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란! 예배 기타!!! 981

예배순서의 의미를 아십니까?

예배순서의 의미를 아십니까? [예배에의 부름 call to worship] 예배에의 부름은 피조물이 하나님을 부르는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예배자를 찾으시는 것입니다. 예배에의 부름은 인도자의 선언, 인도자와 회중의 교독, 찬양대의 합창등 다양한 음악과 방법에 의해 이루어 질수 있으며, 이따금 회중찬송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기원 invocation] 예배에의 부름은 하나님이 예배자를 찾으시는 것이고, 반대로 기원은 예배자가 하나님의 임재하심을 구하는 것입니다. 기원은 개인적인 기도가 아니라, 공동체의 기도로서, 하나님께서 함께하심을 깨닫고 성령의 임재를 간구하는 기도입니다. [찬양과 경배찬송 hymn of praise] 찬양과 경배찬송은 회중이 부르는 첫 찬송으로서 예배에의 부름에 이어서 불리는것이 일반..

예배 중의 성경 봉독

예배 중의 성경 봉독 1. 왜 예배시간에 성경을 읽는가? (1) 성경은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이다. (2) 그 말씀을 듣는 것 자체가 성경을 통하여 교회에게 계속해서 말씀하시는 '하나님과의 만남'이다. (3) 성경말씀을 통하여, 하나님은 자신을 계시하신다(God's self-giving). 따라서 성경을 읽는 것은 성례전적인 행위이다. (4) 하나님은 지금 이 순간도 성경봉독과 설교를 통해 우리에게 말씀하신다. (5) 기독교는 설교를 너무 강조한 나머지, 성경봉독을 마치 설교를 준비하기 위한 부록이나, 교훈적인 말씀 정도로만 생각해왔다. (6) 성경봉독은 그 자체가 소홀히 대할 수 없는 선포의 행위이다. 2. 무엇을, 얼마나 많이 읽어야 하는가? (1) 많은 교회에서 교회력에 따른 성서일과를 사용하고 있..

미래형 교회의 5가지 발전 방향

미래형 교회의 5가지 발전 방향 송금관 기자 교회는 생명체인 동시에 유기체이다. 세상이 끊임없이 변하지만 교회 역시 변화를 거듭한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볼 때 교회가 세상의 뒤에서 따라가느냐, 아니면 교회가 앞서서 세상을 이끌고 나아가느냐에 따라 한 시대의 영적,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흐름이 결정되어지는 것을 역사의 흐름을 통해 볼 수 있다. 미래의 교회가 차지할 위상 역시 변화의 방향과 타이밍, 무엇보다 복음을 향한 진정성에 달려 있다. 미래 사회가 갖고 있는 혼란과 공허함에 해답을 줄 수 있는 유일한 조직체가 교회이기 때문이다. 크리스천 라이프웨이 대표 톰 라이너 목사는 최근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이란 제목의 칼럼을 통해 변화하는 시대에 교회의 가장 극적인 변화에 대해 기술했다. 라이너 목사는 칼..

예배의 신학적 명제

예배의 신학적 명제 들어가는 말 예배 본질의 탐구는 그리스도교 교회의 역사와 함께 진행되어 왔고, 오늘 각 교단의 예배신학과 예전을 형성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런데, 오늘 또다시 예배 본질을 탐구하려는 것은 한국교회 예배 변화의 속도와 폭이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빠르고 넓어서 예배 갈등과 예배 전쟁의 양상까지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예배 본질의 탐구의 필요성은 올바른 예배를 세우고 싶어 하는 변화 운동의 명칭에서 나타난다. 예배 갱신, 예배 회복, 예배 개혁, 예배 부흥이 추구하는 것은 예배 본질을 회복하자는 것이다. 20세기 후반의 예배 본질에 대한 논의를 가속화시킨 두 가지 동인은 교회 일치운동과 소통이다. 교회 일치운동은 그동안 교단의 신학을 표현한 예배 안에 머물렀던 예배회중 들을..

참된 진리 - 1) 교회의 신앙 고백의 중요성 / 드흐라프

참된 진리 - 1) 교회의 신앙 고백의 중요성 / 드흐라프 참된 진리(드흐라프) 1) 교회의 신앙 고백의 중요성 하이델베르그 교리 문답서를 다룬다는 것은 교회의 신앙 고백을 다루는 것이다. 교리 문답서는 교리를 가르칠 때 사용되는 교제이지만 그 안에 담긴 내용은 교회의 신앙 고백이다. 그러므로 하이델베르그 교리 문답서는 교회가 엄숙하게 선포하는 믿음의 고백이며 동시에 그 고백을 문서로 기록한 것이다. 그렇다면 교회가 믿음을 교리 문답서로 표현할 때 그 가치는 무엇일까? 처음에 이 질문을 던질 때 우리는 자연스럽게 ‘교회의 신앙 고백이 도대체 내게 무슨 유익을 주는 것일까’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생각이 드는 것은 우리가 자신을 중심으로 생각하는데 익숙해져 있다는 증거이다. 그러나 주 앞에서 믿음으로 살기를..

