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란! 예배 기타!!! 981

예배(禮拜)란 무엇인가?

예배(禮拜)란 무엇인가?Ⅰ.  이끄는 말Ⅱ.  예배란 말의 뜻Ⅲ.  예배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Ⅳ.  구약시대의 예배Ⅴ.  신약시대의 예배Ⅵ.  맺는 말“그러므로 형제들아 내가 하나님의 모든 자비하심으로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사로 드리라 이는 너희의 드릴 영적 예배니라”    ( 롬12:1 )  Ⅰ. 이끄는 말    성도들의 생활에 있어서 예배행위(禮拜行爲)는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하나님께 대한 예배는 성도의 행동으로 나타나는 외적인 자세라고 할 수가 있겠다. 그러므로 성도의 하나님께 대한 예배는 신자 스스로가 내면에 가지고 있는 하나님께 대한 신앙(信仰)의 표현인 것이다.  따라서 예배는 신앙을 전제(前提)하고, 신앙은 예배를 수반(隋伴)한다. 그러므로 건전..

예배의 의미

예배의 의미 예배는 하나님과의 만남이다.  창조주시요,아버지이신 하나님과  피조물이자 자녀인인간 사이의  만남이다. 사귐이다. 하나님의 인격과 우리의 인격이  맞닿는 것이다.사랑의 나눔이다. 예배는 하나님께 경의를 표하는 것이다.  경배를  뜻하는 구약의  히브리어  “하와”(chawah ; 또는 샤하 shachah)와  “예배하다”  또는 “경배하다”로  번역되는 신약의헬라어  “프로스퀴네오”(proskuneo)는  원래  “절하다, 몸을 굽히다, 엎드리다”라는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예배 또는 경배란, 하나님을 높이는 마음을(경) 자신을낮추어표현하는 것(배)이라 하겠다. 영어에서 예배란 뜻을 가진 worship라는 단어는하나님께 대한 최상의 가치를 알아간다는 worth  ship의 결합어이다. 예..

예배학 개론

예배학 개론                                       1. 예배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 들어가는 말 예배자가 예배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을 의미 있는 예배를 드리게할 뿐만 아니라 예배자의 예배 자세를 결정하기 때문에 대단히 중요하다. 지나치게 개인주의적이며 감상주의적이거나 무속 신앙적인 예배의 현장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므로 예배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가질 때 감격적인 예배를 경험할 수 있으며 경건한 예배를 드릴 수 있다.  ■ 예배의 용어적인 의미 1. 히브리어로 '예배하다'에 해당하는 단어는'샤카(shachah)'와 '아바드(abadh)'인데 '샤카'는 엎드려 절하다 또는 경배하다라는 뜻이고(신 26:10 참조) '아바드'는 섬기다 또는 봉사하다(service)라..

교회론 강의안

교회론 강의안   ? 왜 교회론인가? 1. 교회론의 위치와 신학적 중요성삼위일체론 :신론, 그리스도론, 성령론창조론예정론섭리론계시론성서론은총론신앙론교회론종말론시작(근거)연결응답삶(공동체)미래인간론 :하나님의 형상론, 죄론, 구원론예배, 설교,기독교교육,선교신학세상의 끝천사론마귀론하나님 나라 A. (조직)신학 내에서의 교회론의 위치- 조직신학 내에서의 신론의 위치는 모든 주제와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상호보완적이므로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신론 -> 그리스도론 -> 성령론 -> 역사와 종말론-> 교회론 -> 인간론 -> 성서론 -> 계시론 -> 신앙론 -> 신론 B. 교회론의 신학적 중요성① 교회는 기독교인의 신앙과 삶 및 목회와 신학의 시공간적인 장이다.② 칼바르트에 의하면 교회와 신학은 밀접한 관..

교회의 7가지 경영원리

교회의 7가지 경영원리    교회는 생명체(organism)이면서 동시에 조직체(organization)입니다. 하나님의 생명으로서의 교회와 인간의 조직체로서의 교회를 얼마나 잘 이해하느냐에 따라서 생명의 성장과 조직의 확장이 결정됩니다. 그러면 과연 조직이란 무엇이며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을까요? 교회 조직을 정의해 본다면 교회 조직이란 \"하나님을 위한 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성도들이 합력하여 헌신할 수 있도록 필요한 활동들을 분류하고 배분하는 구조 및 그 구조가 창출되고 유지 변화하는 과정\" 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교회는 단순한 조직이 아니라 생명을 담은 조직입니다. 하나님의 생명을 받아 더 많은 사람들에게 나누어주는 것이 교회의 존재 이유요 목적이요 또한 본질입니다. 선한 목적을 위..

