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위일체 하나님 성부성자성령 339

삼위일체 하나님 (조직신학)

삼위일체 하나님 (조직신학) 1. 삼위일체의 하나님 삼위일체론은 기독 신학의 왕관으로서 교의학의 모든 부문을 총괄한 만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교리는 기독교의 심장으로서 모든 교인들의 신앙고백 속에 살아 움직이며 예배 때의 이름으로 축복하는 축도가 시행되어지지 않는 교회가 없을 정도로 신앙생활과 밀착되어 있다. 이처럼 삼위일체 교리의 신앙고백과 그 중요함의 여부는 기독교 전체의 존립과 사활이 이에 달려 있기 때문에 이 교리는 모든 교회의 근본이며 새 언약의 실체요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다. 아다나시우스가 그의 전 생애를 걸고 삼위일체론을 거부하는 무리와 대항하여 싸운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그러나 이토록 중요하고 심오한 삼위일체론의 교리를 다룸에 있어서는 성경 계시만이 교리 진술의 표준이요 ..

삼위일체 하나님과 창조 타락 구속 - 김석주

삼위일체 하나님과 창조 타락 구속 - 김석주 Ⅰ.삼위일체란 무엇인가? 기독교의 하나님은 삼위일체 하나님이다. 유일한 하나님인 동시에, 세 인격, 즉 성부 성자 성령으로 존재하는 하나님이다. 이 삼위일체론은 기독교의 독특한 교훈이다. 그것은 철학적 유신론이나 다른 종교에서는 결코 발견될 수 없는 것이다. 삼위일체론은 기독교 특유의 사상이면서도, 설명하거나 이해하기 가장 어려운 부분 중 하나이다. 셋이 하나가 되고(3=1), 하나가 셋(1=3)이 된다는 것은 산술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계산이다. 그것은 합리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이다. 자연세계에서 하나는 하나이고 셋은 셋일 뿐이다. 삼위일체론은 하나님의 계시에 근거한 것으로 초자연적 진리에 속한다. 하나님이 자신을 그렇게 나타내 보이셨기 때문에, 우리..

삼위일체Trinity , 三位一體

삼위일체 Trinity , 三位一體 요약 이 교리는 수세기 동안 논쟁을 통해 발전했다. 첫 번째 해석은 종속론으로, 〈구약성서〉에서 유래한 유일신 신앙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성서의 가르침을 그리스·로마의 종교인들에게 이해시키기 위해 그리스도 안에 있는 신성, 즉 말씀 또는 로고스는 최고의 존재에 종속된다는 것이었다. 두 번째는 양태론으로, 성부·성자·성령이 하느님의 존재 자체에서는 구별되지 않지만, 유일신 하느님이 자신을 계시하는 3가지 양태라는 것이었다. 종속론은 3위격을 구별했지만 동등성과 통일성을 상실했고, 양태론은 3위격의 통일성을 포착했으나 3위격을 구별하지 못했다. 이 교리는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 공인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카이사리아의 바실리우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나지안주스의 그레..

삼위일체 하나님의 지칭에 대한 이해

삼위일체 하나님의 지칭에 대한 이해 ♥ 들어가며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지칭을 두고, 를 으로 지칭하느냐?, 를 으로 지칭하느냐? 에 대하여 각종 선행 연구물과 자료가 분석되어 갑론을박을 하고 있습니다. 결과가 어떻게 도출될지는 아직 미지수이지만 토론과정에서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더욱 풍성하여 지리라 생각합니다. 이 문제에 대하여 접근 자료를 드러내어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1. 성경에 기록된 삼위 하나님 1) 삼위가 존재하심을 같은 자리에 나타낸 곳 (창1:26;마3:16,17,28:19;요14:16,17;고후13:13;벧전1:2) 2) 삼위가 하나님이심을 나타내는 곳 - 성부(시89:26;요8:41;고전8:6;엡1:17), 예수(롬9:5;딛2;3), 성령(행5;4) 3) 삼위가 영원하심을 나타내는 곳..

삼위일체

삼위일체 삼위일체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은 네 가지 본질적 주장들을 구현한다. 유일하시며 참되시고 살아계신 하나님은 오직 한 분뿐이다. 이 유일하신 하나님은 성부 하나님, 성자 하나님, 성령 하나님의 세 위격으로 영원히 존재하신다. 이 세 위격은 각각 동일한 신적 성품을 가지고 있으며, 속성이 완전히 동일하시다. 각 위격은 충분히 그리고 완전히 하나님이시지만, 각 위격들이 완전히 동일한 것은 아니다. 성부, 성자, 성령 간의 차이점은 그들이 서로 관련을 맺는 방식과 각 위격이 그들의 통합된 목적을 수행하는 것에서 담당하는 역할에서 볼 수 있다. 삼위일체의 본질의 연합과 위격의 구분은 그림에 잘 그려져 있다.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하나님은 유일하신 하나님이시다 : 유일신론 신 6:4 “이스라엘아 들으..

