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신학 229

그리스도교 사상사

역사속의 신학 교부시대, c.100-451 1. 그리스도교 팔리스타인(유대지역 : 예루살렘)에 정착- 확산→ 주변지역 -정착→지중해 동부 지역과 로마시(서방)-로마 교회의 세력 성장 → 로마와 콘스탄티노플 간의 그리스도교 지도권 다툼 : 후에 있을 동/서방 교회의 분열 전조 → *신학적인 논의의 중심지들이 생김 2. 신학적인 논의의 중심지 중 특별히 중요한 세 곳 : 앞의 두 곳은 그리스어권, 세 번째 지역은 라틴어권 1) 알렉산드리아(오늘날 이집트) ① 그리스도교 신학 교육의 중심지 ② 독특한 스타일의 신학- 플라톤적인 전통 ③ 그리스도론과 성서해석 : ‘알렉산드리아적’ 접근방식 → 지역적 : 나일강- 교역, 운수 입지 조건 ㉮ 다양한 철학, 종교적 조류들의 집결 중심지 ㉯ 모든 종류의 지식 추구- 무..

역사신학 2020.09.04

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섯가지 힘 사이토 다카시.

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섯가지 힘 (욕망+모더니즘+제국주의+몬스터+종교) 사이토 다카시. 뜨인돌 역사의 톱니바퀴는 어떻게 굴러가는가? 역사의 심장부를 관통하는 거침없는 질문과 명쾌한 답변들 커피가 세계 역사를 움직인다고 하면 믿겠는가? 사실이다. 17세기 유럽에 전파된 커피의 '잠이 오지 않는 속성'과 자극이 끊임없이 인간의 나태함과 한계를 극복하게 만듦으로써 근대화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즉 커피의 각성하게 하는 요소와 지칠 줄 모르는 기관차처럼 돌진하는 근대화의 메커니즘이 절묘하게 맞아떨어지면서 역사가 혁명적으로 바뀌었던 것이다. 이 책은 욕망이라는 중요한 코드로부터 출발하여 구체적으로 커피와 차, 금과 철, 브랜드와 도시가 세계 역사를 어떻게 바꿔놓았는지 날카롭게 통찰한다. 더 나아가 모더니즘, 제국주의..

역사신학 2020.09.02

세계 역사신학의 동향

세계 역사신학의 동향 – 종교개혁사와 후기종교개혁사 연구를 중심으로– (안상혁 교수, 합신 역사신학)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는 해를 맞아 필자는 세계 역사신학계의 동향을 특별히 16세기 종교개혁과 17세기 후기 종교개혁(Post-Reformation) 시기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I. 종교개혁 연구: “다변화에서 통합으로” 1962년 독일 종교개혁사가 베른트 묄러(Bernd Moeller)의 ≪제국도시와 종교개혁 Reichsstadt und Reformation≫은 20세기 종교개혁사 연구에 있어 전환점을 마련한 저술로 알려져 있다. 묄러는 기존의 몇몇 인물중심과 교의적 관점의 종교개혁사 연구로부터 탈피하여 소위 사회사(social history)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주창하였다. 19..

역사신학 2020.08.30

세계 역사신학의 동향

세계 역사신학의 동향 – 종교개혁사와 후기종교개혁사 연구를 중심으로– (안상혁 교수, 합신 역사신학)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는 해를 맞아 필자는 세계 역사신학계의 동향을 특별히 16세기 종교개혁과 17세기 후기 종교개혁(Post-Reformation) 시기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I. 종교개혁 연구: “다변화에서 통합으로” 1962년 독일 종교개혁사가 베른트 묄러(Bernd Moeller)의 ≪제국도시와 종교개혁 Reichsstadt und Reformation≫은 20세기 종교개혁사 연구에 있어 전환점을 마련한 저술로 알려져 있다. 묄러는 기존의 몇몇 인물중심과 교의적 관점의 종교개혁사 연구로부터 탈피하여 소위 사회사(social history)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주창하였다. 19..

