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논문 소논문

20세기 기독교교육운동을 통해서 본21세기 한국 기독교교육을 위한 제안

하나님아들 2023. 3. 4. 17:08

20세기 기독교교육운동을 통해서 본

21세기 한국 기독교교육을 위한 제안

: 제임스 스마트의 이론을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신학과 전공

20세기 기독교교육운동을 통해서 본

21세기 한국 기독교교육을 위한 제안

: 제임스 스마트의 이론을 중심으로

 

지도 김 도 일 교수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0412월 일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신학과 전공

최 문 정

 

최문정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주심 : 김도일 교수__________ 인부심:

장로회 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412월 일

 

I . 서론

A . 연구의 동기와 목적------------------- - --------------------------5

B . 연구의 방법------------------------------------------------------ 5

I I . 2 0 세기 전 반 의| 기독교교육 운 됩: ,

자유주의 신학과 진보추의 교육의 영향율 받은[종교교육운동ᅩ-- 7

A . 자유주의 신학-------------- -------------------------------------8

1. 자유주의 신학에 영향을 끼친 사상들---------------------------8

2. 대표적인 자유주의 신학자들---------- - -----------------------9

a. 프리드리히 술타이에르마허---------------------------------- 9

b. 알버트 리출------------------------------------------------- 10

특징------------------------------------------

4. 자유주의 신.51이 종교교육운동에 미친 영향------------------- 14

B .i진보주의 교 육 ------------------------------------------------- 15

1. 듀이의 교육이론-----------------------------------------------16

a. 듀이의 교육철학------------------------ ------------------- 16

b. 듀이의 교육원리------------------ - --------------- ----------17

2. 진보주의 교육이 종교교육운동에 미친 영향------------------- 19

C.-종교교육운동----------------------------------------------------19

1. 코우의 교육사상-----------------------------------------------21

2. 종교교육운동의 특징 24

I I I . 2 0세기 후반의 기독교교육운동:

신정통주의 신학의 영향울 받은 기 독 교 교 육 운 동--------------- 27

A . 전환기----------------------------------- -------------------- 27

B . 신정통주의 신학------------------------------------------------ 28

1. 신정통주의 신학의 특징----------------------------------- 28

2. 신정통주의 신학의 선구자, 칼 바르트------------------------- 29

C. 기독교교육운동------------------------------------------------- 30

1. 기독교교육학파 시대의 도래---------- ----------------------31

2. 기독교교육학파의 특징---------------------------------------- 31

a. 학습자 이해------------------------------------------------- 32

b. 교육의 목적--------- --------------------------------------- 32

c. 교육의 장---------------------------------------------------33

d. 교육외 방법------------- ----------------------------------- 33

i v t ^ / 영향을 받 은 ^ 스마른------------------------3 4

A . 칼 바르트------------------------------------------------------- 34

1. 바르트의 신학적 배경------------------------------------------ 34

2. 바르트의 성서론-----------------------------------------------35

a.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 예수 그리스도----------------------- 36

b.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 성경--------------------------------- 37

c. 선포되는 하나님의 말씀, 설교------------------------------ 38

3. 바르트의 교회론-----------------------------------------------39

a 교회를 위한 학문, 신학-------------------------------------- 39

b. 교회의 임무------------------------------------------------- 40

4. 바르트의 신론------------------------------------------------- 41

a. 삼위일체론--------------------------------------------------- 41

b. 하나님의 속성- ----------------------------------------- 42

5, 바르트의 인간론--------------------------------------- 43

a. 참인간, 예수------------- ----------------------------------- 43

b. 하나님의 언약의 파트너, 인간-------------------------------44

B. 제임스 스 마 트 ----------------------------------- ...... - 45

1. 스마트가 살았던 시대적 상황------- -------------------------- 46

2. 바르트의 성서론의 영향율 받은 말씀외 기독교교육”---------- 46

3. 바르트의 교회론의 영향을 받은 교회의 교육적 사명------ 49

a. 교육과 신학-------------------------------------------------- 49

b. 교회의 교육적 사명----------------------------------- 50

4. 바르트의 신론의 영향을 받은 교육의 주체자로서의 하나님1’- - -52

5. 바르트의 인간론의 영향을 받은 "피교육자로서의 인간”-------- 53

6. 기독교교육의 3대 기관--------------------------- 54

V. 현대 기독교교육학자들의 제안-----------------------56

A . 현대 기독교교육의 흐롬: 20세기에서부터 현대까지------------- 56

B . 현대 기독교교육학자들의 제안------ --------------------------- 58

1. 존 웨스터호프의 제안: 신앙공동체의 회북---------------------58

2. 메리 보이스의 제안: 제자직과 시민'직율 위한 교육------ -59

3. 리차드 오스머의 제안: 교육목회의 '회혁----------- ------------ 60

VI. 21세기 한국 기독교교육을 위한 제안----------------- 63

A . 현 한국교회의 상황---------------------------------------------- 63

B . 한국교회의 쇠퇴 원인------------------------------------------- 64

1. 다원수의의 영향----------------------- ---------------- - 64

2. 이기주의의 영향-----------------------------------------------64

3물질만능주의의 영향------------------------------------------- 65

C. 21세기 한국 기독교교육을 위한 제안---------------------------- 66

V II. 결론-------------------------------- ------- ---------- 68

A . 요약- ------------------------------------------------ ----------- 68

B . 나가는 글---- ------------------------------------------------71

 

참고문헌 73

 

I. 서론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최근 매스컴에서 교세 감소 시대. 한국교회의 성장 감소 시대

운하는 소식을 접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제 우리의 귀에

익숙할 만큼 한국교회의 성장 감소는 기정 사실이 되어 버렸다. 1970-80

년대에 폭발적으로 부흥했.한국교회와 비교해볼 때., 최근 안팎에서..

는 한국교회의 상황은 그 미래를 낙판하기엔 그저 어두울 따름이다.

힘겹게 21세기를 지나고 있는 한국교회에게 있어서 어떤 신학율

교육적 토대로 정하고 기독교교육이론의 신학적 기반으로 삼을 것인가는

그 존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교회의 교육은 그 교회의 신학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적절한 교육신학의 부재는 교회의 교육적 사명올 제대로 감당하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오늘날 많은 한국교회가 2 0세기 신정통주의 신학올 기초로 한 기

독교교육을 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신정통주의 신학과 그 영향을 받

은 기독교교육의 특징을 바르게 정립한다는 것은 올바른 교육신학 형성을

위해 유익한 일임에. 틀림없다. 특별히 신정통주의 신학의 대표학자인 칼

바르트(K arl B a rth }와 그의 영향을 받은 기독교교육학파의 대표학자인 제

임스 스마트(Jam es D , S m a rt)의 사상을 살펴보는 것 또한 한국교회 미래

의 청사진을 그리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B. 연구의 방법

본 논문에서는 먼저 자유주의 신학과 진보주의 교육의 영향을 받

. 20세기 전반에 유행했던 종교교육운동을 살펴보고, 둘째 종교교육운동

의 반발로 나타난 20세기 후반의 기독교교육운동, 즉 신정통주의의 영향율

받은 기독교교육운동을 고찰하였다, 셋째, 신정통주의 신학의 대표학자인

칼 바르트와 기독교교육학과의 대표 학자인 제임스 스마트의 연관성에 대

최 연구하였다. 넷째, 기독교교육학파 이후 현대 기독교교육학자들의 제안

들에 대해 연구하였고: 마지막으로 스마트와 현대 기독교교욕학자들의 이

른에 비추어 현 한국교회의 상황읍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론적으류 본 논문을 전체적으로' 요약하고 한국교회의 난관율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서술했다.

 

II. 20세기 전반의 기독교교육 운동:

자유주의 신학과 진보주의 교육의 영향을

받은 종교교육운동

1780년 토버트 레이크스(R o b e rt R a ik e s )가 거리를 떠돌아다니는

어린이들을 선도하기 위해 영국 글로우스터(G loucester ) 에서 처음 시 작한

주일학교 운동은 미.국으로 번져갔다. 미국에서도 초기엔 영국의 형태 그대

로 가난한 어린이들을 위한 추일학교였으며, 일반학교 교육과 종교교육을

함께 담당했다. 그러나 1789년 미국은 헌법을 제정하여 일반학교 교육과

종교교육올 분리시켰으며, 5 일간의 일반학교 교육은 정부가 담당하게 되

었다. 따라서 주일학교의 방향전환이 불가피하게 되었으며, 1815년부터 미

국 주일학교는 신앙 부흥의 체험' 중심의 교육방향으로 전환했다;】

그러나 미국 주일학교가 신앙 부흥 증심으로 주도되고 있을 무렵,

19세기 말 미국에서는 주일학교 교육에 대한 불만이 교회 내에서 점차 높

아져 갔다. 주일학교 운등의 비전문성에 반기를 든 호레이스 부쉬넬

(H orace B u sh n e ll)은 그의 저서 기독교적 양육j 통해 신앙 부홍 운

동에 찬 물을 끼얹었다. 부쉬넬이 주창했던.운동이 종교교육운동으로 이는

인간 이성에 입각한 합리성을 기초로 한 신앙교육이었다.2) 이 종교교육운

동은 신학적으로는 자유주의 신학의 영향을 받았으며철학적으로는 존 듀

이르 대표되는 진보주의 교육의 영향을 받았다. , 종교과육운동은 자유

주의 신학과 진보주의 교육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하면 종교

1) 은준관 외 7, ■■기독교교육사j (서울: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84), 138.

2) Horace Bushnell, Chistian Nurture, 죄도일 역.. r 기독교적 양육(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4), 35.

교육운동은 하나님의 초월성과 인간의 전적 타락, 회심 중심의 교육을 반

대했으며, 대신 하나님의 내재성, 인간의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신뢰를 기

초로 하여 회심이 아닌 양육, 말씀 중심이 아닌 삶 중심의 교육이었다.3)

이 글에서는 먼저 종교교육운동의 토대가 되는 자유주의 신학과 진보주의

교육올 알아보고자 한다.

 

A. 자유주의 신학(Liberal Theology)

1. 자유주의 신학에 영향을 끼친 사상들

17세기 정통주의 신학은 18세기 계몽주의와 19세기 자유주의 신학

의 도전을 받으면서 허물어지기 시작했다. 정통주의 신학은 인간 이성의

무능력과 죄악성올 강조했으나, 18세기와 19세기에 들어서는 인간 이성의

위대성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졌다. 계몽주의는 인간 이성의 능력을 신뢰

하게 했으며과학의 발달은 인간의 가능성에 대해 자신감올 불어넣었다.

인간은 이성의 능력올 가지고 어떤 것이든 알 수 있으며이성에 일치하지

않는 종교는 믿을 수 없다고 보았다.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은 이러한 계몽

주의와 과학의 발달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인간 이성의 위대함을 주장한 사람들은 인간 이성울 그동안 절대

무오의 말씀으로 신뢰해오던 성서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성서에 대

.비판적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그 결과 성서의 모순과 오류둘을 발건하

게 되었다. 이에 따라 자연히 성서의 철대 .권위는 붕괴하게 되었다.

3) 박화경, “하나님 나라 구현을 위한 기독교교육: 20세기 기독교교육의 문제 진단

과 새 방향 모색울 위한 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2001)93.

4) 김명용, 열린 신학 바른 교회론j (서을: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997), 219

5) 위의 책’ 219.

2. 대표적인 자유주의 신학자들

19세기로부터 20세기 초까지 유럽을 휩쓸었던 자유주의 신학의 대

표적인 학자를 들라면 술라이에르마허 (F. Schleierm acher), 리출 (A .

H itsch l), 트필치 (E. T ro eltsch), 헤르만 (W . H errm ann).. 하르낙 (A .

H a r n a c k )과 같온 신학자들을 들 수 있다. 자유주의 십학이란 바로 이들에.

의해, 건설된 17세기 정통주의와 대립되는.신학올 말한다. 이들에 의해 건

설된 자유주의 신학은 19세기에 이르러 정통주의 신학율 완전히 붕괴시키

• • '

고 황금기를 이루었다직

a. 프리드리히 술라이에르마허 (Friedrich SchJeiennacher,

1768-1834)

자유주의 신학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던 신학자는 프리드리히 술라

에르마허(F riedrich S ch le ie rm ac h e r)이다. '그는 계몽주의의 근대적 정신

을 반 기독교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수용하면서 계몽주의

에 기독교를 접목하려고. 시도했다.7) 또한 "종교 경험의 신학(T h e o lo g y

o f R e lig io u s E x perie nce)”의 대변자로 알려진 술라이에르마허는 종교는...

아는 것 (k n o w in g )도 행동하는 것(d o in g )도 아닌, 느끼는 것 (feeliqg) 또는

직접적인 자기의식의 수식(m o d ific a tio n )이다”8ᅵ타고 말함으토써 종교의 본

. . ' . . .

질이란 ‘‘안다의 지식과정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느낌과 사랑의 영역이라

고 믿었다. 그리고 신앙은 신에 대한 절대의존의 감정(sense o f absolute

d e pen de nce)이라고 표현했으며., K종교 경험이란 의식 신경의 민감화이며,

6) 위의 책, 220.

7) 양금회, •■근대 기독교교육 사상j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1), 270.

8) 목창균술라이에르마허와 현 대 신 *신학과선교j 14(1989): 279.

자아의 눈을 인간의 세계로 돌리는 과정이라고 보았다.더욱이 그는 "

자체는 자아와 신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이며 이는 곧 계시의 연속이라고

이해했다.

신학의 객관주의와 교리주의를 신학의 주관주의와 경험주의로 전

환시킨 술라이에르마허는 이러한 신학적 전제릍 바탕으로 성서에의 새로

운 해석을 시도했으며, 정통적 기독론과 구속론에 대한 인간학적-경험적

해석올 초래하였다.11:

그는 성서란 신앙인의 내적 경험” (inner experience o f the

b e lie v e r)이며, 경숄 자체가 효율화하는 권위라고 보았다. 그러므로 성

서는 하나님의 말씀도 아니고 하나님의 직접적인 말씀의 기록도 아니며,

신앙인의 내적 경험만이 그 권위가 된다고 주장했다. 그리하여 술라이에르

마허는 성서 비평학의 선구자가 된 셈이다.

b. 알버트 리출 (Albert Ritschl)

술라이에르마허 외에 자유주의 신학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사

람은 알버트 리출(A lbe rt R its c h l)이며, 자유주의 신학은 리출에 의해 확대

되었다. “ 인격으로서의 하나님율 성서적 신앙의 근원으로 해석한 리출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관계와 함께 함이 이 세계를 그리스도의 화해와 사

랑의 영역으로 만들 수 차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기독교란 이론의 종교가

아니라 삶과 사랑의 실천적 경험6i 어야 한다는 것이다.

9) 은준관, 교육신학J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6), 143.

10) 오상영, “George Albert Coe의 교육사상 연구” (석사학위논문, 호남신학대학교,

2000)21.

11) 위의 글, 21.

12) 은준관, r교육신학j , 144.

13) 오싱, “George Albert Coe의 교육사상 연구22.

리출의 신학적 특징을 돌라면첫째, 합리론적 도덕주의를 들 수

있다. 리출의 신학은 "도덕적 가치의 신학으로 불릴 만큼 종교적 신앙의

본질을 도덕적으로 해석했다. 따라서 그는 신앙을 '회개와 은총의 내용이

아니라 도덕 적 의미부여로 이해했다.14) 또한 그는 초월적 인 하나님의 자기

계시 대신 도덕적 가치를 절대시하였다.패 리출에 의하면 예수는 도덕적

모범이며 역사적 인물로서만이 의미가 있다고 보았으며성서는 이 역사적

인물을 역사적으로 연구하는 연구 재료라고 보았다.1®

둘째., 역사적 실중주의를 들 수 있다. 그는 우리의 경험이 직접적

으로 중명해' 주지 않는 다는' 이휴로 정서의 원죄 사상도 거부했다. 또한

기독교 신앙의 역설적임과 이율배반적인 것을 알지 못했다.

이렇듯 슐라이에르마허와 리출의 신학은 오랫동안 지켜은 성서의

무오설과 절대 권위에 대해 도전했으며, 성서의 상대적 이해로 말미암아

결과적으로 성서를 역사학적 방법분석적 방법, 과학적 방법에 따라 연구

• •

되어지는 재료로 정의하는 새로운 운동까지 일어나게 했으며, 이는 성서

비평학으로 시작되었다.!7)

 

3. 자유주의 신학의 특징

자유주의 신학적 특징들은 다옴과 같이 크게 여섯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자유주의 신학은 하나님을 내재적 하나님으로, 예수 그리스

14) 은준관, 교육신학j : 144.

15) Hugh Ros Mackintosh, Types qf Modem Theology: Schleiermacher to

Barth 김재준 역, r現代神學先騷者-쉴라이에르마허로부터 바르트까지j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3)175-176.