삼위일체와 성령론의 정립

삼위일체와 성령론의 정립 성령이 신성을 가진 존재라면 필연적으로 삼위일체론의 구조 안에서 성령의 정체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이단적인 신학이 활개 치는 21세기에 기독교의 정체성이 확립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한 존재가 세 위격으로 계신다는 삼위일체론은 신비일 수는 있어도 모순은 아니다. 성경이 계시하는 그대로를 받아들인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삼위일체는 우리의 이성의 합리성이 아니라 성경의 계시를 그대로 받아들인 우리의 고백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1) 그리스도의 신성의 확립과 삼위일체 예수가 누구냐? 즉 예수의 신성에 대한 논쟁이 등장하면서 교회는 여기에 대한 답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는 기독교의 정체성과 관련한 중요한 문제였기 때문이다. 유대교는 신명기 6장 4절을 토대..

삼위일체와 성령론의 정립

삼위일체와 성령론의 정립 성령이 신성을 가진 존재라면 필연적으로 삼위일체론의 구조 안에서 성령의 정체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이단적인 신학이 활개 치는 21세기에 기독교의 정체성이 확립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한 존재가 세 위격으로 계신다는 삼위일체론은 신비일 수는 있어도 모순은 아니다. 성경이 계시하는 그대로를 받아들인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삼위일체는 우리의 이성의 합리성이 아니라 성경의 계시를 그대로 받아들인 우리의 고백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1) 그리스도의 신성의 확립과 삼위일체 예수가 누구냐? 즉 예수의 신성에 대한 논쟁이 등장하면서 교회는 여기에 대한 답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는 기독교의 정체성과 관련한 중요한 문제였기 때문이다. 유대교는 신명기 6장 4절을 토대..

성삼위일체 교리의 정리

성삼위일체 교리의 정리 우시아(본질:οὐσία)와 휘포스타시스(위격:ὑπόστασις) 갑바도기아 교부들이 삼위일체 교리에 대하여서 세 위격과 한 본질에 대하여서 개념 정리를 잘 하였다. 그때에 세 위격을 three Hypostasis(ὑπόστασις)로 한 본질을 one ousia(οὐσία) 로 정리하였다. 우시아(οὐσία)는 무엇인가? 그것은 희랍어 동사 에이미(εἰμί)로 부터 파생된 것으로 그 사전적(Dictionary) 의미는 이러하다. "모든 회원에 의하여서 공유되는 본질적 속성"(a essential attribute shared by all members of a class)이다. 그래서 우시아(οὐσία)는 삼위일체 세 위격이 모두 한 본질적 속성으로 공유하고 있는 그 실체이다. 휘..

삼위일체론의 형성과 의미 유해무

삼위일체론의 형성과 의미 유해무(고려신학대학원 교의학교수) 삼위일체론은 신학 교과서에만 있는 지식인가? 비록 성부, 성자,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지만, 대부분의 신자들은 일상적인 삶에서 사실상 '단일신론'을 따르고 있다. 우리는 매주일마다 성부, 성자, 성령께 송영을 돌려드리며, 삼위 하나님의 축복을 받으면서 예배를 마치지 않는가. 그렇지만 삼위일체론이 거짓으로 판명되어진다 하여도 기독교 경건 서적의 대부분 바뀌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이처럼 삼위일체론이 창조론, 기독론, 은혜론 뿐만 아니라, 성도들의 경건과는 거의 분리되어 있다. 성령 안에서 성자의 이름으로 성부께 기도를 하루에도 몇번씩이나 드리며,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의 사역을 차례로 고백하는 사도신경을 고백하면서도, 성도들의 머리에는 '단..

삼위 일체론의 견해들

삼위 일체론의 견해들 삼위일체론의 형성과 의미 유해무(고려신학대학원 교의학교수) 삼위일체론은 신학 교과서에만 있는 지식인가? 비록 성부, 성자,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지만, 대부분의 신자들은 일상적인 삶에서 사실상 '단일신론'을 따르고 있다. 우리는 매주일마다 성부, 성자, 성령께 송영을 돌려드리며, 삼위 하나님의 축복을 받으면서 예배를 마치지 않는가. 그렇지만 삼위일체론이 거짓으로 판명되어진다 하여도 기독교 경건 서적의 대부분 바뀌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이처럼 삼위일체론이 창조론, 기독론, 은혜론 뿐만 아니라, 성도들의 경건과는 거의 분리되어 있다. 성령 안에서 성자의 이름으로 성부께 기도를 하루에도 몇번씩이나 드리며,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의 사역을 차례로 고백하는 사도신경을 고백하면서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