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신학 229

신구약 성경의 관계 이신열 교수

신구약 성경의 관계 이신열 교수 신구약 성경의 관계라는 주제는 사실상 교의학적인 주제이다. 흔히 교의학은 성경의 주해에 기초한 것이라고만 생각하기 쉽다. 교의학자의 사고가 종교철학과 구별되는 중요한 요소는 그 사고가 성경에 근거를 두고 성경의 주해에서 비롯되었는가 하는 것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정반대의 경우를 살펴본다면 성경의 주해(exegesis) 또한 주해자(exegete)의 빈 서판에서 비롯되는 것은 아니다. 주해자가 지닌 신학적 사고가 그의 주해를 사실상 이끌어 가기 때문이다. 교의학이 스스로를 성경의 주해와 관계없다고 판단하거나 또는 스스로를 주해보다 더 우위에 둔다면 이는 교의학이 아니라 종교철학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성경의 주해가 신학적 사고 없이 진행된다면 이는 단순한 ..

역사신학 2023.07.15

성경 연대기 및 교회사

성경 연대기 및 교회사 B. C. 4175? 창조시대, 6일간 천지창조와 제 7일의 안식(창1:1-2:3), ~4035 인간의 타락과 에덴 추방(창3:1-24), 아담의 사망(향년 930세, 창5:4,5). 2519? 노아의 홍수(노아의 600세, 2월17일;창7:10-12,17), 무지개 언약(601세, 2월 27일;창8:1-22), 노아의 사망(향년 950세, 창9:28,29) 2417 바벨탑 사건(창11:1-9), 인류 분산(창10:1-32,창11:1-9): 야벳은 유럽, 함은 아프리카, ~2178 셈은 중동, 아시아로 분산된 것으로 봄 2166 아브라함의 출생(창11:27;창12:4), 족장시대(2166-1805년) 2091 아브라함의 가나안 도착(창12:56) 2067 할례 제정(창17:9-14..

역사신학 2023.06.27

유대 및 이스라엘 왕의 연대표

유대 및 이스라엘 왕의 연대표 이스라엘 왕들 연대 통일왕국 통치 기간 즉위 관련성구 B.C.1050 사울 40년(1050-1010) B.C.1010 다윗 40년(1010-970) B.C.970 솔로몬 40년(970-931) 관련성구 즉위 통치기간 북이스라엘 연대 남 유다 통치기간 즉위 관련성구 왕상 13:1-14:31 22년(931-910) ★ 여로보암 B.C.931 르호보암 17년(931-914) 41세 왕상 14:21-31 왕상 15:25-32 2년(910-909) 나답 B.C.910 아비얌 3년(913-910) 왕상 15:1-8 왕상 15:33-16:7 24년(909-886) ★ 바아사 아사 41년(909-868) 왕상 15:9-24 왕상 16:8-14 2년(886-885) 엘라 B.C.890 왕상..

역사신학 2023.04.21

이스라엘과 유다왕조 및 선지자 대조표

이스라엘과 유다왕조 및 선지자 대조표 【이스라엘과 유다왕조 및 선지자 대조표 】 이스라엘 왕조 유 다 왕 조 선 지 자 역사적 배경 1.여로보암 933-911 2.나답 911-910 3.바아사 910-887 4.엘라 887-886 5.시므리 886 6.오므리 886-875 7.아합 875-854? 8.아하시야 855-854 9.요람 854-843 10.예후 843-816 11.여호아하스 820-804 12.요아스 806-790 13.여로보암 Ⅱ 790-749 14.스가랴 748 15.살룸 748 16.므나헴 748-738 17.브가히야 738- 736 18.베가748-730 19.호세아 730-721 1.르호보암 933-916 2.아비야 915-913 3.아사 912-872 4.여호사밧 874-850 5..

역사신학 2023.04.21

사후세계

사후세계 사람들은 대부분 사후세계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영혼은 육체를 떠나서도 과연 존재를 하는 것인가. 또 존재를 한다면, 어디서 어떻게 지내는 것인가 하는 등의 질문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살아있는 사람은 아무도 죽음 이후에 대해서 경험을 해보지 못한다. 그리고 죽은 사람은 아무런 말도 해주지 않는다. 하지만 성경은 이러한 물음들에 대해서 분명한 대답을 제시해주고 있다. 그러므로 성경의 교훈을 따라서, 영혼 불멸과 중간기라는 주제로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1. 영혼 불멸 1) 영혼 불멸의 개념 사도 바울께서는 오직 하나님에게만 죽지 아니함이 있다고 했다(딤전 6:16). 왜냐하면 시작과 끝이 없이 영원히 사시는 분은 오직 하나님뿐이시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