역사신학 2020.08.30

역사관의 유형들(데이빗 베빙턴)

1장. 역사란 무엇인가? 역사 : 사람들이 지나간 시간에 대하여 기록한 것 즉 역사 서술을 의미할 수도 있고, 사람들이 행하고 경험한 것 즉 역사 과정을 의미할 수도 있다. * 역사 서술과 역사 과정이 불일치 하게 되는 두가지 이유 1) 사료의 문제 : 연구 대상인 소재와 과거를 직접 접하거나 재연할 수 없다. 여러 사료들 중에는 허위 문서와 위조 문서들이 있을 수 있으므로 역사가는 모든 것을 의심해 봐야 한다. 역사는 새롭게 발견되었거나 새롭게 해석된 사료를 토대로 기존의 견해들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다. 역사는 비판적인 정신 구조를 요구한다. 2) 역사가 자신의 문제 : 역사가가 기술하는 역사는 그의 가치관, 관점, 세계관에 의해서 구성되기에 자신이 사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과정속에서 자신의 ..

역사신학 2020.08.29

<역사관의 유형들> 역사관의 유형들.데이비드 베빙턴

역사 서술의 역사에 대한 최고의 입문서 ** 목차 1. 역사란 무엇인가? 2. 순환론적 역사관 3. 기독교 역사관 4. 진보 사상 5. 역사주의 6. 마르크스주의 역사관 7. 역사 서술의 철학 8. 역사의 의미 ** 중요내용 ​ 1. 역사란 무엇인가? ​ 1.서론 - 이 책의 주제는 사람들이 역사 속에서 보아 온 형태와 역사의 의미에 관한 책이다. 2.본론 1) 역사서술과 역사 과정 - 역사서술 : 역사가가 기록하는 내용 - 역사과정 : 역사가가 기록하는 대상 2) 사료의 문제. - 역사 서술과 역사 과정이 불일치 하는 2가지 이유? => 사료의 문제, 역사가 자신의 문제. - 사료 자체가 미미하고 오해를 불러일으키기 때문. 3) 역사가 자신의 문제. - 역사가 자신의 문화적, 정치적, 종교적 가치관과 ..

역사신학 2020.08.29

세대주의란 무엇인가?

세대주의란 무엇인가? 1. 세대주의의 기원 세대주의의 기원은 1820년대의 영국 Dublin 이라는 마을로 거슬러 올라가다. John Nelson Darby (1800-1882) 라는 사람은 기성교회에서 목사만이 안수 받은 특수층인 성직자만 설교하고 성례식을 집례하는 것이 종교개혁 사상인 “만인사제 (priesthood of all believers" 에 위배된다하여 교회를 박차고 나와서 따로 몇몇 모여서 성경공부를 시작했다. 모든 잘 못된 사람들은 기성교회를 비난하고 따로 모여서 새로 라는 미명으로 모여서 정통적인 방법으로 성경을 가르치지 않고 자름대로 ”새로운 진리“를 발견했다고 주장하며 새로운 를 만든다. 여호와의 증인이나 통일교나 모르몬교나, 지금은 활동이 약화되었지만 옛날 박태선의 전도관이나 ”..

역사신학 2020.08.27

세계 역사신학의 동향

세계 역사신학의 동향 – 종교개혁사와 후기종교개혁사 연구를 중심으로– (안상혁 교수, 합신 역사신학)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는 해를 맞아 필자는 세계 역사신학계의 동향을 특별히 16세기 종교개혁과 17세기 후기 종교개혁(Post-Reformation) 시기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I. 종교개혁 연구: “다변화에서 통합으로” 1962년 독일 종교개혁사가 베른트 묄러(Bernd Moeller)의 ≪제국도시와 종교개혁 Reichsstadt und Reformation≫은 20세기 종교개혁사 연구에 있어 전환점을 마련한 저술로 알려져 있다. 묄러는 기존의 몇몇 인물중심과 교의적 관점의 종교개혁사 연구로부터 탈피하여 소위 사회사(social history)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주창하였다. 19..

역사신학 2020.08.27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획과 목적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획과 목적 하나님의 계획과 목적 제1부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획과 목적 1. 야훼 하나님과 그 분의 목적을 보여 주는 핵심 성경 본문 하나님의 계획이 구약의 내용을 이해하는 열쇠라는 것이 본서의 요지이다. 이것은 여러 성경 본문 주해 결과 얻은 결과이다. 그 중의 첫번째가 출애굽기 5:22-6:8이다. 따라서 본서의 내용은 조직신학이라기 보다는 성경신학에 가까울 것이다. 1) 중대한 질문에 대한 대답 : 출애굽기 5:22-6:8 (1) 모세의 중대한 질문 출5:22-23 모세는 하나님을 비난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비난은 흔히 볼 수 있듯이 모세는 괒아하고 있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 적극적으로 그이 백성을 학대하신 적이 없기 땜누이다. 한편 모세의 2번째 질문은 모세의 비난이..

역사신학 2020.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