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유다 176

이스라엘과 유다왕조 및 선지자 대조표

이스라엘과 유다왕조 및 선지자 대조표 【이스라엘과 유다왕조 및 선지자 대조표 】 이스라엘 왕조 유 다 왕 조 선 지 자 역사적 배경 1.여로보암 933-911 2.나답 911-910 3.바아사 910-887 4.엘라 887-886 5.시므리 886 6.오므리 886-875 7.아합 875-854? 8.아하시야 855-854 9.요람 854-843 10.예후 843-816 11.여호아하스 820-804 12.요아스 806-790 13.여로보암 Ⅱ 790-749 14.스가랴 748 15.살룸 748 16.므나헴 748-738 17.브가히야 738- 736 18.베가748-730 19.호세아 730-721 1.르호보암 933-916 2.아비야 915-913 3.아사 912-872 4.여호사밧 874-850 5..

바벨론 포로와 귀환시대

바벨론 포로와 귀환시대 유대민족과 앗시리아,바벨론, 페르시아 1. 강대국의 초석을 닦은 이스라엘의 위대한 왕 다윗 BC 1,000년 사울이 블레셋과의 전투 중 길보아산에서 죽은 후 유다 족속의 왕으로 30세에 추대되어 헤브론에서 7년 6개월을 통치한 후 이스보셋이 살해 당한 후 온 이스라엘 지파의 왕으로 추대되었다. 여부스 족을 몰아내고 예루살렘을 통일 왕국의 수도이며 종교적 중심지로 삼아 내부적으로 이스라엘 민족을 통합하고, 주변 족속들을 정복하는 전쟁을 벌여 모압,에돔,암몬을 복속시키고 블레셋의 영역을 남쪽해안으로 제한하여 영토를 시리아지역, 요단 동쪽까지 포함하는 지역으로 크게 확장하고 강대국의 기틀을 만들었다. 하나님을 전적으로 신뢰하며 순종하고, 범죄 앞에서 철저하게 회개하는 믿음을 가졌던 하나..

이스라엘 민족의 형성

이스라엘 민족의 형성 •밀가는 하란의 처! 하란의 딸로서 하란의 형제의 처라고 기록되어 있으며(창11:29), 한 형제 나홀의 처가 되어 8형제를 낳은중 리브가의 아버지 부두엘이 있다 (창22:20, 24:15, 24:47). •사래는 아브람의 누이인가? 어떤 학자들은 사라가 데라의 큰 아들 하란의 딸이라고 본다. 창세기 19장 29절의 사래와 이스가가 같은 이름이라고 보는 것이다. 요세푸스나 제롬도 사라의 또 다른 이름이 이스가라고 보지만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도 심하다. 만일 사라가 아브라함의 형 하란의 딸이라면 그는 어머니가 다른 여성으로 가족의 일원이 되므로, 아브라함이 사래를 아내라는 사실을 숨기고 이복 누이동생이라고 이야기한 것도 근거없는 완전 거짓말은 아닌 것일수 있다. •롯: 성경은 ‘..

성경속 이스라엘의 전쟁도표

성경속 이스라엘의 전쟁도표 연대 이스라엘왕 교전국/왕 공격자 승리자 격전지 획득한영토 목적 성경 913 여로보암 우다/야비얌 유다 유다 스마라임 산 여러 성읍들 영토 탈환 대하13:2-20 909 나답 블레셋 이스라엘 블레셋 깁브돈 없음 영토회복 왕상15;27 895 바아사 유다/아사 이스라엘 유다 라마 라마 북방통로의 장악 왕상15:15,17 890 바아사 시리아/벤하닷1세 시리아 시리아 여러 성읍들 납달리 아사의 요구에 응하여 왕상15:20;대하16:4,5 884 시므리 내란/오므리 오므리 오므리 디르사 이스라엘 왕위찬탈 왕상16:7-18 880 오므리 내란/디브니 오므리 오므리 이스라엘 왕권확립 왕상16:22 853 아합 시리아/벤하닷 1세 시리아 이스라엘 사마리아 없음 이스라엘 정복 왕상20:1-..

이스라엘의 12지파

이스라엘의 12지파 이름, 뜻 모친 축복 예언 가나안 영토분배 사사시대 왕국시대 기타 1. 르우벤 ('보라 아들이라') 레아 끓는 물 -탁월치 못함 요단강 동편 하부지역 (수 13:8-23) 가나안 전쟁에 일체 관여를 안함. 그래서 드보라의 노래에서 비난 받음 (삿 5:15, 16) 관례적으로만 언급 수리아의 지배(왕하 10:32, 33), 앗수르에 포로 장자지만 불륜으로 그 권위 상실-사사,왕,예언자 없음 2. 시므온 ('들으심') 레아 (두 지파가 함께 받음) *잔해하는 칼- 저주를 받고 분산됨 유다지파의 기업 중에서 받음(수 19:1-9) 유다의 요청으로 처음 정복사업시작 (삿 1:3) 지파정체성을 잃을 정도로 유다에 동화. 신 33장 모세의 축복에서 빠짐 3. 레위 ('더불어 연합함') 레아 48..

