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논문 소논문 154

조용기 목사 설교 연구

조용기 목사 설교 연구 담당교수 : 박 희 춘 교수님 과 정 : 목전 2006년 1학기 과 목 명 : 설교의 역사 학 번 : 200695003 이 름 : 윤 승 열 ■ 목 차 1. 들어가는 말 (1) 2. 조용기 목사의 목회 철학 (1) 1) 조용기 목사의 프로필 (1) 2) 조용기 목사의 어린 시절과 소명 (2) 3) 조용기 목사의 목회 체험 (2) 4) 조용기 목사의 목회적 대전환(3) 5) 5중 복음 (4) 6) 3중 축복 (5) 7) 4차원 영성 (6) 3. 여의도 순복음교회 역사 (8) 1) 천막교회 (8) 2) 서대문교회 (8) 3) 여의도순복음교회 (9) 4. 조용기 목사의 설교 작성법 (11) 1) 조용기 목사가 말하는 설교 원칙 (11) 2) 조용기 목사의 자기 설교에 대한 소개 (16)..

성만찬 연구

성만찬 연구 목 차 Ⅰ. 서 론 .................................................... 1 A. 연구동기와 목적 ............................................ 1 B.연구방법과 범위 ........................................... 3 Ⅱ.성만찬에 대한 성서와 신학적 고찰 .............................. 4 A. 성만찬의 성서적 근거 ....................................... 5 1. 성만찬의 성서적 중요성 ................................. 5 2. 성만찬의 역사적 기원 .................................

성령충만의 실제성에 관한 연구

성령충만의 실제성에 관한 연구 목 차 Ⅰ. 서 론 ............................................................. 1 A . 연구의 동기와 목적............................................ 1 B . 연구의 방법과 범위............................................ 2 Ⅱ. 성령의 본질에 대한 서론적 고찰..................................... 4 A . 성령의 어의................................................... 4 B . 성령의 속성....................................................

보나벤투라의 영성신학 小考*

보나벤투라의 영성신학 小考* 유 해 룡 (대전신학교 교수) Ⅰ.서 론 신학의 일반적인 정의는 믿음의 경험을 지적인 반추를 통해서 인간의 언어와 논리로 구성하고 표현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제기되는 문제는 신학이 되기 위해서 반드시 신앙의 한 생활양식으로서의 경험이 전제되어야 하는 가이다. 예를 들면 성서신학이란 성서를 통한 개인 혹은 집단 경험이 전제되지 않을지라도 단순히 기록된 객관적인 계시에 대한 이해 내지 지적인 탐구로도 성서신학이 성립된다. 그러나 12세기의 스콜라주의가 태동하기 전까지는 직접적으로 기독교 경건생활에 유익되지 않는 사변적인 신학에는 큰 가치를 두지 않았다. 당시 신학이 대부분 수도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수도원의 경건과 삶을 지탱해주고 발전시키는 범위내에서만 신학활동이 허용되었..

율법과 은혜에 대한 바울신학의 이해

율법과 은혜에 대한 바울신학의 이해 목 차 序 論 ---------------------------------------------------------- 1 A.本 論文의 硏究 目的 ------------------------------------------------ 1 B.硏究 方法과 論文의 構成 -------------------------------------------- 2 Ⅰ.律法과 恩惠에 대한 바울神學 理解의 전제와 語原的 考察--------------- 2 A.律法과 恩惠에 대한 바울神學의 理解의 전제 ------------------------- 2 B.律法과 恩惠에 대한 어원적 考察 ------------------------------------ 3 1.律法 -------------..

예수와 바울에 대한 소고 종말론을 중심으로-

예수와 바울에 대한 소고 - 종말론을 중심으로- 백 유 현 목 차 제 1 장 서 론.........................................................1 제 2 장 예수의 종말론 사상 .........................................3 제1절 예수 당시 유대인들의 종말론 사상 ........................3 제2절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종말론 사상 .....................5 1. 종말론의 구조.................................................5 2. 개인의 종말론.................................................9 제 3 장 바울의 종말론 사..

예수님의 기도론

예수님의 기도론 과목명 : 예수의 신학 세미나 담 당 : 김상복 박사님 발표자 : 김종태(Th. M 과정, 신약신학 전공) 권동희(Th. M 과정, 신약신학 전공) 아 세 아 연 합 신 학 대 학 원 - 목 차 - Ⅰ. 서 론 ...................................................................................................... 3 Ⅱ. 본 론 ...................................................................................................... 4 A. 예수님의 기도의 교훈 .........................................

자유의지에 대한 연구

- 자유의지에 대한 연구 - * 차 례 * Ⅰ.서 론 ............................. 1 Ⅱ.본 론 ............................. 2 - 7 1.어거스틴과 펠라기우스의 자유의지 논쟁 ..................... 2 - 4 (1)어거스틴의 은총론 ..................... 2 - 3 (2)펠라기우스의 자유의지론 ..................... 3 (3)반(半)펠라기우스주의 ..................... 4 2.루터와 에라스무스의 자유의지 논쟁 ..................... 4 - 6 (1)루터의 노예의지론 ..................... 4 - 5 (2)에라스무스의 자유의지론 ...................

계시록 20장과 천년왕국

발송인/홍철의/쉼터교회/지도교수/이승구 계시록 20장과 천년왕국 서론 요한계시록 20장에는 성경 가운데서 유일하게 천년왕국에 대한 가르침이 나타나 있다. 이로 인하여 파생된 천년왕국에 대한 이해는 크게 4가지 상이한 견해들이 있다. 그것은 '역사적 전천년설'과 '세대주의적 전천년설', 그리고 '후천년설'과 '무천년설'이다. 앞의 두 입장은 그리스도의 재림 후에 천년왕국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는 반면에, 뒤의 두 입장은 그리스도의 재림 전에 천년왕국이 있을 것으로 보는 입장이다. 이 네 가지 견해는 아직도 자신들의 주장에 맞춰 여러 가지 시도를 통하여 믿는 바 천년왕국설을 관철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그러나 이 문제는 결국 본문에 대한 철저한 주해를 통해 결정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필자는 이 논문..

바울 사상과 칼빈 사상의 비교 연구

바울 사상과 칼빈 사상의 비교 연구 (교회론을 중심으로) 목 차 Ⅰ. 서 론 --------------------------------------- 2 Ⅱ. 바울의 교회론 --------------------------------- 2 A. 몸으로서의 교회 ------------------------------- 2 1. 로마서에서의 교회 개념 ------------------------ 2 2. 고린도전서에서의 교회 개념 -------------------- 3 B. 머리로서의 교회 ------------------------------- 4 1. 에베소서, 골로새서에서 나타난 교회 개념 ------------------------------ 4 Ⅲ. 칼빈의 교회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