16) 온준관, 교육신학: , 144.

17) 위의 책, 144.

도를 인간 예수로 이해했다. 자유주의 신학자들에게 있어 삼위일체 하나님

에 대한 개념은 존재하지 않으며, 하나님은 초월하시는 분이 아니다. 자유

주의 신학은 자연과 초자연의 구별율 거부하며, 하나님온 초자연의 세계에

서 인간외 시공의 세계로 파고드는 분이 아니라 우주의 자연 질서 속에

편재해 있는 실체이다; 8) , 하나님은 유기체적 발전 과정 속에 창조적

에너지로서 내주하고 자연적 과정을 통해 활하는 실재이다.해 이로 볼

, 자유주의 신학자둘은.하나님의 내재성율 강조했으며,. 그들에게 있어

초월적 하나님의 절대적 주권보다는 인간 안에 내재하는 종교격 능력과

계속적 발전을 통해 근접할' 수 있는 인간 완성으토의 '지속적 과정이 관심

사 였다.20) 또한예수 그리스도는 삼위일체의 한 인격이 아니라 신성이 충

만한 인간이었다, 술라이에르마허의 말에 따르면 예수는 모범적인 최초의

그리스도인이었다. 예수가 그리스도인 것은 그의 속죄의 죽음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의 훌륭한 인격과 삶에 있다.21)

돌째자유주의 신학은 도덕주의의 특성을 지닌다. 자유주의 신학

의 본질은 예수 그리스도의 피가 우리틀 구원한다는 속죄론에 있지 않고,

예수의 고귀한 인격을 닮는 데 있다. 인간 예수는 도덕적, 종교적 완성자

로서 모든 인간돌율 위한 모범이요 위대한 교사이다.22) 그러므로 인간은

예수를 도덕적 모범으로 삼고 닮아야 한다. 즉 자유주의 신학은 예수를 인

간의 도덕적 모범으로 살고 따르는 도덕주의 신학이라고 할 수 있다.

.18) 박화경, “하나님 나라 구현을 위한 기독교교육: 20세기 기독교교육의문제 진

단과 새 방향 모색을 위한 한 연구”, 98.

19) 고용수, 만남의 기독교교육 사상(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94),

23.

20) 양금회, 1근대 기독교교육 사상, 415.

21) 김명용, 열린 신학 바론 교회론j , 221,

22) 고용수, •■만남의 기독교교육 사상j , 23.

- 12 -

셋째, 자유주의 신학은 낙관적 인간론을 펼친디. 자유주의 신학은

인간으로부터 출발한다.24) 또한 자유주의 신학에 따르면 인간 본성은 근본

적으로 선하다. 따라서 인간의 선성(善性) 속에 신성()의 씨앗이 있어

서 인간 자신의 내적 성품의 점진적 개발에 의해 하나님의 성품으로 자랄

수 있다자유주의 신학자들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흡사성(sim ila rity )

또는 유사성(likeness ) 이 있다는 낙관론을 취하였다. 나아가 안간은 약하고

부정적인 .존재가 아니라 오히려 가능성이 있는, 즉 인'간 자신에게 신뢰롤

걸어볼 수 있는 존재라고 판단했다.26)

넷째, 자유주의 신학은 이성의신학이다. 자유주의 신학은' 계봉주

의의 영향을 받아 인간의 이성을 존중하고 이성으로 모든 것을 판단한다.

따라서 이성에 맞지 않는 것은 진리가 아니라고 생각했다. 이 때문에 기독

교의 초자연적인 교리들은 부정되었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육체적 부활,

그리스도의 선재동정녀 탄생, 기적 사화 둥의 초자연적인 것을 기독교

사상에서 몰아내었다.

다섯째, 자유주의 신학은 성서를 인간에 의해 경험된 종교적 체험

의 문서라고 보았다. 자유주의 신학은 성서를 하나님의 말씀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 성서는 위로부터 온 계시의 책이 아니라 아래로부터 인간에

의해 체험된 신적 체험의 문서이며, “ 개인의 종교적 산 경험의 기록물

.28) 성서는 개개인의 경험이 신() 의식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

.

는 역사적 재료이며2®, 인간에 의해 경험된 종교적. 신적 체험의 문서.이므

23) 김녕용, 열린 신학 바른 교회론2m.

24) 양금희, 근대 기독교교육 사상j , 415.

25) 고용수, 만남의 기독교교육 사상j , 23.

26) 은준관, r2I육신학J , 145.

27) 김명용,

|열린 신학 바른 교회론j 221.

28) 위의 책, 220.

- 13 -

로 성서에는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이에 따라 자유주의 신학자

들은 신 구약 성서와 교회사에 대한 역사 비평법을 대폭 수용, 전개했고,

무엇보다 칸트와 헤겔과 같은 철학자의 영향을 받아 종교철학적 접근 방

법을 사용했다, 이는 신학외 학문성을 고양시키는 데는 큰 역할을 했지만

성서를 단순히 다른 문서와 동일하게 취급하는 결과를 낳았다.

여섯째자유주의 신학은 세상과 역사에 대해 낙관적 세계관을 갖

고 있었다;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세상과 역사가 발전해간다는 진보적 낙환

주의적 세계관을 갖고 있었다.32) 역사는 점진적으로 발전할 것이며,

땅에서 하나님 나라는 실현될 수 있다. 기혹교의 목적이자 기독교 공동체

의 최고선()온 하나님 나라의 건설이며, 하나님 나라의 건설은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라는 도덕적 왕국의 건설율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았

.33)

 

4. 자유주의 신학이 종교교육운동에 미친 영향

자유주의 신학이 종교교육에 끼친 영향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간

단히 설명될 수 있다.)

첫째, “세속문화에 대한 수용이다. 특히 커리t 럼을 개방하여 예

술과 과학의 요소들을 수용했다.

29) 고용수, . 병남의 기독교우육 사상j 24.

30) 김 병 용 ,열린 신학 바론 교회론, 220.

31) 양금희, r근대 기독교교육 사상j , 414.

32) 위외 책, 414.

33) 타화경"하나님 나라 구현올 위한 기독교교육: 20세기 기독S 교육의 문제 진

단과 새 방향 모색을 위한 한 연구”, 100.

34) Mary C. Boys, "Chapter 3: Religious Education,M Educating in FaithMaps

and Visions, (New YorkSeed & Ward, 1989), p. 46.

둘째, 종교적 삶에 있어서 희심과 중생이 아닌 성장과 연속성을 강

조했다.

셋째, 종교적 경험이 교의나 신조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는 신념율

갖고 있었다.

넷째개인을 복종시키거나 처벌하기 위해 외적 권위로 강요하는

것 보다 하나님이 개인에게 주시는 안으로부터 영감율 강조했다.

다섯째, 근대 성서 비평학을 수읓했다.

B. 진보주의 교육(Progressive Education)

자유주의 신학과 함께 종교교육운동에 결정적 영향을 끼친 사상은

존 듀이(Jo h n D e w ey, 1859-1952)룰 대표로 하는 진보주의 교육이었다.

보주의란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나타난 운동으로서 도시 산업화가 휩쓸고

있던 당시의 미국 사회와 폭발적으로 발전하는 과학에 도전장을 낸 운동

이었다. 그것은 미국 사회를제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었으며, 진보주의

사상가들은 미국 사회를 개혁하는 유일한 방법이 바로 교육이라고 천명했

. 진보주의 사상가들이 주장한 점을 간단히 요약하면 첫째, 사회 개혁

들째, 교육을 통한 개혁셋째, 교육의 개혁이다. 다윈의 진화론적 가치관

. 을 바탕으로 한 진보주의 사상은 허버트 스펜서 (H erbert Spencer), 스탠리'

(G . S tan le y H all), 월리엄 제임스(W illia m Jam es), 에드워드 손다이크

(E d w a rd L. T h o rn d ik e )와 같은 학자들의 이론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존 듀이외 진보주의 사상은 종교교육운동이 탄생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기에 다음에서 다루고자 한다또한 존 듀이를 비롯한 진보주의 사

상가들의 진보주의 교옥이 종교교육운동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35) 위의 책, 46-47.

- 15 ~

1. 듀이의 교육 이론

a. 듀이의 교육 철학

존 듀이의 교육원리둘은 그의 철학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그러

므로 그의 철학올 논하지 않고는 교육원리를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 듀이

의 철학을 논할 때 중요한 점은 그가 진화론직 근거를 취한다는 점이다.

듀이에 의하면 마음이나 육체는 가장 슛은 형태로부터 진화하는 투쟁 과

정에 있다. 따라서 그는 모든 ^야를 탐구할 때 다윈주의틀 표준으로 삼는

. , 그는 .다윈의 진화론적 우주론에 근거하여 세계와 사회를 이해한

.36)

그렇다면 먼저 존 듀이의 칠학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즉 인식론,

형이상학, 윤린로 나누어 알아보도록 하자.

첫째인식론이다. 보통 듀이의 철학은 도구설(in s tru m e n ta lis m )”

로 불린다. 이는 지식은 도구로서 인간들이 지식율 가지고 지식의 세계를

조종한다는 말이다. 또한 그는 경험을 강조했으며, 경험을 모든 지식의 원

천으로 보았다: 듀이에게 있어 지식과 관념은 경험을 조작하기 위한 도구

이다.38> 한 걸움 더 나아가 그는 종교가 개념 도구화되었다고 판단했다.

, 종교는 차갑고 형식적인 신조를 발달시키지만, 경험의 종교적 특성은

성장과 생동력을 준다.

둘째, 형이상학이디. 듀이에 의하면 초자연주의는 세계의 .어려운

문제들을 더 크게 부각시키는 원인이다. 또 초자연주의는 종교를 절대적인

것으로 만들기 때문에 종교를 손상시킨다. 따라서 게인이 경험 가운데서

36) 위의 책, 148-M9.

37) Elmer L. Towns, A History cf Religious Educators, 임영금 역, 인물 중

심의 종교교육사j (서물: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 1984), 479.

38) 위의 책481.

종교적 특성울 찾아내려면 먼저 그들의 기억들올 씻어내야 하고 역사적인

장애물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한디.. 고정된 신조는 없으며따라서 종교는

항상 유동적이어야 한다. 교리는 종교적 생활에 장애몰이 되며, 성서 자체

는 탐구와 실험의 정신올 단절시키기 때문에 종교직 삶에 교리와 마찬가

지로 장애물이 된다. 이로 볼 때, 듀이는 초월적 하나님을 인정하지 않았

. 왜냐하면 그에게 있어 절대직이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었다.

셋째/ . 윤리학이다. 듀이는 도덕적:진리도 계속변화된다고 생각했

. 삶 전체가 유동적이고 변화하기 때문에 도덕적 진리도 변한다는 것이

-. 듀이에게있어 고정된 도덕 원칙은 있올 수 없다.

b. 듀이의 교육 원리

지금까지 논한 듀이의 세 가지 철학을 바탕으로 이제 듀이의 교육

원리를 다섯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어린이 중심의 교육, 본질적

동기부여를 통한 교육, 활동율 통한 교육, 경험의 재건으로서의 교육, 사회

중심의 교육이 바로 그것이다,39)

첫째, 어린이 중심의 교육이다. 듀이는 학교교육의 대안을 찾으려

했으며, 그것은 수동적이고 기계적인 교수법, 통일 교과와 통일 교수법에

대한 반동이었다. 듀이는 당시 자신의 주장이 혁명적이라는 것을 알고 있

었으며, 그것을 코페르니쿠스가 일으킨 혀명에 비유했디ᅵ. 듀이는 이렇게

말했다:

그것은 .코페르니쿠스 (Copernicus) 가 소개했던 변화, 변혁과 다르지

않다. 코페르니쿠스에 의하면 천문학적 중심은 지구로부터 태양으로

39) Elmer L. Towns, A History cf Religious Educators, (Grand RapidsBaker

Book House, 1975), pp. 320-325.

바뀌었다. 이 정우엔 어린이가 태양이 되며이 태양 주위를 교육 기

자재들이 회전한다.4

이와 같이 듀이는 어린이 개인의 인격을 존중했다. 또한 그는 교육

이 미래의 어른들외 필요를 향하는 것이 아닌, 어린이의 당면한 현재룔 향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왜냐하면 어린이는 현대 자신의 환경에 대처할 수

£록 훈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본질적 동기부여를 통한 교육이다. 그는 기계직이고 강압적

' 교육 방법을 비난했고, 둥기 유발이 인간 내부로부터 4 와야 한다

장했다. 이런 맥락에서 교사는 독재자나 훈련 교관이 아닌, 인도자이다.

육은 교사가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학생이 행동하는 것이다.

셋째, 활동을 통한 교육이다. 듀이는 참 교육이 경험과 함께 시작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듀이는 내용 중심의 커리쿨럼이 어린이를 경

험으로부터 격리시킨다고 주장했다. “ 어린이는 행동함으로써 행동하는 것

을 배운다.”

넷째, 경험의 재건(re co nstru ctio n )으로서의 교육이다. 교육은 내용

의 전달이 아니라 경험적 학습으로서 끊임없이 경험을 재구성하는 과정이

. 그는 ‘‘극히 적은 경험이 수많은 이론보다 낫다. 왜냐하면 오직 경험

안에서만이 이론은 입증될 수 있는 중요성을 지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

. 따라서 주제를. 경험으로부터 분리사켜서는 았 되며, 어린이들로 하여

금 그들이 문제 해결옴 위해 최선을 다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섯째사회 중심의 교육이디-. 듀이에 의하면 학교는 사회를 움직

이는 지렛대이다. 또한 학교에서의 학습은 학교 밖의 학습에서 계속되어야

한다. 학교와 사회는 분리되어선 안 된다. 학교는 단지 사회를 반영하

40) 이 부분은 필자가 원문을 참고하여 채번역한 것임.

- 18 -

는 것이 아니라 변혁시켜야 한다. 학교는 공동체적 삶의 가장 기초적 형태

(em bryonic fo rm )로서 예술, 역사, 그리고 과학의 정신이 스며들어 있어야

한다. 만일 학교가 삶에 연관된다던 학습과 관련된 모든 것들이 상호관련

될 것이다.41)

2. 진보주의 교육이 종교교육운동에 미친 영향

듀이룔 비롯한 진보주의 학자들이 종교교육운동에 미친 영향은 다'

음의 세 가지로.요약될 수 있다.

첫째, 진보주의는 실천과 이론을 상호 연결시켰으며, 이는 행함으

토써 배움이라는 이른바 실습교육(hands- on e d u catio n )올 낳았다. 이러한

경험적 학습은 시카고 대학(the U n iv e rs ity of C hicag o ) 내 듀이의 실험학

교에서 구체화되었고, 이후 계속하여 교육학자들에게 많은 도전을 주었다.

둘째어린이 중심의 커리클럼은 종교 교육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었으며, 그들로 하여금 신조 중심의 커리쿨럼을 재고하게 했다.

셋째, 회심이 아닌 전인적 어린이(w hole c h ild )” 의 양육은 부쉬넬

의 양육 이론과 조화를 이루었다. 이는 종교 교육가들로 하여금 사회 과학

을 교육에 이용하고, 심리학을 교육에 적용시키게 했디-. 이는 종교 교

육가들의 효시적 주장인 교육이 정치적 행위와 종교적 행동이라는 양면적

성격을 지닌다는 것을 .정당화했다.

jil 교육운동 (Religious Education

Movement)

41) Mary C. Boys, "Chapter 3: Religious Education/1 Educating in Faith' Maps

and Visions, p, 47.

42) 위의 책, pp. 48-49.

- 19 -

진보주의 교육과 자유주의 신학의 결합은 종교교육 (religious

ed u catio n )율 낳았다. 종교교육운동은 1903년 시카고에서 창립된 종교교

육협회 (R e lig io u s E d u c a tio n A s s o c ia tio n )”에서 구체적 인 면모가 드러났다.

이 모임에서 당시 일반 교육의 대가로 알려졌던 듀이가 기조연설을 했고,

그는 이 협회가 세속교육을 위한 기관이 되기를 바랐다. 기조연설에 이어

듀이와는 다른 의견을. 가진 조지 앨버트 코우(G eorge A lb e rt Coe,

1862-1951)교육의 의한 구원(S a lv a tio n b y E d u c a tio n )"이라는 주제를

담은 "일반교육의 한 부분으로서의 종교교육(R e ligious E d u c a tio n as a

P a rt of Genera] E ducationV ’이라는 찬연을 했는데, 이 모임에서 우의 견

해가 채택되었다. 따라서 코우의 의견을 중심으로 종교교육협회는 조직되

었으며, 코우는 종교교육협회의 지도자로 등장하게 되었다.43) 코우의 사상

은 자유주의적-진보주의적 색채가 뚜렷하며, 종교교육운동을 통해 가장

명확하게 드러나고 있다.

