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세드에 나타난 하나님의 사랑
목 차
I. 서 론 ------------------------------------------- 1 - 3
1. 문제의 제기와 연구 목적 -------------------- 1 - 3
2. 연구 방법 ----------------------------------- 3
II. 헤세드의 의미 ---------------------------------- 4 - 18
1. 어원적 의미 -------------------------------- 4 - 7
2. 구약의 용례 -------------------------------- 7 - 15
1) 인간의 헤세드 --------------------------- 11 - 13
2) 하나님의 헤세드 ------------------------- 13 - 15
3. 신학적 의미 -------------------------------- 15 - 18
III. 헤세드와 베리트의 상관관계 -------------------- 19 - 31
1. 베리트의 의미 ------------------------------ 20 - 26
1) 어원적 의미 ----------------------------- 20 - 22
2) 계약의 유형 ----------------------------- 22 - 25
3) 구약적 의미 ----------------------------- 25 - 28
2. 헤세드와 베리트의 관계 -------------------- 28 - 31
IV. 구약의 언약들속에 나타난 헤세드 --------------- 32 - 64
1. 아담과의 시작의 계약 ----------------------- 32 - 34
2. 노아와의 보존의 계약 ----------------------- 34 - 37
3. 아브라함과의 후손의 계약 ------------------- 37 - 48
4. 모세와의 선택백성의 계약 ------------------- 48 - 55
5. 다윗과의 영원한 왕조계약 ------------------- 55 - 59
6. 예언자를 통한 완성의 메시야 언약들 -------- 59 - 64
V. 결 론 ----------------------------------------- 65 - 67
# 참고문헌 ------------------------------------------ 68
I. 서 론
1. 문제의 제기와 연구목적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에게 이렇게 나타난바 되었으니 하나님이 자기의 독생자를 세상에 보내심은 저로 말미암아 우리를 살리려 하심이니라(요일 4:8-9)고 성경은 말한다.하나님께서는 성경을 통하여 말씀하시는데, 특히 구약에서 하나님은 이스라엘 역사속에서 살아 역사하시고 행하시는데, 특별히 하나님께 선택받은 백성으로서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백성이 되고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되게 하는 언약속에서 하나님 자신을 드러내시는 것을 보았다(출34:6).이에 구약에서는 하나님의 사랑이 언약을 통하여 나타났다고 보아 구약의 언약에 관하여 연구하게 되었고 그것을 연구하는 동안 언약을 맺게하는 그 동인은 무엇인가? 왜 언약을 맺으시는가? 그리고 그 언약이 어떻게 발전되어가며 그 언약이 어떻게 유지되는가를 관찰하게 되었다. 하나님 자신이 헤세드이시면서 헤세드가 많으신 분이라고 말씀하심을 보고 헤세드의 의미에 관해 질문하게 되었다.이 단어에 나타난 의미는 무엇이며 언약과의 관계는 무엇인가? 신약과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 것인가? 이러한 질문들을 제기하면서 언약개념을 중심으로 그 언약의 본질이며 언약을 끝까지 지키시고 이루시는 하나님의 속성으로 나타난 헤세드를 연구하고자 한다.
구약의 통일성에 관하여 많은 의견이 있다. 혹자는 구약은 통일성이 없다고 말하며 혹자는 주제의 다양성을 듣고 있으며 혹자는 신약과 전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말하고 있으며 혹자는 단지 이스라엘의 역사책에 불과 하다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폰 라트(Von Rad)는 구약신학의 핵심을 구속사(Heilsgeschichte
)1)로 보았으며 아히로트(W.Eichrodt)는 구약의 핵심을 언약'으로 보고있다.2) 그 이외도 많은 학자들이 자기 나름대로의 구약의 중심 주제를 말하고 있다. 젤린(E.Sellin)은 하나님의 거룩성'을 3), 코러(Ludwig Koehler)는 하나님의 주권'4)을 신약성서의 핵심으로 보며, 프리젠과 포러는 같은 입장으로 이중적인 개념으로 하나님의 통치와 하나님과 인간과의 교제'5)를 신약신학의 중심 주제로 보고있다.
