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란! 예배 기타!!! 981

성경적인 예배관

성경적인 예배관 1. 예배의 성경적인 원리와 신학적인 근거 기독교 예배의 성경적 근거와 원리는 앞서 살핀 요한복음 4:21~24에 잘 나타나 있다. 여기서 우리는 경배의 대상은 창조주 하나님 아버지시며, 그 하나님께 경배하려면 그 방식은 성령과 진리로(안에서) 경배하는 은혜의 행위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구약시대에 하나님의 백성들이 짐승을 제물로 삼아 제사하던 행위는 신약에 와서 이제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가 친히 제물이 되시며, 대제사장이 되시기 때문에 더 이상 그러한 방식의 경배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제는 새로운 시대에 언약 백성의 예배로서 진리이신 그리스도를 의지하고, 인간을 새롭게 하시는 성령을 의지하여 하나님께 나아가 예배하는 것이다. 이것이 초대교회 이후에 기독교가 행하는 예배의 원리와 방식이..

성경적인 예배관

성경적인 예배관 1. 예배의 성경적인 원리와 신학적인 근거 기독교 예배의 성경적 근거와 원리는 앞서 살핀 요한복음 4:21~24에 잘 나타나 있다. 여기서 우리는 경배의 대상은 창조주 하나님 아버지시며, 그 하나님께 경배하려면 그 방식은 성령과 진리로(안에서) 경배하는 은혜의 행위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구약시대에 하나님의 백성들이 짐승을 제물로 삼아 제사하던 행위는 신약에 와서 이제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가 친히 제물이 되시며, 대제사장이 되시기 때문에 더 이상 그러한 방식의 경배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제는 새로운 시대에 언약 백성의 예배로서 진리이신 그리스도를 의지하고, 인간을 새롭게 하시는 성령을 의지하여 하나님께 나아가 예배하는 것이다. 이것이 초대교회 이후에 기독교가 행하는 예배의 원리와 방식이..

[구약신학] 예배와 제사

[구약신학] 예배와 제사 제사는 형식, 규칙과 절차를 따라서 해야 한다. 전문 기술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 예배란 넓은 범주 안에 들어간다. 예배는 기술적인 측면보다 하나님 앞에서 나의 진솔한 측면이 부각되는 것이다. 내면의 문제이다. 전반적으로 제사와 같지만 내용에서 차이가 난다. 하나님의 말씀과 응답의 차원에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믿음에 대한 것을 외형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로 제사와 예배에 있다. 벧엘은 북이스라엘의 성소/세겜, 마므레, 모리아는 예루살렘, 브엘세바는 북쪽이다. 이 제단들이 여러 곳에 위치하고 있었다. 자신들이 예배하고 싶은 곳에 장소가 있었다. 기존 가나안 땅(약속의 땅)에서는 기존에 예배를 드리고 있었다. 그래서 기존 예배의 장소를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

예배와 제사

예배와 제사 제사는 형식, 규칙과 절차를 따라서 해야 한다. 전문 기술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 예배란 넓은 범주 안에 들어간다. 예배는 기술적인 측면보다 하나님 앞에서 나의 진솔한 측면이 부각되는 것이다. 내면의 문제이다. 전반적으로 제사와 같지만 내용에서 차이가 난다. 하나님의 말씀과 응답의 차원에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믿음에 대한 것을 외형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로 제사와 예배에 있다. 벧엘은 북이스라엘의 성소/세겜, 마므레, 모리아는 예루살렘, 브엘세바는 북쪽이다. 이 제단들이 여러 곳에 위치하고 있었다. 자신들이 예배하고 싶은 곳에 장소가 있었다. 기존 가나안 땅(약속의 땅)에서는 기존에 예배를 드리고 있었다. 그래서 기존 예배의 장소를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구약신학] 예배와 제사

[구약신학] 예배와 제사 제사는 형식, 규칙과 절차를 따라서 해야 한다. 전문 기술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 예배란 넓은 범주 안에 들어간다. 예배는 기술적인 측면보다 하나님 앞에서 나의 진솔한 측면이 부각되는 것이다. 내면의 문제이다. 전반적으로 제사와 같지만 내용에서 차이가 난다. 하나님의 말씀과 응답의 차원에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믿음에 대한 것을 외형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로 제사와 예배에 있다. 벧엘은 북이스라엘의 성소/세겜, 마므레, 모리아는 예루살렘, 브엘세바는 북쪽이다. 이 제단들이 여러 곳에 위치하고 있었다. 자신들이 예배하고 싶은 곳에 장소가 있었다. 기존 가나안 땅(약속의 땅)에서는 기존에 예배를 드리고 있었다. 그래서 기존 예배의 장소를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

세상을 바꾼 사도행전적 교회의 특징 '10가지'

