잘 드려야한다. 이것은 선택이 아니라 책임이며 의무다. 교회의 영적 능력과 영향력이 점점 약해져가는 지금 이 시대에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고 우리의 본분을 새롭게 일으켜 세우는 것이 얼마나 긴급하고 중요한 일인지 모른다. 그렇다면 어떻게 드리는 예배가 좋은 예배인가? 성경적인 기초와 예배의 본질을 가지고 9가지 방향을 제시한다.1. 하나님께 온전히 영광 돌리는 예배예배의 가장 중요한 본질은 무엇보다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것'이다. 주일예배를 포함한 모든 공예배의 순서는 여기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한국 교회 예배의 기원

한국 교회 예배의 기원        1885년 4월 5일은 한국 개신교 역사에서 기억할 만한 역사적인 날이었다. 그리고 그날은 부활주일이었다. 미국의 북장로교회 소속 언더우드(Horace G. Underwood) 선교사 부부와 미국 북감리교회 선교사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 선교사 부부가 동시에 인천(제물포)에 상륙한 것이다. 이들에 의해 한국 개신교의 선교는 본격화되었고, 개신교 공예배가 시작되었다. 우리가 한국 개신교 초기의 예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먼저 그 예배를 전수해 준 선교사들의 교단 배경과 신학의 성향부터 알아보는 것이 유익할 줄 안다.어떤 역사든지 시대를 정확히 나누기는 어렵다. 사관(史觀)에 따라, 서술의 취지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생길 수 있다. 이런 전제 아래, ..

예배학 개론

예배학 개론                                       1. 예배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 들어가는 말 예배자가 예배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을 의미 있는 예배를 드리게할 뿐만 아니라 예배자의 예배 자세를 결정하기 때문에 대단히 중요하다. 지나치게 개인주의적이며 감상주의적이거나 무속 신앙적인 예배의 현장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므로 예배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가질 때 감격적인 예배를 경험할 수 있으며 경건한 예배를 드릴 수 있다.  ■ 예배의 용어적인 의미 1. 히브리어로 '예배하다'에 해당하는 단어는'샤카(shachah)'와 '아바드(abadh)'인데 '샤카'는 엎드려 절하다 또는 경배하다라는 뜻이고(신 26:10 참조) '아바드'는 섬기다 또는 봉사하다(service)라..

예배에 대한 총정리

예배에 대한 총정리                                                                                                                                                                    I. 당신은 왜 예배를 드려야 합니까?II. 예배가 무엇인가?III. 예배순서는 어떤 구조로 되었는가?IV. 예배의 요소(계시부분) 이해 V. 예배의 요소(응답부분) 이해VI. 성찬을 통해서 말씀하신 하나님VII. 한 해를 주님과 함께 사는 예배 I. 당신은 왜 예배를 드려야 합니까? 요4:19-24세계적으로 한국교회가 예배드림에 제일 열심히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내가 왜 예배를 드려야 하며, ..

건강하지 않은 교회의 9가지 특징

건강하지 않은 교회의 9가지 특징  건강하지 않은 교회의 9가지 특징들은 단순히 건강한 교회들이 갖고 있는 특징들을 반대로 나열한 것일 수도 있다. 그래서 건강하지 않은 교회들은 멤버십과 훈련, 해설적인 설교와 나머지 모든 것들을 무시하곤 한다. 그러나 교회가 건강하지 않다는 상태가 항상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아니다. 여러분의 교회는 옳은 것을 가르치고 알고 있다고 하면서 정작 그렇게 행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교회가 역기능적이고 병들었다는 것을 알리는 지표는 수도 없이 많다. 여러분의 교회가 비록 성경을 믿고 복음을 선포하며 바람직한 교회론을 취하고 있더라도 건강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아홉 가지 지표는 다음과 같다. 1. 설교 주제가 주변적일수록 사람들의 호응이 뜨겁다.  나는 내가 ..

21세기 건강한 교회의 6가지 특징

21세기 건강한 교회의 6가지 특징     인간의 몸도 건강해야 활동하듯이 교회도 건강해야 그 사명을 잘 감당할 수 있다. 병든 교회는 정체하거나 쇠퇴하며 심지어 소멸하기까지 한다. 미국의 미네소타주에 있는 우드데일 교회(Wooddale church)의 담임목사인 리드 앤더슨(Leith Anderson)은 「21세기를 위한 교회」(A Church for the 21st Century)에서 교회 건강의 중요성을 설명하면서 건강한 교회의 6가지 특징에 대해 말하고 있다. 첫째, 건강한 교회는 하나님을 영화롭게 한다(Glorifying God).건강한 교회는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교회이다. 인간과 교회의 가장 으뜸되는 목적과 사명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이다. “영화롭게 하다”라는 말은 헬라어의 “dox..

지난 100년간 기독교 부흥의 흐름 10가지를 꼽다

지난 100년간 기독교 부흥의 흐름 10가지를 꼽다오순절주의 폭발적 성장… 역사상 가장 큰 교회 '순복음교회'   【  】 지난 100년간 세계 기독교 부흥의 흐름, 즉 가장 두드러졌던 경향들을 모아 차례로 꼽아보면 10가지 안에 어떤 것들이 들어갈까? 첫째는 오순절주의 은사운동이고, 둘째는 중국의 가정교회였다. 역사상 가장 큰 교회 ‘여의도순복음교회’는 네 번째에 꼽혔다.문화선교연구원(문선연, 원장 임성빈 교수)이 ‘20세기 세계 기독교의 가장 두드러졌던 10가지 경향’이라는 글을 홈페이지에 포스팅 했다.이 글을 워렌 버드(Warren Bird)와 엘머 타운즈(Elmer Towns)의 새 책 (지난 한 세기 동안 가장 영향력 있는 기독교회의 10가지 경향)의 서문으로 미국의 기독교 연구소 LifeWay..

산 제사와 영적 예배

산 제사와 영적 예배  바울은 로마서 1〜11장을 통해 우리의 믿음이 무엇인지에 대해 밝히고 나서,로마서 12장에서 믿음의 결론으로 다음과 같이 선포하고 있습니다."그러므로 형제들아 내가 하나님의 모든 자비하심으로 너희를 권하노니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사로 드리라 이는 너희의 드릴 영적 예배니라"(롬12:1).  1. '몸'의 의미여기서 말하는 '몸'은 '신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몸과 마음' 즉 '온 인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그러므로 '너희 몸'은 '너희 자신'을 뜻하며,우리의 인격 전체를 형성하는 모든 요소를 포함합니다(고전6:15,20;고후5:10;약2:26).나아가 세상과 이웃과의 관계 속에서 구체적인 삶으로 표현되는 삶의 양태까지 포함합니다.  2. '거룩한 산 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