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1 15

암세포 증식 30.3% 줄이는 소형 유전자 가위

암세포 증식 30.3% 줄이는 소형 유전자 가위입력2025.01.21. 유전자 가위를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새로운 소형 유전자가위를 개발했다.암세포 증식을 30.3% 감소시키는 데 성공했다.기존 소형 유전자 교정 기술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는 평가가 나온다.고려대 의대는 김경미 생리학교실 교수 연구팀이 유전자 표적 서열에서 높은 수준의 편집 효율을 구현한 소형 유전자 가위 ‘eCas12f1’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유전자 가위는 유전자의 특정 염기서열을 절단해 잘린 유전자를 제거하거나 부위에 유전자를 추가 또는 새로운 유전자로 교정하는 기술이다. 최근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 기술을 기반으로 한 유전자 교정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며 높은 효율과 정밀도를 가진 유전..

자꾸만 깜빡깜빡 ‘치매’ 걱정?…“하루에 ‘이것’ 3잔 마시면 효과”

자꾸만 깜빡깜빡 ‘치매’ 걱정?…“하루에 ‘이것’ 3잔 마시면 효과”입력2025.01.21.             게티이미지뱅크[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하루에 녹차를 3잔 이상 마시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일본 가나자와대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npj 식품과학(npj Science of Food)에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하루 석잔 이상의 녹차를 마시면 뇌의 인지 기능 보호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팀은 지난 2016년~2018년 65세 이상 노인 8766명을 대상으로 식이평가, MRI 촬영, 인지평가를 진행했다. 또 식품 섭취 빈도 설문지를 통해 녹차와 커피 섭취량을 0~200㎖, 201~400㎖, 401~600㎖, 601㎖ 이상 등 4가지로 분류해 ..

수면제 먹고 자면 뇌 ‘노폐물 청소’ 약화…그렇다고 약 끊어야 하나?

수면제 먹고 자면 뇌 ‘노폐물 청소’ 약화…그렇다고 약 끊어야 하나?입력2025.01.21.  [건강한겨레] 미 로체스터대 연구팀 최근 연구 결과수면제 졸피뎀이 노르에피네프린 기능 저하시켜‘자연적 수면, 수면제 복용 수면보다 이로워’ 확인게티이미지뱅크‘수면제를 먹고 잠들면 뇌의 노폐물 청소 기능이 크게 약화된다.’마이켄 네더가드 미국 로체스터대 교수 연구팀이 최근 밝힌 내용이다.사람이 잠을 자면 뇌 속에서는 치매 유발요인인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노폐물 등 뇌에 쌓인 노폐물을 청소하는 기제가 발동한다. 하지만 졸피뎀 등 제조된 수면제를 복용하고 잠들면 뇌의 노폐물 제거 기능이 방해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수면 중 뇌의 노폐물 청소는 ‘글림프 시스템(glymphatic system)’이라는 메커니즘에 의..

고기 먹을 때 버섯·김치 같이 굽는 이유 있었다

고기 먹을 때 버섯·김치 같이 굽는 이유 있었다입력2025.01.21. 배추 등 채소에 파이토스테롤 성분콜레스테롤 낮추는 효과 있어버섯, 구웠을 때 함량 더 늘어나김치 고춧가루속 캡사이신도 지방 줄여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이미지투데이한국인들이 좋아하는 대표적인 외식 메뉴 가운데 하나가 ‘고기구이’다. ‘고무도 구우면 맛있다’는 우스갯소리까지 나올 정도로 불판 위에서 노릇노릇하게 익은 돼지고기와 육즙을 살짝 머금은 구운 소고기는 뛰어난 맛을 자랑한다. 그런데 고기와 함께 구워 곁들여 먹기도 하는 버섯과 김치가 음식의 맛을 더할 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도 있어 주목된다.농촌진흥청에 따르면 버섯과 김치에 함유된 ‘파이토스테롤’은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면역조절, 항염증, 항산화,..

달라진 2030 지지율, 왜?

[아는기자]달라진 2030 지지율, 왜?입력2025.01.20.   [아는기자]달라진 2030 지지율, 왜?채널A News  재생2,687  00:0004:02    [앵커]아는기자, 정치부 홍지은 기자 나왔습니다.Q1. 홍 기자, 여론이 요동치는데요. 중도층이 움직이고 있는 건가요?중도층 움직이는 거, 맞습니다.그 핵심은 20대와 30대 바로 2030 입니다.수치로 보겠습니다.오늘 나온 리얼미터 조사인데요.추이를 보면 2030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이 20%p 이상 껑충 뛰었습니다.지난주 금요일에 발표된 여론조사에서도 2030에서 탄핵 찬성 여론이 줄었고요. 반대 여론이 늘어나는 추이, 볼 수 있습니다.Q2. 왜 그런 거예요?여론조사 전문가 9명에게 이유를 들어봤습니다.여론이 변화된 계기, 결정적 장면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