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난제! 중요한 문제들 ???

얼음이 없다? 충격적인 북극 상황… 지구의 마지막 경고

하나님아들 2024. 9. 1. 21:19

얼음이 없다? 충격적인 북극 상황… 지구의 마지막 경고

입력 : 2024-09-01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의 스베아 지역이 시커먼 맨살을 드러내고 있다. 한때 눈부시게 빛났던 이 지역의 빙하는 산꼭대기 등에 일부만 남아있다. 빙하가 녹아내린 흔적에서는 북극의 신음이 들리는 듯하다. 지난달 5일 스발바르 롱위에아르뷔엔에서 북극 다산기지가 있는 니알슨으로 가는 비행기에서 찍은 모습이다. 빙하로 뒤덮였던 영구동토층은 처참한 얼굴로 기후위기를 온몸으로 외치고 있다.


“보글, 보글.” 사방이 고요한 북극의 바다. 가만히 귀를 기울이자 낯선 소리가 끊임없이 들렸다. 유빙이 녹으면서 그 안에 갇혀 있던 공기가 새나오는 소리다. 공기는 1만 년, 아니 그 이상을 빙하 속에 머물다 ‘작은 비명’을 지르며 세월을 건너왔다.

 

 

 

1만년 이상을 살아낸 빙하들이 사라진 자리에는 다양한 흔적이 남아 있다. 그 흔적들은 지구의 상처이기도 하다.



공기 방울의 비명은 지구의 신음이기도 하다. 북극에서 빙하의 양은 줄고 있고, 해수면은 상승 중이다. 지난달 2일 한국에서 비행시간만 20시간을 걸려 날아온 북극은 더는 ‘얼음왕국’이 아니었다. 극지연구소 북극다산기지가 자리한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의 8월 햇볕은 온화했고 바람이 선선했다. 마치 강원도의 가을 같았다. 순록은 평화롭게 풀을 뜯고 거위들은 사람과 차를 밀어내고 도로를 차지했다. 눈과 얼음 대신 다양한 풀이 땅을 덮었다.

널찍한 해빙 위에서 휴식을 취해야 하는 물범들이 지난달 6일 노르웨이 스발바르 블룸스트랜드에서 돌 위에 누워있다. 해빙 감소로 서식지 파괴, 먹이 부족 등을 겪으면서 물범 등의 북극 해양 포유류는 멸종위기에 처했다.



두꺼운 겨울옷을 잔뜩 챙겨왔는데 허탈함마저 느껴졌다. 북극을 세 번째 찾는다는 극지연구소 김문교 연구원은 “올 때마다 날씨가 온화해지는 걸 느낀다. 지내기는 수월한데 결코 좋은 징조는 아니다”고 우려했다.

지난달 8일 노르웨이 스발바르 오시안사스 해안가에 떠밀려온 해빙에서 물방울이 떨어지고 있다. 북극 빙하는 빠른 속도로 줄고 있다. 특히 생성 1년 차의 ‘어린 얼음’이 극적으로 늘면서 해빙 감소를 부추기는 중이다.

 


뜨겁게 달궈진 지구는 이미 이곳저곳에서 신호를 보내고 있다. 미국 핵과학자회(BSA)는 올해 1월에 지구 종말시계가 자정까지 90초 남았다고 발표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로 남극 해빙은 위성 데이터 등장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독일 막스플랑크 기상학연구소의 데이비드 닐슨 박사 연구진은 북극 빙하가 녹으면서 2100년에 북극 바다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지금보다 최대 14% 줄어든다고 했다. 국제 지구빙하권 기후이니셔티브(ICCI)에서 지난 2022년 11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 북극 해빙은 2050년 모두 소멸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구온난화로 빙하가 계속 녹으면서 해수면이 최대 3m 상승해 해안도시들을 위태롭게 만들 전망이다.

노르웨이 스발바르 롱위에아르뷔엔에서 배로 1시간 거리에 있는 피라미덴 인근에서 지난달 3일 거대한 빙벽 중 일부가 무너지고 있다.

 


한국도 안전지대는 아니다. 해양수산부는 1991~2020년 한국 연안의 평균 해수면이 매년 3.03mm 높아져 평균 9.1cm가량 상승했다고 밝혔다. 최근 10년 동안 상승 속도가 10% 이상 늘었다.

스발바르 공항 인근에서 주민들이 개가 끄는 마차로 이동하고 있다. 주민들은 겨울에는 썰매, 여름에는 마차를 이동수단으로 한다.


북극 빙하의 감소는 먼 미래, 먼 나라의 얘기가 아니다. 한국은 올여름 불볕더위를 겪었다. 겨울의 이상 한파, 한반도 해수면 상승 등도 영향권 안에 있다.

 

 

 

 

 

관광객들이 지난달 4일 스발바르 인근 해상에서 빙하를 바라보는 장면을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모습이다. 빙하가 녹은 산이 붉게 보인다. 롱위에아르뷔엔에는 크루즈, 보트, 스노보드 등을 이용한 다양한 빙하 관광상품이 있다.


극지연구소 김주홍 책임연구원은 “북극 온난화는 한반도 상공의 제트 기류에 영향을 미친다. 공기를 움직이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열’이다. 따뜻해진 북극에서 발생한 열은 공기를 이동시켜 한반도 기후에 다양한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
-본 기획물은 정부 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스발바르(노르웨이)=글·사진 김지훈 기자 dak@kmib.co.kr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020480157&code=61131111&sid1=int&cp=nv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