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 오경

출애굽기

하나님아들 2025. 2. 17. 23:37

출애굽기

중심어구: 38절과1223

중심메세지: 피로 인한 구속

 

창세기의 후속편인 출애굽기

창세기의 마지막 장과 출애굽기의 첫 장 사이에는 350년 정도의 기간이 흐릅니다. 야곱이 애굽에 내려간 후 이스라엘사람들에게 핍박이 시작되는 것은 115년 정도 지났을 때쯤일 것입니다. “350년 동안에 있었던 일들에 대해서 침묵하고 있는 것은 주님의 산 시내산에서의 침묵과도 같이 그 장엄함에 있어서 너무나도 두려운 일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출애굽기는 창세기의 후속편입니다. 창세기가 여러가지 다양한 상황 속에서 인간이 모두 실패해 버리는 것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다면, 출애굽기는 그런 실패 중에 있는 인간을 하나님께서 급히 구원하셔서 해방시키시고 부요케 하시는 것을 보여줍니다. 중심어구인 38절은, 하나님의 선언을, 1223절은 그것이 어떻게 성취되는가를 보여줍니다. 출애굽기는 구속의 책입니다. 이 책이 어떻게 시작되고 또한 끝나고 있는 지에 주목해 보십시오. 어둠과 좌절 속에서 시작하는데 영광으로 끝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노예상태로 전락되어 버린 한 백성을 구원하시기 위해서 어떻게 은혜 가운데서 강림하시는 지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시작하면서, 그 구속받은 백성들 가운데에 머무시기 위해서 어떻게 영광 가운데서 강림하시는 지를 설명하면서 끝맺고 있습니다.

 

구속의 패턴

엔진이나 배를 건조하기 위해서는 설계도가 먼저 작성되어야 합니다. 하나의 패턴이 결정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우리의 구원은 창세 전에 세우신 하나님의 설계인데, 설계에 의한 패펀을 바로 이 출애굽기에서 발견하게 됩니다. “출애굽은 하나님의 자비가 표출되는 것을 보여주는 역사적인 설명입니다. 그 자비하심은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서 인간을 구속하시고 회복시키셔서 당신에게로 이끄시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때 예수 그리스도가 우리의 위대한 사도(모세)이며 또한 대제사장(아론)이 되시는 것입니다.” 출애굽기의 이야기는 세상의 곤경에 빠져들어서 무기력해져 버린 상태에서 구원받기를 힘쓰는 모든 영혼들 속에서 되풀이 되고 있습니다. 이 출애굽기의 사건들은 예표적으로 일어난 것이고 바로 우리들을 위해서 기록된 것입니다.” 우리들이 출애굽기를 공부하는 것은, 죄인된 인간을 하나님께서 어떻게 구원하시는가, 이런 구원 속에 하나님께서 품고 계시는 자비로우시고 영광스러운 그 목적이 무엇인지를 알기 위해서입니다.

 

분석

이 책은 크게 나눠서 두 부분으로 그리고 보다 적게 나누면 다섯 부분으로 정리됩니다.

 

(A) 구속의 사건설명(1-19)

(1)노예상태(1-2)

   1. 여기서 우리는 한 백성이 비참한 상태에 있는 것을 보게 됩니다. 그들을 하나님께서 결국 구원해 내시게 됩니다.

   2. 사건들:

      (a) 모세의 출생

      (b) 모세의 입양

      (c) 모세의 포기

      (d) 모세의 도망

      (e) 모세의 결혼

   3. 이스라엘의 혹심한 고통의 경험

      (a) 그것이 그들을 괴롭혔습니다

      (b) 그것이 그들을 정화시켰습니다

      (c) 그것이 그들을 단결시켰습니다

      (d) 그것이 그들을 미혹에서 깨어나게 했습니다.

(2)구속(3-1521)

   1. 여기서 우리는 이스라엘을 구원하시기 위해서 은혜 가운데서 강림하시는 하나님과그 하나님의 구원하심이 어떻게 성취되는가를 보게 됩니다. , 피로써 구속함이 성취됩니다.

   2. 사건들:

      (a) 모세의 부르심

      (b) 모세의 애굽으로서의 귀환

      (c) 바로와의 대결

      (d) 해방되는 이스라엘

   3. 모세의 생애를 요약하면:

      (a) 40년 동안 자신이 무엇이나 되는 것처럼 생활했습니다

      (b) 40년 동안 자신이 아무 것도 아닌 것을 배웠습니다

      (c) 40년 동안 아무 것도 아닌 사람을 하나님께서 어떻게 사용하실 수 있는지를 발견했습니다.

