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시대의 제사에 대한 이해
가. 제사의 종류
제사의 종류에 대해서는 학자에 따라 5대 제사로 분류하기도 하고 6대 제사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러한 차이는 제사장의 위임식 때 거행하는 위임제를 여기에 포함시키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른 차이이다.
1. 번제(Burnt Offering) = 헌신(獻身)
성경에 이 번제에 대하여 매우 많이 기록하고 있다. 먼저 창세기 8장 20절에서 시작하여 미가서까지 자주 기록하고 있으며, 레위기는 전반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신약에서는 히브리서 10장 68절에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번제는 매우 중요하고, 큰 제사이다.
1) 어의(語義)
'번제'를 뜻하는 히브리어 '올라'는 '올라가다', '실어 올리다', '높이다'라는 뜻의 '아라'에서 파생된 것으로서 '위로 드려지는 제사', '위로 올라가는 제사'를 뜻한다. 따라서 '번제'(燔祭)란 희생 제물을 불에 태워 그 냄새를 하나님께 피워 올려야 하는 제사이다.
2) 제물의 종류
번제에 사용된 제물은 수송아지, 수양, 수염소, 혹은 비둘기인데, 이 모든 제물은 반드시 흠없고 일년 된 수컷임을 그 특징으로 하였으나 비둘기에 대해서만은 수컷이나 암컷 중 어느 것을 드리라는 특별한 지시가 없다.
3) 번제의 시기(時期)
(1) 매일 아침과 저녁(민28:3-8)
(2) 안식일(민28:9-15)
(3) 매월 초하루(민28:9-15)
(4) 절기(민28:16-29:38)
(5) 안식년과 희년
4) 번제의 방법
① 헌제자(예물을 드리는 사람)가 제물이 될 짐승을 끌고 회막문 여호와 앞으로 나아온다.
② 헌제자의 손을 제물의 머리 위에 얹고 안수한다.
③ 헌제자가 제물을 잡아 피를 제사장에게 주면 제사장은 그 피를 번제단 사면 에 뿌린다.
④ 헌제자가 제물의 가죽을 벗기고 각을 뜬다.
⑤ 제사장은 그 뜬 각과 머리와 기름, 그리고 물로 씻은 내장과 정강이를 단 위에서 불 사른다. 비둘기의 경우는 달라서 제사장 혼자서 머리를 비틀어 끊고 단 위에 불사르며 피는 단 곁에 흘리고 멱통과 창자 등은 재 버리는 곳에 버리고 몸은 쪼개어 단 위에서 불살랐다.
5) 번제의 목적
① 속죄를 위한 것이다(레1:4,16:24).
② 하나님을 향한 자신의 헌신에 대한 표현이다(창22장).
번제의 본질은 속죄가 아니라 헌신이다. 물론 제물을 죽여 피를 뿌림으로써 속죄의 의미가 있지만, 예물을 완전히 태움으로서 하나님께 대한 헌신의 의미를 더 강조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사람의 유익이나 기쁨이 아닌 오직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6) 번제의 특징
(1) 동물을 통째로 굽는다는 뜻에서 '전번제'(全燔祭)라고도 불린다(시51:19)
(2) 매일 희생물을 바치는 외에도 속죄일(레6장)과 3대 절기에도 드렸다.
(3) 고대의 제사법 중 가장 일반적이고 오래된 제사 형태이다(레1:3-17,6:8-13;롬12:1,2;빌2:5-11).
(4) 예배자가 그 제물의 머리에 안수함으로써 자신을 그 제물에 온전히 일치시켰다.
7) 번제의 영적 의미
(1) 그리스도의 희생과 성도들의 헌신이다.
즉 번제는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과 구원의 희생을 상징함과 동시에 그의 은혜로 구원받은 성도들이 하나님께 온전한 헌신을 드려야 함을 말해 준다.