한편, "종교교육협회ᄆ를 통해 구성된 종교교육학파 즉코우

(G eorge A lb e rt C o c)로부터 시작하여 바우어 (W illia m C la y to n B ow er),

이브(E rn est J. C have), 과스(S o p h ia L y o n F ah s), 엘리엇(H arrison S.

E llio t)으로 이어지는 종교교육학파에는 한 가지 중심 주제가 흐르고 있었

. 그것은 바로 공교육(P u blic P e d a g o g y )”에 대한 신념이었다. 공교육의

실현흘 위하여 하나님을 사랑이타는 경험이 부르는 이름'이라고 이해했으

며 종교를 민주적인 삶의 본질로 아해했다.. 또한 신과의 교제는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라는 사상율 수용했다. 간단히 말하면 종교교육협회는

교육의 사회화모델이론'즉 기독교적인 소망을 전수하면서도 동시에 자

유주의와 과학적 정신에 입각한 공교육 실현에 헌신했다.44)

43) 박화경, “ 하나님 나라 구현율 위한 기독교교육: 20세기 기독교교육의 문제 진

단과 새 방향 모색을 위한 한 연구”, 103-104.

- 20 -

여기에서는 대표 학자인 코우의 사상을 살펴본 후 종교교육운동의

자세한 특징들율 알아보고자 한디-.

1 . 코 우 의 교 육 사 상

1891년 보스톤 대학교(U n iv e rs ity o f B o s to n )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수여받은 코우는 자유주의 신학과 리출(A lbre cht R its c h l)의 도덕주의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 코우의 교육 사상적 특징은 2 우가 내린 기독교교육

의 징의와 목적에 축약되어 나타난다.

코우는 기독교교육에 대한 정의를 다옴과 같이 말했다, 기독교교육

이란 인간의 위대한 가치자인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가설과 인간을 무한

한 가치를 지닌 존재로 본 예수의 기본 가정에 근거해서 지도되는 인간

상호간의 관계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비판적인 김중괴- 재건이다. 여기서

코우가 전제하고 있는 바는 인간 경험 안의 창조적 에너지로서의 하나님

의 내재성이 인간의 모든 인격 속에서 작용한다는 것이다, 그는 그러한 전

제 위에서 교육의 기능율 인간의 존재 내의 종교적 차원을 다루어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가치 창조(혹은 재건)이라고 보았다.

또한 코우가 말하는 기독교교육의 목적은 사회복지, 사회정의,

계 공동체 이념에 기초한 하나님의 민주주의(the dem ocracy o f G od )

설과 "행복한 자아실현(happy self- realizatio n)“이다.46)

코우가 내란 기독교교육의 정의와 목적에 비추어 블 때, 그의 교육

사상직 록징은 다음의 여섯 가지로 축약될 수 있다.4

44) 은준관 외 7, *기독교교육사j , 358-359.

45) 고용수: 만남의 기독교교육사상j , 26.

46) 위의 책, 26.

47) 은준관, 교육신학j , 249-273.

칫째, 코우는 하나님을 진화과정의 원리으로 이해했다.

우의 하나님 이해의 기저에는 그의 이스라엘 역사관이 깔려 있다. 그러므

로 코우의 역사관을 던저 이해하는 것이 그의 하나님관()을 이해하는 지

름길이라고 할 수 있다.

코우는 역사를 결정론적이거나. 숙명론적이 아닌 진화론적 과정으

토 이해했다. , 그에게 있어 이스라엘 역사란, 본질현으로 성장의 이야기 , * '

이 며, 그 성정의 과정은 이스라엘에게 주어진 임무, 시련, 처벌그리고 보

상의 경험돌로 엮어진 이야기이다. 이는 하나님께서는 하나1^의 자녀 이스

라엘율 계속 성장시킨 과정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역사란 곧 하나님께서

인간을 교육하시고 성장시키시는 훈련의 장() 이다.

코우는 이러한 진화하는 역사의 과정 속에서 하나님을 민족을 훈

련시키는 교육자로 이해했다. 하나님은 민족을 훈련시키는 교육자일 뿐

아니라 개인의 삶을 실현시켜 주시는 교사이기도 하다. 또한 진화론의 관

점에서 볼 때 하나님은 진화의 전체 속에 내재하시며, 인간과 역사의 실현

올 가능케 하는 내적인 원리이다.

둘째, 코우는 인간을 가능적 인격(可能的 )으로 이해했다. 코우

는 전적 타락(to tal de p rav ity ) 라는 정통주의 신학의 인간 이해를 거부했으

반대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인간관을 주장했다. 인간은 전적으로 타

락한 존재도 아니요. 영혼이나 육체만을 가진 존재도 아니라 하나의 퉁일

되고 조화로운 인격올 가진 존재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교육의 목적은 인격 성장이며, 교육의 방법은

개인이 적극적으로 자기표현(self-expression )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

정이다. 따라서 교육 방법은 강요가 아니라 개인이 자기 표현을 할 수 있

도록 적절한 재료(fittin g m a te ria l)”을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코우는 교사를 대변자인 동시에 인격적 주체라고 이해했다.

- 22 -

교사란 앞서 말한 개인의 성장을 돕기 위해 적절한 재료를 제공하는 사

람들이나 기관이다. 교사란 함축적 의미를 갖으며, 넓은 의미에서 교사로

서의 기관인 교회와 좁은 의미에서 부모와 전문적 교사를 의미한다. 넓은

의미에서 교사로서의 기관인 교회를 보면교회는 인간의 인격적 가능성을

개발하고 성장시키는 가장 중요한 교옥자이다. 좁은 의미에서 교사는 부모

들과 전문적인 교사들이디ᅵ. 교사는 하나님의 도구이며, 동시에 하나님의

. '

뜻을 실현하는 사람이다.

넷째코우는 교육 목적을 인생의 목적 실현과 하나님의 민주주의

■ •' . '

실현으로 이해했다. 코우는 성인이나 교사 중심의 교육과 지나친 목적 지

향적 교육지나친 아동 중심의 교육을 배척했다. 권위주의적 교육온 학

습의 주체가 되어야 할 학생들을 소외시키는 걸과롤 낳으며, 지나친 목적

지향적 교육은 국가에 의해 인간이 기술화를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는 결

과를 낳는다. 또 지나친 아등 중심의 교육은 어린이의 삶에 너무 집착하는

나머지 인생의 목적이다 의미를 간과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렇다면 코우의 교육 목적은 무엇인가? 그것온 미성숙한 인간올

삶의 목직을 위해 발전하도록 돕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교육이란 윤리적

실현과 사회화(socialization) 모두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코우는 이 삶의

내용을 인간이 참여하여 실현하는 '‘하나님의 민주주의(the dem ocracy of

G o d )” 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종교교육의 목적은 하나님의 민주주의 .실현

이며, 이를 위해 교육과정.마저 윤리적, 도덕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코우의 교육 내용은 무엇인가? 코우는 그것을 한 마디로

사회적 이상주의(social id e a lism )라고 말한다. 빈곤 없는 경제 질서 확립,

사회복지환경 보호, 사희 정의형제애 둥은 하나님의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요소들이다.

다섯째, 코우는 교육의 장()을 사회화가 이루어지는 곳이라고 이

해했다. 하나님의 민주주의 실현은 사회화라는 구체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사회화를 통해 사회와 개인은 서로 상호 작용하여

보완하게 되며, 이 사회화는 개인에게는 자아의 성장사회에게는 진보적

재건이라는 결과를 낳는다.

여섯째, 코우는 교육 방법을 자기실현(self-rea]ization)이라고 이.

했다. 교육 방법에는 주입식 교육과 인격 원리(personality- principle ) 이라

는 두 가지 4&0i 있다. 주입식 교은 결국 성서를 산 진리가 아난 그저

문자로 전락시켰으며, 경험을 말살시켰다. 그러나, 인격 원리는 인간의 잠

재력과 가능성에서부터 출발하는 교육 방법이다. , 인격의 존엄에서부터

출발하는 교육 방법이다. 이 교육 방법은 자기표현(self- expression )과 자

기실현(self- realization )이라는 방법으로 구체화된다. 자기표헌, 자기실현의

방법은 사회화를 일으키기 위한 것이며, 이 사회화 속에서 인격 성장올 불

러일으키는 방법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코우는 자기표현과 자기실현의

방법올 전체토 종합하는 방법을 자기 통제(se lf- g ov ern m en t)라고 부른다.

자기 통제란 교사와 학생의 관계학생의 놀이, 커리끌럼의 주제 등 모든

것을 사회화의 실현이라는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2 . 종 교 교 육 운 동 의 특 징

기독교교육학자 메리 보이스(M a ry C. B o y s )는 종교교육운동의 특

징을 다옴의 열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설명했다.4®

첫째, 계시의 관점에서 보면, 성서와 전통적 형식의 예배는 더 이

상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 못했다. 또한 성서가 아닌 당시 지배적이었던

철학과 과학이 신학의 규범적 기준이 되었다. 하나님의 내재성미 강조되었

48) Mary C. Boys, "Chapter 3: Religious Education/ Educating in Faith Maps

and Visions, pp. 60-61.

- 24 -

, 계시는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발견되있다.

둘째, 회심의 관점에서 보면회심보다 성장이 강조되었다. 또 가정

과 교육적 과정이 회심을 불필요하게 만든다고 생각했다.

셋째, 신앙과 믿음의 관점에서 보면, 증교적 경험이 교의나 신조보

다 더 중요하게 여겨졌다. 교의는 "비과학적이었으며 권위적 체계에 연결

된 것이었다.

넷째, 신학의 관점에서 보면, 과학이.신학보다 '우세했다, 또 신학적

언어가 교육적 용어로 번역되어 사용되었다(예를 들면 에수님을 최고외

교육자로 본 것이다). 형이상학적 문제들에 대한 관심도는 떨어졌으며,

근대 성서 비평학이 사용되었다. 증교적 다원주의가 찬양되었고, 죄와 죄

의식의 가치는 절하되었다.

다섯째, 신앙과 문화의 관점에서 보면성스러움과 세속적임이 본

질적으로 조화로운 것으로 이해되었다. 진보와 민주주의가 찬양되었으며

종교는 여성과 성직자들만의 영역으로 밀려났다. 또 사회가 주요한 교육자

로 간주되었다.

여섯째, 교육의 목적은 사회의 재건이었다. 또한 교육의 목적은 지

속적인 성장과 전인적 인격의 형성이었다.

일곱째, 지식의 관점에서 보면, 신학과 실제를 연결시키려는 시도

가 있있다. 경험적 방법을 통해 발견된 객관적지식이 강조되었으며,

라와 인식을 존중했다. 그리고 감 정 주 의 를.배척했다.

여회째, 사회과학은 매우 중요했다. 과학적 방법과 전통적 기독교

를 조화시켰으며.. 심리학을 강조했다. 또 사회과학에 대한 관심이 신학에

대한 관심을 앞질렀다.

아홉째, 커리큘럼과 교수(te ach in g )의 관점에서 보면, 어린이 중심

의 커리큘럼이 신조 중심의 커리1 럼을 대신했다. 커리클럼이 더 포괄적이

고 인도주의적(humanistic)이었다. 또 커리"i럼은 교리를 덜 중요시 여겼

으며교수(te ach in g )의 과정을 강조했다. 교사는 권위자이기 보다는 인도

자로 간주되었다.

열 번째, 정치적인 교육의 관점에서 보면, 교육이 사회를 개혁하는

방법 중 최초의, 최고의 방법으로 여겨졌다. 사회 개혁과 교육의 형태는

연결되어 있었다. 또 민주주의를 무비관적으로 존층했다.

- 26 -

III. 20세기 후반의 기독교교육운동:

신정통주의 신학 (Neo-Orthodoxy)

영향을 받은 기독교교육운동

A. 전환기

10년부터' 1940년까지 황금기를 이루었던 자유주의 신학의 붕괴

와 진보적 종H 교육학파의 붕괴는 우연한 일이 아니있다. 신의 내재성과

인간의 가능성율 강조했던 낙관주의를 기초로 했던 자유주의 신학과 종교

교육운동은 1930년대에 들어 의문시되기 시작했으며여기에는 크게 두 가

지 이유가 있었다.49>

첫째, 유랍의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문명 파괴는 인간의 선함을

강조하는 낙관주의를 부정케 했다. 1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유럽의 사

. 정치적 구조의 엄청난 파괴는 종교교육학파의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발전 관념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했다.) 인간이 오랫동안 만돌어온 분명이

다시 인간에 의해 무참히 파괴되는 경험은 더 이상 인간을 무한한 가능성

의 존재로 볼 수 없게 만들었던 것이다.

들째1차 세계대전 이후 1929년에 일어났던 미국의 경제공황은

인간 낙관론을 불신하게 된 또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역사와 사회, 그리고 y 간에 대해 나타난 비관적 태도는 신학과 교

49) 은준관, 교육신학, 154.

50) Alasdair I.C. Heroa A Century cf Protestant Theology, 한승흥역, 20세기

신학사상: 술라이에르마허와 헤겔에서부터 리출, 칼 바르트, 불트만까지의j (서울: 성지

출관사, 1992)107.

51) 은준관, r교육신학: , 154®.

- 27 -

육에 지대한 영향올 미쳤다. 따라서 자유주의 신학은 시대적 상황으로 말

미암아 봉괴되었으며새로운 신정통주의 신학이 등장하게 되었다, 기독교

교육계 에서도 신정통주의 의 영향을 받은 기독교교육학파가 등장했다.52)

B. 신정통주의 신학(Neo-Orthodoxy)

1. 신정통주의 신학의 특징

신정통주의 '신학은 1919년에 시작되어 1950년대 중반까지 개신교

신학을 지배했던 선학이며이를 간단히 소개하자면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반발이라고 할 수 있디..53) 김재준은 신정통주의 신학을 가리켜 자유주의

가 하나님의 초월성과 인간의 죄인됨과 계시의 실재성, 그리고 기독교적

종말 사상 둥올 상실하여 사람들이 불안과 초조를 느끼고 있올 때 하나님

이 이 거대한 사상의 폭탄을 던지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렇게 20세기의 거대한 신학의 흐름을 미끈 신정통주의 신학의

공통적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의 다섯 가지로 실명할 수 있다,55)

첫째신정통주의 신학은 신의 주권성울 재확인했다. 내재적인 자

유주의 신학의 이해에 반하여 신정통주의 신학은 초월적이고, 타자적이고,

주권적인 하나님을 재확인했다. 하나님은 인간과는 질적으로 다른 존재이

, 하나님의 뜻에 따라 인간과 세계에 관계하시는 분이다. 따라서 하나님

은 역사와 자연의 "(r 가 되신다.

.52) 장남흉,•■新正£较 两學基礎基督敎敎育”(서을: 침례신학대학교 신학대

학원 신학과 석사학위 논문. , 5.

53) Iris V. Cully & Kending Brubaker Cully, Harper^ Encyclopedia of

Religious Education(San Francisco: Haiper & Row Publishers. Inc, 1990), p. 449,

54) 김재준, “신정통주의의 역사적 고찰,” r基督敎思想. (1960. 4.)15,

55) 은준: , 교육신학』,158- 159.

둘째, 신정통주의 신학은 계시(re v elation )” 롤 강조했다. 계시의 내

용은 하나님의 말씀이고, 계시의 성육신은 예수 그리스도이기 때문에 하나

님율 아는 지식의 근거는 바로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 사

건이다.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과 인간의 만남의 인격적 경험은 신앙으로

웅담되어지는 전 존재적 회개와 결단에 의한 것이디-.

셋째신정통주의 신학은 그리스도의 말씀 사건을.인간과 역사.

체를 향한 하나님의 창조적 은총의 사건으로 보았다. 예수는 자유주의 신

학에서 말하듯 도덕적 모빔이 아니라 하나님의 자기 게시이다.

넷째, 신정통주의 신학은 인간율 자유주의 신학이 말하듯 낙관적인

존재로만 보지 않는다.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았지만동시에

타락한 존재이다.

다섯째, 신정통주의 신학온 자유주의 신학의 주장인 사회의 점진적

발전론율 거부한다. 역사의 종말이 하나님의 심관과 약속 안에 있으며

사란 하나님의 나라가 도래함으로 완성되어 지는 것이다.

2. 신정통주의 신학의 선구자칼 바르트

위의 특징들을 가진 신정통주의 신학온 제1차 세계대전과 경제공

황으로 인해 인간의 낙관론이 혼들리면서 칼 바르트(K arl. B a rth ), 에밀 부

르너 (E m il B ru n n e r )와 같은 유럽의 신학자들이 새로운 신학운동의 주류를

형성하면서 시작되었다..

