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논문 소논문 145

창조론의 바른이해와 바른정립

창조론의 바른이해와 바른정립 서 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제1장 생명 기원의 문제점 1. 자연 발생설과 생물속생설--------- 2. 생명 기원의 대한 가설의 문제점----- 2. 1 생명기원 가설 진행과정---------- 2. 2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 --------- 제2장 진화의 증거의 문제점 1.고생물학적 증거(화석)과 화석의 연대 측정법---- 2.비교 해부학상의 증거의 문제점------ 3.발생학적 증거의 문제점------------ 4.비교 생화학상의 증거의 문제점------ 5.생물의 분화의 문제점----------------- 제3장 진화의 요인의 문제점 1.진화요인중 용불용설-----..

종교다원주의

종교다원주의 목 차 Ⅰ. 서 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2 Ⅱ . 종교다원주의의 흐름 ----------------------------------------- 4 A. 종교 다원주의 역사 문화적인 배경 ----------------------------- 5 1. 에른스트 트뢸치 ------------------------------------- 5 2. 아놀드 토인비 ------------------------------------..

한국 조직신학의 역사적 생성과 미래적 과제 이정배 교수

한국 조직신학의 역사적 생성과 미래적 과제 이정배 교수(감리교 신학대학,조직신학) 1. 들어가는 말 본 논고는 기독교 신학 내의 한 분과인 조직신학이 어떠한 역사적 배경과 과정을 통하 여 한국 기독교 상내에 태동되었는 지를 살펴보고 미래적 과제를 제시할 목적으로 쓰 여졌다. 이를 위해 주도된 초창기의 조직신학적 작업에 주목하며 이들의 작업이 조직 신학이라는 말의 학문특성과 본질에 부합되는 것임을 논증하려고 한다. 다음으로 본고 는 이러한 역사적.학문적(객관적) 논의를 토대로 21세기라는 세계 상황과 그 속에 자 리하게 될 교회의 모습을 생각하며 그를 향한 조직신학의 과제를 논의해 보려고 한다. 2. 한국적 조직신학은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가? 한국 기독교 일백년 역사 속에서 한국신학 형성의 토대가 되었던 ..

개혁주의 신학에서의 이원론의 극복

개혁주의 신학에서의 이원론의 극복 Ⅰ. 서 론 Ⅱ. 본 론 A. 이원론 B. 계시와 이성 C. 교회와 국가 D. 그리스도와 문화 E. 초월과 내재 F. 은총과 자연 Ⅲ. 평가와 결론 *** BIBLIOGRAPHY I. 서 론 실로, 역사적으로 이원론처럼 명쾌하고 분명한 대답을 주는 논리가 다시 없다. 그리하여 고대의 類似 기독교적 집단들은 한결같이 이원론의 입장을 취하고있는 것이다. 類似 기독교 이단만이 아니라 성서적인 정통에 서 있다고 하는 교부들과 신학자에게서도 이원론은 이루 다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발견된다. 사도 바울은 그의 학문적 배경으로 이미 플라톤적인 이원론자로 여겨지고 있는가 하면1) 1세기 후반, 2세기 初 헬라 문화권을 상대로 선교했던 요한에게서도 이원론적인 면은 얼마든지 나타난다.2..

기독교인의 이데올로기 문제

기독교인의 이데올로기 문제 과 목 : 사회정치신학 지도교수 : 서창원 님 제 출 자 : 신대원 2/4 홍 성 호 Ⅰ. 들어가는 말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 뒤따르는 문제들에 대한 각 개인들이 내리는데, 이 대응을 처세술(處世術) 또는 삶의 기술(The Technique of Lives)이라 불러도 좋을 것이다. 어떤 이는 이 대응(경험 후의 행동)을 체계화시키고 비판 및 수용의 과정에 일정한 범주(範疇 category), 규범(規範 norm)을 만들고, 이에 준해 인간은 삶을 왜 영위하는가? 또는 왜 영위해야만 하는가? 인간은 행복해질 수 있는가? 등을 물은 후 답을 내린다. 이러한 문답의 과정은 점점 더 넓은 체계를 형성시키고 이 거대한 체계가 인간과 이 인간이 속한 세계에 대한 궁극적 질문(ult..