이와같은 단일 개념들을 통합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를 제공하는 입장들이 있는데 그들 주장의 논지를 보면 구약성서는 세상이나 사람에 대한 하나님의 행위라고 전제하면서 신약이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되어 있는것과 마찬가지로 구약도 그 본질에 하나님이 계시다는 사실을 언급하면서 하나님은 역동적으로 통합하시는 구약의 중심이라고 제안하며 하나님은 세상과 이스라엘의 하나님으로써 나타내 보이시고 그 안에서 하나님은 선택과 언약을 통한 특별한 방법으로 이스라엘과 사람에게 계시 하신다고 주장한다.6)
본인은 이러한 입장에 서서 구약의 주제는 무엇이든간에 결국은 하나님과 관련을 맺고있다는 사실에 촛점을 맞추었다. 구약의 하나님은 행동하시는 하나님으로 그 행동은 언약을 통하여 나타나고 그 언약의 본질은 무엇인가? 그 행동의 동인은 무엇이며 하나님의 사랑의근원은 무엇인가? 구약에서 언약의 본질은 무엇이며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의 사랑인 아가페와의 관계는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하여
구약의 전체에서 큰 맥락으로 흐르고 있는 언약을 중심으로 하여 그 언약의 근원을 찾아보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본문 2 장에서는 헤세드의 의미를 찾아보려고 한다. 먼저 어원적인 의미를 알아보고 구약에서 헤세드가 사용된 것을 찾아보며 이 단어가 지니고 있는 신학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제 3 장에서는 헤세드와 베리트의 상관관계를 살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베리트의 어원적 고찰과 유형을 살펴보면서 헤세드는 언약의 본질로서 언약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알아보려고 한다.
제 4 장에서는 구약에 나타난 대표적인 언약들과 그안에서 헤세드를 살펴볼 것이다.
제 5 장에서는 결론으로 본문을 간단히 요약하려고 한다.
와 를 헤세드와 베리트로 표기하기로 한다
II. 헤세드의 의미
이 장에서는 헤세드라는 단어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 단어의 어원적인 의미를 사전들을 중심으로 알아보며, 구약에서 사용된 용례를 연구하여 구약에서의 헤세드의 용례와 의미를 파악하고, 이 단어를 연구한 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봄으로 헤세드의 의미를 파악코자 한다.
1. 어원적 의미
구약에서 하나님의 사랑을 가장 완전하게 표시하는 단어가 있다면 그것은 헤세드'가 될 것이다.7) 이같은 입장에서 외스터레이(Oesterley)도 이 헤세드를 설명하여 말하기를 구약에서 헤세드란 말이 나오는 본문을 살펴보면, 이 말이 얼마나 다각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를 알 수 있다. 이 말은 히브리어가 우리에게 알려 주고 있는 가장 위대한 말의 하나이며, 영어로서는 이것을 도저히 올바르게 번역해 낼 수가 없다 8)고 말하고 있다.
명사로서의 헤세드는 중기 히브리어 (Middle Hebrew), 유대 아람어 (Jewish Aramaic), 옛 시리아어에서 그것의 사용이 발견되는 히브리어이다. 그러나 이것의 어원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강조 재귀 미완료태에서 단지 두번 나타나는 어근 ----- 는 형용사에서 파생한 것이 분명하다. 상호 도움을 위해 끈으로 동이다 라는 뜻의 아리비아 어근인 ------- 는 s 에서 s 로 요구된 변화때문에 헤세드의 어원적 의미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하겠지만 불확실한 점이 있다.9)
스네이쓰(Norman H.Snaith)역시 어원학적 난점을 지적하면서 헤세드란 단어는 이중적 내지는 모순적 어의를 가진 말로 설명하였는데 그에 의하면10) 헤세드에는 수치 ( 레 20:17 ) 질책 ( 잠 14:34 )등의 의미가 있다. 시리아어에서는 " d "음을 강하게 하면 질책 이 되고 부드럽게 하면 친절 이라는 의미가 된다.11)
사전에서 그 의미를 살펴보면 A Hebrew and English Lexicon of the Old Testament12) 에는 선(goodness), 친절(kindness), 인간이 인간을 향한 친절(kindness of men towards men), 자비(mercy), 애정(affection), 경건(piety), 사랑스런 친절(loving kindness), 하나님의 친절(kindness of God), 영원한 사랑(everlasting love), 친절한 행위(deeds of kindness)등으로 번역되어 있다.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13)에는 견고한 사랑(steadfast love), 친절(kindness), 충성(loyalty), 자비(mercy), 충실(faithfulness), 친절한 사랑(kind love), 동정(pity)으로 번역되어 있다.