이스라엘의 12지파

이스라엘의 12지파 이름, 뜻 모친 축복 예언 가나안 영토분배 사사시대 왕국시대 기타 1. 르우벤 ('보라 아들이라') 레아 끓는 물 -탁월치 못함 요단강 동편 하부지역 (수 13:8-23) 가나안 전쟁에 일체 관여를 안함. 그래서 드보라의 노래에서 비난 받음 (삿 5:15, 16) 관례적으로만 언급 수리아의 지배(왕하 10:32, 33), 앗수르에 포로 장자지만 불륜으로 그 권위 상실-사사,왕,예언자 없음 2. 시므온 ('들으심') 레아 (두 지파가 함께 받음) *잔해하는 칼- 저주를 받고 분산됨 유다지파의 기업 중에서 받음(수 19:1-9) 유다의 요청으로 처음 정복사업시작 (삿 1:3) 지파정체성을 잃을 정도로 유다에 동화. 신 33장 모세의 축복에서 빠짐 3. 레위 ('더불어 연합함') 레아 48..

족장들의 연대로 풀어 보는 창세기 족보의 퍼즐

족장들의 연대로 풀어 보는 창세기 족보의 퍼즐 (2010년 6월호) 김정국 목사 ・ 2021. 7. 25. 21:41 URL 복사 이웃추가 1. 인류의 시조 아담은 9대손 라멕과 56년간 동시대(同時代)에 살았다. 인류의 시조 아담은 130세에 셋을 낳은 후 800년을 더 살며 자녀를 낳았다(창세기 5:3~5). 930세를 향수하고 죽은 것이다. 아담의 9대손인 라멕은 아담이 874세일 때 태어났다. 따라서 아담과 라멕은 56년간(930세-874년) 동시대를 살아갔다. 아담이 930세에 죽었다는 사실은 창세기 5장 5절에 기록돼 있다. 그러면 라멕이 아담 874세에 태어났다는 사실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먼저 아담의 아들인‘셋’의 연대를 계산해 봄으로써 각종 숫자들로 조합된 창세기 5장 족보의 퍼즐을 ..

유다와 이스라엘의 멸망!

유다와 이스라엘의 멸망! 남 유다입니다. 기원전 586년에 바벨론(신바빌로니아)에 의해서 멸망했습니다. 북 이스라엘입니다. 기원전 722년에 앗시리아(앗수르)에 의해서 멸망했습니다. 두 나라 모두 하나님을 떠나 우상숭배에 빠져 있었기 때문에 하나님의 진로로 멸망했다고 성경은 말씀합니다. 남 유다입니다. 기원전 586년에 바벨론(신바빌로니아)에 의해서 멸망했습니다. 북 이스라엘입니다. 기원전 722년에 앗시리아(앗수르)에 의해서 멸망했습니다. 당시 이스라엘의 왕은 엘라의 아들 호세아였습니다. 이때 북방 이스라엘을 멸망시킨 앗시리아의 왕은 살만에셀입니다. 이 내용은 구약 열왕기하 17장에 나와 있습니다. 남 유다입니다. 기원전 586년에 바벨론(신바빌로니아)에 의해서 멸망했습니다. 멸망 당시 유다의 왕은 시..

이스라엘과 유다왕조 및 선지자 대조표

【이스라엘과 유다왕조 및 선지자 대조표 】 이스라엘 왕조 유 다 왕 조 선 지 자 역사적 배경 1.여로보암 933-911 2.나답 911-910 3.바아사 910-887 4.엘라 887-886 5.시므리 886 6.오므리 886-875 7.아합 875-854? 8.아하시야 855-854 9.요람 854-843 10.예후 843-816 11.여호아하스 820-804 12.요아스 806-790 13.여로보암 Ⅱ 790-749 14.스가랴 748 15.살룸 748 16.므나헴 748-738 17.브가히야 738- 736 18.베가748-730 19.호세아 730-721 1.르호보암 933-916 2.아비야 915-913 3.아사 912-872 4.여호사밧 874-850 5.여호람 850-843 6.아하시야 8..

히브리적 사고란 무엇인가?

히브리적 사고란 무엇인가? 성서를 읽을 때 히브리적 사고를 해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히브리적 사고란 어떤 것입니까? 구약성서는 히브리 문화권에서 히브리어로 기록되었고, 신약성서는 헬라문화권에서 헬라어로 기록되었습니다. 헬라문화는 오늘날 서구문화의 모태가 되었고, 오늘 우리는 서구문화의 영향권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그 문화는 우리에게 친근하고 익숙합니다. 그러나 히브리 문화는 우리에게, 특히 서구문화에 익숙한 현대인들에게, 다소 생소한 문화입니다. 그래서 구약성서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것입니다. 따라서 히브리 문화를 (특히 히브리적 언어문화를) 이해하고 히브리적 안목으로 구약성서를 읽으면 비교적 바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히브리적 사고를 모두 열거할 수는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