(2) 봉헌자(奉獻者)의 모든 헌신을 상징하는 동시에 속량(贖良)의 의미도 포함되어 있다.
2. 소제(Meat Offering) = 감사(感謝)
소제는 일명 '피 없는 제사'라고도 하고, 또 '부속된 제사'라고도 한다. 그 이유는 소제에는 짐승을 잡지 않으며, 또 짐승의 피를 뿌리지 않을 뿐 아니라. 다른 피의 제사를 드린 후에 드리는 제사이기 때문이다.
1) 어의(語義)
'소제'를 뜻하는 히브리어 '민하'는 '분배하다', '수여하다'라는 의미의 어근 '마나'에서 유래한 것으로 '헌물', '조공', '희생 제물'을 뜻하는데 특별히 '피 없는 곡물 제사'에 사용되어 말 그대로 '소제', 또는 '피 없는 곡물 제사'를 뜻한다.
2) 제물의 종류
소제에 드려진 제물의 종류는 모두 네 가지였다.
(1) '고운 가루'로서 여기에는 '기름'과 '유향'이 첨가된다.
(2) 누룩을 넣지 않고 '고운 가루'에 '기름'을 섞어 만든 '무교병'으로서. 무교병을 만드는 방법은 '화덕에 구운 것'
(레2:4)과 '번철에 부친 것'(레2:5), 그리고 '솥에 삶은 것'(레2:7)의 세 가지였다.
(3) '처음 익은 곡식'이다.
(4) '첫이삭'이었는데 특별히 첫 이삭을 소제물로 드릴 때는 볶아 찧은 것에다 기름과 유향을 드려야 했다.
3) 소제의 방법
(1) 고운 가루의 소제물일 경우는, 그 위에 기름을 붓고 유향을 놓은 후 제사장에게로 가져오면,
제사장은 고운 가루 한 줌과 모든 유향을 취하여 기념물로 제단 위에 불사른 후 나머지는 자신의 음식으로 취한다.
(2) 무교병이 소제물일 경우는, 화덕에 구운 것과 솥에 삶은 것은 고운 가루에 기름을 섞어 만들고,
번철에 구울 경우에는 고운 가루를 누룩 없이 기름과 섞어 구운 후 조각으로 나누고 그 위에 기름을 붓는다.
제사장에게로 가져가면 기념할 만큼만 취하여 여호와께 화제로 드리고 나머지는 자신의 음식으로 취하였다.
(3) 첫 이삭이 소제물일 경우는, 반드시 그 곡식을 볶아야 하며 그 위에 기름을 붓고 유향을 더한 후 제사장에게로
가져가야 하며 제사장은 그중 얼마와 모든 유향을 취하여 여호와께 화제로 드린 후 나머지는 자신의 음식으로
취하였다. 모든 소제물에는 누룩과 꿀을 넣지 말고 반드시 소금을 치라는 것이었다.(레2:11,13)
4) 소제의 목적
(1) 우리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물질을 공급하여 주신 하나님의 은혜와 축복에 감사하며 경배 돌리기 위함이다. (2) 자신의 땅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제사장과 레위인에게 음식을 제공하여 그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5) 소제의 특징
모든 소제물에 '소금'을 치라는 명령은 '영원한 계약'을 상징하는 '소금'(민18:19,대하13:5)을 통해 제사 드리는 자가 하나님과의 영원한 계약 관계에 있음을 깨닫게 하는 것으로서 하나님께서 제사 드리는 자를 결코 버리지 않을 것과 제사 드리는 자는 그 계약법을 지켜야 할 영원한 의무가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6) 소제의 영적 의미
소제의 영적 의미는 우리를 구원하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늘로부터 내려오는 영적 양식의 공급자가 되실 뿐만 아니라 자신 스스로 생명의 떡이 됨을 상징하는 동시에(요6:32-35), 이러한 영적 양식과 일용할 육적 양식까지도 공급받는 성도들이 드려야 할 감사의 의무를 상징한다.
