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 오경 347

출애굽기

출애굽기중심어구: 3장8절과12장23절중심메세지: 피로 인한 구속 창세기의 후속편인 출애굽기창세기의 마지막 장과 출애굽기의 첫 장 사이에는 350년 정도의 기간이 흐릅니다. 야곱이 애굽에 내려간 후 이스라엘사람들에게 핍박이 시작되는 것은 115년 정도 지났을 때쯤일 것입니다. “3백50년 동안에 있었던 일들에 대해서 침묵하고 있는 것은 주님의 산 시내산에서의 침묵과도 같이 그 장엄함에 있어서 너무나도 두려운 일”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출애굽기는 창세기의 후속편입니다. 창세기가 여러가지 다양한 상황 속에서 인간이 모두 실패해 버리는 것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다면, 출애굽기는 그런 실패 중에 있는 인간을 하나님께서 급히 구원하셔서 해방시키시고 부요케 하시는 것을 보여줍니다. 중심어구인 3장8절은, 하..

모세 오경 2025.02.17

창세기에 나타난 복음과 예수 그리스도

창세기에 나타난 복음과 예수 그리스도   말씀.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너의 후손도 여자의 후손과 원수게 되게 하리니 여자의 후손은 네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요 너는 그의 발꿈치를 상하게 할 것이니라 하시고.” (창 3:15). 2. 서론.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계시하시는 하나님의 말씀이다. 주님은 성경이 자신에 대하여 증거하는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너희가 성경에서 영생을 얻는 줄 생각하고 성경을 상고하고니와 이 성경이 곧 내게 대하여 증거하는 것이로다.” (요 5:39). 우리는 창세기에서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를 발견함으로 구속사적인 관점에서 창세기를 이해할 수 있다. 3. 창세기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는 무엇인가? ‘여자의 후손’ (창 3:15) 여자의 후손은 사탄의 머리를 ..

모세 오경 2025.01.23

출애굽기의 기원과 성격

출애굽기의 기원과 성격 출애굽기라는 명칭은 구약성서의 헬라어 역본인 칠십인역(LXX)에서 나온 것이다. 본래 맛소라 텍스트(MT)는 "그리고 이름은 이러하니라"는 말로 책이름이 붙여져 있었다. 그러나 칠십인역(LXX)과 벌게이트(Vulgate)역 등 대부분의 영역본들은 '길을 떠나다' (ex + odos)라는 의미를 담아 'Exodus'라 부르고 있다. 한글 개역은 '출애굽기'라고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출애굽기는 애굽 탈출기라기보다는 오히려 성막 건축기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스라엘이 애굽에 거주할 당시의 애굽의 역사를 족장들의 행적과 관련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출애굽기는 애굽을 떠난 이스라엘 백성들의 이야기를 신학적으로 조명한 이스라엘의 신앙고백이라고 할 수 있다.출애굽기는 모세의 ..

모세 오경 2024.12.04

신명기

신명기저자 : 모세 연대 : B. C. 1400년 경. 약 2개월간을 다룸 내용 : 신명기는 “두 번째 율법”이라는 뜻이다. 이스라엘 백성 중 시내산에서 처음 율법을 받은 세대는 다 죽고(모세, 여호수아, 갈렙 제외) 이제 새 세대가 일어났다. 이 새 세대가 바야흐로 가나안 복지에 입성하려는 것이다. 이 같은 처지에 있는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모세는 다시 율법을 알려 주었으며 부족한 부분은 보충하고 필요한 부분은 확대 설명하였다. 그 내용은 크게 둘로 나누어지는데 과거사와 미래사로서 “너희 평생에 항상 네게 애굽 땅에서 나온 날을 기억할 것이니라”와 “너희가 요단을 건너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주시는 땅에 들어가는 날에”로 요약할 수 있다. 주님께서 마귀의 시험을 받으셨을 때에 이 책의 말씀을 인용하여..

모세 오경 2024.11.14

출애굽기의 기원과 성격

출애굽기의 기원과 성격 출애굽기라는 명칭은 구약성서의 헬라어 역본인 칠십인역(LXX)에서 나온 것이다. 본래 맛소라 텍스트(MT)는 "그리고 이름은 이러하니라"는 말로 책이름이 붙여져 있었다. 그러나 칠십인역(LXX)과 벌게이트(Vulgate)역 등 대부분의 영역본들은 '길을 떠나다' (ex + odos)라는 의미를 담아 'Exodus'라 부르고 있다. 한글 개역은 '출애굽기'라고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출애굽기는 애굽 탈출기라기보다는 오히려 성막 건축기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스라엘이 애굽에 거주할 당시의 애굽의 역사를 족장들의 행적과 관련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출애굽기는 애굽을 떠난 이스라엘 백성들의 이야기를 신학적으로 조명한 이스라엘의 신앙고백이라고 할 수 있다.출애굽기는 모세의 ..