특별히 191'9년 칼 바르트의 로마서 강해j 의 출관은 자유주희

신학의 사라짐과 동시에 신정통주의 신학이라는 새로운 신학운동의 장

율 여는 계기가 되었다.칼 아담(K a rl A d a m )의 말에 따르면 바르트의

로마서 강해신학자들의 놀이터에 던져진.폭탄과도 같았다, 이 혁

56장남홍, "新正±義 神學基趣基督敎敎育' 9.

명적인 저서에서 바르트는 오직 은혜오직 신앙, 오직 성서의 종교개혁

원리를 재확인했다,57)

칼 바르트의 신학 혁명은 에밀 브루너(E m il B ru n ne r), 풀 틸리히(P aul

T illich ), 루돌프 블트단(R u d o lp h B u ltm a n n ), 라인홀드 니버 (R einhold

N ie b u h r)로 이어졌으며, 이들은 성서와 종교개혁자들에게로 돌아가서 그

곳에서 새로운 신학적 근거를 찾으려 했다.

칼 바르트를 알지 못하고는 오늘날의 개신교 신학율 알지 못할 민:

. 큼 중요한 신학자인 칼 바르트. 그는 신학 전반을 포함하여 특별히 기독교

교육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기독교교육학자 중에 직접적으로 바르트의

영향을 받은 사람은 제임스 스마트(Jam es D. S m a r t)로서 그는 칼 바르트

의 사상적 후예로 불려지고 있다. 또한 그는 가장 성실하게 신정통주의신

학과 기독교교육을 연결시켰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쉘톤 스미스(S he lton

S m ith )에 이어 1950년대 기독교교옥운등의 대표주자로서 기독교교육사에

지대한 공헌을.남겼다.

특히 스마트는 주로 바르트의 성서론교회론, 신론, 인간론의 영향

을 받았으며, 이러한 바르트의 사상은 스마트의 사상 속에 녹아 나타나고

있다.

앞으로 I I장과 II I장에서는 성서론, 교회론, 신론인간론을 중심으

로 칼 바르트의 사상을 살펴본 후 스마트의 사상, 흔 바르트의 사상과 .

마트의 사상 간의 연계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C. 기독교교육운동

57) Iris V. CuUy & Kending Brubaker Cully, Harpers Encyclopedia qf

Religious Education, p. 449.

58) 은준관 외 7, r기독교교육사j , 377.

1. 기독교교육학파 시대의 도래

앞서 서술했듯이 1920년부터 1940년까지 전성기를 누리던 자유주

의 신학과 자유주의 신학에 근거한 종교교육학파는 제1차 세계대전과 경

제 공황을 겪으면서 붕괴했다. 1차 세계대전에 뒤따른 인간 파멸과 절망

그 당시 유럽 사희를 뒤덮고 있던 나관주의를 무참히 깨뜨렸고, 경제

공황은 사회 구원의 낙 관 적.소망을 무너뜨렸다. 역사, 사회, 인간에 대해

나타난 비관적 래도는 신학과 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이에 따라 기

독교교육계도 1940년과1941년 사이에 커다란 사상적 변화를 맞게 되었

.59)

자유주의 신학이 와해되면서 화려했던 종교교육학파의 시대는 막

을 내렸고, 신정통주의 신학에 근거한 기독교교육학과의 시대가 도래했다,

사회화의 경험을 종교교육의 소재로 삼던 시대를 뒤로 하고 새로운 기독

교교육은 이제 계시, 성서, 교회를 소재로 하여 이론을 발전시켜 갔다.60)

새로운 기독교교육학파의 선구자는 셀톤 스미스(S he lton S m it h )였으며,

흐름은 대표적인 교육신학자인 제임스 스마트(Jam es D . S m a rt), 랜들프

밀러(R and olph M ille r), 루이스 쉐릴(L e w is S h e rrill)로 이.어졌다.

간단히 사상적 계보를 서술하자면 쉘톤 스미스의 사상온 칼 바르

트의 신 중심의 신학으로부터, 제임스 스마트의 사상은 칼 바르트의

씀의 신학으로부터, i 프 밀러의 사상은 마틴 부버의 관계의 신학

.월리엄 템플의 경험의 신힉으로부터, 루이스 쉐릴의 사상은 에밀 부르너

.틸리히의 만남의 신학으로부터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2. 기독교교육학파의 공통적 특징

59) 은준관, 1교육신학j , 287.

60) 위의 채, 288.

- 31 -

이제 신정통주의 기독교교육학자의 공통의 사상적 특징들을 네 가

지 범주 즉학습자 이해, 교육의 목적, 교육의 장교육 방법의 범주에서

알아보고자 한다.

a . 학습자 이헤

신정통주의 기독교교육학파의 학습자 이해는 학습자의 경험이나

능력을 강조했던 자유주의 종교교육학과의 이론과는.대조를 이룻다. 기독

교교육학파의 이론에 따르면 학습자는 첫째, 하나님의 자녀인 동시에 구원

올 필요로 하는 죄인이다. 둘째, 학습자는 한 인격인 동시에 학습자이다.

셋째, 학습자는 식견이 있고 책임감 있는 성숙한 그리스도인이 될 수 있

,61)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자녀인 동시에 죄인인 인간은 하나님께 있

는 초월적 가치와 연결될 때에야 비로소 가치를 지니게 된다는 점이다.

간의 최고의 목적은 창조적인 하나님을 영광스럽게 하는 데 있기 .때문에

기독교교육의 임무는 인간으로 하여금 하나님을 만나게 하는 것하나님의

계시와 대면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b. 교육의 목적

신정통주의 기독교교육은 교회의 계시적 교제 안에서 학습자들을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 속에 세워주고, 책임지고, 지성적이고, 장성한 그

리 스 도 인의 삶을 영위하도록 그들을 교육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신정통주의에 있어서 인간의 인격적인 변화, 즉 인간이 의롭게 되

고 거룩하게 되는 변화는 예수 그 리 스 도 를 통해서 우리에게 말씀하시는

61) Harold William Burgess, An Invitation to Religious Education, 오태용 역,

r기독교교육론. (서울: 전경사, 1989)., 151-154.

- 32 -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대면을 함으트써만 가능하다. 바로 이러한 인격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신앙이므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신앙율 갖게 하

고 그 결과 인격적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곧 기독교교육의 목적인 것이다.

C. 교육의 장

신정통주의 기독교교육의 교육의. 장은 학습자가 부름에 응답할 수

았게 힘을 .주는 성령이 임재하는 특수한 공통체, 곧 교회 공동체이다.

기서 기독교교육학자들의 견해에 따라 교육의 장이 넓어지기도, 좁아지기

도 한다는 것은 염두에 두어야 한다. 예를 들어 밀러에 있어서 교육의 장

은 관계가 이루어지는 장소 즉, 가정학교사회, 공동체, 교회를 다 포함

한다.

d. 교육의 방법

신정통주의 기독교교육의 교육 방법은 계시룔 전달하는 잠재적

으로 역동적인 수단으로 간주된다.

기독교교육학자마다 계시를 전달하는 독특한 교육 방법을 주장했

는데그 중 하나는 스마트가 주장한 성서 중심의 교육이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인간은 하나님과의 만남에서 비로소 그리스도인이 될 수 있으며

말씀과의 만남은 예수 그리스도의 신앙과 생활에 완전히 들어가게 한다.

IV. 칼 바르트(Karl Barth)의 영향을 받은

제임스 스마트(James D. Smart)

A.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

칼 바르트는 루터와 칼빈 이후로 20세기 개신교 신학을 지배한 기장 대표적 인 신학자라곤 불린다. 데이 빗 물러(D a v id L . M u lle r )술라아

에르마허를 19세기 신학을 지배했으며 자유주의 신학의 아버지라고 말했

둣이, 바르트를 20세기 신학올 지배하며 동시에 신()종교개혁 신학의 아

버지라고 부르는 것이 공평할 것이다타고 말했다.62) 이 글에서는 바르트

의 사상을 논하기 전에 먼저 그의 신학적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1. 바르트의 신학적 배경

바르트는 1886510일 스위스의 바젤에서 태어났다. 그는 스위

스 개혁교회의 목사요, 바젤에 있는 신학교 교수인 프리츠 바르트(F ritz

B a rth 의 장남이었다. 신앙의 가정에서 태어난 바르트는 자연스럽게 신학

의 길로 접어들었으며, 당시 유립 신학의 흐름대로 자유주의 신학올 접하

게 되었다. 특히 그는 칸트 철학과 술라이에르마허 신학으로부터 큰 영향

을 받았으며, 칸트학파 신학자였던 빌헬름 헤르만(Wilhelm Herrmann)

밑에서 공부하기도 했다.63)

그러나 자유주의 신학에. 물들어 있던 마르트를 변화시킨 것은 두

가자 사건이었다. 첫 번째 사건은 1911년부터 시작한 S a fe n w ill에서의 목

회였고, 두 번째 사건은 유럽을 거의 초토화시켰던 제1차 세계대전이었다.

62) David L. Muller, Karl Barth, 이형/ i , 칼 바르트의 신학사상j (서울: 도서

출판 엠마오, 1996), 11.

63) 위의 책, 13-15.

이 두 사건을 인해 바르트는 자유주의와의 결별을 선언했고, 하나님 중심

의 복음주의자로서 자신을 정립해 나갔다.

2. 바르트의 성서론: 말씀의 삼중성

혼히 바르트 신학은 그것이 유럽 사회의 위기와 하나님 앞에서의

개인의 위기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위기의 신학이라고 불리며, “ 변증법적

신학이라고도 불린다.65) 그러나 또 한 가지 중요한 점은 바르트의 신학이

말씀의 신학또는 하나님의 말씀의 신학이라고 볼린다는 사실이다.

만큼 바르트 신학의 핵심은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교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17세기의 개혁교회 정통주의가 말하는 성경의 무오성 즉, 성경

이 지닌 인간적인 측면과 오류 가능성을 도외시하는 성경의 무오성을 비

판했다. 그 대신 바르트는 계시의 3중성, 족 계시된 말씀인 예수 그리스도,

기록된 말씀인 성서, 선포되는 하나님의 말씀인 설교를 말함으로써 17세기

개혁교회의 정통주의 성서관을 뛰어넘어 성서의 권위를 재발견하게 하였

,66)

이러한 말씀의 신학으로서의 바르트 신학은 후대에 스마트의 기

독교교육이론, 특히 말씀 중심의 교육이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s 트의 하나님의 밀쫓에 대한 교리는 그의 저서 r교회 교의학j 에 잘 나

타나 있다,

하나님의 말씀아란 하나님께서 모든 인간들에게 말씀하셨프,' 말씀하시고

64) Iris V. Cully & Kending Brubaker Cully, Harper's Encyclopedia of

Religious Education, p. 449.

65) 위의 책, p. 449.

66) 고대홍, “칼 바트트의 성서론”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1999), 60-68

계시며말씀하실 말씀이다. 이 말씀은 인간들이 듣든 말든 모든 인간에

게로 향한다. 그것은 하나님이 인간에게인간을 위하여, 그리고 인간을

더불어 성취하신 일에 대한 말씀이다. 입을 다물고 있는 것이 아니리■,

가 하신 일은 큰 소리로 외쳐 말한다. 으직 하나님만이 그가 하시는 일을

하실 수 있기 때문에 오직 하나님만이 그가 성취하신 일을 통하여 그가

말씀하실 바를 말씀하실 수 있다..... 하나님은 일하신다. 그리고 하나님은

일하시기. 때훈에 말씀하신다. 그의' 말씀은 인간율 향해서‘ .오신다.”67)

위에서 바르트의 말을 비추어 볼 때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삼중적

형태로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인 예수 그

리스도,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인 성서, 선포되는 하나님의 말씀인 설교가

바로 그것이다. 그렇다먼 이러한 말씀의 삼중성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

.

a. 계 시 된 하 나 님 의 말 씀 예 수 그 리 스 도

바르트는 계시의 중심이 예수 그리스도에게 있다고 본다. 또한,

약성경(1:1141:2; 19:13)을 근거로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이 에

수 그리수도 안에서 가장 잘 표현된다고 말한다. 그는 계시와 예수 그리스

도와의 관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 계시란 예수 그리스도의 위격

(位格)이나 다름없다. 계시란 또한 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된 화해

나 다름없다. 계시에 대하여 말한다는'것은 '말씀이'육신이 되셨다라고 말

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

계시가 있기 때문에 정경, 곧 성서가 있고 성서가 있기 때문에 참

된 선포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계시는 성서와 선포의 궁극적 근거라고

67) David L. Muller, Karl Barth, 이 형 기 역 ,칼 바르트의 신학사상j , 59.

6잇 위의 하 60.

할 수 있으며시간의 과정 속에서 말하여 지는 행위 가운데 있는 하나님

자신의 말씀이다.

그러나 그는 성육신하신 하나님의 말씀을 유일한 말씀의 형태로

보지 않으며 오히려 말씀의 2차적 형태로서 기록된 말씀과 설교된 말씀올

말하고 있다. 기록된 말씀과 설교된 말씀이 성령을 통해서 일어나는 하나

님의 은혜로운 행동과 현존에 의해 하나님의 말씀이 되지만, 이는 부차적

인 하나님의 말씀인 것이다

b . 기 록 된 하 나 님 의 말 씀 성경

바르트는 성경을 가리켜 이렇게 말한다. “ 성경은 하나님이 그것율

그의 말씀되게 하시는 한, 그리고 하나님이 이 성경옴 통해서 말씀하시는

한 하나님의 말씀이다.” 또한 성경은 그것이 성령에 의하여 교회를 위한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증언이 되기 때문에 거룩한 하나님의 말씀이다

. 말한다,TO

따라시 바르트는 성령으로 성경의 기자에게 영감을 주신 하나님께

서 성령을 통하여 이들의 중언 속에 다시 현존하실 때 우리는 성경이 하

나님의 말씀임을 고백한다.

여기서 그는■ • • , 17세기 정통주의가 주장한 성경의 무오성에 대한 교

리를 비판한다. 17세기 정통주의는 무조건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과 동일사

해버렸다. 따라서 이 정통주의는 성경의 본성을 오해하고 성경의 인간적

측면과 오류 가능성을. 무시했다. 그러나 바르트는 말씀의 삼중성을. 주장하

면서 성경의 새로운 권위를 확보했다.

69) 위의 책, 61.

70) 위의 책, 62.

C. 선 포 되 는 하 나 님 의 말 씀 설 교

바르트는 특히 루터에게 있어서 설교가 하나님의 말씀인 형태인

사실에 근거하여 선포되는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설교에 관해 주장한다.

이러한 전통을 바탕으로 바르트는 하나님이 인간의 하나님의 말씀 선포인

교회의 설교를 통하여 성경이 중언하는 말씀을 말씀하신다는 것이다. 다음

의 설교에 관한 두 진술에서 바르트는 자신의 입장율 잘 드러내고 있다.

교회에서 .발견되는 하나님에 관한 언어는 선포인데, 이 선포는 설교와 성

례전의 형태로 인긴:에게 주어진다. 그런데 이 교회의 선포는자기에게

주어진 위탁에 따라 인간에게 신앙으토 둘려질 하나님의 말씀을 말해야

할 것올 주장하며 그것을 기 대 한 다

"하나님의 말씀은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의 선포에 있어서 하나님 자신이

. 하나님께서 자기 자신에 관하여 말해야 할 책임을 교회에게 위탁하는

그리고 교회가 이 위탁 명령을 수행하는 한, 그의 증인들을 통하여 그

의 계시를 선포하는 것은 하나님 자신이다. 이 선포가 인간의 말이지단

계시에 대한.성경적 중거에 일치한다면, 그리고 이것이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순중을 창조한다면 교회의 선포는 순수한 교리이다.”

바르트는 이러한 .설교에 대해 몇 가지 주장을 편다. 첫째비록 교

회가 하나님에 관하여 발할 수 있는 여러 수단돌이 있다 할지라도 설교와

성례는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 왜냐하면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이 .

두 수단을 통하여 하나님의 계시를 선포하도록 위탁받았기 때문이디ᅵ.

, 설교가 참 설교가 되려면 오직 성경 안에 중언된 하나님의 말씀에만

순종해야 한다. 셋째성경 말씀이 성령올 통한 하나님의 임재로 말미암아

71) 위의 책, 63-65.

- 38 -

살아 있는 하나님의 말씀이 되는 것처럼 설교자의 인간적인 말이 성령을

통하여 시시때때로 살아 있는 하나님의 말씀이 된다.