3. 화목제(Peace Offering) = 교제(交際)
1) 어의(語義)
'화목제'를 뜻하는 히브리어 '제바흐 쉐라밈'은 '동물을 살육하다', '죽이다', '제사 드리다'라는 뜻의 '자바흐'에서 파생된 '도륙', '희생물'을 뜻하는 '제바흐'와 '완전한', '정다운', '공평한', '평화로운'을 뜻하는 '솨렘'에서 파생된 '쉐라밈'의 합성어로서 그 의미는 '사람이 하나님과의 완전한 관계', 또는 '평화로운 관계를 얻고자 하는 희생 제물'이라는 의미이다.
2) 제물의 종류
⑴ 소와 염소 : 흠 없는 것으로서 암컷, 수컷 구별 없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전부를 드리는 것이 아니라 내장에 덮인 기름과 내장에 붙은 모든 기름, 그리고 두 콩팥과 그 위의 기름, 허리 근방에 있는 것과 간에 덮인 꺼풀을 콩팥과 함께 드리도록 되어 있다. ⑵ 양 : 소와 마찬가지로 흠 없는 것으로 하되 암,수 어느 것이든 가능하였고, 어린 양을 드릴 수도 있다. 양의 경우 역시 양의 기름만을 드리되 미려골(등심뼈 또는 척추)에서 베어 낸 기름진 꼬리와 내장에 덮인 것과 모든 기름진 두 콩팥과 간에 덮인 기름과 꺼풀만을 콩팥과 함께 드릴 수 있다.
3) 화목제의 방법
화목제를 드리는 방법은 번제의 방법과 거의 유사한데 그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헌제자가 제물이 될 짐승을 끌고 여호와 앞으로 나아온다.
② 헌제자의 손을 제물의 머리 위에 얹고 안수한다.
③ 헌제자가 제물을 잡아 피를 제사장에게 주면 제사장은 그 피를 번제단 사면에 뿌린다.
④ 헌제자가 제물의 가죽을 벗기고 그 속의 내장에 덮인 기름과 내장에 붙은 모든 기름과 콩팥과 그 위의 기름과 허리 근방에 있는 것과 간에 덮인 것을 제사장에게 주면 제사장은 그것들을 받아 제단에서 불사른다.
⑤ 제물의 가슴은 '요제'로 제물의 우편 뒷다리는'거제'로 흔들어 제사장의 음식으로주어지는데 제사장과 가족들은 그것을 그날에 다 먹어야 하며 남은 것은 불에 태워야 했다.
4) 화목제의 특색
(1) 의무적인 제사가 아닌 '선택적인 제사'로서 '자원함으로나'(레7:16), '서원함으로'(레7:16,삼상1;21이하), 그리고 '감사함으로'(레7:15)드리는 제사이다.
(2) 화목 제물의 고기를 헌제자도 먹을 수 있는 일종의 축제 형식의 제사였다(레7:15-21).
5) 화목제의 영적 의미
화목제의 영적 의미는 화목제의 성격이 드러내는 바 그대로 하나님과 죄인을 화목케 하는 '화목 제물되신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상징'과(롬3:25,엡2:13,골1:20), 그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목을 누리는 성도들의 친교와 교제를 상징한다.
4. 속죄제(Sin Offering) = 속죄(贖罪) / 하나님
1) 어의(語義)
'속죄제'를 뜻하는 히브리어 '하타트'는 '과녁에서 벗어나다', '죄를 짓다', '속죄물을 드리다', '속죄하다'를 뜻하는 '하타'에서 파생된 것으로 '하나님의 법에서 벗어난 죄로부터 청결과 속죄함을 얻기 위하여 드리는 제사'를 뜻한다.
2) 제물의 종류
속죄제의 제물은 범죄자의 사회적인 위치에 따라 달랐다.