Gesenius' Hebrew-Chaldee Lexicon to the Old Testament14) 에는 좋은 의미의 헤세드는 어떤 사람을 향한 열의(zeal towards anyone), 사랑(love), 친절(kindness), 인자(benignity), 자비심(benevolence), 자비(mercy), 동정(pity), 하나님을 향한 인간의 경건(piety of men towards God),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은혜(grace of God towards men),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자비(mercy of God towards men)와 같은 뜻을 지니며, 나쁜 의미로는 질투(zealousness), 어떤 사람을 대항하는 열정(ardour against anyone), 시기(envy), 비난(reproach)의 뜻을 갖고 있다고 한다.
Nelson's Expository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는15) 사랑
스런 친절(loving kindness), 견고한 사랑(steadfast love), 은혜(grace), 자비(mercy), 충실(faithfulness), 선(goodness), 헌신(devotion)등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16)는 견고한 사랑(steadfast love), 영원한 사랑(everlasting love), 생명(life), 영혼(spirit), 진리(truth)로 번역하고 있다.
Dicionary of the Bible17)에는 자비(mercy), 친절한 사랑(loving kindness), 은혜(grace), 은총(favor), 선(goodness) 등으로 번역되어 있다.
홀라데이(W.Holladay)는 그의 사전에서 종종 친구, 손님, 주인과 종과의 관계에서의 충성(loyalty), 충실(faithfulness), 은총(favor), 친절(kindness), 은혜(grace), 신의 행위(godly deeds), 은혜의 사건(evidence of grace)등으로 풀이하고 있다.18)
와드(James M.Ward)는 생명(life), 자비(mercy), 경건(piety), 충성(loyalty), 변치 않는 사랑,(constant love) 선(goodness), 견고한 사랑(steadfast love)등으로 번역하며, 그것은 사랑과 강한 애정과 견고한 충성, 그리고 헌신과 연결된다고 말한다.19)
개역 성서에서의 헤세드에 대한 번역어로는 여러가지가 있다. 이것을 사용 빈도에 따라 기록하자면, 인자, 은혜, 긍휼, 인애, 은총, 선대, 후대, 자비, 우의 등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헤세드에는 여러가지 뜻이 번역되고
있다. 친절, 자비, 충성등과 함께 질투, 시기, 비난, 질책등의 뜻도 포함하고 있어서 하나의 뜻으로 나타내기는 어려운 단어임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이 단어가 구약성서에서는 어디에서 어떻게 쓰였는지 살펴보고 이 헤세드의 단어의 뜻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2. 구약의 용례
구약 신학 사전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Old Testment)에 의하면 헤세드는 구약성서에서 245번 나온다. 각 책에 나오는 것을 보면 창세기에 11번, 출애굽기에 4번, 민수기에 2번, 신명기에 3번, 여호수아에 3번, 사사기에 2번, 룻기에 3번, 사무엘상하에 16번, 열왕기상에 5번, 역대상하에서 15번, 에스라에 3번, 느헤미야에 5번, 에스더에 2번, 욥기에 3번, 시편에 127번, 잠언에 10번, 이사야에 8번, 요나에 2번, 미가에 3번, 스가랴에 1번 나온다. 레위기, 열왕기하, 전도서, 아가, 에스겔, 아모스, 오바댜, 나훔, 하박국, 스바냐, 학개, 말라기에는 나오지 않는다.20)
에벤 쇼샨(A.Even-Shoshan)은 그의 성구 사전에서 구약에서 헤세드가 246번 쓰인것을 제시하고 있다.21) 그의 책을 근거로 하여 구약에서 헤세드가 쓰인 것을 보면 아래표와 같다
+------+-------------+-------------------------------------------+
| | 창세기 |19:19 20:13 21:23 24:12,14,27,49 32:1,10|
| 모 | 12회 |39:21 40:14 47:29 |
| +-------------+-------------------------------------------+
| 세 |출애굽기 4회 |15:13 20:6 34:6, 7, |
| +-------------+-------------------------------------------+
| 오 | 레위기 | 없음 |
| +-------------+-------------------------------------------+
| 경 | 민수기 2회 |14:18, 19 |
| +-------------+-------------------------------------------+
| 21 회| 신명기 3회 |5:10, 7:9,12 |
+------+-------------+-------------------------------------------+
| |여호수아 2회 |2:12, 14 |
| +-------------+-------------------------------------------+
| | 사사기 2회 |1:24 8:35 |
| +-------------+-------------------------------------------+
| | 룻기 3회 |1:8 2:20 3:10 |
| +-------------+-------------------------------------------+
| |사무엘상 4회 |15:6 20:8,14,15 |
| +-------------+-------------------------------------------+
| | 사무엘하 |2:5,6 3:8 7:15 9:1,3,7 10:2 15:20 |
| | 11회 |16:17 22:51 |
| 역 +-------------+-------------------------------------------+
| |열왕기상 4회 |2:7 3:6 8:23 20:31 |
| +-------------+-------------------------------------------|
| 사 | 열왕기하 | 없음 |
| +-------------+-------------------------------------------+
