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란! 예배 기타!!! 981

유대교 예배와 기독교 예배의 연관성

유대교 예배와 기독교 예배의 연관성 ==================================== 기독교 예배는 예수님의 십자가 부활 이후에 생겨났습니다. 그런데 신약성경 어디를 읽어봐도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십계명을 주시듯이 그렇게 예배의 방법과 형식을 다 정해주신 일은 없습니다. 예수께서 부활 승천하신 이후에 제자들이 모여서 무엇인가를 행하였는데, 그것이 곧 예배 의식이 된 것입니다. 상상력을 동원하여 우리가 2,000년 전의 제자들이라고 생각해봅시다. 스승인 예수님은 부활 승천하셔서 더 이상 우리와 함께 계시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무엇인가를 한다면 어떤 것을 해야 할까요? 우리가 가장 잘 아는 것, 즉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것을 하게 될 것입니다. 더 정확히는 예수님이 이 ..

구약성경에 나타난 교회음악

구약성경에 나타난 교회음악 (1) 히브리음악(Hebrews Music) 우리가 기독교의 기본원리를 이해하려면 구약성경으로 되돌아 가야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기독교 음악의 근본을 배우기 위해서는 먼저 구약성서와 히브리(Hebrews)시대의 음악으로 되돌아 가야한다. 학자들이 3가지 방법으로 추리한 것이 있는데 첫째, 구약성경의 그 자체의 기록으로 알 수 있는 방법, 둘째, 고대의 항아리나 벽, 마루등에 그려진 그림 가운데 나타난 그 당시의 악기 모양으로 그 악기의 사용과 어떻게 만들어 졌는가 하는 것을 알아 맞추는 방법, 셋째, 수천년 동안 스승에게서 제자들에게 전해 내려오는 Judea(유대교)의 회당음악에서 알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면 구약시대에 음악이 사용되었다는 사실과 하나님께 예배드릴 때 그것이 ..

신약성경의 예배에서 배우기

신약성경의 예배에서 배우기 1. 초대교회에 미친 성전과 회당 예배의 영향 ​ 예수님과 제자들은 유대인이었으므로, 그 당시 유대교의 종교 관습을 전반적으로 따랐다고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다만 복음서에서 예수님이 유대교의 종교 관습을 공격한 경우는 예외다. 예수님이 최후 만찬을 유월절 식사로 거행하셨으므로, 유대인들이 가정에서 행한 종교 관습을 공유하신 것으로 보인다. 예수님은 갈릴리의 회당 예배도 공유하셨고(눅 4:16-30), 절기 때는 성전에도 가셨다(요 2:13 등). 예수님과 초대교회가 드린 예배는 그레코-로마세계라는 이교제사보다는 유대인의 예배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 ​ 1.1. 예루살렘 성전 예배의 영향 ​ AD 1세기에 제사장들은 예루살렘 성전에서 아침과 저녁에 양 한 마리..

산 제사와 영적예배

산 제사와 영적예배 ♡ 들어가며 바울은 로마서 1〜11장을 통해 우리의 믿음이 무엇인지에 대해 밝히고 나서, 로마서 12장에서 믿음의 결론으로 다음과 같이 선포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형제들아 내가 하나님의 모든 자비하심으로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사로 드리라 이는 너희의 드릴 영적 예배니라"(롬12:1). 1. '몸'의 의미 여기서 말하는 '몸'은 '신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몸과 마음' 즉 '온 인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너희 몸'은 '너희 자신'을 뜻하며, 우리의 인격 전체를 형성하는 모든 요소를 포함합니다(고전6:15,20;고후5:10;약2:26). 나아가 세상과 이웃과의 관계 속에서 구체적인 삶으로 표현되는 삶의 양태까지 포함합니다. 2...

제사에 대한 이해

제사에 대한 이해 가족 중에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이 함께 있을 경우 '제사' 문제로 인하여 집안간에, 형제간에 갈등이 표출되는 사례가 많습니다. 그래서 '제사'에 대한 자료를 제시합니다. '제사'를 옹호하는 분들을 이해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소망입니다. 1. 제사는 민족 고유의 풍속이 아니라 '수입품'입니다. 대개 제사를 우리나라의 고유한 풍속인 줄 알지만 실상은 600여 년 전에 중국에서 수입된 것입니다. 그리고 중국의 조상 제사도 처음에는 지금처럼 죽은 조상이 아니라 산 황제를 높여드리는 예식이였습니다. 그것이 제후들에게 복의 행위로 퍼지고, 일반인에게 확산된 것입니다. 2. 제사는 '효'가 아니라 신분을 차별하는 행위였습니다. 사가(史家)들의 연구한 바에 의하면 우리나라에 제사 흔적을 찾..

