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주제 글 모음!!! 175

영적점검 20가지에 관한 小考

영적점검 20가지에 관한 小考 1. 나는 내가 영생을 얻은 사실을 확신하고 있는가? 의외로 많은 크리스챤이 이 질문에 대해 자신있게 답변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영생 얻는 방법을 잘못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 많은 크리스챤이 이 영생을 어느 친구가 문득 던져준 선물 정도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영생의 실제 가치를 잘 모르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입니다. 영생을 얻는 방법에 대해서 성경은 단순하고도 단호하게 한가지 사실만을 말하고 있습니다. "너희가 그 은혜를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었나니~(엡2:8)" 또한 영생의 가치에 대해서 얼마나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일이 중요한 과제입니다. 인생의 대차대조표를 작성해 보십시오. 차변에 자신의 삶에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 물..

하나님의 작정(作定)

하나님의 작정(作定) 우선 우리는 하나님의 작정을 설명할 때 '예정교리'라고 하는 설명을 들었을 것이다. 이 부분을 간략하게 정리한다면 다음과 같다 ① 하나님의 영원한 지혜에 기초 ②장차 일어날 일들 ③불가항력적(롬9:19)혹 네가 내게 말하기를 그러면 하나님이 어찌하여 허물하시느뇨 누가 그 뜻을 대적하느뇨 하리니 ④무조건적:unconditional ⑤불변적 ⑥총 포괄적 하나님 작정의 의미 Decrees, Predesfiration이라 하며 하나님의 작정이란 하나님께서 장차 발생할 모든 일들을 미리 정하시는 그의 영원하신 계획 혹은 영원하신 목적이라 정의 할 수 있다. 이 하나님의 작정은 여러 가지 특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단일한 작정이지만 우리는 가끔 하나님의 작정을 복수형으로 말하곤 한..

영원한 생명 (새신자 양육 교재)

영원한 생명 (새신자 양육 교재) 제 1과 성경이란 무엇인가 제 2과 죄란 무엇인가 제 3과 하나님의 구원 제 4과 성령의 인도받는 삶 제 5과 승리하는 삶 제 6과 교회 생활 제 7과 신자의 생활 제1과 성경이란 무엇인가 성경이란 하나님의 말씀을 기록한 책입니다. 살아계신 하나님은 보이지 아니하는 자신을 말씀을 통해 나타내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말씀을 듣고 가까이하는 것은 곧 살아계신 하나님을 대면하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우리의 믿음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 기초하는 것입니다. 1. 성경의 기자 성경은 대략 1,600여 년에 걸쳐서 약 40명의 저자들에 의하여 쓰여졌습니다. 그들은 왕, 정치인, 선지자, 시인, 의사, 지식인, 농부, 어부 등 여러 가지 다른 환경과 다른 성격을 가진 자..

교회론 바울 사상과 칼빈 사상의 비교 연구

바울 사상과 칼빈 사상의 비교 연구 (교회론을 중심으로) 목 차 Ⅰ. 서 론 --------------------------------------- 2 Ⅱ. 바울의 교회론 --------------------------------- 2 A. 몸으로서의 교회 ------------------------------- 2 1. 로마서에서의 교회 개념 ------------------------ 2 2. 고린도전서에서의 교회 개념 -------------------- 3 B. 머리로서의 교회 ------------------------------- 4 1. 에베소서, 골로새서에서 나타난 교회 개념 ------------------------------ 4 Ⅲ. 칼빈의 교회론 --------------------..

죽음이란 무엇인가?

죽음이란 무엇인가? 사람은 누구나 한 번은 죽는다. 여기에는 성별이나 지위나 그 무엇에 있어서도 예외가 없다. 그래서 사람이라면 죽음이란 과연 무엇인가, 사람은 왜 죽는가 하는 등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마련이다. 사람들은 이러한 물음에 대해서 자기가 처한 시대나 종교에 따라 제각기 다른 설명들을 내놓는다. 그러나 대부분이 성경의 교훈과는 거리가 먼 설명들이다. 그렇다면 성경은 죽음을 어떻게 말씀하고 있는가. 그리고 죽음의 원인이나 성도가 죽음에 대해서 가져야 할 자세에 대해서는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기로 하자. 죽음의 정의 최근 들어 괄목할 만한 현상 중에 하나는 의학 기술의 눈부신 발전이다. 전에는 불치의 병으로 알아, 죽을 수밖에 없었던 질병들이 지금은 손쉽게 정복되고 있다. 그 결과로 사람..

