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논문 소논문 154

요한계시록 17:8-14 연구-짐승의 비밀해석 연구-

요한계시록 17:8-14 연구 -짐승의 비밀해석 연구- 이순홍 1. 서론 1.1. 연구의 동기와 목적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계시록의 해석방법 연구 3. 일곱 머리 열 뿔 짐승에 대한 해석 방법에 따른 해석 실례 4. 일곱 머리 열 뿔 짐승과 다니엘서와의 관련연구 4.1. 다니엘서에서의 짐승과 관련된 구절들 4.2. 일곱 머리 열 뿔 짐승 환상의 유사점과 차이점 4.3. 다니엘서가 해결해 주는 부분 5. 계 17:8-14 짐승의 비밀에 대한 주해 6. 결론 참고 문헌 1. 서론 1.1. 연구의 동기와 목적 요한계시록 해석이 매우 다양하여 성도들에게 혼란을 가져오고 있다.신약의 예언서로서 계시록은 종말에 되어질 일들을 예언하고 있어 해석이 어렵고, 그 결과에 따라서 성도들의 신앙에 큰 영향을 줄..

성령충만의 실제성에 관한 연구

성령충만의 실제성에 관한 연구 목 차 Ⅰ. 서 론 ............................................................. 1 A . 연구의 동기와 목적............................................ 1 B . 연구의 방법과 범위............................................ 2 Ⅱ. 성령의 본질에 대한 서론적 고찰..................................... 4 A . 성령의 어의................................................... 4 B . 성령의 속성....................................................

칼빈의 신학원리로서 성경의 사용: 기독교 강요를 중심으로

칼빈의 신학원리로서 성경의 사용: 기독교 강요를 중심으로 안명준교수 (평택대, theologia.co.kr) I. 서론 부패한 기독교를 근본적으로 새롭게 개혁하기 위하여 종교 개혁자들이 강조한 sola scriptura원리는 그들에게 신학적, 해석학적 원리의 근본적인 뼈대를 만들어 주었다. 이런 소중한 종교 개혁자들의 유산인 sola scriptura의 관점에서 본다면 사실상 루터의 종교개혁을 성경 해석의 새로운 혁명으로 볼 수 있다. 이 원리는 기존의 교회와 교황에 의한 해석이 아닌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성경이 성경을 해석하는(scriptura sui ipsius interpres)원리를 탄생시켰다. 루터는 철저하게 이 새로운 원리를 통하여 성경을 연구하여 당시 오류로 범벅이 된 부패한 기독교의 새로운 ..

인간과 동식물의 죽음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해석과 통합

인간과 동식물의 죽음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해석과 통합 Interpretation and Integration of the Deaths of Human, Animal and Plant from Christian Worldview 황희성 Hee Sung HWANG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Vancouver Institute for Evangelical Worldview ACTS Seminaries of Trinity Western University 7600 Glover Rd., Langley, BC V2Y1Y1, CANADA EMail: hsyellow67@nate.com (Received April 29, 2015 Accepted May 31, 2015) This essay deals with the ..

인간과 동식물의 죽음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해석과 통합 -2

인간과 동식물의 죽음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해석과 통합 -2 V. 죽음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해석 1. 창조-타락-구속의 구조에서 죽음 리차드 미들톤과 브라이안 왈쉬는 「그리스도인의 비전」에서 성경적인 세계관에 관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전 포괄적일 뿐만 아니라 역동적이기도 하다. 창조는 어디론가 향해서 가고 있다. 어떤 세계관들이 암시하는 것처럼, 죄가 세상에 들어옴으로써 변화가 시작된 것은 아니다. 죄가 없었더라도, 변화는 어차피 일어났을 것이다. 창조는 발전되도록 의도된 것이었다. 창조 세계는 인간이 등장하기 이전에도 발전되고 있었다. 하나님께서는 원래의 창조 세계를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다양한 세상으로 바꾸셨다(발전에 의하여).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서, 우리는 땅을 발전시키는 일 속에서 ..