3. 바르트의 교회론

a. 교회를 위한 학문신학

현대. 신학에서 신학을 철저히 교회의 학문으로. 세운 것은 칼 바르

트였다. 그래서 바르트는 신학을 '교회의학문으로 보는데, 이는 신학의

출발점이 되는 신앙이 어디까지나 교회와 관련된 진앙이기 때문이다. ,

그의 신학의 출발점은 삼위일체론의 하나님의 행동과 계시의 중언으로서

의 성서이고, 바르트에게 있어서 교회는 신학하는장소가 된다. 그러므로

신학은 근본직으로 교회의 가르침으로써 교회의 교의학이라는 한정을 받

는다. 말씀의 사건이 일어나는 장소와 현실성올 인정할 때만이 신학 이론

은 생명을 가진다.

또한 바르트는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이라고 보며, 그리스도의 진

사건율 통하여 교회로 부르심을 받은 백성들이 교회의 존재를 가능하게

하는 요인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그리스도의 전 사건은 교회 형성을 이루

게 하는 근거이며 그. 내용이 된다;73)

이로 볼 때, 바르트의 교회론은 신학의 과제를 교희를 위한 봉사

의 학문으로 만들었다는 점에서 현대 신학에 큰 공헌올 했다고 할 수 있

.

72) 신성임, "칼 바르트 교회론에 비추어 본 교회의 사명”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

학대학교, 1994)26.

73) 은준관, "칼 바르트의 교회론 이해r바르트 신학 연구., , (서을: 대한기독교

서호, 1.970), 125.

- 39 -

b. 교회의 임무

교회는 무엇올 위해 존재하며, 어떤 임무를 가지고 세상 속으로 보

내심을 받았는가? 바르트는 성령의 현존과 활동 안에서의 교회의 다양한

임무와 책임을 논하고 있다. 바르트에 의하면 교회는 성령의 능력을 입어

세상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중인이 되어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를 중언

하는 것이 바로 교회의' 임부이며교회는 오직 이 임.무만을 위해 존재한

.74) 이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중언은 교회의 모든' 봉사를 요약한 것이라

고 할 수 았다: 교회의 제일의 봉사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말씀되고,

취된 하나님의 말씀과 화해의 역사에'대한 중언의 봉사이며, 바르트는 이

터한 교회의 봉사를 열두 가지의 형태로 나눈다. 그 중 여섯 개는 교회의

말씀의 봉사에 속하며, 다른 여섯 개는 교회의 행위에 속한다.

교회 의 말씀에 속 하 는 봉사의 여섯 가지 형 태 는 다 음 과 같 다 .75)

첫 째 , 예배 시의 찬 양 이 다 . 이것은 인간의 소 리 로 할 수 있는 최 고

의 표 현 으 로 , 교회의 봉 사 형 태로서 필수 불 가 결 한 기 본 형 태 이 다 .

둘 째 설 교 이 다 . 이는 회 중 에 게 복 음 을 선 포 하 는 것 으 로 서 성 서 에

근 거 한 것 이 어 야 하 며 교회의 모 음 과 세움의 근 거 가 된 다 .

셋째교육이다. 교회는 그 구성원과 세상을 가르쳐야 한다. 이 교

' • • •

육 은 하 나 님 의 완 전 한 뜻 을 알 수 있게 하기 위 함 이 다 .

넷째, 전도이다. 바르트는 전도와 실.교를 구별한다. 전도는 교회 갱

신을 위한 요소이다.

다 섯 째 , 선 교 이 다 . 교회의 부 르 심 은 곧 이 세상에 속해 있는 교회

밖의 수 많 은 민 족 들 과 이방 세계 에 게 말씀을 전 달 하 라 는 명 령 이 다 .

74) 윤성범, r칼 바르트j , (서울: 대한71독교서회, 1968), 177.

75) 김철민, “칼 바르트의 교회론 연구’’, (석사학위논문장로회신학대학교, 1992),

42.

- 4*'

여 섯 째 , 신 학 이 다 . 신 학 은 교회에 봉 사 하 는 학 문 으 로 서 교회의 자

기 비 판 에 필 요 하 다 .

다 옴 으 로 교회의 행 위 에 속 하 는 봉사의 여섯 가지 형 태 를 살펴

보 자 .

. 첫 째 , 기 도 이 다 . 이는 교 회 와 개 인 올 영 속 적 으 로 보 중 하 는 것 으 로

서 행위에 있아서 기 본 요 수 이 다 .

' , .

둘 째 , 영혼의 치 료 이 다 . 교회의 중언의 한 표 식 으 로 서 교 회 가 담 당

하 는 목 회 이 다 .

셋 째 , a 리 스 도 인 의 모 범 적 인 삶 이 다 . 믿 음육 세 상 가 운 에 서 하 나

님의 특 별 한 행 위 를 나타내기 위해 교회의 모 범 을 보 여 주 는 것 이 다 .

넷 째 집 사 직 이 디. 집 사 직 이 란 특 수 한 봉사로서 교회 안팎의 궁핍

한 자 를 돕는 행 위 를 말 한 다 .

다 섯 째 , 예언자적 행 동 이 다 . 교 회 는 끊 임 없 는 자 기 성 찰 과 개 혁 을

통해 때의 징 조 률 인 식 하 고 다 가 오 는 일 들 을 예 지 하 는 가 운 데 세상에 앞

서 야 한 다 .

여 섯 째 , 친 교 이 다 . 세 례 와 성 만 찬 은 이 친 교 를 확 립 하 는 공 동 체 의

중 요 한 요 소 이 다 .

4. 바르트의 신론

a. 삼위일체론

바 르 트 의 삼 위 일 체 론 은 세 가지 명 제 들 로 압 축 할 수 있디-.해 첫 째

하 나 님 은 그 본 질적 존 재 , 흑 은 본성에 있어서 하 나 이 시 다 . 그는 3신 론

(tritheism )율 반 대 하 며 무 엇 보 다 하나님의 하 나 되 심 과 통 일 성 을 강 조 한 다 .

바 르 트 는 삼 위 일 체 론 을 가리켜 셋 이 면 서 하 나 라 고 하 였 다 .

76) David L. Muller, Karl Barth, 이형기역1칼 바르트의 신학사상그 , 73-75.

둘째바르트는 전통적인 삼위일체론을 따라 하나의 하나님 존재

안에 3 인격, 3위격, 혹은 3존재 양식가)이 있다고 말한다. 그는 하나님은

한 분이시지만 3실존 양식을 가지신 한 분이다. 그리고 이들은 상호 관계

속에서 성부, 성자성령이시다라고 말한다. , 하나님의 "하나 되심

셋 되심이 있다.

셋째, 나뉠 수 없는 하나님.의 전작인 본질이 하 나 님 .재의 3양식.

각각에 해당된다. 따라서 학나님의 .본질이 하나넉의 3존재 양식들' 사이에

서 나뉘어 질 수 있다고 하든가, .부의 붕질이 성자. 안에서 흑은 성령 안

에서 축소된다고 주장하는것은 옳지 않다. 하나님 존재 3 양식은 상호 간

에 침투 또는 내주(內住)한다.

b. 하나님의 속성

첫째하나님은 하나님의 자유 안에서 사랑하는 자로서 완전한 분

이다.

들째, 하나님은 보편적인그리고 막연한 중성직인 초월자가 아니

라 오히려 구체적으로 자신의 자유로운 뜻에 의하여 자신의 백성 즉, 이스

라엘 민족을 빼내어 다른 민족으로부터 구별시키는 하나님이시다. 뿐만 아,

니라 하나님의 구체적인 행동이 만민에게 미칠 뿐 아니라 모든 백성이 하

나님의 경륜과 섭리 속에서 인도함을 받게 하신다. 따라서하나님온 이스

라엘율 통히1 실현되었던 구원의 .역사를 더 구체적으로.실현시켰을 .뿐 아

니라 성령을 통해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살리게 하 며 /이 를 통해 구원에

이르도록 하신다.

셋째하나님은 사랑이시다. 하나님은 사랑의 주체자로서 인간과의

77) 바르트는 "양태라는'말을 의식적으로 피하고 있으며, 대신 존재 양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디..

교제를 원하시고 만나기를 원하시는 하나님이시다. , 하나님의 사랑은

인간과의 만남 없이는 그것이 존재 불가능하기 때문이 아니라 단순히 하

나님은 사랑의 하나님이시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인간은 하나님으토부터

사랑을 받게 됨으로써 현실적인 사람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넷째, 하나님은 자유 가운데 있는 존재이시다, 하나님의 사랑은 거

룩한 사랑으로서 인간의 어떤 계기로부터도 초월한 사랑이디-. 바르트에게'

있어 이러한 하나님의 사랑의 자유로음은 내재성올 위한 자유성을 의미

한다. 이는하나님이 피조물 가운페 내재 하실.수 있는 자유성을 의미한

,78)

5. 바르트의 인간론

인간이 인간의 본성을 알기 위해서는 자연스러운 자기 이해에서 출발할

수 없다. 바르트는 참다운 인간의 자기 이해와 참다운 하나님의 이해는 상

호상관관계에 있다고 보았으며, 하나님의 피조물로서의 인간이 참된 자기

본성에 대해 알려면 예수 그리스도 안에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에 귀를 기

울여야만 가능하다고 말했다;해 이런 사상율 .기초로 한 바르트의 인간론은

다음의 두 가지 사상으로 요약.된다.

a. 참인간, 예수

바르트는 인간 예수께서는 그 자신이.게시하시는 하나님의 말씀

이기 때문에 이 분은 하나님에 쇠하여 피조된 인간 본성을 알 수있게 하

는 원천이시다라고 말했다. 따라서 참다운 인간을 발견하기 위해서 우리

는 죄인인 인간율.먼저 볼 것이 아니라 인간 예수님을 먼저 바라보아야

78) 윤 성 범 ,칼 바르트j , 128-133.

79) David L. Muller, Karl Barth, 이형기역, r칼 바르트의 신학사상j ; 133.

한다. 예수님은 인간의 본성을 완전히 표출시키셨으나, 우리와는 다르디-.

왜냐하면 그는 하나님과 연합되었고, 죄가 없으시기 때문이다.

참인간이신 예수님을 통해 보여 지는 인간 본성의 특징은 첫째,

간 본성은 언제나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서 이해되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바르트는 예수님이 선택된 인간이며 또 나미지 인간들도 이 예수님과 더

블어 .선택되었4 고 말한다.. ^ 인간이 하나님의 뜻에반대되는 죄와 비

존재의 세력으로부터 구원받도록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예정되어있다는

것율 의미한다.

들께, 민간 본성의 또 다른 특징은 인간은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다

는 점이디•• 인간은 하나님께 말씀을 듣고 부름 받은 피조물이다.

셋째, 인간의 참 존재는 인간 예수에 근거한 역사 속에 존재한다.

이 때 하나님은 인간율 위해 존재하려고 하시고 인간은 하나님을 위해 존

재할 수 있다.

넷째참인간이란 예수 그리스도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은혜에 직면

한 피조물, 이 은혜에 의해 지탱되는 피조물t 이 은혜로 구원받는 피조물

이다. 인간은 하나님의 은혜를 전적으로 수용하며 인간은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로 옹답함으로써 하나님의 피조물로서의 임무틀 실현한다.

b 하 나 님 의 언약의 파 트 너 , 인 간

첫째, 인간은 하나님의 언약의 파트너로서 하나님과 사귐을 가지고

확도록 창조되었다.

둘째, 인간은 본전적으로 타자와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이다. 인간

은 다른 사람들과 사귐율 갖고 대화를 나누며 다른 사람들을 위해 살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살아갈 때 인간이 된다고 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를 깨닫는디.. 이러한 존재로서 인간은 자신이 공동체를 위해 피조되있을

- 44 -

뿐 아니라 하나님의 한 공동체적 존재임을 알 수 있다.

B. 제임스 스마트(James D. Smart, 1906-82)

앞서 서술했듯이 제임스 스마트(Jam es D . S m a r t)는 기독교교육학

자 중에 가징직접적으로 바르트의 영향을 받은 학자이며, 가장 성실하게

신정통주의신학과 기독교교육을 연결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셀톤

스미스(S he lton S m ith )에 이어 1950년대 기독교교육운동의 대표주자로서

기독교교육사에 지대한 공힌을 남겼다.

1940년대 초까지만 해도 스마트는 캐나다에서 사역하는 일선 목회

자였으며 캐나다 낙스 대학(K n o x C o lle ge )의 성서 신학자였다. 스마트가

기독교교육과 관계를 맺게 된 것은 그가 1944년부터 1950년까지 미국 장

로교회(Presbyterian C h u rc h in the U .S .A .)의 새 커리큘럼 r C h ristian

F a ith and L ife (그리스도인의 신앙과 삶)j 의 개발에 편집장으로서 참여하

면서부터였다. 이 경험은 스마트로 하여금 성서와 기독교교육 사이에 새로

운 연결을 시도하는 계기가 되었다. 커리쿨럼 작성 과정올 통해 기독교교

육의 교육신학의 문제에 관심율 갖게 된 스마트는 드디어 1954교회

.교육적 사명(T he T eaching M in is try o f th e C hur<± )j 이라는 유 명 한.'

책을 출판하기에 이르렀다.8이 그는 이 책을 통해 말씀올 장으로 하는 기독

교교육을 주장했으며지ᅵ연스렇게 스마트는 칼 바르트의 사상적 후예로 지

칭되 었다.8^

특히 스마트는 바르트의 사상 중에서 그의 성서론, 교회론, 신론,

인간론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렇다면 과연 바르트의 사상이 어떻게 스

80) 고용수, 교회의 교육적 사명율 강조한 교육 신학자, 제임스 스마트/’ r기독교

교욕j 290(1992. 9.)61^62.

81) 은준관, r교육신학j , 299.

- 45 -

마트의 사상 속에 녹아있는지 연구하는 일은 흥미로운 일임에 틀림없디.

다음에서는 스마트의 대표적 시상들올 살펴보면서 바르트의 사상과의 연

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스마트가 살았던 시대적 상황

스마트가 살았던 시대는 자유주의 사회 .

향율 끼쳤던 시대였다. 그 당시 의 신학자 중 G eorge A lb e r t C o e는 자유주 .

의 전통을 대표하는 영향력 있는 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앞서 달했듯

이 그는 종교교육 운동을 주장했으며, 신학적으로 종교교육운동은 자유주

의적이고 인본주의적이었다. 그것은 인간의 선함과 발전, “ 하나님의 민주

주의와 인간의 형제에”, 인간의 고통과 악을 줄이기 위한 이성과 과학의

힘에 대해 강한 신념을 갖고 있었다. 성경은 인간 최고의 이상직 책이었으

나 그런 다른 좋은 책 중의 하나에 불과했다. 사람들은 주로 경험과 실험

을 통해 배우려 했고, 교육은 사회와 인류의 재구성을 향한 대담하고도 창

조적인 여행이었다.

스마트는 종교교육을 이러한 사상으로부터 방향전환한게 만든 대

표적 인물이었디-. .바르트의 신하에 기초하여 스마트는 교육을 교회와 사역

의 중심에 되돌려 놓아야 한다고 생각하기, 사작했다.

2. 바르트의 성서론의 영향을 받은 말씀의 기독교교육

바르트가 신학의 핵심이 말씀에 있다고 본 것처럼, 스마트는 기

독교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심 되는 개념이 " 말씀이라고 보았디.. 이 말씀

은 바로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그리스도 안에서 나타난 말씀으로, 동시에

82) Craig Dykstra, "James Smart's Contribution to the Pastor as Educator."

Quarterly Review 3 (Fall, 1983): p. 79.

성서 안에 기록되어 있는 말씀이다. .스마트는 이렇게 말씀 중심이 되어야

할 기득교교육이 종교교육운동에 의해 무시되었옴을 안타까워하면서 진정

한 기독교교육이 살아나려면 기독교교육 안에 말씀 중심의 개념이 되살아

나야 한다고 주장했다.83:1

스마트는 그의 저서 ^교회의 교육적 사명 (T h e T eaching

M in is try of the C hurch)^ . ' . . 에서 말씀과 교회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

함으로써 밀:.#. 중요성을1강조했다.

■•교회는 하나님께서 말씀으로 자기를 계시할 때에 생겨진 인간의 기관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중인으로 그에게 옹답하면서 사는 하나님의 백성

들이다.., 교회는 스스로 존재하는 실재가 아니고 하나님께서 말씀으로 자

나타내실 때에 비로소 생겨지고 또한 존속되는 것이다. ”

■•하나님께서 어떻게 자신을 나타내셔서 교회를 불러 일으키셨는지, 또 계

속하여 자기률 나타내심으로 교회를 존속시키셨는지의 사실에 대하여 기

록한 것을 교회가 보존해 왔다. 그것이 곧 성경이다. 성경은 교회를 창설

하신 하나님의 말씀의 기록으로써 이 말씀올 바로 듣고 순종하는 교회는

언제나 새롭게 지읍율 .받는다. 그버므로 하나님의 말씀과 교회는 분리될

수 없다.1’

위에서 볼 수 있듯이 스마트의 신학의 핵심은 계시'” 에 았다.