(1) 제사장 -- 흠 없는 수송아지(레4:3).
(2) 온 회중 -- 수송아지(레4:13)
(3) 족장 -- 흠 없는 수염소(레4:23)
(4) 평민 -- 흠 없는 암양이나 암염소(레4:28) 이 외에도 가난한 자는 산비둘기나 집비둘기를 제물로 드릴 수 있었으며(레5:7), 이보다 더 가난한 자는 고운 가루 에바 십분의 일을 제물로 드릴 수 있었다(레5:11)
3) 속죄제의 방법
(1) 헌제자가 제물이 될 짐승을 회막문 여호와 앞으로 가져온다.
(2) 헌제자의 손을 제물의 머리 위에 얹고 안수한다.
(3) 헌제자가 제물을 잡아 피를 제사장에게 주면 제사장은 그 피를 손가락으로 찍어 성소 앞에 일곱 번 뿌리고 향단 뿔에 바른 후 회막 앞과 번제단 밑에 전부 쏟는다.
(4) 희생 제물의 모든 기름과 콩팥을 번제단 위에서 불사른 후 그 나머지 부분은 진 바깥 재 버리는 정결한 곳에서 나무 위에 놓고 불사른다. 그러나 아론과 그 아들들을 위한 속죄제는 진 밖에서 불사르지 않고 다리와 고기를 회막 뜰에서 구워 먹도록 하였다(레6:24-27)
4) 속죄제의 목적
속죄제의 목적은 '범죄에 대한 용서'를 위한 것이다.(민15:27-31).
5) 속죄제의 특징
(1) 속죄제가 하나님께 범죄한 자, 즉 '율법을 범한 죄'를 위한 제사이다.
(2) '범죄한 일을 배상할 수 없는 죄'에 대한 용서를 구하는 제사이다.
6) 속죄제의 영적 의미
속죄제는 죄인이 용서받고 하나님과 교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속죄와 은총의 메시지인 동시에, 오직 생명의 희생 없이는 속죄함을 받을 수 없다는 엄숙한 경고의 메시지이다. 이러한 속죄제는 그리스도의 죽음에 대한 예표로서,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피흘려 죽으실 때까지의 하나님의 약속의 표로서 드려졌던 것이다.
5. 속건제(Tresspass Offering) = 배상(賠償) / 인간
1) 어의(語義)
'속건제'를 뜻하는 히브리어 '아솸'은 '죄'(Sin)가 아닌 '범죄'(Guilt), '범법'(Tresspass), '손해'(Damage) 등을 의미한다. 속건제는 성도가 신앙생활 가운데서 범하기 쉬운 죄를 범했을 때 드리는 제사로서 그러한 범죄는 진리를 배반하거나 하나님을 배반하는 죄, 예수 그리스도를 부인하거나 성령의 사역을 거스리는 죄가 아닌 '실수와 실족의 범죄'를 뜻한다.
2) 속건제의 제물(祭物)
'흠 없는 일년 된 수양', '범죄물과 그 범죄물의 오분의 일을 더하여 본인에게 주는 일', '산비둘기나 집비둘기 둘'이나, '고운 가루 에바 십분의 삼'과 '기름 한 록' 등이다(레5:14,6:7,7:1-10,14:1,15:2).
3) 속건제의 목적
인간에게 범죄한 죄, 즉 '사회적인 죄', 또는 '도덕적인 죄를 용서받기 위해 드리는 제사'이다. 성경은 이러한 죄를 가리켜 "여호와께 '불신실한'(마알)죄"라고 부르고 있다. '마알'이란 말은 '배반, 불신실, 침범하거나 훔치는 것'을 의미하는 말이다.
4) 속건제의 특징
(1) 여호와의 성물을 드릴 것을 자기가 사용했을 때 드리는 제사이다(5:15-19).
(2) 남의 물건을 빼앗거나 손에 넣고 부인하거나 거짓 맹세를 한 경우에 드리는 제사이다(5:20-25).