| | 역대상 4회 |16:34,41 17:13 19:2 |
| 서 +-------------+-------------------------------------------+
| | 역대하 |1:8 5:13 6:14,20,21,42 7:3 24:22 |
| | 10회 |32:32 35:26 | | +-------------+-------------------------------------------+
| 50회 | 에스라 3회|3:11 7:28 9:9 |
| +-------------+-------------------------------------------+
| |느헤미야 5회 |1:5 9:17,32 13:14,22 |
| +-------------+-------------------------------------------+
| | 에스더 2회 |2:9,17 |
+------+-------------+-------------------------------------------+
| | 욥 기 3회|6:14 10:12 37:13 |
| 시 +-------------+-------------------------------------------+
| | |5:8 6:4 13:5 17:7 18:51 21:7 23:6 |
| | |25:6,7,10 26:3 31:8,16,22 32:10 |
| 가 | |33:5,18,22 36:6,7,11 40:11,12 42:9 |
| | 시편 |44:26 48:9 51:3 52:3,10 57:3,10 |
| * | 128회 |59:10,17,18 61:8 62:13 63:3 66:20 |
| | |69:13,17 77:9 85:7,11 86:5,13,15 88:11 |
| 지 | |89:2,3,15,25 33,50 90:14 92:3 94:8 98:3 |
| | |100:5 101:1 103:4,8,11,17 106:1,7,45 |
| 혜 | |107:1,8,15,21,31,43 108:5 109:12,16,21,26 |
| | |115:1 117:2 118:1-4,29 119:41,64,76,88, |
| 서 | |124,149,159 130:7 136:1-26 138:2,8 |
| | |141:5 143:8,12 144:2 145:8 147:11 |
| 141회| |89:12 94:18 |
| +-------------+-------------------------------------------+
| | 잠 언 |3:3 11:17 14:22,34 16:6 19:22 |
| | 10회 |20:6,28 21:21 31:26 |
| +-------------+-------------------------------------------+
| | 전도서 | 없음 |
| +-------------+-------------------------------------------+
| | 아가 | 없음 |
+------+-------------+-------------------------------------------+
| | 이사야 7회 |16:5 40:6 54:8,10 55:3 57:1 63:7 |
| 대 +-------------+-------------------------------------------+
| 선 |예레미야 6회 |2:2 9:23 16:5 31:3 32:18 33:11 |
| 지 +-------------+-------------------------------------------+
| 서 |예레미야애가 |(2회) 3:22,32 |
| +-------------+-------------------------------------------+
| 17회 | 에스겔 | 없음 |
| +-------------+-------------------------------------------+
| | 다니엘 2회 |1:9 9:4 |
+------+-------------+-------------------------------------------+
| | 호세아 6회 |2:21 4:1 6:4,6 10:12 12:7 |
| +-------------+-------------------------------------------+
| | 요엘 1회 |2:13 |
| +-------------+-------------------------------------------+
| 소 | 아모스 | 없음 |
| +-------------+-------------------------------------------+
| 선 | 오바댜 | 없음 |
| +-------------+-------------------------------------------+
| 지 | 요나 2회 |2:9 4:2 |
| +-------------+-------------------------------------------+
| 서 | 미가 3회 |6:8 7:18,20 |
| +-------------+-------------------------------------------+
| | 나훔 | 없음 |
| 13회 +-------------+-------------------------------------------+
| | 하박국 | 없음 |
| +-------------+-------------------------------------------+
| | 스바냐 | 없음 |
| +-------------+-------------------------------------------+
| | 학개 | 없음 |
| +-------------+-------------------------------------------+
| | 스가랴 1회 | 7:9 |
| +-------------+-------------------------------------------+
| | 말라기 | 없음 |
+--------------------+-------------------------------------------+
위의 본문들을 살펴보면 헤세드가 성경에 많이 등장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특히, 시편에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헤세드가 개역 성서로 번역된 것을 살펴보면 인자, 은혜, 긍휼, 인애, 은총, 선대, 후대, 자비, 우의등이다. 역시 뜻이 여러가지로 번역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헤세드가 쓰인 본문을 보면 크게 하나님과 인간,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사용됨을 볼 수 있다. 그래서 헤세드를 인간의 헤세드와 하나님의 헤세드로 구분해서 보고자 한다.
