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논문 소논문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교육

하나님아들 2023. 6. 8. 15:56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009학년도 석사학위논문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교육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기독교교육학과 기독교교육학 전공 장 석 현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교육 지도 김 도 일 교수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장 석 현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기독교교육학 전공 2010년 8월 장 석현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주 심 : 김 도 일 교수 ____________ 인

부 심 : 이 규 민 교수 ____________ 인

부 심 : 고 원 석 교수 ____________ 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년 8월 감사의 글 빛이 있으라!

먼저 본 논문을 완성할 수 있도록 지금까지 인도하여 주신 하나님 을 찬양합니다.

말과 글이 어둔한 자를 통해 움직이시고 다시금 글을 통해 표현할 수 있는 용기를 주신 하나님! 지금까지 어려운 순간마다 지혜를 허락하시어 진리탐 구의 기쁨을 허락하신 주님께 모든 영광을 돌립니다.

그 은혜 생각하며 이제 삶의 자리에서 참된 그릇으로 쓰임 받고 싶습니다.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빛의 자녀로 살아가고 싶습니다.

본 논문을 지도해 주신 김도일 교수님과 기독교교육학과 교수님들께 감사를 드 립니다.

이 논문을 쓰기까지 저의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늘 긍정적으로 말씀해주시고 믿어주시며 어려운 상황마다 통찰을 주시고 따뜻하게 하나하나 지도해주신 김도일 교수님 감사의 마음과 존경의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대학원 영성교육의 수업을 통해 해결되지 않았던 많은 교육적 질문들을 채워주시고 어려운 퍼즐을 인내하며 완성해 나아가는 지혜를 주신 가르침 평생 기억하겠습니다.

부심으로 세심한 지도와 더 나아가야 할 학문의 길을 따뜻하게 지도해주신 이규민 교수님과 고원석교수님께 도 귀한 스승의 은혜를 입었습니다. 학부 때부터 기독교교육의 길을 잘 갈 수 있도 록 부모님처럼 이끌어주신 고용수 교수님, 사미자 교수님, 임창복 교수님께도 감사 를 드립니다. 양금희 교수님, 95년 장신대 첫 강의로 만난 기독교교육철학의 열정적 인 강의를 잊을 수 없습니다. 가르침의 열정이 지금까지도 변함없으신 교수님께 감 사드립니다. 학부 때부터 지금까지 교육함의 날카로운 통찰과 진리탐구의 깊이와 늘 부지런히 연구하시고 시대를 잘 해석하며 실천적 삶까지 겸비하신 박상진 교수님, 기독교교육방법과 기독교교육과정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게 하신 교수님께 늘 감사 한 마음입니다. 철학적 사고를 열어주신 한숭홍 교수님, 제임스 로더를 소개해주시 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 주신 장신근 교수님, 영성의 참 의미를 깨달으며 말씀묵 상의 기초를 세워주신 유해룡 교수님, 세상을 향한 가르침이 무엇인지 몸소 보여주 시며 선교적 사명을 일깨워주신 친절하신 한국일 교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이 분 들이 있었기에 쓸 수 있었던 논문이었습니다. 첫 사역지인 서교동교회 우영수 목사님과 6년 동안 행복하게 청소년사역을 함 께 했던 선생님들께 감사드립니다. 특히 1318바람개비 청소년사역 식구들과 박경원 목사와 함께한 사역이 앎과 실천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모두 사랑하고 축복합니다. 10년의 청소년 사역을 열매맺는 기쁨을 허락하신 새문안교회 이수영 담임목사 님과 동역자들, 특히 함께 교육1부를 섬기는 목사님들과 전도사님들 그리고 선생님 들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을 보았습니다. 정말 감사하고 행복합니다. 그 어떤 상황에서도 지금까지 믿어주시고 길러주신 양가 부모님과 사랑하는 가 족들, 94년부터 지금까지 변함없이 함께 해준 친구이자 아내인 심진희 목사가 없었 다면 이 논문을 완성하지 못했을 겁니다. 모두에게 사랑과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빛이 있으라! 2010년 8월 장 석 현

 

