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

하나님의 성호(聖號, 거룩한 이름) (Ⅱ)

하나님아들 2022. 11. 30. 16:31

 하나님의 성호(聖號, 거룩한 이름) ()

 

 

 마치 하나님의 이름인 것처럼 착각하기 쉬운 구절 검토

 

아무 생각없이 신앙생활을 하다가 보니, 귀에 익숙한 하나님, God, 여호와(Jehovah), 엘로힘 등이 영락없는 하나님의 성호라고 착각하기 쉽습니다.

 

 4가지 용어 중에서 번역어인 여호와(Jehovah), God, 하나님은 부차적이므로 생략하고 원어(히브리어) 엘로힘만 짚고 가겠습니다.

 

원어성경을 참조하면 첫 장부터 엘로힘이 나오므로 당연히 하나님의 성호라고 믿겠지만 아직은 성급합니다. 누구도 이 명칭의 타당성을 보증할 수 없습니다.

 

잠시 후 살피겠지만 본래 히브리어로 하나님의 이름은 출3:14절에 근거하여 야웨(또는 야훼 = 이후 야웨로 일원화)”로 봄이 타당합니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소위 신성4문자(Tetragrammaton)’이라 불리는 히브리 자음 4개만으로 표기해 놓고는 절대 발음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후대 유대인들은 이 발음을 잊어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러다 AD 6~7세기경에 맛소라 학자들이 음가(音價)를 복원하면서 유사한 야웨로 복원하면서 이전 히브리어에는 없던 모음을 첨가하여 엘로힘( אֱלֹהִים֙)이라는 말을 만들어내고 이것을 구약성경에 소급 적용하였습니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가 보는 히브리어 성경의 엘로힘 ‘AD 7세기경에 급조된 신조어에 가깝다는 점을 인식해야 합니다.

 

이제 이 정도의 사전 정지를 하였으니 그 유명한 출3:14절로 가보겠습니다.

 

 

 3:14절의 문자적 의미 해석

   

 

아담으로부터 족장시대에 이를 때까지 하나님의 이름이 밝혀진 적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모세가 하나님의 이름이 무엇입니까?”라며 단도직입적으로 묻습니다(13).

 

이에 대한 하나님의 답변이 14절의 스스로 있는 자입니다! 마치 하나님께서 당신의 거룩하신 이름을 알려주신 것처럼 들립니다.

 

하지만 이 거룩하신 말씀(성호)’은 엄격한 의미의 이름이 아닙니다. 언어학적으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시기적으로 오래된 언어 순으로 출3:14절을 인용하겠습니다.

 

 히브리어 : “אֶֽהְיֶ֖ה אֲשֶׁ֣ר אֶֽהְיֶ֑ה” (에예르 에쉬르 에예르 or 에흐예 아쉐르 에흐예)

 칠십인역(LXX) : “Ἐγώ εμι” (에고 에이미)

 영어 : “I am who I am.” (or “I will be what I will be”).

 한글 : “나는 스스로 있는 자니라.”

 

최초 기록인 히브리어 에예르 에쉬르 에예르의 의미는 뒤따르는 여러 역본들이 충실하게 번역하고 있습니다.

 

최초 번역인 칠십인역(그리스어) 에고 에이미나 영역본의 “I am who I am.”은 모두 히브리어의 뜻을 잘 번역하였습니다.

 

그 의미는 그냥 나다. 나라니까.”입니다. 이미 다 알고 있는 사이에서 사용되는 나야의 뜻입니다. ‘이름이라면 당연히 고유명사여야 하는데 나다는 대명사에 가깝습니다.

 

한글은 스스로 있는 자로 번역했는데 자존자(自存者)”의 뜻입니다. , ‘창조된 피조물이 아니라 애초부터 스스로 존재하는 자의 뜻입니다. 역시 고유명사는 아닙니다.