1) 인간의 헤세드
먼저 인간의 헤세드를 살펴보는 것은 하나님의 헤세드를 더욱 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A Hebrew and English Lexicon of the Old Testament에서는 인간의 헤세드를 크게 네가지로 보아, 첫째는, 사람들이 사람들을 향한
헤세드 즉, 호의와 자선을 행하는 헤세드이다.22) 둘째는, 특별히 낮고 가난하고, 불쌍한 사람들에게 베푼 헤세드 즉, 자비이다.23) 세째로, 드물게 사용되기는 하지만 하나님을 사랑하는 이스라엘의 애정과경건으로써의 헤세드이며24) 네째로, 사랑스런 모습의 헤세드이다(사 40:6).
글뤽(N.Glueck)은 개인간 관계를 크게 다섯가지로 나누어 보고 있다. 첫째, 친척간의 관계 - 사라와 아브라함( 창 20:13), 라반과 브두엘과 이삭( 창 24:39 ), 요셉과 이스라엘( 창 47:29 ), 오르바, 룻, 말론, 기룐, 나오미( 룻 1:8 ) , 겐사람-이스라엘 사람( 삼상 15:16 ) 둘째, 주인과 손님간의 관계 - 사람들과 롯( 창 19:19 ), 아비멜렉과 아브라함( 창 21:23 ), 정탐과 스파이들( 수 2:12,14 ) 세째, 친구 사이의 관계 - 다윗과 요나단( 삼상 20:8,14 ), 다윗과 므비모셋(삼하 9:1,3,7 ), 다윗과 하눈( 삼하 1:2 ), 후새와 다윗( 삼하 16:17 ), 솔로몬과 바실래( 왕상 2:7 ), 네째, 왕과 신하들과의 관계 - 길르앗 야베스 사람들과 사울( 삼하 2:5 ), 아브넬과 사울의 집( 삼하 3:8 ), 여호야다와 요하스( 대하 2:22 ) 다섯째, 두 편간에 한편에서 이례적인 친절한 행위를 시작할 때 - 죄수와 요셉( 창 40:14 ), 요셉 족속과 벧엘에서 나온 사람( 삿 1:24 ), 이스라엘과 여룹바알( 삿 8:35 )등을 들어 헤세드의 일반 개념을 호혜성과 공동 부조와 충성이라고 하였다.25)
헤세드의 의미를 좀 더 알아보기 위해 헤세드가 사용된 본문을
관찰해 보면 헤세드의 행위를 받은 사람은 받은 헤세드에 상응하는 헤세드로 반응한다. 마치 다윗이 요나단에게 요청했던 헤세드의 행위와 같이 요나단도 다윗에게 다윗의 헤세드를 요구한다( 삼상 2:8,14 ). 다윗과 요나단은 우정으로 결속하였다. 그들에게는 신성한 언약을 하나님의 이름으로 맺은 사이이다( 삼상 18:3, 삼하 21:7 ). 이 언약 때문에 그들의 우정은 형제애로 변화되었다. 다윗과 요나단간에 있는 헤세드와 언약은 타자를 위해 책임을 져야 하는 행위의 양식이고 친구의 복리와 안전을 돌봐 주는 책임하에 있는 것이다.26) 이러한 언약으로 다윗은 요나단에게 헤세드를 요청하였다( 삼상 20:8 ).