조직신학에서 바라본 교회관 (최홍석

조직신학에서 바라본 교회관 (최홍석 교수, 본교 조직신학 교수) 올바른 교회관을 가진다는 것은 평생 교회를 섬겨야할 목회자 후보생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일들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제목의 함축하는 바는 교회에 대한 바른 관점을 조직신학적 접근에 의해 제시하라는 의미로 이해된다. 사실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라는 표현의 의미를 무슨 특별한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성경, 역사, 실천신학 없이는 결코 조직신학이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조직신학은 올바른 성경이해에 근거해야 하고, 역사적 통찰을 가지고서 바른 해석을 이끌어내어야 하며, 과거의 교훈이 아닌, 현재적 진리로서 적실성(適實性)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통해 주님의 교회를 섬기는 일에서 마침내 그 결실을 얻게 된다. 따라서 조직신학적 관점..

조직신학에서 바라본 교회관 (최홍석 교수

조직신학에서 바라본 교회관 (최홍석 교수, 본교 조직신학 교수) 올바른 교회관을 가진다는 것은 평생 교회를 섬겨야할 목회자 후보생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일들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제목의 함축하는 바는 교회에 대한 바른 관점을 조직신학적 접근에 의해 제시하라는 의미로 이해된다. 사실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라는 표현의 의미를 무슨 특별한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성경, 역사, 실천신학 없이는 결코 조직신학이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조직신학은 올바른 성경이해에 근거해야 하고, 역사적 통찰을 가지고서 바른 해석을 이끌어내어야 하며, 과거의 교훈이 아닌, 현재적 진리로서 적실성(適實性)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통해 주님의 교회를 섬기는 일에서 마침내 그 결실을 얻게 된다. 따라서 조직신학적 관점..

언약의 개념 구약의 할례와 신약의 세례의 비교

언약의 개념 구약의 할례와 신약의 세례의 비교 출19:5 ⟐성경에 사용된 "언약"이라는 말의 의미 ※히브리어: 베리트 ※헬라어:디아데케 ◦"언약"이라는 말의 독특한(신학적)의미는 믿음으로 약속을 받은 사람들의 축복과 유익을 위해서 하나님께서 특별히 세워주신(레26:9) 은혜로운 보증의 말씀, 곧 하나님과 인간사이의 약속관계를 뜻한다. ◦성경에 있는 "언약"이라는 말은 인간사회에서 행해지는 형태의 계약, 곧 두 사람 또는 두 집단간의 상호합의하에 이루어진 쌍무계약이나 종주권적 협약 등과 같은 의미로 이해 되는 것이 아니다. ◦성경에서의 언약은 인간과 인간 사이의 계약이 아니라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계약이라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언약의 주도권은 언제나 하나님께 있는 것이며, 인간은 단지 그것을 받는 수..

◆ 추모(追慕) 예배의 의의

◆ 추모(追慕) 예배의 의의 ◆ 추모(追慕)라는 용어가 바람직합니다. 추도(追悼)라는 용어는 죽은 이를 생각하며 슬퍼해한다는 뜻 입니다. 이 말속에는 다분히 불신자적인 인상이 짙습니다. 추모라는 용어의 뜻은 죽은 사람을 기억하고 그리워함입니다. 이렇게 보면 기독교에서 사용되어야 하는 바른 용어는 추모 (追慕)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추모(追慕) 예배의 의의 1) 불신자에게는 올바른 죽음 의식을 주는 데 있습니다. 죽음은 죗값이며 하나님을 향한 반역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죽음을 잠잔다는 말로 성경은 표현합니다. 이것은 죽음은 끝이 아니라 주님께서 재림하실 때 영혼이 깨어난다고 하는 것을 전제한 것입니다. 영혼은 사람들의 생각처럼 다시 돌아오거나 혹은 정처 없이 세상을 방황하는 것이 아닙니다. 또한 죽음 이후..

성경 제사와 한국인 제사 비교

성경 제사와 한국인 제사 비교 목차 1.이스라엘과 한국의 문화인류학적 연관성 2. 제사제도의 발전 3. 한국사회에서 천신 제사의 흔적 4. 결론: 이스라엘과 한국인의 제사와 하나님 내용 Korean 1.이스라엘과 한국의 문화인류학적 연관성 1)지역과 기후 유라시아 대륙 최후의 빙하기 약1만 년 전부터 형성된 4개의 기후밴드 1) 년 강우량 150mm이하 사막 지대(사우디아라비아네푸드 사막, 이란 대시티키피트, 카라쿰, 다클라마칸 사막과 몽고의 고비사막, 그리고 히말라야, 티베트고원으로 연결된 지역) 2) 한냉한 북방지대의 남부지대(동쪽은 알타이지방을 중심으로 북만주, 연해주, 한반도북부 서쪽은 발트해안 지대까지) 북방 삼림지대의 남부와 중앙아시아 사막지대를 변경으로 하는 강수량이 년 250mm를 넘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