 

하나님의 최초의 이름이 기록되었을 것으로 기대되었던 출3:14절의 의미는 모든 언어로 봤을 때 이름이 아니라 존재의미를 설명하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을 학자들은 어려운 말로 존재 자체(ipsum esse)’라 한다 합니다.

 

, ‘여전히 하나님의 이름은 오리무중이라 해야 할 것입니다.

 

 

 히브리어 에예르 에쉬르 에예르가 어떻게 야웨로 되었는가?

 

앞에서 얼핏 말했듯이 히브리어는 자음으로만 기록 유지되었습니다. 그러다가 AD 6~7세기경에 이르러서야 모음을 첨가하기 시작하였습니다(말미의 맛소라 모음기호표 참조).

 

그러므로 고대 유대인들은 출3:14절의 스스로 있는 자 4개의 자음만으로 표기했습니다. 이것을 신성4문자((Tetragrammaton)’라 합니다.

 

 히브리어 신성4문자 (י) 바브(ה) (ו) 요드(ה)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야 합니다. , 요드가 먼저이고 헤가 마지막입니다. 라틴어로는 간편하게 YHWH 표기합니다.

 

문제는 이것을 기록까지는 했는데 내 이름을 망령되지 일컽지 말지니라.”라는 제3계명을 철저히 준수하려고 아예 발음을 하지 않게 되었고 후대에 이르러서는 자연히 그 음가(音價)마저 잃어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맛소라 학자들이 힘들게 복원한 것이 야웨입니다.

 

야웨는 히브리 be동사(있다)의 원형인 HYH(헤 바브 헤) 또는 HWY(요드 바브 헤)에서 파생된 말로 추정되며, 마지막 모음가 를 붙인 것으로 보입니다.

 

, ‘야웨 있다(to be)”에서 온 말로서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3시제를 포괄하는 단어입니다.  영원성을 내포한 용어입니다.

 

아무튼 어렵게 복원해 놓고도 신성4문자는 여전히 발음하지 않았습니다. 그 대신 주님이라는 의미의 단어 아도나이(Adonai)’의 모음 ㅏㅗ ㅏㅣ를 차용하여 YHWH에 붙여서 읽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탄생한 것이 바로 야웨입니다!

 

복원된 야웨는 어떤 모음기호를 붙이느냐에 따라 아래 표와 같이 2가지로 발음됩니다.  예호와”(라틴어 여호와의 근거) 또는 야웨가 곧 그것입니다.

 

 

 

참고로 초기 교부들 시대에는 교부들은 YHWH를 헬라어로 쓸 때 모음을 붙여서 표기했는데 이유는 헬라어는 자음만으로는 쓸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때 교부들이 복원한 모음이 야웨와 비슷했습니다. 예를 들어,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AD 3세기) ‘iaoue(야오웨)’로 표기했고, 데오도레(AD 4세기) ‘iabe(야베)’로 표기했습니다.

 

한편 BC 400년에 엘레판타인이 이집트에서 쓴 아람어 글자에는 YHW가 나오는데 이 또한 야후 정도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논거만으로 본래의 이름이 야웨였다고 단정하긴 어렵지만 그래도 본래의 발음에 근접했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계속 -

 

 

[참고자료 1] 여호와(Jehovah) (라이프성경사전)

 

스스로 있는 자’, ‘나는 나다’(I AM WHO I AM)는 뜻. 하나님의 영원하심과 자존(自存)하심, 그리고 원인이 없으신 절대 유일하신 존재임을 강조하는 그분의 고유한 성호(聖號)요 영광스러운 신명(神名)이다( 2:4;  3:14-15; 6:3). 특히 이 용어는 자기 백성과 관계되는 구원이나 언약 성취 그리고 당신의 신실하심과 인자하심과 관련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비해 엘로힘  하나님은 이방인을 포함한 모든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창조주요 통치자(지배자)로서 그 절대적인 힘과 권위를 지니신 하나님이심을 나타내는 거룩한 호칭이다(대하 18:31).