세상을 바꾼 사도행전적 교회의 특징 '10가지' 故 하용조 목사가 설교했던, 오늘날 한국교회가 지향해야 할… 예수님이 십자가에 돌아가신 이후, 지상에 남겨주신 선물이 하나 있다면 그의 피로 사신 교회입니다. 눈에 보이는 교회가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교회이며, 제도적이며, 교파적이고 교리적인 그런 교회가 아니라 그리스도의 몸인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는 교회인 것입니다" - 고(故) 하용조 목사 ▲고(故) 하용조 목사 ©온누리신문 고 하용조 목사님은 교회에 대해서 항상 두 가지를 질문하셨다고 합니다. 하나는 '교회는 정말 주님의 꿈이시고, 이 시대의 희망과 대안이 되고 있는가?' 였고, 다른 하나는 '이상적인 교회는 존재하는가?'였습니다. 그러면서 "교회가 살면 세상이 살고, 교회가 무너지면 다 무너진다..

성경적 교회론

성경적 교회론 1과 잘못된 교회관 교회란 무엇인가(교회의 정의) 교회는 하나님에 의해서 모여지고(선택),예수의 죽음을 통하여 거룩하여진 하나님의 자녀들이(칭의의 거룩),하나님왕국의 백성으로서의 삶(이러한 삶의 절대적 모범은 우리의 왕이신 예수그리스도의 삶) 살 각오가 되어 있는 사람들의 공동체이다. 서론:엡1:12절을 읽을 것-여기서 하나님의 영광의 찬송이 무엇인가? 그것은 교회이다(우리라고 표현이 된 부분) 또한 이 에베소서1:19-23에서는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인 교회안에서,하나님의 영광과 능력의 풍성하심을 누리게 된다고 말하고 있다.(몸박에서는 하나님의 영광의 풍성을 누릴 수 없다) (바울의 기도-우리에게 베푸신 하나님의 능력의 지극히 크심을 알게하려함(19)-그 능력-그리스도안에서 역사(20)-..

성경에 나타나는 신약의 교회들

성경에 나타나는 신약의 교회들 가정에서 시작된 초대교회 예루살렘 마리아의 집 행12:12 에 베 소 아구라의 집 고전16:19 빌 립 보 루디아의 집 행16:40 라오디게아 눔 바 의 집 골 4:15 고 린 도 가이오의 집 롬16:24 골 로 세 빌레몬의 집 몬 1: 2 성경에 나타난 신약의 교회들 1 예루살렘 교회 행 8: 1 8 마게도냐 교회 고후 8: 1 2 안 디 옥 교회 행11:26 9 갈라디아 교회 갈 1: 2 3 가이사랴 교회 행18:22 10 그 레 데 교회 딛 1: 5 4 에 베 소 교회 행20:17 11 빌 립 보 교회 빌 1: 1 5 로 마 교회 롬 1: 7 12 골 로 세 교회 골 1: 1 6 겐그레아 교회 롬16: 1 13 라오디게아교회 골 4:15 7 고 린 도 교회 고전 1: ..

레위기의 5대 제사와 영적의미

제목: 레위기의 5대 제사와 영적의미 ◐ 레위기의 5대 제사 ◑ 레위기는 여호와께 드려야 할 5 대 제사의 규례로서 시작된다. 그런데 이러한 레위기의 시작은 당연한 귀결이었다. 왜냐하면 건축된 성막의(출40:17) 주된 목적이 제사였고, 따라서 성막이 완성된 지금 그곳에서 드려질 제사의 규례가 주어지는 것은 당연한 논리요 순서이기 때문이다. 제사의 종류에 대해서는 학자에 따라 5 대 제사로 분류하기도 하고 6 대 제사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러한 차이는 제사장의 위임식 때 거행하는 위임제를 여기에 포함시키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른 차이인데, 여기서는 5 대 제사만을 거론할려고 하는데 그 이유는 제사장의 위임식 때 행해진 위임제는 모든 이스라엘에게 관련된 것이 아니라 제사장의 위임에만 관련된 것으로 보고, ..

구약시대의 제사에 대한 이해

구약시대의 제사에 대한 이해 가. 제사의 종류 제사의 종류에 대해서는 학자에 따라 5대 제사로 분류하기도 하고 6대 제사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러한 차이는 제사장의 위임식 때 거행하는 위임제를 여기에 포함시키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른 차이이다. 1. 번제(Burnt Offering) = 헌신(獻身) 성경에 이 번제에 대하여 매우 많이 기록하고 있다. 먼저 창세기 8장 20절에서 시작하여 미가서까지 자주 기록하고 있으며, 레위기는 전반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신약에서는 히브리서 10장 68절에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번제는 매우 중요하고, 큰 제사이다. 1) 어의(語義) '번제'를 뜻하는 히브리어 '올라'는 '올라가다', '실어 올리다', '높이다'라는 뜻의 '아라'에서 파생된 것으로서 '위로 드려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