- i - 목 차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및 범위 ········································································································ 3 Ⅱ. 관계에 대한 이론적 접근 ································································································· 5 A. 신학적 접근 : 바르트와 깔뱅의 하나님과의 관계성 이해 ·································· 5 B. 철학적 접근 : 부버와 키에르케고르의 관계적 인간이해 ·································· 9 C. 심리학적 접근 : 페어베언과 코헛의 대상관계이론 ············································ 14 Ⅲ. 관계와 기독교영성교육 ·································································································· 17 A. 영성의 이해 ··············································································································· 17 1. 영성의 정의 ············································································································ 17 2. 기독교 영성 이해 ···································································································· 19 a. 기독교 영성의 의미적 측면 ·············································································· 19 b. 기독교 영성의 실천적 측면 ·············································································· 21 3. 기독교 영성의 관계적 이해 ················································································ 23 B. 관계를 살리는 기독교 영성 교육의 가능성 ························································· 27 1. 기독교 영성 교육의 가능성 ·················································································· 27 2. 기독교 영성 교육의 이론적 접근 ········································································ 29 a. 로더의 변형론 ······································································································ 30 b. 컬리의 영성발달 단계 ························································································ 34 3. 관계를 살리는 기독교 영성 교육의 가능성 ······················································ 40 Ⅳ.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영성교육 ·················································································· 45 A. 청소년기에 대한 이해 ······························································································· 45 1. 청소년기의 구분 ···································································································· 45 2.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성 ······················································································ 47 a. 신체변화 ················································································································ 47 - ii - b. 인지발달 ················································································································ 48 c. 심리변화 ················································································································ 49 d. 사회관계 ················································································································ 50 3. 청소년기의 종교관 ································································································ 50 B. 청소년 영성교육의 필요성 ······················································································· 53 1.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자아정체성 확립 ································································ 53 2. 개별적-반성적 신앙으로의 성장 ········································································· 55 C.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 교육 ··········································································· 56 1.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 교육의 목적 ·························································· 56 2.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 교육의 내용 ·························································· 59 3.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 교육의 방법 ························································ 60 a. 기도 ························································································································ 61 b. 거룩한 독서 ········································································································ 62 c. 성찰과 실천 ········································································································ 68 4.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 교육의 장 ······························································ 70 a. 가정 ······················································································································ 70 b. 학교 ······················································································································ 71 c. 교회 ························································································································ 71 Ⅴ.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 교육의 실제 : 청소년 말씀묵상 “만나식스” ········· 72 A. 만나식스의 이론적 배경 ··························································································· 73 1. 종합적 단계를 통한 청소년영성교육 ·································································· 73 2. 균형잡힌 청소년영성교육 ···················································································· 73 B. 만나식스의 목적 ········································································································· 74 C. 만나식스의 방법과 내용 ························································································· 75 1. 만나식스의 7단계 ··································································································· 75 2. 만나식스의 활용방법 ······························································································ 80 3. 만나식스의 내용 ······································································································ 82 D. 만나식스의 장 ············································································································· 84 1. 가정에서의 만나식스의 활용 ················································································ 84 - iii - a. 만나식스 가정예배 ······························································································ 84 b. 사랑의 만나 쪽지 ································································································ 85 c. 토요 큐.티타임 ····································································································· 85 d. 만나 뽑기 ·············································································································· 86 2. 학교에서의 만나식스의 활용 ················································································ 86 a. 학교에서의 개인 만나식스 활용 ······································································ 86 b. 학교에서의 셀모임을 통한 만나식스 활용 ···················································· 87 3. 교회에서의 만나식스의 활용 ················································································ 88 a. 팀사역을 통한 만나식스 활용 ·········································································· 88 b. 수련회와 방학생활을 통한 만나식스 활용 ···················································· 90 Ⅵ. 결론 ·································································································································· 91 A. 요약 ····························································································································· 91 B. 제언 ····························································································································· 96 참고문헌 ··································································································································· 99 - iv - 표 목차 <표1. 만나식스 사귐의 7단계> ·························································································· 76 <표2. 요절 편 (5세트-25주 과정)> ·················································································· 84 <표3. 셀모임 일지> ··············································································································· 88 <표4. 팀사역의 분류> ··········································································································· 88 <표5. 만나식스 나눔의 시간과 참여방법> ······································································· 89 <표6. 만나식스 팀사역 활용의 극대화> ··········································································· 89 <그림1. 거룩한 독서의 과정> ····························································································· 67 <그림2. 만나식스 샘플> ······································································································· 82

 

