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논문 소논문 154

칼빈의 기도본문해석에대한평가 권 동 희

칼빈의 기도본문해석에대한평가 과 목 명 : 기도본문 연구 교 수 명 : 장 해 경 교수 제 출 자 : 권 동 희 (Th.M) 목 차 Ⅰ. 서 론 ------------------------------- 3 Ⅱ. 칼빈의 기도본문 해석에 대한 평가----------- 4 1. 롬 8:26 ----------------------------- 4 2. 엡6:18, 살전5:17 ---------------------- 6 3. 롬10:14-17 -------------------------- 7 4. 마 6: 5-7 --------------------------- 9 Ⅳ. 결 론 ------------------------------ 10 ---------------------------- 11 Ⅰ.서 론 얀..

칼빈의 기도론에 대한 소고 백 유 현

칼빈의 기도론에 대한 소고 백 유 현 목 차 page 제1장 서론.................................................................................................. 1 제2장 기도의 정의.................................................................................... 1 제1절 기도의 본질................................................................................ 1 제2절 기도의 목적...............................................................

성령충만의 실제성에 관한 연구

성령충만의 실제성에 관한 연구 목 차 Ⅰ. 서 론 ............................................................. 1 A . 연구의 동기와 목적............................................ 1 B . 연구의 방법과 범위............................................ 2 Ⅱ. 성령의 본질에 대한 서론적 고찰..................................... 4 A . 성령의 어의................................................... 4 B . 성령의 속성....................................................

환경 보전에 대한 신학적 근거 임 성 빈

환경 보전에 대한 신학적 근거 임 성 빈 (장신대, 신학과) 1. 들어가는 말: 1994-5년의 그 무더웠던 여름들은 '지구가 더워지고 있다'는 경고를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다. 그 더위 이후로도, 계속되고 있는 여러 가지 기상이변의 현상들은 우리로 하여금 그 이전보다는 더욱 심각하게 생태계의 위기를 호소하는 경고들에 관심을 기울이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특별히 가뭄으로 인한 물의 부족으로 인하여 식수 및 공업용수의 공급이 중단되는 상황과, 낙동강을 비롯한 4대강 유역의 수질이 수질측정이 시작된 이후에 최악의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는 보도들을 접하게 되면서 우리는 점차로 환경오염의 심각성과 환경보전의 절박함을 피부로 느끼게 되었다. 우리가 지구의 온난화 현상, 오존층 파괴, 산성비,..

現代神學의 危機와 그 近況

現代神學의 危機와 그 近況 目 次 Ⅰ. 현대신학의 집안싸움 1. 序論 ................................................. 3 2. 本論 ................................................. 4 1) 불트만 ........................................... 4 2) 판넨베르그와 몰트만 ................. 6 3) 집안싸움 .........................................10 3. 結論 ..................................................12 Ⅱ. 聖經을 해부하는 현대신학 1. 집도하는 불트만 ........................

현대목회에서 요구되는 기독교적 영성 이진희

현대목회에서 요구되는 기독교적 영성 이진희 인터내셔날대학원 석사논문 목 차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목적과 문제제기 1 제 2 절 연구방법 및 범위 3 제 1 장 영성에 관한 성서 및 역사적 이해 5 제 1 절 영성의 성서적 이해 5 1. 영성의 정의 5 2. 성서적 이해 7 (1) 구약에서의 영이해 8 (2) 구약성서에서의 영성이해 10 (3) 신약성서의 영성이해 13 제 2 절 영성의 역사적 이해 19 1. 초대교회 시대의 영성 19 2. 중세시대의 영성 21 (1) 교부시대 21 (2) 중세 교회시대 24 3. 중세 개혁기의 영성 27 (1) 종교개혁의 말씀영성 27 (2) 근대 스페인의 영성 30 4. 현대의 영성 31 제 2 장 목회와 영성의 관계성 34 제 1 절 목회와 영성의 상호필연성 ..

헤세드에 나타난 하나님의 사랑

헤세드에 나타난 하나님의 사랑 - 1 - 목 차 I. 서 론 ------------------------------------------- 1 - 3 1. 문제의 제기와 연구 목적 -------------------- 1 - 3 2. 연구 방법 ----------------------------------- 3 II. 헤세드의 의미 ---------------------------------- 4 - 18 1. 어원적 의미 -------------------------------- 4 - 7 2. 구약의 용례 -------------------------------- 7 - 15 1) 인간의 헤세드 --------------------------- 11 - 13 2) 하나님의 헤세드 -----------..

복음과 한국종교와의 만남 김경재

해석학과 종교신학 복음과 한국종교와의 만남 Hermeneutics and Theology of Religions Christianity and the encounter of Asian religions (김경재, 한국신학연구소, 1994.) 요약 : 이병일(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1. 종교신학의 개념 1.1 문명전환기의 문화선교적 과제 : ① 고도로 발달한 자연과학 문명과 종교와의 새로운 관계정립과 상호이해의 문제 ② 종말적 위기상황에까지 이른 자연의 오염과 생태계 파괴라는 현실 앞에서, 그리고 날로 가중되어 가는 물신숭배적 향락의 시대조류 속에서 교회가 창조신앙을 새롭게 정립하고 생명을 살리는 복음을 선포하며 실천하는 선교과제 ③ 다양한 가치와 진리체험들이 서로 만나 영향을 주고 받으며 살아가는 다원사..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의 신앙론 유정우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의 신앙론 유정우 Ⅰ. 서 론 하이델베르그 요리 문답은 이 문답서가 작성되었던 지명을 따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문답서는 우르시누스 (Ursinus)의 라틴어 초안과 올레비아누스(Olevianus)의 독일어 초안을 기초로 작성되었다. 그래서 두 초안의 특징이 모두 포함되었다. 전자의 문답식 명확성과 간결성 그리고 후자의 감정적 따스함과 유연성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각자가 지닌 역량 이상의 요리문답이 나오게 되었다. 그들은 요리문답을 작성할 때 어느 정도 영감을 받았을 것이다. 그들은 또 칼빈, 라스키, 불링거의 요리 문답서를 자유로이 참작했다.1) 이 요리문답은 칼빈 신학에 근거하여 작성되었다. 프레드릭 선제후는 1562년 12월 이 요리 문답서를 수정하고 승인받기 위해 목사들과 교수..

폴 틸리히의 신학적 해석학 임 영 금

폴 틸리히의 신학적 해석학 임 영 금 (호남신학대학 교수) ▣ 차 례 ▣ 1. 서론 - 폴 틸리히의 신학적 위치 2. 폴 틸리히의 신학과 상징 1) 상징의 의미 2) 상징의 특징 3) 상징과 신화 4) 종교적 상징의 본질 5) 종교적 상징의 진리 3. 상징의 해석 1) 종교적 상징의 회복 2) 비문자화 3) 비문자화와 비신화화 4) 상관관계의 방법 4. 맺는 말 1. 서론 - 폴 틸리히의 신학적 위치 지성인을 위한 사도로 자처했던 폴 틸리히(Paul Tillich 1886- 1965)는 독일 루터파 목사였다. 동시대에 활동한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와 함께 현대 신학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20세기 조직신학의 양대산맥으로 불리운다. 바르트는 전후에도 독일에서 학문활동을 계속했으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