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과일. 곳곳의 과수원을 붉게 물들이고 있는 사과는 건강상 이점이 많은 복덩이다.
‘하루 사과 한 알이면 의사를 멀리할 수 있다’는 서양 속담이 있을 정도.
사과에는 식이 섬유가 풍부하다.
이는 우리 몸이 스스로 소화할 수 없는 복합 탄수화물의 일종이다. 식이 섬유는 장에 서식하는 많은 박테리아 종의 먹이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박테리아는 암 위험부터 체중, 기분 등 건강 전반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사과를 포함한 과일과 채소를 많이 섭취하면
장내 유익 균의 수가 증가하고 유해 균의 수가 감소해 전반적인 건강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미국 멤피스 대학교의 영양 과학자인 마리 반 데어 메르베(vanderMerwe) 박사가 23일(현지시각) 뉴욕 타임스에 말했다.
또한 사과 자체에도 유익한 박테리아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모든 과일과 채소에 해당되지만, 한 연구에 따르면 사과에는 대부분의 과일보다 더 다양한 박테리아가 존재한다. 오스트리아 그라츠공과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사과(현지에서 재배하는Alet품종으로 실험) 한 알에는 사람 몸에 유익한 박테리아가 약 9000만 개 존재 했다. 사과를 먹으면 이러한 박테리아 중 일부가 마이크로바이옴(체내 미생물 군(群))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반 데어 메르베 박사는 사과에 대해 “프리바이오틱스(위와 장에서 소화 효소로 분해되지 않는 저분자 섬유소)처럼 작용할 뿐만 아니라 프로바이오틱스(인체에 이로운 유익 균)처럼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사과는 심장 건강에도 좋다. 사과에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식이 섬유인 펙틴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2012년의 한 연구에서 폐경 후 여성 160명은 1년 동안 매일 75g의 말린 사과(중간 크기의 사과 약 2개에 해당) 또는 자두를 먹었다. 6개월 후, 사과를 섭취한 여성은 총 콜레스테롤이 13%, ‘나쁜’LDL콜레스테롤이 24% 감소했다. 반면 자두를 섭취한 여성은 총 콜레스테롤이 3.5%,LDL콜레스테롤이 8% 감소해 사과에 못 미쳤다.
사과는 또한 식물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생성하는 건강 증진 물질인
폴리페놀의 주요 공급원 중 하나다.
폴리페놀은 주로 껍질에 분포하기 때문에, 사과를 먹을 땐 껍질째 먹는 게 가장 좋다. 특히 사과에 포함된 특정 폴리페놀인 플라보노이드는 혈관을 통해 흐르는 산화질소 생성을 자극하여 혈관을 확장하는 데 특히 효과적이다. 이는 혈압에 좋다고 덴마크 암 연구소의 박사 후 연구원 니콜라 본도노 박사가 뉴욕 타임스에 말했다. 그는 사과에 관한 여러 연구 논문의 공동 저자로 참여했다.
사과는 만성 염증 감소에도 효과적이다. 사과의 폴리페놀은 염증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질병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영국 북아이랜드 벨파스트 퀸즈대학교 연구진이 지난 8월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약 20년 동안 수집한 11만 9000여명의 건강 데이터(5회에 걸쳐 조사한 24시간 동안 먹은 모든 음식에 대한 기록 포함)를 분석한 결과, 식사 기록에 하루에 사과를 두 개 이상 먹는다고 답한 사람은 나중에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걸릴 확률이 3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공동 저자인 애딘 캐시디 영양·예방 의학 학과장은 “하루에 반개만 먹어도 효과를 볼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사과와 만성 폐쇄성 폐질환 위험 사이의 연관성이 염증 표지자의 감소와도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덴마크 암 연구소의 본도노 박사는 사과는 껍질째 먹을 때 가장 영양가가 높다고 설명했다.
강력한 폴리페놀과 다량의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는 곳은 껍질이기 때문이다. 본도노 박사는 껍질을 깨끗하게 씻어 잔류 농약을 제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