가정 예배를 드려야 하는 11가지 이유

가정 예배를 드려야 하는 11가지 이유 11 Reasons to Worship with Your Family 가족이 함께 예배드리는 것은 쉽게 시작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나는 목회자인데도 가정 예배를 처음 인도할 때 좀 어색했다. 하지만 가정 예배는 이제 우리 가족에게 삶의 일부가 되었다. 이제는 우리 가족과 가정 예배를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게 되었다. 가정 예배는 이제 우리 가족에게 기쁨이며, 우리는 그 순간을 이제 더 이상 어색해 하지 않게 되었다. 기독교 가정은 그리스도를 중심에 두어야 한다. 그리고 그리스도를 중심에 두면, 가정은 예배로 채워질 것이다. 대부분의 복음적 크리스천은 집단으로 드리는 공적 예배의 중요성은 알고 있지만, 가정 예배에 대해 들어 본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다. 가정 ..

에베소서에 나타난 예배 찬양 연구

에베소서에 나타난 예배 찬양 연구 Ⅰ. 본론 예배에서 드려지는 음악의 요소와 함께 드려지는 찬양의 본질은 음악이 아니다. 예배에 사용되는 음악은 일반은총의 영역에서 하나님을 찬양하기 위한 도구일 뿐이다. 예배에서 찬양은 특별은총의 영역을 포함할 때 진정한 찬양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성경 말씀에 근거하여 예배 때에 드려지는 찬양이 어떠해야 함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에베소서 1장 3~14절에 나타난 찬양할 수 있는 자의 자격과 찬양의 대상 찬양에는 반드시 찬양을 받는 대상이 있어야 하며, 찬양을 받는 대상을 향해 찬양을 드리는 존재가 있어야 한다. 그리스도인에게 있어서 찬양을 받으시는 대상, 즉 성경이 말씀하고 있는 찬양의 대상은 분명히 삼위일체의 하나님이시다. 하나님 자체로 찬양의 대..

구약의 제사와 상징적 의미

구약의 제사와 상징적 의미 제사를 드리는 모습 구약 제사의 종류 및 세부 절차와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그리고 다양한 그만큼 다양한 의미를 갖고 있기도 하다. 그러한 사항을 아래 도표의 각 부분이 밝혀줄 것이다. 그러나 그 다양성 이전에 우리는 구약의 각 제사가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근본적 본질을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1. 필요성 : 구약의 각 제사들은, 창조주 하나님과 피조물인 인간이 원래 창조 상태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현재 그 관계를 단절시킨 원인인 죄의 해결이 먼저 요청된다는 원리를 보여 준다. 그리고 그 죄의 해결을 위해서 에덴 동산에서의 언약에 따라 원래는 죄의 책임을 지고, 그 죄를 범한 자가 그 생명의 근원이 되는 피를 흘려야 함을 보여 ..

교회 예화

교회 예화 1.정의로운 교회 ​ 교회는 연약한 사람들이 종교를 의지하러 가는 곳이라고 비하하며 무시했던 아인슈타인이 활동할 당시에 독일에서 나치스가 일어났습니다. 그 때 아인슈타인이 이런 말을 했습니다. “나는 대학의 지성인들을 기대했다. 그러나 대학 교수들은 즉시 나치즘에 무릎을 꿇고 아첨했다. 그들은 나치즘이 주장하는 잘못된 인종이론을 마치 옳은 것인 양 떠들어댔다. 또 나는 신문과 언론인들을 기대했다. 그러나 신문도 얼마 지나지 않아 필봉을 놓았다. 그런데 오직 교회만이 독재자에 항거하여 수많은 기독교인들이 줄지어 감옥으로 향했다. 나는 교회에 한없는 찬사를 보낸다.” 교회가 불의하면 이 사회는 아예 소망이 없습니다. 하나님의 정의가 실현되어야 할 교회조차 불의하다면 이미 다른 집단은 생각해 볼 필..

교회 직분자의 자질

교회 직분자의 자질 자 질 장 로 집 사 관 련 성 구 1 책망할 것이 없음 o 딤전 3:2; 딛 1:6,7 2 한 아내의 남편됨 o o 딤전 3:2,12; 딛 1:6 3 절제함 o 딤전 3:2; 딛 1:8 4 근신함 o 딤전 3:2; 딛 1:8 5 아담함 o o 딤전 3:2,8 6 나그네를 대접함 o 딤전 3:2; 딛 1:8 7 가르치기를 잘함 o 딤전 3:2; 5:17; 딛 1:9 8 술을 즐기지 않음 o o 딤전 3:3,8; 딛 1:7 9 구타하지 않음 o 딤전 3:3; 딛 1:7 10 관용함 o 딤전 3:3 11 다투지 않음 o 딤전 3:3; 딛 1:7 12 돈을 사랑치 않음 o 딤전 3:3 13 자기 집을 잘 다스림 o o 딤전 3:4,12 14 새로 입교한 자는 불가 o 딤전 3:6 15 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