 

한편 하나님의 신성한 이름인 ‘’는 히브리 전통에서 표기만 한 채 발음하지 않음으로써 정확한 음가(音價)가 전해지지 않고 있다(한글성경에 묘사된 여호와라는 발음은 정확한 것이라 볼 수 없다). 이유는, 유대인들은 십계명 중 너는 네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게 부르지 말라’( 20:7)는 제3계명을 엄격하게 지켰기 때문이다( 24:16). 그래서 바벨론 포로 이후에는 거룩한 이름인 여호와를 부주의하게 부르는 불경죄를 범하지 않기 위하여 아예 그 거룩한 이름을 발음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따라서 여러 가지 대용(代用) 명칭이 사용되었는데 그중에서도 주님’(LORD)을 의미하는 아도나이()’라는 단어가 주로 사용되었다.

 

A.D. 6-7세기경에 확정된 맛소라 사본의 학자들 역시 히브리 성경을 복사하면서 네 개의 히브리 자음()만 베껴 쓰고는 그것을 발음하지 않았다. 그 이름을 읽어야 할 때는 의 자음에 아도나이의 모음을 결합한 인공적인 이름이 생겨나게 되었다. 우리가 여호와’, ‘예호와’, ‘야웨’(야훼)로 발음하는 것은 바로 이 전통에서 유래되었다. 이 전통이 70인역(ⅬⅩⅩ)에서 그대로 채택되어 에 해당하는 거룩한 이름이 주님을 뜻하는 (퀴리오스)로 번역되었다. 이러한 읽기는 초대교회를 거쳐서 종교개혁 무렵에 더욱 힘을 받아 오늘날 많은 성경 번역본에서 그 발음을 채택하고 있다(KJV, RSV, NIV 등에서는 여호와 대신에 대문자만 사용하여 ‘LORD’로 번역하고 있다).

 

구약성경에는 여호와와 결합된 여러 표현들이 등장한다. 한글성경에 그대로 번역된 여호와 닛시’, ‘여호와 살롬’, ‘여호와 삼마’, ‘여호와 이레 외에 여호와 로프에카’(‘너희를 치료하는 여호와’,  15:26), ‘여호와 메카디쉬켐’(‘너희를 거룩하게 하는 여호와’,  31:13), ‘여호와 체바오트’(‘만군의 여호와’, 삼상 1:3), ‘여호와 엘욘’(‘지존하신 여호와’,  7:17), ‘여호와 로이’(‘여호와는 나의 목자’,  23:1), ‘여호와 치드케누’(‘여호와 우리의 의()’,  23:6; 33:16) 등이 있다.  하나님’, ‘아도나이를 보라.

 

 

[참고자료 2] 히브리어 모음 기호 및 종류

 

모음 기호의 시작

 

히브리어는 원래 모음이 없이 자음으로만 이루어진 언어였으며, 발음을 내기 위해 부득이 (알렢), (), (와우), (요드)의 약자음 4자를 모음 대용으로 사용하여 왔었다. 그러나 후기에 점차 사어화 (死語化)되면서 발음법에 착오발생의 우려가 따르게 됨에 따라 AD 7세기경 맛소라(Massora)라고 하는 전통 유대 학자들이 정확한 발음의 유지를 위해서 모음기호를 만들어 낸 것이 바로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맛소라 모음기호(Massoratic Vowel Signs)인 것이다.

 

 

모음의 종류

 

히브리어의 모음은 바로 맛소라 모음 기호인데 완전모음(Full Vowel)과 반모음(Half Vowel)으로 대별되며, 완전모음은 다시 단모음(Short Vowel)과 장모음(Long Vowel)으로 구분하며, 반모음은 단순 쉐와(Simple Shewa)와 합성쉐와 (Compound Shewa 또는 Hateph Vowel)로 나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