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배경사! 형성사!! 151

성경의 영감과 서본 역본에 대한 버른 이해

성경의 영감과 서본 역본에 대한 버른 이해         성경의 참된 권위 확립을 위한 기초이론 나채운/ 장신대 교수       그리스도인의 신앙생활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성경에 대한 바른 이해이다. 여기서 '성경에 대한 바른 이해' 란, 첫째로는 성경의 내용 즉 메시지에 대한 바른 이해를 가리키며 다음으로는 성경 자체에 대한 바른 이해, 즉 성경이 무엇이며, 어떻게 기록되고, 전수되어왔는가 하는 등에 대한 바른 이해, 곧 바른 성경관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전자가 본문 해석에 관한 것이라면, 후자는 본문 형성에 관한 것이다. 필자가 본고에서 논하고자하는 것은 후자에 관한 것이며, 오늘날의 본문비평학(textual criticism)도 그 가운데의 한 면이다.   Ⅰ. 성경에 대한 바른 이해  ..

성서의 사본과 역본들의 문제

성서의 사본과 역본들의 문제 성서의 사본과 역본들의 문제성서의 원본은 없다. 다만 5,000개가 넘는 필사본들이 존재할 뿐이다. 따라서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필사본을 만드는 과정에서의 문제, 수많은 사본들의 취사선택의 문제 등등......  1. 필사과정에서의 문제이 필사본들은 만드는 방법은 흔히 두 가지 방식이 있다.하나는 한 개인이 한 자 한 자 옮겨 써서 만드는 것으로 히브리어나 헬라어의 알파벳에는 유사한 글자들이 여럿 있어서 종종 혼동을 일으켜 잘못 옮겨 쓰는 일이 있었고 더구나 옛날에는 원어 성서에서도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필사할 때 여러 가지 종류의 과오를 일으켰다. 또 한가지 방법은 한 사람은 읽어 주고 여러 서사들이 받아쓰기하는 방식으로 서사들이 그 문서내용에 대한 지식이 없을 ..

70인경과 알렉산드리아

70인경과 알렉산드리아  - 알렉산드리아의 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칠십인경 욥기 42장 14절에는 뜻밖의 단어를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아말테이아’(욥의 셋째딸, 히브리어 성경에는 ‘게렌합북’)라는 욥의 딸 이름이다. ‘아말테이아’라는 이름은 원래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를 젖먹여 키운 염소 또는 요정의 이름이다. 이스라엘 종교의 구약성경에 그리스 신화의 인물이 나타나는 것은 꽤나 낯선 일이다. 이는 단순한 우연의 일치가 아니라, 성경 번역-혹은 주석과 문화-과 문화 간에 모종의 함수 관계가 있음을 말한다.히브리어로 된 구약 성경이 헬라어로 번역된 일은 한편으로는 헬레니즘이 헤브라이즘을 만날 수 있도록 빗장이 열린 것이며, 다른 한 편으로는 이스라엘 종교가 세계..

칠십인역(septuaginta)이란 무엇인가?

칠십인역(septuaginta)이란 무엇인가? 70인역 출애굽기 일부분 칠십인역을 라틴어로 70을 뜻하는 셉투어진타(septuaginta)라고 부른다. 셉투아진트(Septuagint)로도 불리며 LXX로 간략히 표기한다. 70인역은 기원전 300년경 번역되었거나 집필된 고대 그리스어인 코이네 헬라어로 기록되어 있다. 구약 성경을 헬라어로 번역한 것으로 헬라어로된 구약성경인 것이다. 그리스 정교회는 아직도 공식 전례 본문으로 인용한다.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구약성경은 맛소라 사본을 기본 텍스트로 삼아 번역한 것들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 구약성경의 순서는 맛소라가 아닌 70인 역을 따른다. 70인 역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는 아리스테아스 편지(the Letter of Aristeas)에 남겨져 있다. 이..

성경의 구조

성경의 구조. 구약과 신약 성경은 구약과 신약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구분은 기독교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유대교는 신약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구약을 구약이라고 부르지도 않습니다. 저는 기독교의 관점에서 성경의 역사를 전개하려고 합니다. 구약은 오래된 언약, 옛 언약이라 부릅니다. 신약은 새로운 언약이란 뜻의 새 언약으로 부릅니다. 대개 옛 언약을 율법이라 하고, 새 언약을 복음이라고 말합니다. 개신교를 따르지 않는 유대인들은 신약을 부정하고 구약만을 정경으로 받습니다. 구약은 모두 39권의 책으로 되어 있습니다. 가장 처음의 책이 창세기이고, 마지막이 말라기입니다. 구약 전체를 순서대로 나열해 보겠습니다. 창세기 출애굽기 민수기 신명기 여호수아 사사기 룻기 사무엘상 사무엘하 열왕기상 열왕기하 역..

성경 66권 ‘배열 순서’가 중요한 이유.