요나단은 다윗에게 자기의 생애중에 하나님의 헤세드 를 베풀것과 자기 가정에 영원히 헤세드를 베풀것을 요청하였다. 요나단이 요청한 헤세드는 하나님의 이름으로 맹세된 헤세드이다( 삼상 20:14 ) . 다윗은 왕으로 등극한 후 요나단의 가정에 헤세드를 베풀었다. 다윗과 요나단이 맹세한 헤세드는 은혜(Grace)도 자비(Mercy)도 아니고 언약적 충성에 의해 요청된 형제애였으며 헤세드는 동맹자간의 공동 관계에서 요청되는 행위이다. 언약에 의하여 요구되는 책임과 권리는 헤세드에 의한 일치된 행동으로 해석된다. 이런 의미에서 헤세드와 언약의 관계에 있어서 헤세드는 언약의 참 본질이다.27)
이스라엘은 하나의 공동체로 발전되면서 하나된 사람들 - 친척,친구,주인과 종 - 사이에 상호 책임이라는 관계성 속에 인간 관계를 맺게되었고 이러한 관계성 속에서 헤세드는 성실성과 신실성으로 나타났다( 출 34:6 ).
2) 하나님의 헤세드
인간의 헤세드는 서로에게 헤세드를 받은것에 상응하는 헤세드를 베품으로 서로에게 책임을 갖는 것임을 볼 수 있다. 그러면 이 인간을 만드신 하나님의 헤세드는 어떤 것일까? 여기에서는 하나님의 헤세드를 살펴보고자 한다.
하나님의 헤세드는 그의 피조물의 필요에 은혜를 베푸시는 자비, 친절, 하나님의 자비하심이다(loving kindness)28). 하나님의 사랑, 자비를 구체적으로 보면, ① 적과 어려움에서의 구출, 구원이다.29) 사람들은 헤세드안에서 믿어야 한다( 시 13:6 , 52:10 ). 그것안에서 즐거워해야 한다.30) 그안에 소망을 가져야 한다.31) ② 죽음으로부터 생명의 보존32) ③ 영적 생활의 생명을 주는것33) 죄에서 구원 ( 시 25:7, 51:3 ) ⑤ 언약을 지킴에서 나타난다. 아브라함과( 미 7:20 ),모세와 이스라엘과 함께, 언약과 하나님의 사랑을 지킨다.34) 다윗과 그 왕국과 함께35), 내 시온과 함께( 사 54:10 ) 언약 헤세드를 지킨다.
또한, 헤세드는 하나님의 다른 속성들과 함께 분류된다. 즉,헤세드는 하나님의 속성중의 하나이며, 하나님의 속성으로는 자비와 충성36), 진리( 삼하 2:6, 15:20 ), 진실37), 긍휼38), 공의(렘 9:24, 시
10:1 )등이 있다.
여호와 헤세드는 성경 본문으로는 아브라함의 언약 이후에 나타난 것으로써(창 2:14) 하나님의 언약의 충실하심( 창 32:9-10, 39:21 )을 나타낸다. 모세시대에 이르러서는 헤세드는 더욱 여호와의 선택의 관념과 밀접하게 관계됨이 드러났다. 여호와는 그 본성이 헤세드이신데 언약 이전에 이미 여호와께서 아브라함을 택하셨으며 언약하신대로 택한 백성을 애굽에서 이끌어 내셨다.39) 하나님께서는 다윗과 다윗 자손에게 헤세드를 베푸실 것을 약속하셨다( 삼하 7:14-16 ). 하나님의 헤세드는 인간을 향하신 무한하신 사랑과 은혜로서 특히 이스라엘 백성과 영원한 관계로 그의 헤세드를 보여주신다.
3. 신학적 의미
여러 신학자들은 헤세드라는 단어를 여러 각도에서 해석하고 있다. 이들 신학자들의 신학적 해석을 살펴봄으로써 헤세드의 의미를 좀 더 알아보기로 한다.
다드(C.H. Dodd)는 LXX의 역자들이 헤세드를 어떻게 번역 하였는지를 검토 하였는데, 일반적으로 헤세드가 신인간( 神人間 )에 언급되기는 하였으나 s, , , s로 번역 되었음을 발견하였다. 이 중에 s, 는 히브리어의( ) (은혜스럽다)와 ( )(불쌍히 여기다)의 어근에서 나온말로 사용 되었음을 지적하고 오경에서는 특히 kindness 의 의미로 지배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밝혀 냈다.40)
린드블롬(J.Lindblom)은 고통당하고 억압받는 약한 사람에 대한
'신학논문 소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現代神學의 危機와 그 近況 (0) | 2022.09.24 |
---|---|
현대목회에서 요구되는 기독교적 영성 이진희 (0) | 2022.09.24 |
복음과 한국종교와의 만남 김경재 (0) | 2022.09.24 |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의 신앙론 유정우 (0) | 2022.09.24 |
폴 틸리히의 신학적 해석학 임 영 금 (0) | 2022.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