- 한국의 유신진화론 논쟁 -

- 한국의 유신진화론 논쟁 - 최태연 (백석대학교 기독교학부) 1. 여는 말 이 글은 한국 기독교에서 일어났던 ‘유신진화론’(theistic evolutionism) 논쟁에 대한 역사적 재구성을 시도한 논문이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한국의 유신진화론 논쟁이 약 8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 역사를 적어도 3가지의 국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세 국면의 변화를 살펴볼 때, 필자의 분석으로는 1920-30년대의 초기 기독교에서는 오히려 유신진화론에 대해 포용적인 태도가 주류를 이루나, 그 후 분단과 전쟁, 교파분열의 여파로 1970년대부터는 근본주의 신학과 창조과학회의 영향아래 유신진화론을 거부하는 입장이 주류를 형성하다가 1990년대 후반부터 다시 유신진화론을 주장하는 전문가 그룹이 등장해서 서서히..

몰트만의 창조론: 신적인 자기비움(Zimzum)을 중심으로

몰트만의 창조론: 신적인 자기비움(Zimzum)을 중심으로 Moltmann's Doctrine of Creation: Focusing on the Divine Zimzum 박찬호 Chan Ho PARK 백석대학교(조직신학) Baekseok University EMail: chanho@bu.ac.kr (Accepted on January 31, 2016) Moltmann contends that the creation is done by God's self-decision to create before creation. Before creation, he argues, God made self-limitation to make a room for creation. Moltmann asserts that t..

Power Encounter 신학의 문제점

Power Encounter 신학의 문제점 I. 서론 와그너는 Power Encounter 가 “어떤 집단의 사람들이 숭배하고 두려워하는 어떠한 거짓된 신이나 영들보다도 예수님의 능력이 압도적이라는 사실을 가시적이고도 실제적으로 보여주는 것”(와그너 1990:257)이라고 하였다. 선교가 죄로 말미암아 하나님으로부터 잃어 버려진 이 세상을 하나님께로 돌이키는 노력이며 성경은 이것을 사탄의 권세에서 하나님께로 돌아가게 하는 것으로(행26:18) 표현한다. 이런 관점에서 선교는 하나님 나라와 사탄의 나라 사이에 긴장과 대치가 일어나는 전쟁터라고 해도 될 것이다. 한편 계몽주의 시대 이후 모든 초자연적인 현상을 거부하고 과학주의 경험주의 합리주의에 기초한 서구 세속주의 세계관과 그 영향을 받은 서구 신학은 사..

신약의 이해 총신대신대원 김상훈 교수

신약의 이해 총신대신대원 김상훈 교수 1. 하나님의 책으로서의 성경 성경은 하나님의 책(신서)으로 이해해야 옳다. 그것은 이 책이 하나님에 대한 말씀과 하나님께서 주신 말씀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하나님에 대한, 하나님과 관련된, 하나님의 책, 즉 '신서'로 성경을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 그럴 때 바른 안목을 갖고 성경에 접근하는 것이 된다. 특히 성경은 하나님의 성령으로 '영감'(inspired)된 책으로(딤후3:16) 받아들여진다. '영감'되었다는 것은 저술과정에서 하나님이 직접 숨을 불어 넣는 영적 개입과 조정이 있었다는 뜻이다. 즉, 인간 저자만으로 기록된 책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책과는 완전히 차별된다. 이것을 성경의 영감성(영감성)이라 말한다. 그러나 성경이 인간 저자의..

미국 복음주의 신학의 최근 동향과 한국 복음주의 신학의 정체성 확립의 과제- 한상화 (아신대, 조직신학)

미국 복음주의 신학의 최근 동향과 한국 복음주의 신학의 정체성 확립의 과제 - 한상화 (아신대, 조직신학) I. 서론 II. 복음주의 정의 문제 III. 미국 20세기 복음주의 신학의 변천에 대한 간략한 개관 IV. 진보적 복음주의와 복음주의 신학의 정체성 V. 한국 복음주의 신학에의 적용 및 정체성 확립의 과제 I. 서론 본 연구는 "새 천년과 한국 복음주의 신학의 과제"라는 커다란 주제 아래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광범위한 주제에 접근하는 데는 여러 방법이 있을 수 있겠고 아마도 가장 일반적인 접근은 새 천년이라는, Third Millennium의 성격을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으로 기술한 후에, 현 시대의 여러 가지 다양한 문화적 도전들에 대해 복음주의 신학이 어떻게 대응해 나가야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