성경 66권 ‘배열 순서’가 중요한 이유. 구약-신약 개념, 예레미야 31장과누가복음 22장 ‘새 언약’ 단어에서유대인들 ‘구약’ 용어에 심한 반발 구약의 구조적 특징1) 성경의 종류(1) 타낙(Tanakh)과 구약‘구약’과 ‘신약’이라는 개념은 예레미야가 쓴 “새 언약(렘 31:31)”이라는 단어에서 나왔습니다. 이 언약의 특징은 하나님의 법을 문설주나 기둥에 새기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마음에 새기는, 기존의 언약과는 완전히 차원을 달리 하는 새로운 언약입니다. 물론 이 두 언약이 완전히 다른 별개의 언약이라는 것은 아닙니다. 전자가 ‘단단한 식물을 먹을 수 없는 젖먹이 신앙인의 언약’이라면, 후자는 ‘영의 세계에 눈을 뜬 장성한 자의 언약’이라는 것입니다(히 5:11-14).이렇게 언약이 암기 차원에..

사해 사본

사해 사본     ​1947년 봄, 베두인 목동인 주마 무하메드 Jum'a Muhammed는 여느 때와 다름없이 양과 염소 떼에게 풀을 먹이기 위해 사촌 두 명과 함께 사해Dead Sea 북동쪽 해안의 절벽 기슭을 거닐고 있었다. 소년들이 속해 있는 타아미레Taamireh 지파 사람들은 수세기 동안 유목 생활을 해왔기 때문에 황무지와 위험한 절벽의 구석구석을 손바닥 보듯 훤하게 꿰고 있었다. 하지만 잃어버린 염소를 찾으러 나선 주마는 신중하고 조심스럽게 가파른 암벽을 기어올랐고 자신이 서 있는곳 바로 위에 작은 동굴이 두 개 있는 걸 발견했다. 그는 염소가 그곳에 숨었을지 모른다고 생각하여 돌을 안으로 집어던졌다. 놀랍게도 둔탁한 '쿵' 소리 대신 무언가 깨지는 소리가 들려왔다. 보물처럼 귀중한 무언가가..

성경의 형성사 및 번역사

성경의 형성사 및 번역사    1. 초기의 히브리 성경 구약성경은 BC 1450년에서 BC 400년까지 무려 1000년에 이르는 기간에 걸쳐 기록되었다. 보수주의 신학자들에 의하면, 모세는 최초로 영감을 받은 성경 기록자로서 대략 BC 1450-1400년경에 모세오경을 기록했다고 한다. 구약의 마지막 기록자인 말라기는 BC 400년경에 성경을 기록했다. 구약의 본문(本文, Text) 구약성경의 첫 부분은 갈퀴모양의 문자인 고대 히브리어로 가죽이나 파피루스에 기록되었다. 이 고대 문자는 점차로 발전되어 BC 400년 이후에는 둥근 종 모양의 문자로 되었다. 이 종 모양의 문자는 사해 사본과 마소라 사본과 1477년 이후 인쇄된 히브리 성경에서 발견되었다. 구약의 정경화(正經化) 성경의 정경이라 함은 권위 ..

성경의 편집 과정

성경의 편집 과정    Ⅰ. 성경은 어떻게 편집되었는가?  1. 원본 없이 여러 사본을 베껴 만든 책을 완전무결한 성경이라 할 수 있는가? 솔직히 말해서 구약 39권의 히브리어 원본과 신약 27권의 헬라어 원본이 하나도 없다. 지금 우리가 가지고 있는 성경은 그 원문들을 베낀 여려 사본들을 대조하여 만들어 놓은 책을 다시 우리말로 번역한 것을 성경이라고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성경을 파괴하려는 고등 비평가들은 성경은 완전할 수 없다고 공박하고 있다. 여기에 대해 정통의 신학자들 중에도 학자의 양심상 시원한 해답을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 사본을 베낄 때도 어떤 사본에는 있고 어떤 사본에는 없기에 괄호를 하고 어떤 사본에는 없음이라고 해 놓은 곳도 있다. 예를 들면 막 16:9~20까지에 보..

성경은 하나님 말씀

성경 고고학에서 마치 전설처럼 전해져 오는 두 가지 실화 에피소드가 있다. 1844년,시내산 자락에 있는 성 카다리나 수도원에 독일에서 온 낯선 길손 하나가 묵고 있었다. 어느날 그는 한 수도사가 아궁이에서 무엇인가를 불태우고 있는 장면을 목격하였다.자세히 살펴보니 성경 구절들이 빼곡히 적혀 있는 낡은 파피루스와 양피지두루마리들이었다. 하마터면 잿더미로 변할뻔한 그 두마리들을 재빨리 수습한 성경 학자 티센도르프 는 이 성경 사본의 존재를 전 세계 학자들에게 알렸다. 이것이 곧 현존하는 신약 성경 사본들 중 최고의 권위를 지녔다는 시내사본이다. 1947년 이른 봄,사해 북쪽에 있는 유대 광야에서 한 배두인 소년이 양을 치고 있었다. 그런데 잃어버린 양을 찾아 산비탈을 오르내리던 소년은 무심코 어느 구멍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