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위일체 하나님 성부성자성령 345

어거스틴 삼위일체론

어거스틴 삼위일체론 1. 어거스틴의 생애 어거스틴은 사도 바울 이후 가장 위대한 기독교 신자이다. 그는 서방교회의 아버지이다. 그의 사상은 중세 시대를 지배했다. 16세기의 종교개혁과 캐톨릭의 반동종교개혁 둘 다가 어거스틴에 대한 재발견이었다. TONY LANE, 기독교 사상사, 삼판 (서울: 나침반사, 1987), p. 87. 어거스틴의 삼위일체론 아우렐리우스 어거스틴(Aurelius Augustine)은 354년 오늘날 알제리인 타가스테에서 이교도인 부친과 정통 그리스도인인 어머니(모니카) 사이에서 태어났다. 371년 그는 교육을 받기 위해서 카르타고에 보내졌다. 그곳에서 그는 완전히 방탕한 생활을 계속하다가 키케로(Cicero)의 호르텐시우스(Hortensius)를 읽게 된것이 그로 하여금 철학(진..

존재론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의 관계에 대한새로운 십자가 신학의 입장에 대한 비판적 고찰

존재론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십자가 신학의 입장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승구 "새로운 십자가 신학"이란 독일 튜빙겐 대학교 개신교 신학부의 유르겐 몰트만(Juergen Moltmann)과 게르하르트 융엘(Gerhart Juengel)이 발전시키고 있는 신학을 지칭하는 것이다. 그들은 예수의 십자가 사건을 중심으로 신학을 새롭게 하려고 한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들의 이런 입장이 루터가 말한 십자가 신학(theologia cruxis)을 20세기의 정황 가운데서 새롭게 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그들의 입장을 루터의 십자가 신학과 동일시 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래서 그들의 신학적 입장을 "새로운 십자가 신학"의 입장이라고 한 것이다. 그것은 여러 면에서 입증될 수 있다. 나는 ..

하나님의 삼위일체 코넬리우스 반틸의 [개혁주의 신학 서론] 중에서

코넬리우스 반틸의 [개혁주의 신학 서론] 중에서 제17장 하나님의 삼위일체 하나님의 비공유적 속성들에 대한 고찰로 나아가기로 하자. 하나님께서 구체적으로 자충족적인 존재로 존재하신다는 사실은 삼위일체 교리에서 분명히 나타난다. 여기서 다른 모든 형태의 존재와 비교해서 구체적으로만이 아니라, 숫자적으로 하나이신 분이 그 자신 안에 구체적이고 숫자적인 존재의 구별(a distinction of specific and numerical existence)을 가진 것으로 나타난다. 우리는 하나님 신성의 본질에 대해 신성의 삼위(the three person of the Godhead)를 말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각 속성들이 하나님의 존재와 동일시 될 수 있다고 말할 때, 동시에 그것들을 구별할 수 있듯이, 삼위..

현대신학, ‘보편구원론’ 야기함으로써 속죄 구원론 약화

현대신학, ‘보편구원론’ 야기함으로써 속죄 구원론 약화시켜 하나님과 세상 구분 않고 교회를 사회적 공동체로 이해하기도 교회는 삼위일체 교리를 정통교리로 인정했다. 하지만 슐라이에르마허(Schleiermacher) 이후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삼위일체 교리를 비이성적이고 불필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무시했다. 그러나 20세기를 선도한 신학자들, 즉 바르트, 몰트만, 융엘, 판넨베르그는 삼위일체 교리를 재생시켰다. 그렇다면 이들이 재생시킨 삼위일체 교리는 문제가 없을까. 최근 한국복음주의신학회(회장:최갑종 교수, 백석대)가 개최한 ‘제62차 신학포럼’에 발제자로 나선 김용준 교수(대신대, 조직신학)가 개혁주의적 입장에서 이를 분석했다. 삼위일체 교리는 하나님 자신이 죄로부터 인간을 구원하신다는 것을 확증하..

양태론과 양자론과 삼위일체

양태론과 삼위일체 혹간 사람들은 삼위일체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논리라고 비판한다. 그러나 삼위일체란 성경을 정리하고 체계화시킨 것이며, 인간의 이해를 돕기 위한 논리가 아니라, 이해가 다소 어렵더라도 불구하고 성경을 그대로 정리한 것이다. 삼위일체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논리가 아니라, 당시 초대교회시절에 성행하던 이단들에 대항하여 그들에 맞서 만들어진 논리라는 것을 우리는 알아야만 한다. AD318년 알렉산드리아 교회의 장로 아리우스는 그리스도가 "비존재로부터 피조되었으며, 존재하지 않았을 때도 있었다"고 주장함으로서 알렉산더 감독과 대립하여 초대교회를 분열시켰다. 아리우스 장로는, 성자는 어느 순간에 성부에 의하여 창조되었고, 성자는 성부와 유사하지만 본질적으로 동일하지 않다고 주장하였던 것이다. 즉 ..