(3) 배상이 가능한 죄'에 대한 용서를 구하는 제사이다.
(4) 과오로 인하여 사람 간에 지은 죄를 회복하기 위해 보상금을 지불하는 제사이다.
5) 속건제의 영적 의미
속건제는 구원에 관련된 회개나 기도가 아닌 날마다 육신의 연약함으로 범하게 되는 고의성이 없는 자범죄에 대한 회개와 기도에 대한 상징이다.
나. 제사를 드리는 방법
1. 화제(火祭,offering by fire)
1) 뜻 : '화제'는 히브리어 '이쉬세'로 '불로 태운다'는 뜻이다(출29:25;민28:2;레1:9).
2) 제물 : 흠없는 수소, 수양, 암양, 수염소, 암염소, 산비둘기, 집비둘기, 곡식 가루, 기름, 유향 등이다.
3) 해당 제사 : 번제, 소제, 화목제, 속죄제, 속건제
4) 방법 : 제물을 제단 위에서 불살라 연기가 하늘로 올라가게 한다.
5) 영적 의미 : 예배자의 심령이 하나님께 바쳐짐을 뜻한다.
2. 요제(搖祭, Wave Offering)
1) 뜻 : 히브리어 '테누파'로 '위 아래로 떨며 앞뒤로 흔든다'의 뜻이다(출29:26,27;레7:30).
2) 제물 : .화목 제물로 드려진 동물의 가슴 부분(레7:30,9:21,10:14-15,민6:20,18:18), 성막 장식용으로 바쳐진 보석류(출35:22,38:24), 위임식 수양의 가슴과 넓적다리 부분(29:22-26,레8:25-29), 칠칠절에 드린 누룩 넣은 빵과 곡식의 첫 열매와 어린 양 두 마리(23:11-14,17,20), 문둥병의 정결예식에 사용된 어린 수양과 감람유(14:12,24)등이다.
3) 해당제사 : 화목제
4) 방법 : 제사장이 제물을 높이 흔들어 다시 내린다.
5) 영적 의미 : 요제는 하나의 의식 행위였으며, 요제로 인하여 제물들이 여호와께 헌납되었다.
요제물을 앞으로 내미는 행동은 여호와께서 제물을 다시 제사장에게 주는 것을 의미한다.
3. 거제(擧祭,Offering,contribution)
1) 뜻 : 히브리어 '테루마'로 '높이 쳐들다', '높이 떠 받들다'라는 뜻이다(레7:14;민15:2,18:29).
2) 제물 : 희생제물의 우편 뒷다리, 토지의; 소산물, 기름, 포도주 등이다.
3) 해당 제사 : 화목제
4) 방법 : 제물을 번제단 위에 높이 들었다가 내린다.
5) 영적 의미 :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우리의 양식으로 주신 것을 의미한다(요6:27,48-58;롬8:32).
4. 전제(奠祭, drink offering)
1) 뜻 : 히브리어 '네세크'로 '붓다', '쏟다'의 뜻이다(출29:40-41;민15:5).
2) 제물 : 포도주, 독주
3) 해당 제사 : 번제, 소제, 화목제
3) 방법 : 번제물에 포도주나 독주를 붓는다.
4) 영적의미 : 헌신적인 봉사(빌2:17;딤후4:6)
관제(灌祭, Libation, Drink offering)로도 불리며, 관제는 화제를 드릴 때 제물에 포도주(출29:40)나 술(출30:9), 기름이나 피(시16:4) 등을 부어서 드렸다(민15:5,7; 28:24).
다. 제사를 드리는 시기(時期)
1. 매일 드리는 상번제(민28:3-8)
제사장들은 하루의 시작인 아침과, 하루를 마감하는 저녁에 1년 되고 흠이 없는 수양을 일정한 소제와 전제를 곁들여서 번제로 드렸다. 이는 하루에 대한 헌신과, 그 날을 무사히 지켜주신 하나님께 대한 감사의 예배였다.