(3)교육(1522-19)

   1. 여기서는 이스라엘의 영적 훈육이 시작됩니다. 여기에 기록된 모든 사건들은 하나님을 전적으로 의존해야 할 것을 그들에게 가르치고 있습니다.

   2. 사건들:

      (a) 마라와 엘림

      (b) 신광야

      (c) 르비딤

      (d) 아말렉과 이드로

   3. 참고  일반적으로 마라 뒤에 엘림에 이르게 됩니다. 하나님의 사랑은 마라를 달콤하게 만들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을 완전히 제거해 버리지는 않습니다.

 

(B) 구속받은 자의 삶으로서의 법제정(19-40)

(4)언약맺음(20-23)

   1. 여기서 우리는 구속받은 자들이 자신들을 구속해 주시는 분의 뜻을 따라서 생활해야 할 것을 배우게 됩니다. 그 분을 섬기는 일에 헌신해야 합니다. 구속받은 자들을 위하여 그들이 무엇을 믿고 어떻게 행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사항들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2. 사건: 모세율법의 선포

   3. 신약시대에는 하나님께서 당신의 율법을 구속받은 자들의 마음판에 새기시고, 당신의 성령을 보내셔서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길로 행할 수 있게 해 주십니다.

(5)예배(24-40)

   1. 구속받은 자들은 예배하는 자들이되, 하나님께서 지정하신 방식을 따라서 예배하는 자들이어야 합니다.

   2. 사건: 제의법들의 선포

   3. 이 부분은 너무나 풍부한 의미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성막에 대한 모든 것을 하나님께서 제정하셨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성물들 하나 하나를 아주 주의 깊게 연구해 보아야 합니다.

 

 

 

 

 

 

 

 

출애굽기 개요  

 

 

1부 애굽에서의 구원(1:1-18:27)

 

1. 애굽에서의 구원이 필요함(1:1-22)

1) 이스라엘의 급격한 번성(1:1-7)

2) 극심한 박해를 받는 이스라엘(1:8-14)

3) 이스라엘을 멸절시키려는 계획(1:15-22)

 

2. 이스라엘을 구원할 지도자를 준비하심(2:1-4:31)

1) 살인에서 구원받은 모세(2:1-10)

2) 살인으로 동족을 구원하려고 시도한 모세(2:11-22)

3) 하나님께 부르짖는 이스라엘(2:23-25)

4) 모세를 부르시는 하나님(3:1-4:17)

5) 부르심에 응답하는 모세(4:18-26)

6) 모세를 구원자로 부르셨다고 인정하는 이스라엘(4:27-31)

 

3. 애굽에서 이스라엘을 구원하신 하나님(5:1-15:21)

1) 말로 바로와 대적하는 모세(5:1-6:9)

2) 여러 가지 기적으로 바로와 대적하는 모세(6:10-7:13)

3) 재앙들로 바로와 대적하는 모세(7:14-11:10)

4) 유월절에 피로 구원받는 이스라엘(12:1-13:16)

5) 애굽의 지배에서 해방된 이스라엘(13:17-15:21)

 

4. 광야에서 이스라엘의 하나님(15:22-18:27)

1) 갈증에서 보호하심(15:22-27)                                                           - 마라와 엘림

2) 배고픔에서 보호하심(16:1-36)                                                          - 만나와 메추라기

3) 다시 갈증에서 보호하심(17:1-7)                                                       - 므리바

4) 싸움에서 패하지 않도록 보호하심(17:8-16)                                        - 아말렉

5) 혼돈에서 보호하심(18:1-27)                                                              - 천부장, 백부장, 오십부장을 세움

 

 

2부 하나님의 계시(19:1-40:38)

 

1. 옛 언약의 계시(19:1-31:18)

1) 준비하는 이스라엘 백성(19:1-25)

2) 언약의 계시(20:1-26)

3) 판결 규정들(21:1-23:33)

4) 언약의 공식적인 비준(24:1-11)

5) 성막(24:12-27:21)

6) 제사장(28:1-29:46)

7) 언약의 규례(30:1-31:18)

 

2. 언약에 대한 이스라엘의 반응(32:1-40:38)

1) 고의로 언약을 어기는 이스라엘(32:1-6)                                                - 우상숭배

2) 이스라엘의 구원을 위해 중보하는 모세(32:7-33)

3) 이스라엘을 포기하지 않으시도록 하나님을 설득하는 모세(32:34-33:23)

4) 이스라엘과 언약을 갱신하는 하나님(34:1-35)

5) 언약에 순종하는 이스라엘(35:1-40:33)                                                  - 성막 건축

6) 영광으로 성막을 가득 채우시는 하나님(40:34-38)

 

 

 

 

출 애 굽 기

 

  출애굽기는 애굽에서 노예로 있던 이스라엘 민족의 구원과 하나님의 언약과 율법의 규정들에 의해 통치되는 이스라엘 국가의 성립을 기록하고 있다. 애굽에서 힘들게 400년을 지내는 동안 야곱의 가족은 70명에서 2-300만명으로 늘어났다.