평화를 원한다면 재림을 소망하라

평화를 원한다면 재림을 소망하라 ────────────────────────────────────────────── 러시아의 대문호 톨스토이(Leo Tolstoyㆍ1828∼1910)가 집필한〈전쟁과 평화ㆍWar and Peaceㆍ1869〉는 1812년 나폴레옹의 침공을 받은 러시아를 무대로 펼쳐지는 인류 역사의 한 단편과 그 속에서 이뤄지는 인간의 삶을 다루고 있다. 톨스토이는 작품 줄거리를 통해 전쟁과 평화로운 삶을 번갈아서 보여 주는데, 그는 이것을 책 제목〈전쟁과 평화〉에서 암시한다. “전쟁”과 “평화”는 인류 역사를 간편하게 정의한다. 역사는 “전쟁 아니면 평화”라는 이원적 구조로 전개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쟁이 그친 뒤에 오는 평화는 참 평화가 아니라는 것이 역사적으로 입증되었는데, 이는 전..

평화를 원한다면 재림을 소망하라

평화를 원한다면 재림을 소망하라 ────────────────────────────────────────────── 러시아의 대문호 톨스토이(Leo Tolstoyㆍ1828∼1910)가 집필한〈전쟁과 평화ㆍWar and Peaceㆍ1869〉는 1812년 나폴레옹의 침공을 받은 러시아를 무대로 펼쳐지는 인류 역사의 한 단편과 그 속에서 이뤄지는 인간의 삶을 다루고 있다. 톨스토이는 작품 줄거리를 통해 전쟁과 평화로운 삶을 번갈아서 보여 주는데, 그는 이것을 책 제목〈전쟁과 평화〉에서 암시한다. “전쟁”과 “평화”는 인류 역사를 간편하게 정의한다. 역사는 “전쟁 아니면 평화”라는 이원적 구조로 전개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쟁이 그친 뒤에 오는 평화는 참 평화가 아니라는 것이 역사적으로 입증되었는데, 이는 전..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자는 살아나리라!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자는 살아나리라! (요10:27) "내 양은 내 음성을 들으며 나는 저희를 알며 저희는 나를 따르느니라", (요10:3-4)(요10:16) (계2:17) "귀 있는 자는 성령이 교회들에게 하시는 말씀을 들을지어다 성령의 은사가 나타날 때 기억해야 할 것들이 있다. 1. 예수라는 주제를 잊지 말라[눅24:44] 제사장-예수의 피, 선지자-예수의 죽음, 절기-예수를 기념하라, 성전-예수가 성전이다. 율법-예수께로 인도하는 몽학선생, 요5:39, 요20:31 예수만을 아는 것이 영생[요17:3] 2. 교회에게 한 몸을 이루도록 은사를 주셨다.[고전12:28, 롬12:4 엡4:11-16] 성령이 하나 되게 한 것을 힘써 지켜라. 엡4:1-4 소망, 몸, 성령, 주님, 믿음, 침례, 하나님 ..

김홍전 목사의 성령론

김홍전 목사의 성령론 들어가는 말 김홍전 박사의 책과 그의 가르침들은 개혁주의의 진수라고 말할수 있다. 그리고 그의 책은 거의 60년대와 70년대 개혁주의의 부재의 시대에 강설된 그러한 강론들이다. 70년대는 오순절 주의의 신학이 주류를 이루고 그렇다고 장로교에 개혁주의적인 신학이 바르게 서있다고 보기 어려운 때에 개혁주의 적인 강설들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연구의 주 재료가 된 성령의 가르침과 인도하심은 1982년에 강설된 설교들이다. 그의 성령에 대한 이해는 독특한 어떤 것을 나타내기 보다는 성경적 이해를 가지고 강설을 한 것이다. 그래서 그의 책의 구성을 보면 이렇게 나타난다. 1강은 보혜사인 성신 2강은 성신의 내주 3강은 선신의 일반적인 역사와 특별한 역사 4강은 성신의 가르침과 신자의 장성 5강..

믿음의 진보 이것이 궁금하다

믿음의 진보 이것이 궁금하다 “내가 살 것과 너희 믿음의 진보와 기쁨을 위하여 너희 무리와 함께 거할 이것을 확실히 아노니”(빌1:25) 바울은 복음을 전하다가 로마에서 감옥에 죄수로 갇히게 되었는데 이제 자신의 석방을 확신한다. 이것은 바울이 죄가 있어서 갇혀 있던 것이 아니라 너희 믿음과 진보를 위하여 할 일이 있기 때문이다. 이제 너희와 함께 있어서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 자랑(기쁨)이 풍성하게 하려 함이라고 말한다. 믿음이란? 믿음은 관념이나 추상적이거나 초월적이거나 신비적인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사실을 따르는 것이다. 믿음은“없는 것을 있는 것으로 부르시는 하나님께서 그렇게 말씀 하셨으니 그렇게 여기라는 것을 아멘하고 받아 드리는 것을 말한다(롬4:17). 하나님은 아브라함을“이끌고 밖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