2. 안식일에 드리는 제사(민28:9-15)
안식일이 되면 매일 드리는 상번제 외에, 흠 없는 수양 둘과 규정된 소제와 전제를 드렸다. 지난 한 주간을 무사히 지내게 해 주신 하나님께 대한 감사와 새 주간에 대한 헌신의 의미가 들어있다.
3. 월초에 드리는 제사(민28:9-15)
한 달이 시작되는 날(월삭)에도 수송아지 둘과, 수양 하나, 1년 된 흠없는 수양 일곱과 소제와 전제가 곁들여진 번제를 드렸다. 월삭에는 지난 달에 지은 죄를 속하기 위해서 수염소 하나를 속죄제로 더 드렸다. 이러한 월삭의 제사는 지난 달을 반성하고, 다음 한 달을 하나님께 헌신하기 위한 표시로 드려졌다고 할 수 있다.
4. 절기에 드리는 제사(민28:16-29:38)
유월절, 무교절, 초실절, 맥추절(칠칠절, 오순절), 나팔절, 속죄일, 수장절(장막절, 초막절).
5. 안식년과 희년에 드리는 제사
라. 제사장의 제사 규례의 원칙
1. 제사장들은 정해진 제물과 정해진 불로만 제사를 인도해야 한다.
이것은 예배 인도자들이 그리스도의 피와 성령에 의해서만 예배를 드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제사장들은 성도들의 속죄와 헌신과 감사가 하나님께 올바르게 드려지도록 돕는 일을 담당해야 한다.
예배 인도자들은 성도들의 예배가 하나님께 드려질 수 있도록 돕는 일을 한다.
3. 제사장들은 제사장의 예복을 입고서만 제사를 집례할 수 있다. 이 옷은 대제사장이신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것이다.
예배 인도자들은 거룩한 예식에 합당한 영광을 나타내야 한다.
4. 제사장은 제사 드리는 일들이 거룩하게 유지되고 속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항상 예배 처소를 청결케 해야 한다. 예배 인도자는 항상 그 예배가 형식에 치우치지 않게 해야 한다.
5. 제사장들은 백성들을 하나님께 인도하기에 앞서서 자신이 먼저 항상 하나님 앞에 바르게 서 있어야 한다.
제사장들의 속죄는 하나님께서 친히 담당하신다.
6. 제사장들은 하나님께서 정해 주신 규례를 따라서만 백성들의 제사를 인도할 수 있었다.
이것은 우리의 예배가 인간의 생각이 아닌,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드려져야 함을 의미한다.
7. 기름과 피는 하나님께만 드려졌다.
이것은 사람들의 모든 소유 중에서 가장 귀한 것과 생명을 하나님께 돌려야 한다는 것을 상징한다.
성도들은 자기의 가장 귀한 것을 하나님께 드리고, 자기 생명의 주인이 하나님이심을 인정해야 한다.
8. 성전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그 제단에서 하나님께서 정해 주신 음식을 제공받을 수 있다
레위기에 나타난 희생제물은 유일하고 온전한 희생제물이 되신 하나님의 어린양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나타내고(히 9:11~15), 속죄 희생의 피는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을 의미한다(히 9:22). 십자가의 죽음으로 단번의 속죄 제물이 되신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사역은 성도들을 온전케 하셔서 우리로 하나님께 나아갈 길을 얻게 하셨다.
'교회란! 예배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에 나타나는 신약의 교회들 (0) | 2023.04.21 |
---|---|
레위기의 5대 제사와 영적의미 (0) | 2023.01.26 |
유대교 예배와 기독교 예배의 연관성 (0) | 2023.01.06 |
구약성경에 나타난 교회음악 (0) | 2022.12.24 |
신약성경의 예배에서 배우기 (0) | 2022.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