역사신학 2022.11.30

구약이해 자료들

구약이해 자료들 성경의 중심 : 레위기(율법) - 옛 언약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언약을 맺은 분(주체)이 어떤 분이냐? 근원까지 소급해 올라감 거룩한 언약을 맺게 된 과정을 역사적으로 기술한 것 율법 레위기대로 훈련한 책 광야에서 시험 레위기의 해석설교 -모압평지(졸업식) 여호수아 역사서(12권) 시가서 예언서 가나안(약속의) 땅 차지 언약 실천 여부 기록 -복과 저주의 기록 언약대로 살아서 은헤와 복 받은 자들의 노래.지혜 언약 위반에 대한 저주를 앞장서서 말하는 자 - 책망하기 위해서 1). 시리아, 이라크와 이란 지역에 대한 용어 (1)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창 24:10 (2) 밧단 아람 (Paddan Aram) -창 25:20 (3) 아람 (Aram)-창 31:2..

역사신학 2022.11.12

예수 그리그도 누구신가?

예수 그리그도 누구신가? 1. 들어가는 말 기독교가 한국에 전래된 것은 약 170여년 전이라고 한다. 그런데 지금도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미급하며, "구세주"라는 말에 시쿵둥하는 반응을 보인다. 그래서 "예수 그리스도"는 누구인지 ?, 그분과 우리라는 인간들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고 싶다. 그렇다고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를 모두 캐고 낱낱히 시시비비를 가리자는 것은 아니다. 그리스도와 인간 관계를 바로 알고 구원받지 못한 사람의 위치에서 구세주의 구원계획을 살펴보고, 거듭나는 것이 무엇인지를 규명하여 모든 사람이 구원받고 진리의 지식에 이르기를 기원 한다.(딤전 2:4) 2. 전개되는 말 예수 그리스도는 누구인가 ? 1. 예수 그리스도 출생에 대한 예언들 1) 성경은 이스라엘의 메시..

역사신학 2022.10.22

개혁주의 교회가 지닌 신학과 신앙 및 계대성에 관하여 이천우

개혁주의 교회가 지닌 신학과 신앙 및 계대성에 관하여 본 글은 지난 2월 3일에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가진 국제 KTA 세미나에서 강의한 것입니다. 이천우(부천개혁교회) 개혁주의 교회가 지닌 신학과 신앙 및 계대성을 말씀드리고 합니다. Ⅰ. 개혁주의 1. 개혁의 용어 먼저 개혁주의란 말의 용어에 대한 이해부터 하겠습니다. 개혁주의란 말은 ‘개혁’이란 말에 ‘주의’란 말이 붙은 것입니다. 개혁(改革;Reform)이란 말의 국어 사전적인 의미는 "새롭게 고침", "정치 체제나 사회 제도 등을 합법적이고도 점진적으로 새롭게 고쳐 나감"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낡은 제도를 개혁한다"라거나 "부패한 정치를 개혁한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이미 있는 것을 고쳐서 새롭게 바꿔 나간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

역사신학 2022.10.08

언약신학과 조직신학

언약신학과 조직신학 언약신학은 개혁주의 조직신학의 하부구조를 형성한다. 언약신학의 본질은 하나님과의 관계이다. 하나님은 인간과 관계 맺기 위해서 인간과 세계를 창조하셨고, 죄는 관계의 상실이며, 속죄는 관계의 회복이며, 성화는 관계의 성장이며, 영광과 종말은 관계의 완성이다.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관계, 자녀로써의 관계, 부부로써의 관계, 백성으로써의 “관계” 모티프(motif)를 중심으로 형성된 신학이 개혁주의 조직신학이다. 이와 같이 하나님과의 언약적(covenantal) 관계라는 핵심사상은 개혁주의 조직신학 전반에 걸쳐 지배적인 해석학적 무게(hermeneutical gravity) 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언약신학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본다. 1. 구원론과 조직신학 성경은 구원에 대한 책이다. "..

역사신학 2022.10.08

수도원(동방수도원과 서방수도원)

수도원(동방수도원과 서방수도원) 수도원 단체 1. 수도원제도의 발생과 근원 수도원 운동은 동방수도원과 서방수도원으로 나눌 수 있다. 동방수도원의 대표적인 인물은 안토니우스가 있으며 서방수도원의 대표적인 인물은 베네딕트가 있다. 동방수도원은 약 250년경에 더베의 바울과 안토니우스가 애굽에서 시작하여 전 로마제국, 팔레스타인, 수리아, 소아시아, 유럽으로 확산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바울과 안토니우스를 본받았다. 동방에서는 각자 자기의 동굴과 통나무집이나 기둥 위에서 살았다. 세상과는 격리된 지극한 금욕주의를 추구 함께 사는 공동체적인 생활보다는 사막에서 개인적 고행과 명상 기도생활을 강조했다. 초기 그리스도교 수행자들이 생기게 된 것은 3세기에 벌어진 이교도들의 그리스도교 박해와 관련이 있다. 네압볼리의 ..

역사신학 2022.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