유대인은 항상 이 책의 제목으로 출애굽기 1:1의 첫 두 단어 베엘레트 쉐모트를 사용해 왔는데, 이는 '그리고 이것들이 그 이름들이다'라는 뜻이다. 헬라어 제목은 엑소더스인데 이 단어의 뜻은 '탈출' '밖으로 나감'이다.

 

 

주제와 문학적 구조

  출애굽기는 두 개의 주요 부분으로 쉽게 나누어진다. 애굽의 노예 상태에서 구원받은 부분(1-18)과 시내 산에서 하나님의 계시를 받은 부분(19-40)이다.

출애굽기의 중심 개념은 구원이다. 아브라함, 이삭, 야곱과 맺은 언약에 신실하시기 위하여 하나님은 노예 상태에서 그분의 백성을 끌어내셨고, 광야를 방랑하는 동안 그들을 지키셨으며, 그들이 약속의 땅에 들어갈 수 있도록 준비하셨다.

이스라엘은 애굽의 속박에서 풀려나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 속으로 들어갔다. 이제 이 백성은 하나님의 구원과 인도와 보호를 경험했고, 하나님이 그들에게 무엇을 기대하시는지 배울 준비가 되어 있었다. 시내산 위에서 모세는 광야에 세워질 장막의 형태 뿐 아니라, 도덕적이고 문화적이며 의식적인 하나님의 율법도 받았다.

 

 

애 굽

 

  북쪽으로는 지중해의 가장자리, 동쪽으로는 시나이 반도와 수에즈 운하, 서쪽으로는 리비아 사막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애굽은 부유하고 고대의 역사가 잘 보존된 땅이다. 우리가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애굽의 고대 역사는 애굽의 제사장 마네토(BC 270년경)의 책에서 유래하는데 그는 BC 3200년에 시작된 31대에 걸친 왕조들의 사건을 기록하고 있다.

그의 연표에 따르면, 출애굽의 초기 연대설(BC 1400년경)에서는 당시의 바로는 아멘호텝 2세 였을 것이다. 그러나 출애굽기 후기 연대설(BC 1200년경)을 따르면 바로는 람세스 2세였을 것이다.

애굽과 히브리인과의 관계는 창세기 후반부터 두르러진다. 대체로 제 2중간기 또는 힉소스 민족의 지배에 해당하는 무렵에 요셉이 애굽을 총리(창 41:4) 하였던 것 같다. 상식적으로 독립적인 애굽의 바로가 통치하고 있을 때 외국인이 총리를 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을 것이다. 이 후 신왕조가 들어서고 히브리인들이 노예의 신분으로 전락하였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 한다.

당시의 애굽은 세계제국의 성격을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 18왕조의 창건자인 아모세가 힉소스를 물리치고 신왕조를 개창한 것은 BC 1580년경이었다. 1479년 왕위에 오른 투트모세 3세는 19번의 가나안 원정을 통해 시리아 동쪽 유프라테스 강 지역까지 정복하였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출애굽이 애굽이 제국적 성격을 띤 막강한 국가의 힘을 행사하고 있을 때 진행되었다는 사실이다. 출애굽의 시기를 상한선인 BC 1446년부터 하한선인 BC 1229년 어느 해로 잡는다 해도 이 시기가 애굽의 제국시대이며 소아시아 지역에는 힛타이트 왕조가 번성했던 완숙한 고대 국가의 대립시기였다.

  

 

   

   출애굽기 한 눈에 보기  

 

초점 애굽에서의 구원 하나님의 계시
관련구절 1:1               2:1                  5:1                  15:22               19:1                    32:1 
구분 구원의
필요성
구원을
위한 준비
이스라엘의 구원 이스라엘의 보호 언약의 계시 언약에 대한 이스라엘의 반응
주제 이야기 법률제정
종속 구원 교육
장소 애굽 광야 시내산
기간 430년 2개월 10개월

 

 

 

 

 

 

 

 

 

 

 

 

 

 

 

'모세 오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기에 나타난 복음과 예수 그리스도  (0) 2025.01.23
출애굽기의 기원과 성격  (0) 2024.12.04
신명기  (0) 2024.11.14
출애굽기의 기원과 성격  (0) 2024.11.08
출애굽기의 기원과 성격  (0) 2024.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