계시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자신을 계시한 하나님의 말씀이녀, 계사가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장소는 교회이다. 따라서 계시, 즉 말씀과 교회 사이

83) 은준관, r교육신학, 298.

84) James. D. Smart, 7he Teaching Ministry cf the Chirdi. 장윤철 역 , 교회의

교육적 사명j (서울: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60), 37-38.

에서 우선순위를 따진다면 스마트는 주저하지 않고 말씀이 첫째요, 교회는

둘째라고 대답했다. 교회는 전적으로 말씀에 의존했기 때문에 말씀 없이

교회가 존재할 수는 없다. 그러나 역으로 말씀은 교회가 없어도 여전히 하

나님의 말씀인 것이다.

더 나아가 스마트는 교회에서 율바른 성서 해석과 사용의 중요성.

을 강조했다. 그는 r 교회의 교육적 사명j 7장에서.교회학교에서 성 .. ■ • ... .

경올 사용하는 데 발생하는 몇 가지 문제점ᅵ들올 나열했다.8® .

첫째,.학생들의 성경 지식이 단편직이라는 죽제점이다. 학생들은

교회학교를 몇 년 동안 다니는 동안 성경 전체를 이해하지도 못하고, 성경

안에 어디에 무엇이 있는지 모른다.

둘째, 성경이 단편적이 된 이유 중의 하나는 그돌 마음속에 역사적

구조와 배경이 없기 때문이다.

셋째도덕주의의 복면이다. 성경을 도덕직 교훈으로 연구하는 것

은 성경을 가리우는 지름길이디. 성경은 모든 모범적인 사람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연약함 가운데 구원을 받고 하나님 나라에 들어간 비밀을

알려준다. 여기에서 스마트는 자유주의 종교교육운동올 정면으토 비판했

.

넷째단계 설정의 중요성이다. 열심 있는 교사들이 많이 가르치려

하기 , 때문에 아이들이 성경에 대해 반감을 가지는 일아 많다. 아이들이 전

혀 이해 수 없는 이야기를 듣거나 배우면; .아무리 애튤 써도 성경은 이

해할 수 없는 책이 되고 만다.따라서.단계틀 선정하는 일은 성경을.사용

, . . .

하는데 있이서 반드시 해야 할 일이다.

다섯째, 아이들이 성경의 여러 가지 문학 형식율 구별하지 못하고

있다. 아이들이 성경을 공부할 때 여러 가지 문서를 구별할 능력이 있으면

85) 위의 책’ 181-191 .

성경이 오해하는 일을 많이 면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일상용어와는 색다른 사상형식을 생각하지 못하고 있다.

성경에는 우리의 일상용어와는 다른 것이 많이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

경의 특수한 용어를 배워야한다. 성경에는 많은 의미가 가려져 있는데 그

것을 드러내어 찾아야 한다.

일곱째, 현재를 위 한. 계시를 분별할 수 있이야 한다. 교회학교에서

성경을 다를 때 성경과 그 내용에 관한 지식올 전달하는. 것율 초월하여

바로 오늘 우리에게 어떤 것을 원하시고 말씀하시는가룰 알도록 해야 한

. 아이들은 성경에 나타난 신앙과 생활, 또는 성경을 통하여 그들의 것

이 된 신앙과 생활에 따라서 행동하고 말하는 능력율 갖추어야 한다.

사람이 성경을 공부하는 목표는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을 완전히 알고,

의 빛에 비추어 자신의 모든 생활올 이해하고, 말과 행실 뿐 아니라 자신

의 전 존재가 언제든지 하나님외 실재에 대한 산 중거가 되는 것이다.

여기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스마트는 성서와 신앙을 기독교교육의 중심으

로 다시 회복시켰다는 점에서 기독교교육직으로 커다란 공헌을 했다고 할

수 있다.

3. 바르트의 교회론의 영향을 받은 교회의 교육적 사명

a. 교육과신학

바르트가 그의 교회론에서 신학올 철저히 교회의 학문으로 세우고,

신학을 교회의 학문으로 정립했던 것처럼 스마트도 신학을 1교회를 위한

학문으로 정립했다. 나아가 바르트가 교회를 신학하는 장소토 말했던 것

처럼 스마트 또한 교회를 신학하는 장소로 보았다. 스마트의 주장에 따르

신학은 교회가 하는 일이므로 교회의 개념에 의하여 신학의 개념이

결정된다.”

- 49 -

그리고 바르트가 신학을 교회에 봉사하는 학문으로서 교회의 자기

비판에 필요하다고 말했듯이, 스마트도 신학의 임무가 교회가 그 존재에

대하여 아주 신중히 반성하게끔 하고 그 교회가 하나님의 교회되기에 부

족한 점이 어디에 있는가를 철저히 검토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신

학은 비판적이어야 하며, 교회의 생활과 신앙을 검토하고 교회의 상태가

악화되기 전에 경고를 주어야 한다. 위로 볼 때 .알 수 있듯이 신학의 가장

. .' . ' . ,

중요한 임무는 교화가 그 본성에 관해 혼란스러워 하고 믿음이 흔들릴 때,

그것을 드러내 밝히고 가장 참된 .교회가 ..려면 어떻게 하여야 하는지를

탐구하는 데 있다.

b. 교회의 교육적 사명

바르트는 교회의 말씀에 속하는 붕사 중 하나로서 교육을 주장한

바 있다. 바르트에 따르면 교회는 그 구성원과 세상울 가르쳐야 하며,

옥의 목적은 하나님외 완전한 뜻을 알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

. 바르트의 이러한 사상을 이어 스마트는 기독교교육학자로서 특별히 교

회의 교육적 기능을 강조했다.

스마트에 따르면 교회는 필연적으로 교육적 기능율 가지며, 교육은

교회의 본질에 속하는 .일이다. 그러므후 교육에 대한 책임은 은, 교회. 전체

가 져야 하며, 이는 교사 몇 사람만 담당해야 할 일이 아니다.

과거에 .교회는' 교역자의 직무는 설교와 목회이며 교육은 비본연의

임무라고 생각하였다,. 그런 생각은 신학교의 커리쿨럼에도 그대S 받영되

어 설교와 목회 외에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교역자 양성을 목표로 작성되

었다. 그러면, 교회가 교육을 해야 한다는 신념의 근거는 무엇인가?

86) James D. Smart, The Teaching Ministry qf the Church, 장윤철 역, r교회의

교육적 사명 j , 37.

그것은 성경에 분명히 나타나 있다. 신명기 6장에는 하나님을 사랑

하는 것과 함께하나님에 대한 사랑의 표현으로 자신돌의 신앙율 자손들

에게 가르치고 있디-. 그들에게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과 자녀를 교육하는

활동은 분리될 수 없는 것이었다. 이러한 교육의 책임은 이스라엘 성인 사

화 전체에 부과된 것이었다. 이스라엘 가정의 절기 의식은 종교교육을 할

수 있는 기회였으며 이때 아버지는 제사작과 교사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신약에 있어서, 예수 주위에 몰려 혼사람들에게 예수는 예언자라기보다는

교사였는데, 그들이 예수를 람비, 즉 신생이라 부른 것에서 .알 수 있다.

터나 설교하는 일과 교육하는 일온 완전히 분리될 수 없는 상태로 이루아

졌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하나님의 말씀은 그 말씀에 응답하는 사람들

에게 두 가지 봉사를 요구하는데그것은 말씀을 전하는 일과 가르치는 일

이다. 즉 설교(p re ac h in g )와 교육(teaching), 예인과 가르침은 늘 공존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면 설교와 교육은 어떤 점에서 같으머 어떤 점에서 다른

? 스마트는 여기에서 설교와 교육의 차이점을 자세히 설명한다. 설교와

교육은 모두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봉사라는 점이 같으며 그 내용이 예수

그리스도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같다.미 그러나 설교는 주로 믿지 않는 이

..들을 상대로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일이고, 교육은 주로 이미 회개하

고 하나님에게 돌아온 사람들 혹은.신자의 자녀로서 아직 불신앙면을 많 .

이 가지고 있으면서 부모의 감화i 어느 정도의 신앙을 .가지게 된 아* 1

향한 것이다. 교회가 교육을 강조하면 도덕주의, 율법주의로 빠지게 되

복음의 선포에만 관심을 가지면 설교한 말씀이 청중의 생활까지 파고

들지 못하는 불행을 낳게 된다. 따라서 완선한 교역에는 설교와 교육이 모

두 필요하다. 앞서 말했듯이 설교와 교육, 예언과 가르침이 늘 공존해야

87) 여기에서도 까르트 신학의 흔적올 볼 수 있다.

- 51 -

하는 것이다.^^

4. 바르트의 신론의 영향을 받은 교육의 주채자로서의 하

나님

스마트의 신학의 바탕은 바토 정통적인 삼위일체의 신학이었'.

마트의 삼위일체 교리는 바르트의 삼위일체 교리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러 , * .

스마트의 삼위일체 교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성부 하나님은 기독교교옥을 계시 위에 놓는 주체가 되시며, 성자

하나님은 기독교교육의 내용이 예수 그리스도이고, 성령 하나님은 기독교

교육의 모든 상황 속에서 임재하고 역사하시는 분이다.

좀더 자세히 말하면 성부 하나님은 전능하신 아버지며 천지의 창

조주로서 만물을 자기 안에서 또 자기의 능력으로 존재케 하시는 분이다.

또한 세상을 창조하실 때나 세상을 구속하실 때 하나님은 말씀으로 나타

나셨다. 그러나 크는 죄 많은 인간의 세상 속에 들어오실 때 인간이 귀로

듣고 입으로 말할 수 있도록 그의 말씀이 육신이 되셨어야 되었다. 그런

말씀은 하나님 자신과 분리할 수 없는 것이므로 인간이 하나님을 성령으

로 받아 드리지 않고는.말씀을 받아드릴 수 없다. 또한 하나님이 .인간에게

그의 말씀을 들려주시고 인간0i 그것에 응답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이 성령

의 힘으로 인간의 속에 거하시지 않으면 안 된다.8®

스마트는 이러한 삼위일체신학이 모든 기독교교육의 신학적 근거

가 된다고 생각하였으며이 삼위일체 교리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신학과

교육의 주체가 삼위일체 하나님이시라는 것이다. 인간이 하나님의 말

88) James D. Smart, The Teaching Ministry qf the Church, 장윤철 역, 1교회의

교육적 사명, 19-34.

89) 위의 책, 113-118.

씀에 신앙으로 응답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힘이 아닌 성령의 힘이 우리 았

에 거하셔야 하며, 그런 우리에게 하나님께서 신앙을 기대하신다는 것은

우리의 전 존재를 드려서 그의 목적을 위해 우리 자신율 무조건 그가 하

시는 대로 두라는 뜻이다.

5. 바르트의 인간론의 영향을 받은 피교육자로서의 인간

스마트는 20세기 초 종교교육운동이 주장했던 도덕주의적 인간관

과 낭만주의적 인간관을 배격했으며, 대신 바르트의 인간관을 따라 인간의

특성을 서술했다. 바르트의 인간관과 같이 스마트의 사상에 따르면, 인간

은 죄인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하나님의 자녀라는 것이다. 인간은 하나님

깨 말씀을 듣고 부름 받은 피조물이며,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존재이다.

둘째, 인간의 참 존재는 인간 예수에 근거한 억사 속에 존재한다. 이 때

하나님은 인간율 위해 존재하려고 하시고 인간은 하나님율 위해 존재할

수 있다. 셋째, 참인간이란 예수 그리스도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은혜에 직

면한 피조물, 이 은혜에 의해 지탱되는 피조물, 이 은혜로 구원받는 피조

물이디. 인간은 하나님의 은혜를 전직으로 수용하며 인간은 .하나님의 은혜

에 감사로 응답.함으로써 하나님의 피조물로서의 임무를 실현한다. ,

스마트에 따르면.인간이 참인간이 되려면 하나님 앞에서 회심

(con v ersio n )” 해야 한다. 왜냐하면 인간은 회심율 통해서 하나님을 새롭게

관나고 하나님과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한 자만이 자신의 존재를 새롭게

인식하며 변화될 수 있기 때문이디.

이러한 인간 이해를 토대로 볼 때 기독교교육의 진정한 목적은 바

회심’’이다. 중요한 것은 이 회심은 인간이 하나님께 다가가는 것이 아

니라 하나님께서 직접 인간에게 오셔서 그 인간을 변화시키고 그의 삶올

성숙시키는 과정이라는 점이다. 또한 회심은 일회직인 것이 아니라 회심을

- 53 -

경험한 인간은 성장을 이루게 되며 이 회심과 성장은 하나님 안에서 하나

의 통일을 이루게 된다. 기독교교육의 목적온 바로 이러한 인간의 성장을

돕는 것이다.

이토 볼 때 교회학교의 사업은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죄인을

회개하게 하는 일이요, 둘째는 회개한 사람을 은혜 속에서 자라도록 가르

치는 일이다. 또한 교사가 할 일은 도덕적인 인간의 품성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기독교의 진리를 모두 학습자에게 공개:하여 하나님이 그들의'

경험 속에시 일하고 계신다는 사실을 이해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사와

교회학교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인간아 이 세계의 신비를 느끼고 그 신비

의 열쇠인 하나님의 계시를 연걸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90)

6. 기독교교육의 3대 기관

스마트가 기독교교육학자로서 바르트의 사상으로부터 자신만의 사

상을 전개시킨 것이 있다면 바로 이 부분이다. 스마트는 기독교교육이 이

루어지는 3대 기관을 교회, 가정, 공립학교로 잡았다.

첫째,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교육 형태는 앞서 서술했듯이 설교

..(preaching)과 교육(Leaching)묵 대변된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교육의 기관은 가정이다, 하나님이 만드신 가정은 그의 질

서 안에서 남녀관계아이들, 사회 전체의 건전 여하가 다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기독교인의 가정이 그 신성한 질서를 잃어버리게 되면 그 영향

은 제일 먼저 부모의. 영적 권위의 상실로 나타나게 되늑데, 그 결과 아동

들은 영적 진공상태에서 자라나게 된다. 그럴 경우 가정은 그 거룩한 질서

신앙의 온상이 되는 일을 하지 못하게 된다. 부모가 어떤 종교를 가지

고 있는지는 자녀의 종교생활의 방향율 결정하는데 강력한 영향을 준다.

90) 위의 책, 195- 212.

따라서 부모는 자기둘의 기독교 교육적 책임을 깨달아야한디-. 그리고 스스

로 자기 자녀들과 착실한 기독교적 관계를 가지도록 교회를 통해 도움을

받아야 하며, 스스로 훈련하여야 한다.

세 번째의 교육의 기관은 공립학교이다. 교회는 교회 밖에서 행해

지고 있는 학교교육 즉, 공립학교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왜냐하

면 교인들은 성인이 되기까지 생외 대부분을 공립학교의 영향을 받으면서

자라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독교인들은 공립학교 교육이 이 세대 사람들의'

마움올 기독교의 신앙에서 점점 멀 ^지 게 하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는

것을 염려하고 있다. 특히 기독교인들은 인본주의 철학이 기독교적 성숙이

라는 탈을 쓰고 교회교육에 침투해 들어오는 일을 당연히 염려해야 한다.

교회와 공립학교 교육과의 관계를 바로 이해하려면 기독교와 문화라는 관

점에서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 왜냐하면지역사회에 있어서는 교회가

기독교의 유일한 대표기관인 것처럼 학교는 문화의 유일한 대표기관이기

때문이다. 모든 교육이 문화적인 것이 되려면 종교적으로 의의가 있어야하

고 신학적 전제에 근거해야한다. 즉 교육자는 자기가 애써서 가르치고 있

는 세계의 의의를 알도록 힘써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신학이 없는 교육이

란 있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단순히 공립학교에시 기독교

과목율 한두 시간 넣는 적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오히려 매주 25시간

의 문화적 활동을 모두 기독교적 월리에 근거하여야 하고 또 그 속에.

독교적 원리를 포함하도록 하는데 두어야한다. 그리스도는 교회의 추인인

동시에 문화의 변화자이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은 세상 속에서 신앙인인

동시에 문화의 변화자로서 설 수 있어야 한다.9!)

91) 위의 책, 237-256.

V. 현대 기독교교육학자들의 제안

지금까지 20세기의 대표적인 기독교교육학자들의 이론을 살펴보았

. 특별히 조지 알버트 코우가 이끈 종교교육운동과 그에 반발한 제임스

스마트의 신정통주의에.입각한 기독교교육운동을 살펴보았디 . 그렇다면,

20세기 기독교교육으로부터 현대 기육까지의 흐름은 어떻게 이어지

고 있는가? 20세기 기혹교교육의 흐름의 큰 숲을 살펴보는 것은 21세기

한국교회와 한국 기독교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데 도움올 줄 것

이다. .