모세 오경 2024.11.08

출애굽기의 기원과 성격

출애굽기의 기원과 성격 출애굽기라는 명칭은 구약성서의 헬라어 역본인 칠십인역(LXX)에서 나온 것이다. 본래 맛소라 텍스트(MT)는 "그리고 이름은 이러하니라"는 말로 책이름이 붙여져 있었다. 그러나 칠십인역(LXX)과 벌게이트(Vulgate)역 등 대부분의 영역본들은 '길을 떠나다' (ex + odos)라는 의미를 담아 'Exodus'라 부르고 있다. 한글 개역은 '출애굽기'라고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출애굽기는 애굽 탈출기라기보다는 오히려 성막 건축기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스라엘이 애굽에 거주할 당시의 애굽의 역사를 족장들의 행적과 관련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출애굽기는 애굽을 떠난 이스라엘 백성들의 이야기를 신학적으로 조명한 이스라엘의 신앙고백이라고 할 수 있다.출애굽기는 모세의 ..

모세 오경 2024.11.03

출애굽기 (Exodus) 개요와 참고 배경

출애굽기 (Exodus) 개요와 참고 배경 ---   출애굽기의 기원과 성격 출애굽기라는 명칭은 구약성서의 헬라어 역본인 칠십인역(LXX)에서 나온 것이다. 본래 맛소라 텍스트(MT)는 "그리고 이름은 이러하니라"는 말로 책이름이 붙여져 있었다. 그러나 칠십인역(LXX)과 벌게이트(Vulgate)역 등 대부분의 영역본들은 '길을 떠나다' (ex + odos)라는 의미를 담아 'Exodus'라 부르고 있다. 한글 개역은 '출애굽기'라고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출애굽기는 애굽 탈출기라기보다는 오히려 성막 건축기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스라엘이 애굽에 거주할 당시의 애굽의 역사를 족장들의 행적과 관련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출애굽기는 애굽을 떠난 이스라엘 백성들의 이야기를 신학적으로 조명한 이..

모세 오경 2024.10.16

레위기 개관

레위기 개관  1. 저자  레위기서의 저자는 모세오경의 다른 책들과 마찬가지로 이스라엘의 위대한 지도자 모세이다. 레위기가 모세의 저작이 아니라는 일부 본문 비평가들의 주장도 있었지만 다음과 같은 주장에 의해 반박되었다.  첫째, 레위기 자첵의 증거이다. 레위기에서는 56번이나 "여호와께서 모세이게 일러 가라사대"(레1:1; 레4:1; 레5:14; 레6:1)라는 말이 사용되었다. 이는 레위기가 하나님의 직접적인 계시를 받은 모세의 저작임을 증거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예수님께서 친히 레위기가 모세의 저작임을 증거하셨다는 점이다. 마8:4에 예수님께서는 문둥병자를 고치신 후에 그에게 명하시기를 "모세의 명한 예물을 드려 저희에게 증거하라"고 하심으로 레위기에 나오는 문둥병에 관한 규례가 모세의 저작임을..

모세 오경 2024.10.14

출애굽기 개관

출애굽기 개관  1. 저자  출애굽기의 저자 역시 창세기와 마찬가지로 이스라엘의 지도자 모세이다. 이에 대한 가장 확실한 증거는 예수님께서 모세오경의 모든 말씀을 골고루 인용하시면서 오경이 모세의 글임을 증거하셨다는 점이다. 그리고 출애굽 당시의 생생한 환경과 기적을 목격하고 그것을 가장 명확하고 생생하게 기록할 수 있는 자는 애굽의 모든 학술과 지혜에 능통했던 그 당시의 사람, 모세만이 가능했다. 또한 출애굽 자체도 모세가 출애굽기의 저자임을 곳곳에서 증거하고 있다(출34:28).  2. 출애굽기의 기원과 성격  출애굽기라는 명칭은 구약성서의 헬라어 역본인 칠십인역(LXX)에서 나온 것이다. 본래 맛소라 텍스트(MT)는 "그리고 이름은 이러하니라"는 말로 책이름이 붙여져 있었다. 그러나 칠십인역(LXX..

모세 오경 2024.10.14

창세기 개요

창세기 개요  1. 명칭과 저자  1) 명칭 본래 구약성경의 대부분은 책이름이 없었다. 그중에서도 모세오경은 각각의 책 첫머리에 나오는 단어를 따서 그 책의 이름으로 사용하였다. 창세기도 첫 단어인 tyvarb(베레쉬트)가 사용되었는데, 그 뜻은 시작(beginning), 기원(origin), 세대(generation)등을 의미한다. 그 후 칠십인역(LXX)에서는 본 서의 명칭을 게네시오스(genesio")라고 불렀는데, 이는 창2:4의 '때에 천지의 창조된 대략이'라는 말에서 온 것이다. 영어성경의 창세기를 가리키는 'genesis'란 단어는 헬라어 게네시스(genesi")를 번역한 것이며, 한글개역성경은 '창세기'라는 명칭으로 번역하였다.  2) 저자 창세기의 저자는 오경의 기록자인 모세이다. 구약성..

모세 오경 2024.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