Tissa Balasuriya의 위성 신학 연구 지 도 변 선 환 교수

Tissa Balasuriya의 위성 신학 연구 지 도 변 선 환 교수 감 리 교 신 학 대 학 신 학 대 학 원 조 직 신 학 전 공 조 병 철 목 차 Ⅰ. 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1 1. 문제 제기 : 위성 신학(衛星 神學)이란 무엇인가? - - - 1 1 2. 티사의 위성 신학의 위치와 연구 가치 - - - - - - - - 2 (1) W. C. 스미스의 세계 신학 - - - - - - - - - - - - - 3 (2) R. 파니카의 종교 신학 - - - - - - - - - - - - - - 5 (3) A. 피어리스의 해방 신학 - - - - - - - - - - - - - 7 3. 연구의 방법 및 목적 - - - - - - - ..

예수님의 기도론

예수님의 기도론 과목명 : 예수의 신학 세미나 담 당 : 김상복 박사님 발표자 : 김종태(Th. M 과정, 신약신학 전공) 권동희(Th. M 과정, 신약신학 전공) 아 세 아 연 합 신 학 대 학 원 - 목 차 - Ⅰ. 서 론 ...................................................................................................... 3 Ⅱ. 본 론 ...................................................................................................... 4 A. 예수님의 기도의 교훈 .........................................

예수와 바울에 대한 소고 - 종말론을 중심으로- 백 유 현

예수와 바울에 대한 소고 - 종말론을 중심으로- 백 유 현 목 차 제 1 장 서 론.........................................................1 제 2 장 예수의 종말론 사상 .........................................3 제1절 예수 당시 유대인들의 종말론 사상 ........................3 제2절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종말론 사상 .....................5 1. 종말론의 구조.................................................5 2. 개인의 종말론.................................................9 제 3 장 바울의 종말론 사..

신명기의 예배의 개혁: 신명기 12 장을 중심으로 한동구

신명기의 예배의 개혁: 신명기 12 장을 중심으로 한동구 ( I ) 서 론 사회가 어떤 변화 ( 차별 )이 생겨나게 될 때 - 이 변화가 지나치게 급진적인 변화가 아니라, 진화적, 즉 점진적으로 수행된 한에 있어서는 - 법과 이론에 대한 전문가들이 생겨나게 된다. 다루고 있는 대상 또한 확대되며, 항상 도달된 사유의 높이 만큼 성장하게 된다. 그러나 예배의 중앙 통일화 ( Kultzentralisation )는 이제까지의 전통 속에서는 전혀 찾아 볼 수 없었던 변화이며 일체의 연속적 성장을 거부한다. 예배의 중앙 통일화는 역사적으로 혁명적으로 변화를 가져온 산물로써 이를 올바르고 또 정당하며 파악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배경, 특히 사회사적 배경을 고려하여 연구해야 한다. 이 때 종교적인 동기 ( Motiv..

보나벤투라의 영성신학 小考* 유 해 룡

보나벤투라의 영성신학 小考* 유 해 룡 (대전신학교 교수) Ⅰ.서 론 신학의 일반적인 정의는 믿음의 경험을 지적인 반추를 통해서 인간의 언어와 논리로 구성하고 표현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제기되는 문제는 신학이 되기 위해서 반드시 신앙의 한 생활양식으로서의 경험이 전제되어야 하는 가이다. 예를 들면 성서신학이란 성서를 통한 개인 혹은 집단 경험이 전제되지 않을지라도 단순히 기록된 객관적인 계시에 대한 이해 내지 지적인 탐구로도 성서신학이 성립된다. 그러나 12세기의 스콜라주의가 태동하기 전까지는 직접적으로 기독교 경건생활에 유익되지 않는 사변적인 신학에는 큰 가치를 두지 않았다. 당시 신학이 대부분 수도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수도원의 경건과 삶을 지탱해주고 발전시키는 범위내에서만 신학활동이 허용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