교회의 역할과 사명

교회의 역할과 사명언제부터인가 우리 주위에는 거리마다 골목마다 십자가 달린 건물이 여기 저기 들어서기 시작했다. 이제는 길을 가다가도 수없이 눈에 띄는 것이 식당과 옷가게 커피 집과 함께 십자가 달린 건물이다.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대단위 아파트 단지에도 빠짐없이 들어서는 것은 복덕방, 슈퍼마켓 그리고 십자가가 달린 건물이다. 이 건물을 사람들은 교회라고 부른다. 바로 이 교회가 기독교의 상징이 되고 있다. 이 교회가 우리 나라에 들어서기 시작한 것은 약 백년 전부터인데 우리 나라의 근대화에 지대한 공헌을 해왔고 지금도 우리 사회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러나 안타까운 일은 일부 교회들이 사회에 좋은 인상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런 교회들을 보고 실망한 사람들이 교회로 상징되는 기독교에..

교회의 원형이신 예수 그리스도

교회의 원형이신 예수 그리스도:요한의 교회 비전김동수교회를 교회되게 하는 요체는 무엇인가? 건강한 교회는 어떤 교회인가? 지금 우리 교회는 교회다운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가? 아니면 우리 교회는 획기적으로 갱신되어야 하는가? 현실 교회를 보면서 우리는 최근 위와 같은 질문을 자주 하고 또 듣는다. 그래서 어떤 이는 “교회의 주인은 사람이 아니다”라고 외치고, 다른 이는 “교회는 주님의 교회가 되어야 한다”고 소리치기도 한다. 이러한 질문과 외침 속에서 결국, 교회의 본질이 무엇이고, 건강한 교회가 어떤 모습인지 알려면 우리는 마땅히 성서에서 그 답을 찾아야 할 것이다.  구약에도 예배 공동체로서의 하나님의 교회라는 개념이 나오지만 교회라는 용어와 그 개념을 직접적으로 기술한 것은 신약 성서이기 때문에 우리..

교회(에클레시아, church)에 대한 정의 및 특징

교회(에클레시아, church)에 대한 정의 및 특징 교회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자들의 성령에 의해 결합된 공동체를 일컫는 명칭. 신약에 있어서 교회로 번역된 그리스원어 [에클레-시아]는 신약에 112회 씌어져 있는 말인데, 복음서에는마 16:18, 18:17에 씌어져 있고, 사도행전 이하의 글에 등장한다. 이 [에클레시아]는 [에크 칼레오](불러내어 모은다)에서 온 말로서, 시민의 공적(公的) 목적으로 모이는 집회를 가리키고, [모임](assembly)으로도 번역되어 있다(행 19:32,41,에베소 시민들. 이 의미에서의 집회를 가리킨다). 구약에는 [교회]라는 말은 씌어져 있지 않은데, 칠십인역 그리스어 성경은 [에클레시아]를 히브리어 [카-할- (qahal)]의 역에 쓰고 있다. 그것은 집회(총..

찬양이란 무엇인가?

찬양이란 무엇인가? 1.찬양의 어원적인 뜻 찬양의 의미로 쓰이는 히브리어는 서너 가지가 있는데 성경에서 이들 단어들은 정확하게 다른 것과 구분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드물며 찬송, 찬양, 송축 등으로 해석됩니다. 송축 바락(BARAK, ) 무릎을 꿇는다. 하나님께 기원한다. 축복을 받거나 축복을 기원해 주는 것과 관계가 있다. 이 단어는 히필형으로 쓰일 때 낙타의 무릎을 꿇게 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주인에게 봉사하기 위하여 무릎을 꿇는 것, 타인에게 축복을 빌기 위해 하나님 앞에 무릎 꿇는 것 바로 이런 것이 송축이다. 찬송 자마르[ZAMAR,] 손가락을 퉁기다. 연주하면서 시를 읊는다. 악기를 연주하면서 노래하는 것이다. 야댜[YADAH,] 던지다. 고백하다. 찬양하다. 구약에서 고백은 찬양의 성격을 ..

예배의 의미와 본질 연구

예배의 의미와 본질 연구 1. 예배란? 예배는 그리스도인의 존재 이유요 기독교의 핵심입니다. 그렇다면 예배란 무엇입니까? 예배는 “인간이 만유의 주권자가 되시는 하나님을 만나고 그 분의 인격과 사역에 대해 적극적으로 응답하는 행위”(대상 29:11-13)라고 정의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예배의 두 가지 특징을 발견합니다. ‘만남’과 ‘응’답이 그것입니다. 1) 예배는 하나님과의 만남입니다(Relationship) 예배는 마치 ‘개가 주인을 보고 꼬리를 흔들 듯’ 하나님을 만나는 감격 그 자체입니다. 창조주요 구원자이신 하나님의 생명을 접촉하는 일, 이것이 예배의 최대 관심사입니다. 찬양과 말씀과 교제를 통해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말씀하시는 것을 듣는 것입니다. 2) 예배는 하나님을 향한 응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