여기에시는 먼저 20년대 기독교교육 이론들로부터 현대 기독교교

육 이론돌까지의 흐름을 개관한 후 대표적인 현대 기독교교육학자들인 존

웨스터호프(Jo h n H . W esterh o ff III), 메리 보이스(M a ry C . B o y s), 리차드

오스머(R ich ard R . s m e r )의 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A. 현대 기독교교육의 흐름: 20세기에서부터 현대

까지

20세기 기독교교육의 흐름은 호레이스 부쉬넬(H orace B u s h n e ll)

부터 시작한다. 부쉬넬의 양육 이론의 .흐름을 이은 학자는 앞서 설명한 조

지 알버트 S .(G eorge A . C o e )이며, 그는 30-40년간 종교교육운동을 이

끌었4 . 그러나 쉘톤 스미스(S he lton S m ith ).랜돌프 크럼프 밀러

(R a n d o lp h C. M ille r), 제임스 스마트(Jam es S m a r t)는 종교교육운동의 사

회론에 쐐기를 박으녀 신정통주의에 입각한 기득교교육운동을 이끌었다.

이들의 기독교교육운동은 한동안 기독교교육의 흐롬을 장악하다가 1980

대 이후 교희의 성장 정체 현상이 나타나게 되자, 기독교교육학자들은 새

로운 이론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이 때 엘리스 넬슨(C. E llis N elsorO

- 56 -

스터호프(Jo h n H . W e ste rh o ff III)은 신앙공동체 이론을 내놓았디, 넬슨과

웨스터호프 이후 사라 리틀(S ara L ittle )과 메리 보이스(M ary C. B oys),

리차드 오스머 (R ic h a rd R . s m e r )는 종교교수(re ligious te a ch in g )와 의도

적 가르침의 중요성율 주장했다

이들 현대 기독교교육학자들의 흐-i -을 간단한 표로 나타내면 다음

과 같다.

부쉬a 의 양육이론 코우의 사회변혁이론 스마트의 교회의 교육적

웨스터호프의신 앙 삐 아론 보이스와 오스머의 교수법이론

<1> 현대기독교교육학자들의 흐름

92) 김도일, "교회의 교육적 사명,” r2i세기 기독교교육의 신 학 . 이론 실천: 임창

복 박사 회갑기념 논문집j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4), 168.

- 5 7 -

B. 현대 기독교교육학자들의 제안

1. 존 웨스터호프(John H. Westerhoff III)의 제안: 신앙

공동체의 회복

존 웨스터호프(Jo h n H . W e s te rh o ff III) 박사는 현재 듀크 대학교

(D u k e U n iv e rsity )의 기독교교육학 교수토 재직하고 있다. 웨스터호프는

a 의 사상을 대변하는 저서 내일의어린이를 위한 가치(V alu e s fo r

T o m o rro w 's C h ild re n )j r .리의 어린이가 신앙을 가질 것인가? (W ill

O u r C hildren H av e F a ith ? )j 를 들 수 .있는데, 이 저서들애 나타난 그의

사상은 크게 세 가지로 집약할 수 있다.93)

첫째, 1980년대 미국 주일학교의 위기와 죽음을 선언한 웨스터호프

는 그 죽음의 이유를 기독교교육의 기초가 흔들린 데서 찾는디.. 과거 주일

학교의 교육은 학교식-교수식 패러다임(schoo lin g- teachin g p a ra d ig m )w

교육에 빠져버렸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교회의 주일학교교육이 공교육과

학교식 교육에 의존함에 따라 신앙의 양육과 의사소통이 실패했다는 것이

.

들째, 과거의 주일학교교육이 공교육과 학교식 교육에 의존했기 때

문에 실패했으므로, 웨스터호프는 이제 교회교육은 유기체들 사이의 관계

의 틀과 그 환경올 총칭하는 생태 (echology )를 회복하는 데서 찾아야 한

n 주장한다. ,' “신앙공동체(fa ith c o m m u n ity )” 를 회복해야 '한다는 것.

이다. 웨스터호프가 말하는 신앙공등체란 삶을 보는 관점에시 시로 나누

, 또 의미를 부여하는 자리이다. 신앙이란 공동체의 삶 속에 참여함으

로써 나누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93) 은준판r “5. 현대의 교육신학” r기독교교육사j (서율: 도서출판 교육목

, 1992), 450-454.

셋째, 이렇게 삶을 나누는 신앙공동체 내에는 세 가지 영역이 있으

, 그것은 예배의식(ritual), 경험(experience), 행동(a c tio n )이다. 예배는 신

앙공동체에서 가장 중요한데t 이는 예배(ritu aU 는 하나님과 이웃과 세계와

의 관계 경험의 의미를 드러내는 공동의 의식이기 때문이다. 신앙공동체의

두 번째 영역인 경험(expericncc)는 공동체적 경험을 의미하며, 세 빈째

영역인 행동(actio n )은 기독교인으로서 하나님의 역사적 행동에 중인자로

동참,한다는 것을 말한다이러한 웨스터호프의 신앙공동체 이콘은 오랫동안 .교회가 망각해

온 교육의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

2. 메리 .보이스(Mary C. Boys)의 제안: 제자직과 시민직

을 위한 교육

메리 보이스(M a ry C . B o y s) 박사는 현재 뉴욕 유니은 신학교

(U nio n T heological S e m in a ry )의 실천신학부의 종교교육학 교수로 재직하

고 있다. 보이스는 제자직과 시민직, 전통과 변혁의 합류를 시노하는 기독

교교육학자이다. 그녀는 바람직한 기독교교육학자는 기독교 전통의 접속올

쉽게 하고, 가르칠 내용을 분명히. 명시하며, 기독교. 전통올 끊임없이 갱신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런' 기독교교육학자는 전통에 나타난 진리, 사랑,

가치, 하나님 등의 근본율 재성찰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보이스의 가르침

은 변혁적인 교육올 추구하는 것이며, 이 가르침은 개인과 사회의 변.혁 사

아에서 다리 역할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그녀의 주장은 자연히 제자

직과 시민직의 이론으로 이어진다.

제자직과 시민직의 이론에 중점을 두고 있는 보이스에게 있어 중

요한 질문 중 하나는 어떻게 가르침이 개인적인 회심율 넘어서서 사회의

변혁을 꾀할 수 있을까? ”이다. 따라서 의도적인 가르침 (intentional

59 -

te a c h in g )이나 번혁적인 교육은 정치적인 목표, 즉 변화하는 사회를 좀더

정의롭게 만들고자 시도되는 것이타는 것이다.)

보이스에게 있어서 의도적인 가르침(in te n tio n al te a c h in g )이란 지

식의 완벽한 습득과 창조적 상상력의 개발그리고 공동체로부터 얻어지는

지 혜 를. 포함한다. 여기서 교사는 공동체의 지혜 선통을 이어주는 책임을

부여받았으며, 나아가 가목침이란.학습자로 하여금창의적 상상에 이르게

하고 건강한 이미지- I 만들게 하며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올 갖게 하는 작

입이라: (L 할 수 있다.

요약하면보이스는 사회 변혁율 추구하는 가운데 의도적 가르침의

목적을 강조한다. , 변혁율 추구하기 위해 가르처야 하며그 가르침은

학습자로 하여금 제자직과 시민직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

는 것이다.)

3 . 리 차 드 오 스 머 ( R i c h a r d R . O s m e r ) 의 제 안 : 교 육 목 회 의

회 복

리차드 오스머(R ichard R . O sm e r) 박사는 현재 미국 프린스톤 신

학교'(Princeton T h e o lo g ical S e m in a ry )' 기독교교육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는 신학적인 교육의 접근을 통해 기독교교육은 루터와 칼빈의 신

학에 뿌리는 두어야 한다고 주찾한다. 다시 말해, 개혁 신학에 뿌리를 둔

기독교교육을 잘 감당하려면 개혁 신하의 원초인 루터와 칼빈의 신학을

94) 김도일, 교육인가, 신앙공동체인가?,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8), 193.

95) ‘제자직 과 시 민직이론에 대해서는 Mary C. Boys의 책 Educatkm for

Citizenship and Discipleship, 김도일 역, 제자직과 시민직울 위한 교육j (서울: 한국장

로교출판사1999)에 자세히 설명되이 있다.

- 60 -

잘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기독교교육 이론의 핵심은 개혁 신

학에 바탕을 둔 의도직인 가르침 (in te n tio n al te a ch in g ) 이다. 의도적인 가르

침이야 말로 이 시대를 공격하고 있는 파괴적인 도전을 막아낼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그는. 교회 가 교수직(te ach ing o ffic e )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

장한다.96) “ 교수직이라는 역할이 없이는 교회는 교회가 되지 못한다로 달

하며, 그는 오늘날 주류 교회들이 위기에 빠진 이유는 교희가 진정한 교수

직율 상실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 목사들이 교획에서 교인들을 성

서적, 신학적으로 가르칠 수 권위를 잃어버렸으며, 이는 목사가 교사로서

의 권위를 잃어버렸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교회가 이 시대에 만연한 개인

주의의 물걸에 맞서서 교인들에게 성경과 기독교교리률 가르치는 일에 실

패한 결과이다.

오스머는 교회의 교수직을 강조하면서, 이렇게 말한다. “ 교수직이

야 말로 마치 우리 듬에서 심장으로부터 모든 기관에 피를 보내는 동맥과

같은 역할을 한다.”쌔 따라서 교수직은 교회의 생명선과 같은 것이다.

는 교회의 교수직의 세 가지 임무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Q 교회의 일반적 신념과 예배 의식의 결정.

오늘의 상황에 맞게 위의 신념.1올 재해석함.

정해진 십념에 따론 보회의 교육 제반 부서 형성과 유지. 교제 개발과

과정의 유지와 매번 새로운 서대들에 의해 의터 있게 재정람 또는 재

유용될 수 있게 하며, 각 개인들이 깊은 이해로 그 신념들과 예비 의식들

을 소화할 수 있게 함.9

96) 김도일r교육인가, 신앙공동체인가? j , 214.

97) 위의 책, 218.

98) 위의 책218.

- 61

이제까지 말한 오스머의 이론을 요약하자면, 그는 목사들이 교수직

의 진정한 권위를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그돌이야말로

교인돌에게 가르칠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또한 의도직인 가르침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지속적으로 좋은 전통을 만들고,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VI. 21세기 한국 기독교교육을 위한 제안

A. 현 한국교회의 상황

한국교회는 사실상 마이너스 성장 시대로 접어들었다. 1970, 80

대 산업화 물결을 타고 수직 성장이라는 놀랄 만한 기록을 세웠던 한국교

회가 90년대 들어 성.장 둔화. 현상을 보이다가 최근에는. 성캉 감소 현상이

통계상으로 나타났다. 본교단의 경 우 도 .2 0 0 2 ^ 12월 현재 전년도 대비

0.03퍼센트로 교세가 중가한 것으론 나타났으나 사실상 인구의 자연 중가

와 교인들의 수평이동 둥을 고려한다면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9

아래의 표는 한국와 종교인구 비율의 변화를 잘 나타내주고 있다. 1985

부터 1999년까지 불교, 천주교의 인구는 중가했옴에 반해 기독교의 인구는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2> 한국의 종교인구 비율

구 분 1985199119941999,

종교인구 비울 42.6 54.0 49.9 53.6

불교 46.9 51.2 48,9 49.0'

기독교 37.7 34,4 36.5 34.7

천주교 10.8 10,6 11.7 13.0

유교 2.8 ' 1.8 0.8 1.2

원볼교 0.5 0.6 0.6 0.4

천도교 0.2. 0.3 ' 0.2 0.1

. 타 ᅵ .1,1 . 1.1 1.3 1-5

자료통계: http://www.nso,eo.kr 2000323

게다가 한국교회의 성장 감소와 더불어 교회학교 또한 성장 부재

99) 박만서, “9월 특집/교세 감소 시대 대안은 있다' r한국기독공보j ; 2003. 9. 6.

5.

- 63 -

의 사각지대로 볼릴 만큼 어려움율 겪고 있다. ‘교회학교 학생이 줄고 있

는 말은 더 이상 교회에 충격을 주지 않는다.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

기 때문이다. 총회 통계위원회(위원장: 이용남가 최근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유아부에서 청년부까지 교회학교 부서 전체적으로 약 2 만 명이 감

.소했다고' 한다. 특히 중 . 고등부 학생들은 5년 사이 7 만 명 이상 감소한

것으로 드러나 충격..던져 주고. 있다.1W

B. 한국교회의 쇠퇴 원인

1. 다원주의의 영향

오늘날 다된적 문화 현상은 유일한 구원과 절대적 진리를 말하

는 기독교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견지한다. 따라서 기독교 문화단을 받아

들이는 것은 편협하고 웅졸한 선택이라고 생각되어 지며, 한국인의 삶 속

에 교회는 단지 하나의 영역으로만 생각되어지게 되었다.

특히 한국 종교문화는 다종교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현재 한국 사

회에는 한문 문화권을 대표하는 유교, 인도 문화권을 대표하는 불교, 그리

고 중동과 서구 문화권을 대표하는 기독교가 공존하고 있다. 게다가 무교,

즉 샤머니즘까지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다원주의와 다종교적 특성으로 인해 교회는 신앙의 유일한

장이.아닌 신앙의 많은 장중의 하나로 전락했다.

2. 이기주의의 영향

통계청 이 발표한 ‘2002 한국의 사회 지표에 따르면 한국사회에 새

로운 종류의 자기중심적 이기주의가 확산되고 있다고 한다. ‘만을 강조

100) 이상훈, “교회학교 부서벌 증감 현황”, r한국기독공보J , 2003. 9. 6. (3.

- 64 -

하는 이 새로운 이기주의는 미이즘(m e is m )’이타고 불리며자기 자신의

느낌과 행북이 모든 가치 판단의 기준이 된다. 과거 한국사회가 우리

심의 네트워크였다면 현대는 중심의 네트워크라고 한다.) 극단적 예

를 들면 최근 문제시 되었던 한국부모의 원정출산을 들 수 있디-. 그 목적

은 자녀의 마국 국적을. 얻어 교육과 병역 면제 등의 혜택을 누리고자 하

기 위함이라고 한다. 또한, 공부만 잘 해서 일류 학교에만 들어가면 최고

라는 가경 분위기와 학교 분위기, 그리고 힘들고 책임이 수한되는 과정흘

생략하고 손쉽게 결과만을 안겨 주는 가정교육의 부재그리고 개인의 지

적 향상만을 절대시하고 인간으로서의 자질에 등한한 학교 교육의 부재

속에서 한국인들은 병들어 가고 있다.

이 신종 이기주의는 교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대부분

사람들의 교회에 가는 기준은 그것이 자신에게 가시적 이익을 가져오는지

의 여부이다. 또한 부모들이 아이들을 교회학교에 보내는 기준은 교회학교

내 아이에게 이익올 주는지의 여부이다. 즉 아이의 영적 문제보다는

교회학교 교육이 얼마나 아이의 지적 능력을 향상시키는가가 중요하다.

라서 교회학교 교육이 어떤 가시적 효과를 불러오지 않는다면 부모는 더

이상 그 아이를 교회에 보내고 싶어 하지 않는디..

3. 물질만능주의의 영 향

한국 사회의 지나친 물질적 가치믜 추구는 .정신적 가치의 퇴조 현

상을 심화시켰으며, 도덕성의 퇴행을 야기했디-. 물질만능주의 사회에서는

물질이 사회 전반을 지배하기 때문에 한국 사회도 신앙과 같은 영적인 문

제에 가치를 두기 보다는 경제적 안락을 추구하게 되었다. 대부분의 불질

만능주의에 물든 사람들은 수단과 방법올 가리지 않고 돈을 빌며, 돈을.

101) “한국사회 바뀌고 있다1문화일보j 사설, 2002. 12. 26. 6.

- 65 -

해선 쉽게 도덕과 윤리, 신앙도 버린다.102) , 인간의 가치나 영적인 가치

는 절하되고, 돈을 비롯한 물질의 가치가 절상되게 되었다.

C. 21세기 한국 기독교교육을 위한 제안

스마트는 기독교교육의 3 대 기관을 교회, 가정, 공립학교로 보 고 ,

3대 기관미 친밀하게 연결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주장이 가능했던

이유는 스마트가 살았던 1940-50년대의 상황이 공립학교가 교회의 영적,

재정적 지원율 받으며 교회의 권위 아래에 았었던 시대였기 때문이었다.