2-3세기의 삼위일체

2-3세기의 삼위일체 서 론 모든 신학이 그러하듯 갑자기 생겨난 것이 아니라 지난한 과정을 거쳐 탄생했다. 삼위일체교리도 그러하다. 그러므로 삼위일체의 교리를 아는 것은 그 역사 과정을 추적하는 것과 같다. 기독교의 하나님은 유일신 하나님이 아니라 삼위일체 하나님이시다. 처음부터 그리스도인은 하나님도 믿고 예수님도 믿고 또한 성령을 체험하였기에 삼위일체 하나님을 믿었다. 그러나 그것이 삼위일체 하나님이란 뚜렷한 교리가 나오기 까지 변증과 논쟁과 합의를 거쳐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 윤곽을 잡고 381년 콘스탄티노플공의회에서 결정적 형태를 갖추게된다. 여기서는 삼위일체의 역사적 과정을 추적하고 현대 신학자들의 삼위일체를 살펴보고자한다. 1. 2-3세기의 삼위일체 초기의 기독교 신학은 팔레스타인을 넘어 그..

4세기 삼위일체의 논쟁

4세기 삼위일체의 논쟁 서 론 4세기 아리오스의 가르침으로 야기된 논쟁은 급기야 최초의 에큐메니컬 공의회인 325년 니케아 회의를 소집하게된다.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기독교를 공인하면서 이제 기독교는 공인된 종교일뿐 아니라, 제국의 종교가 되었다. 삼위일체로 인한 교회의 분열은 ,곧 제국의 분열을 가져온다는 위기의식을 느낀 황제는 하나의 제국, 하나의 교회, 하나의 신앙이란 신념을 실현 시키고자 친히 교회회의를 소집하게 된다. 그래서 이 시기의 교회회의 소집자는 주로 황제이다. 여기서 도출된 하나의 신조를 토대로 제국의 통일을 도모하려 했던 황제는 이 신조에 반대하는 자들을 회유, 협박하거나 면직,유배를 보내곤 하였다. 아타나시오스가 다섯번의 면직과 복직을 반복한 것은 비단 아타나시우스뿐 아니라 많은 주교..

동방 교부들의 삼위일체론

동방 교부들의 삼위일체론 서 론 325년 니케아 공의회로부터 381년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이르기까지 치열한 공방을 거쳐 삼위일체가 완성되었다. 여기에는 4-5세기 위대한 동방 교부들이 핵심역활을 했다. 여기서는 아타나시오스와 카파도기아 교부들의 삼위일체를 보려고 한다. A. 아타나시오스(295-373) 1. 그의 생애 그는 295년 알렉산드리아에서 태어났고 거기서 공부했다.319년 알렉산드로스 주교에 의해 보제로 임명되어 알렉산드로스를 수행하여 니케아 공의회(325)에 참석했다. 3년 후 알렉산드로스의 뒤를 이어 알렉산드리아 주교가 된다. 그는 새로운 신학체계나 용어를 만들어 내지는 않았지만 니케아 신앙을 고수하는 것을 절대절명으로 삼았다. 이로 인해 5번이나 면직을 당했으며 17년 이상을 유배지에서 보..

서방 교부들의 삼위일체

서방 교부들의 삼위일체 서 론 4세기 삼위일체 논쟁에서 서방교회는 니케아 신앙을 고수하고 아타나시오스를 비롯한 동방교회의 니케아파를 지지하며,결국 니케아 신앙을 동서교회의 공동의 신앙고백으로 확정하는 데 결정적인 역활을 했다. 서방교회의 삼위일체는 테르툴리아누스와 노바티누스가 기초를 세우고 힐라리우스와 빅토리누스,암브로시우스가 발전시키고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 완성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가르침은 서방교회 삼위일체론의 규범이 되어 오늘날 까지도 영향을 미치고있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힐라리우스와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 신학을 소개하고자 한다. A.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295-367) 1. 그의 생애 그는 프랑스의 작은 도시 푸아티에서 이방인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쾌락적인 삶에 대한 혐오와 철학자들의 모순..

고대교회 신조들의 해석

고대교회 신조들의 해석 서 론 여기서는 사도신경과 니케아 신조(325)와 니케아-콘스탄니노플 신조(381)를 다룬다. 사도신경은 서방교회의 삼위일체론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으며 주로 서방교회와 개신교회에서 사용한다. 반면 나머지 두 신조는 동방교회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에큐메니칼 공의회에서 이단들을 대처하는 상황에서 작성된 것으로 오늘날까지 정통성 시비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는 정통 삼위일체론에 대한 현재적인 해석의 전형이라 생각되어 오늘 세계교회가 지향하는 에큐메니칼 해석에 해당한다. A. 사도신경 1. 한국교회가 사용해온 본문 나는 전능하신 아버지 하나님, 천지의 창조주를 믿습니다. 나는 그의 유일하신 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 그는 성령으로 잉태되어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