그렇다면 오늘 한국의 상황을 보자. 스마트가 살았던 시대와는 달

리 그리스도인은 교회 생활과 공적 생활의 심각한 분리를 겪고 있지 않온

-? 주일의 생활과 주중의 생활이 진혀 다른그야말로 주일에만 신자인

선데이 크리스친이 생기지는 않았는가? 교회가 공직 교육, 즉 국가가 하는

교육에 대해 영향율 끼치기는커녕 관심조차 가지지 않는 상황에 와 있지

는 않은가? 어쩌면 교회가 사회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하게 된 것은 위와

같은 원인이 초래한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른다.

이러한 한국 상황을 고려할 때 스마트가 주장한 교회, 가정, 공립

학교간의 상호연계성미 우리의 정황 속에 실현되기 위해선 다움의 몇 가

지 사항이 선행되어야 한다.

첫째, 성도들로 하여금 그들이 세상 속에 있으나 세상에 속하지 않

은 그리스보의 제자임을 일깨워주어야 한다.. 진정한 그리스도의 제자라면

교회에서도 .맡은 역할을 잘 감당하는 신자인 동시에 사회에서도 자신의

삶을 잘 영위하는 정신이 필수적이다. , 메리 보이스(M a ry C. B o y s )

주장했던 제자직(discipleship )과 시민직(d tiz e n s h ip )^ ® 이 한 사람의 그리

102) 이숙종, r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j r (서울: 대한기독교서회2001), 97-99.

103) Mary C. Boys, Education for CitizensMp and Discipleship, 김도일 역, r

스도인 안에서 연합되어져야 한다. 오늘날의 기독교교육이 너무 제자직에

치중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시민직이 강조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둘째, 교회 내에서 제자직과 시민직의 역할이 연합되어 져야 한다.

개개인의 신앙 성숙도 중요하지만 이제는 교회가 나서서 시민직의 역할인

사회복지에 참여해야 함디-. 예수님께서 친히 우리에게 보여주신 것처럼 사

회 의헐벗은 자배고픈 자, 병든 자를 고치고 도와주어야 한다. 아러한 시

민직올 충실히 감당할 때교회에 .대한 공신력이 회복되고 교회가 사회에

영향력을 줄 수 위치에 서게 될 것이다.

셋째, 성도들이 제자직과 시민직을 균형 잡히게 감당하려면 교회가

신앙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어쩌면 신앙생활은 주일에만 하는 것이라는

고정관념 때문에 교회, 가정, 공립학교가 따로따로 분리되었는지도 모른다.

따라서 주일의 신앙과 주중의 신앙이 연결될 수 있도록, 즉 세상 속에서

신앙인으로서의 시민직을 감당할 수 있도록 신앙 공동체가 지지대버팀

, 혹은 울타리가 되어 주어야 한다. 한걸음 더 나아가 신앙 공동채인 교

회는 가정과 긴밀히 연계해야 한다. 가정 또한 하나의 신앙 공동체가 되어

야 하며, 교회에서 경험한 신앙이 가정에서도 흐를 때만이 제자직과 시민

직의.진정한 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자직과 시민직을 위한 교육, (시움: 한국장로교출판사1999), 67.

VII. 결론

A. 요약

지금까지 본 논문은 자유주의 신학과 진보주의 교육에 입각한 종

교교육운동,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반발로 나타난 신정통주의 신학, 신정

통주의 신학에 입7}한 기독교교육운동, 신정통주의 신학의선구자인 칼 바

르트와. 바르트의 사상을 이어받은 기독교교육학자 제임스 스마트의 사상

올 알아보았다. 그리고 스마트의 사상이 오늘의 한국교회의 상황에 주는

시사점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흔 한국교회 상황에 대한 대안도 모색해 보

았다.

자유주의 신학은 17세기 정통주의와 대립되는 신학으로서 19세기

로부터 20세기 초까지 유럽을 휩쓸었던 신학이다. 자유주의 신학의 선구자

는 술라이에르마허로서, 그외 신학은 리출트될치, 하르낙의 신학으로 이

어졌다. 자유주의 신학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옴과 같다. 첫째, 하나님을 내

1적 하나님으토, 예수 그리스도를 인간 예수로 이해했다. 둘째, 도덕주의

의 특성율 지닌디. 셋째, 낙관적 인간론을 펼친다. 넷째, 이성의 신학이다.

다섯째. 성서를 하나님의 말씀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여섯째, 세상과 역사

에 대해 낙관적 세계관을 갖고 있었다:

그런가하면 진보주의 교육이란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나타난 운동

으로서 미국 사회를 재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었다. 대표 학자는 존 류이

였으며, 그외 사상은 스펜서, , 제임스슨다이크의 사상으로 아어졌디,

이돌의 진보주의 교육은 사회 개혁교육올 통한 개혁, 교육의 개혁을 주

장했다.

자유주의 신학과 진보주의 교육의 결합체인 종교교육운동은 1903

년 시카고에서 창립된 종교교육협회(R e ligious E d u ca tio n A s so cia tio n )”

- 68 ~

서 구체적인 면모가 드러났다. 증교교육운동의 선구자는 조지 코우이며,

그의 사상은 바우어, 체이브, 파스, 엘리엇으로 이어졌다. 종교교육운동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하나님의 내재성이 강조되었다. 둘째, 회심보다

성장이 강조되었다. 셋째, 경험이 신조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졌다. 넷째,

과학이 신학보다 우세했다. 다섯째, 진보주의왕 민주주의가 찬양되었다.

섯째교육의 목적은 사회 재건이었다.. 일곱째, 산학과 실제를 연결시키려

했다. 여덟째, 사회과학에 .대한 관심이 신학에 대한 관심을 앞질렀다.

어린이 중심의 커리쿨럼이 만들어졌으며, 교사.는 권위자가 아닌 인도

자로 간주되었다. 열 번째, 교육이 사회를 개혁하는 최고의 방법으로 생각

되었다.

반면,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신정통주의 신학은

1919년에 시작되어 1950년대 중반까지 개신교 신학을 지배했던 신학이었

. 신정통주의 신학의 신구자는 칼 바트트이며, 그의 사상은 에밀 부르너

폴 틸리히 등의 신학자의 사상으로 이어졌다. 신정통주의 신학의 톡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의 주권성올 재확인했다. 둘째, 계시를 강조했다.

그리스도의 말씀 사건을 인간과 역사 전체를 향한 하나님의 창조적 은

총의 사건으로 보았다. 넷째인간을 하나님의 형상대토 지음 받았지만 둥

시에 타락한 존재라고 보았다. 다섯째, 점진적 발전론을 거부했다.'

신정통주의 신학의 영향을 받은 기독교교육운동은 대표 학자인 스

마트로 이어졌으며, 그는 바르트의 직접적인 영향올 받았다. 기독교교육운

동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을 죄인인 동시에 하나님의 자녀로

보았다. 둘째, 교육의 목적은 교회의 계시적 교제 안에서 학습자들을 하나

님과의 올바른 관계 속에 세워주고, 책임지고지성적이고, 장성한 그리스

도인의 삶을 영위하도록 그들을 교육하는 것이다. 셋째, 교육의 장은 학습

자가 부름에 응답할 수 있게 힘을 주는 성령이 임재하는 특수한 공동체

- 69 -

곧 교회 공동체이다. 넷째, 교육의 방법은 계시를 전달하는 잠재적으로

역동적인 수단이다.

그렇다면 본 논문의 주제인 바르트의 영향을 받은 스마트의 사상

을 살펴보자. 바르트를 이해해야 스마트롤 이해할 수 있으므로, 바르트의

사상을 먼저 알아보도록 하자,

신장통주의 신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바르트의 사상을' 요약하면 크

게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하나님의 말씀을 찾으려면 성경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섟서론이다. 바르트는 계시의 3중성, 즉 계시된 말씀인

예수 그 리 스 도 , 기록된 말씀인 성서, 선포되는 하나님의 말씀인 설교를 말

함으로써 17세기 개혁교회의 정통주의 성서관을 뛰이넘이 성서의 권위를

재발견하게 하였다. 돛째, 그리스도 중심적인 기독론이다. 바르트는 예수

그리스도만이 하나님의 계시의 중심이며신학적인 궤도의 중심으로서 모

든 신학적 진술들의 표준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그 는 예수 그리스도를 삼

위일체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있다.

위와 같은 바르트의 사상의 영향을 받은 스마트의 사상을 요약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를 목회자인 동시에 교육자로 보았다. 둘째,

스 마 트 는 교회에서 올바른 성서 해석과 사용의 중요성올 강조했다. 셋째,

설교와 교육의 관계를 형성했다. 설교와교육은 언제나 연결되어 있아야

한다. 넷째, 가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가정은 기독교교육의 3대 기관 중

하나로써, 가족은 신앙생활에 있어서 서로. 연대 책임을 자니고 있다고 말

하며 부모와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다섯째그는 공적 교육에서의 교

회의 역할을 강조했다. 교욱에 있어서 교회와 국가의 관계의 복합성을 잘

드러냈다. 여섯째그는 성인 교육을 주장했다. 사람을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게 하려는 교육은 일생동안 계속 해야 할 사업이며결코 완성이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과연 스마트의 사상은 오늘의 한국교회의 상황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인가? 교회 생활과 공적 생활이 철저히 분리되어있는 우리의

상황 에서 스마트의 이론: 즉 교회, 가정, 공립학교가 친밀히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이론은 다음 전제들의 실천을 통해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성도들로 하여금 그들이 세상 속에 있으나 세상에 속하지 않

은 그리스도의 제자임읍 일깨워주어야 한다. , 데리 보이스(M a iy C.

B o y s )가 주장했던 제자직(discipleship)과 시민직(citize nsh ip)04)이 한 사람

의 그리스도인 안에서 연합되어져야 한다.

들째, 교희 내에서 제자직과 시민직의 역할이 연합되어 져야 한디-.

개개인의 신앙 성숙노 중요하지만 이제는 교회가 나서서 시민직의 역할인

사회복지에 참여해야 한다.

셋째성도-S이 제자직과 사민직을 균형 잡히게 감당하려면 교회가

신앙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주인의 신앙과 주중의 신앙이 연결될 수 있도

, 즉 세상 속에서 신앙인으로서의 시민직을 감당할 수 있도록 신앙 공동

체가 지지대, 버팀목혹은 을타리가 되어 주어야 한다. 한걸옴 더 나아가

신앙 공동체인 교회는 가정과 긴밀히 연계해야 한다. 가정 또한 하나의 신

앙 공동체가 되어야 하며, 교회에서 경험한 신앙이 가정에서도 흐를 때만

이 제자직과 시민직의 진정한 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B. 나가는 글

많온 사람들이 생각하는 2Q04년 한국교회의 전망은'그리 밝지 못

하다. 몇몇 대형교회를 제외하고는 많은 교회돌은 성장을 멈췄거나 감소하

고 있으며 미자립교회도 급속도로 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교회돌은

104) Boys, Mary C., Education for Citisenship and Discipleship, 김도일 역, 1

자직과 시민직을 위한 교육j , 68.

- 71 -

이 암담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또 살아남기 위해 부단한 노력과 부자를

아끼지 않는다, 외국의 유명한 프로그램을 시도해보기도 하고, 유명한 목

회자를 초청해 집회를 열어보기도 하고, 새로운 예배 형식을 도입하 보기

도 하는 둥 생존하려는 몸부림은 실로 처절하다.

그러나 그 어떤 새토운 프로그램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기본을 재

고찰하고 다시 든든히 다지는 것이 아닐까. "기본으로 들아가사(L e t's go

b a ck to the b a sics !)” 라는 말도 있듯이 말이다.

스마트가 살았던 1940-50년대 미국의 상황과 2004년 한국의 상황

은 너무도 다르기에 스마트의 이론을 오늘의 정황에 적용시키는 것은 어

찌면 어불성선(語不成說)로 보일지 모른다. 그러나 스마트의 이론을 연구

하면서 느낀 점은 그 이론이 바로 기독교교육의 기초요 기본이며, 이 기본

사상을 시대적 . 공간적 상황이라는 틀에 담아내야 한다는 점이디. 특히 그

가 강조했던 교회의 교육적 사명, 말씀의 중요성, 교회 * 가정 국가간의

연계성에 대한 이론은 미래 한국교회 사역의 주춧돌이 될 것이다.

한국교회가 가진 풍부한 잠재력을 생각할 때 그 미래에 대해 낙담

하기엔 아직 너무 이른 것 같다. 이제 우리의 과제는 그의 이톤들을 토대

로 우리 상황에 맞는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울 창조해나가는 일이

. 신앙과 사회적 삶이 일치된 삶 .한국교회의 공신력 화복, 신앙공동체인

교회와'가정 간의 친밀한 연합을 꿈꾸며...

- 72 ~

참 고 문 헌

Boys, Mary C. “Chapter 3: Religious Education”. Educating in Faith.

Maps and Visions, N e w Y o rk : Seed & W ard, 1989,

Boys, M aiy C. Education for Citisenship and Discipleship. 김노일 역.

l' 제 자 직 과 시 민 직 울 위 한 교 육 j . 서 울 : 한 국 장 로 교 출 관 사 , 1999.

Burgess. Harold William. An Invitation lo Religious Education, 오 태 용

. r 기독교교육론, 서울: 전경시.1989.

Bushnell, Horace. Christian Nurture. 김도일 역. r 기독교적 양 육j ,

: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2004.

Cully, Iris V, & Cully.. Kending Brubaker, Harper's Encyclopedia of

Religious Education. San Francisco: Harper & Row Publishers,

Inc, 1990.

Dykstra, Craig. “James Smartfs Contribution to the Pastor as

Educator99. Quarterly Review 3. Fall, 1983.

H eron, A la sd a ir I.C. A Century qf Protestant Theology, 한숭흥역. 20

세기 신학사상: 술라이에르마허와 헤겔에서부터 리출, 칼 바르트

불흐만까지의j 4 서울: 성지판사1992,

M a c k in to s h , H u g h R oss. Types of Modern TheologySchleiermacher to

Barth 김 재 준 역. 現 代 神 學 先 驅 者 -쉴 라 이 에 르 마 허 로 후 터 ' ..

바르트까지. 서을: 대한기독교서회, 1973,

M u lle rD a v id L . Karl Barth. 이형기역. 칼 바르트의 신학사상j . 서울:

도서출판 엠마오1996.

S m art, Jam es. D . The Teaching Ministry cf the Church. 장윤철 역.

교회의 교육적 사명j . 서울: 대한기독교교육협회, I960.

- 73 -

T o w n s , E lm e r L. A History of Religious Educators. G ra n d R apids:

B a k e r B ook H ouse, 1975.

T o w n s . E lm e r L. A History qf Religious Educators. 임영금 역, 예 물

중심 의 종교교육사j .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교육부, 19S4.

고대홍. “ 칼 바르트의 성서론”.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1999.

고용수. “ 교회의 교육적 사명율 강조한 교육 신학자, 제임스 스마트” r

독교교육j 290, 19929 .

고용수. 만남의 기독교교육 사상.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94.

김도일. 교육인가, 신앙공둥체인가? j .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8.

김도일. “ 교회의 교육적 사명.” 2 1세기 기독교교육의 신 학 . 이 론 . 실천:

임창복 박사 회갑기님 논문집.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4.

김명용. r 열린 신학 바른 교회론j .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1997.

김재준. ‘‘신정통주의의 역사적 고찰”. r基督敎思想. 1960, 4.

김철민. “ 칼 바르트의 교회론 연구”.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1992.

목창균. "술라이에르마허와 현대신학”. 신학과 선교141989.

박만서. “9 월 특집/교세 .감소 시대 대안은 있다”. 한국기독공보j 2003.

9. 6.

박화경. “ 하나님 나라: 구현을 위한 기독교교육: 20세기 기독교교육의 문제

진단과 새 방향 모색을 위한 한 연구-”. 박사학위는문, 장로회신학

대학교2001/

신성임. “ 칼 바르트 교회론에 비추어 본 교회의 사명”. 석사학위논문장로

회신학대학교1994,

양금회. r 근대 기독교교육 사상j .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2001.

- 74 -

오 상 영 . “George Albert Coe의 교 육 사 상 연 구”. 석 사 학 위 논 문 호남신학대

«KSI, 2000.

윤성범. r 칼 바르트i .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8.

은준관 외 7. 기독교교육사. 서울: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84

은준관. “ 칼 바르트의 교희론 이해”. 바르트 신학 연구j .서울: 대한기

독교서회, 1970.

은준관. •■교육신학j .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6.

이상훈. "교회학교 부서별 중감 현황',. 한국기독공보j . 2003. 9. 6.

.이숙종. 현대사회와 기독교교육.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1.

장남홍. “新正統主義 神學基礎基督敎敎育”. 석사학위논문, 침례신학

대학교, 1994.

"한국사회 바뀌고 있다”. r문화일보j 사설. 2002. 12. 26.

-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