- 1 - Ⅰ. 서론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최근 한국교회의 기독교교육이 위기에 직면해 있다면 그 핵심에 바로 청 소년부에 있다. 교회학교 학생 수가 가장 급격하게 감소하는 부서도 청소년 부서 이다. 예장 통합측이 2005년에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지난 10년 동안의 중고등 부 학생 수는 7.8%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1996년도에 중고등부 학생수가 230,672명이었는데 2005년도에는 180,496명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감소율은 교회학교 중고등부의 존립의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1) 왜 청소년부서가 제일 먼저 위기를 경험하게 되는가? 변화에 가장 민감한 세대가 청소년들이기 때문이다. 연일 방송 매체를 통해 흘러나오는 소식들은 이 시대의 불안과 소외, 그리고 관계의 단절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드러낸다. 특히 청소년들에게 큰 영향을 주는 연예인들의 연이은 자살 소식은 이 시대가 얼마나 영적으로 취약한 시대인지를 단적으로 보여 준다. 게다가 질풍노도의 시기라고 불리는 청소년기 자체가 불안정한 시기이기도 하다. 청소년기는 관계에 대한 갈 망을 가진 시기이다. 동시에 그들은 부모와의 갈등, 사회와의 갈등, 미래와의 갈 등에 괴로워한다. 다시 말해, 부모, 친구, 교사, 그리고 그 외의 여러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끼기도 하고, 입시, 미래, 정체성 등에 대해 불안해하기도 한다. 따라 서 그들이 겪는 소외와 절망을 궁극적으로 해결해줄 하나님과의 영적인 관계 형 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찬양집회나 기도회 이외에 는 청소년을 위한 영성교육 프로그램이 미비한 상태이다. 청소년들을 위한 영성 교육의 이론과 연구들은 많다. 하지만 청소년들의 관계적 영성을 살릴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구체적이고 실천 가 능하며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영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청된다. ‘영성’에 관한 관심과 논의는 실로 오랜 세월 동안 사람들의 주요 관심사 1)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교회여 생명을 잉태하라: 다음세대를 품는 교회』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7), 27-28. - 2 - 중의 하나였다. 하지만 영성에 대한 이해와 강조점은 각 교파나 교단에 따라, 그 리고 시대별로, 개인적․공동체적 관심사에 따라 달랐고, 사실 영성은 기독교인만 의 관심사가 아니다.2) 현대에 이르러 영성에 대한 관심은 다른 여타 종교인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받은 여론 조사 기관 중의 하 나인 갤럽의 보고에 의하면, 21세기 비소설 분야에서 판매량의 최고로 증가할 부분은 종교, 영성 부분이 될 것이며, 1987년부터 2010년 사이에는 영성 관련 도서의 성장률의 82%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3) 하지만 영성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성에 대한 본래적인 의미를 잘 모르고 사용 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영성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것 같으나 오히려 그 본 질을 잘 모르고 비본질적인 것 때문에 그 의미가 희석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하 기에 영성을 통한 기독교교육방법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영성에 대한 올바른 시 각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기독교 영성의 핵심을 “관계성”으로 본다. 기독교 영성의 핵심 주제는 하나님과 우리 인간과의 바른 관계성 회복(형성)과 증진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성경의 모든 말씀들이 바로 이 주제에 관해서 말하고 있다.4) 아이리스 컬리(Iris V. Cully)는 말하기를, 영성의 성경적인 근거는 하나님을 아는 사람들 이 그들의 삶 가운데서 어떻게 하나님과 관계를 맺어왔는가 하는 성경말씀의 설 명 가운데서 발견되어진다고 하였다.5) 이처럼 신, 구약성서에서 살펴본 인간은 하나님의 영을 필요로 하며, 하나님의 영이 그 안에 내재해 있을 때 존재가치가 있음을 보았다. 그렇게 볼 때 성서에서의 영성은 관계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이란 본래 혼자서는 존재할 수 없고 다른 인격자와의 만남과 관계 속 에서 존재한다.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는 것도, 그리고 그로 하여금 참 인간이 되 게 하는 것도 상호인격적인 만남을 통해 이루어진다. 성서에 의하면, 창조의 질 서 속에 “인간은 관계 안에 살아야 할 존재”로 규정짓고 있다. 창조의 과정에서 2) 김도일, 장신근, 『기독교 영성교육』 (서울: 동연, 2009), 4. 3) Michael Downey, 『오늘의 기독교 영성 이해』, 안성근 역 (서울: 은성, 2001), 21. 4) 류기종, 『기독교영성』 (서울: 은성, 1997), 11. 5) Iris V. Cully, 『영적성장을 위한 교육』, 오성춘, 이기문, 류영모 공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190. - 3 - 하나님이 인간에게 주신 본래의 선물인 하나님의 형상(Image of God)의 기본요 소는 “관계성”이다. 즉 하나님과 인간, 인간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자연(사물)간 의 관계의 3차원적 구조 안에서 인격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삶을 영위하도록 인 간은 지음 받았다. 이러한 이해 속에서 부버는 “태초에 말씀이 있었다.”(요 1:1) 를 “태초에 관계가 있었다.”로 의미 있는 번역을 했다.6) 그러므로 인간이 위로는 하나님과 아래로는 다른 사람과의 사이에 맺고 있는 관계에 있어서 어떠한 존재 인가 하는 것을 깨닫게 하여 그들과 조화로운 사귐을 갖게 해 주는 것이 교육현 장에서의 관계의 중요성이다.7) 따라서 관계적 영성에 대한 논의는 청소년을 위한 기독교교육방법을 모색 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주제다. 레너드 스윗은 『영성과 감성을 하나로 묶는 미 래교회』에서 ‘관계성’을 육체적, 정신적 건강의 핵심이라고 본다. ‘관계를 맺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 사람은 장수하고, 건강하며, 행복하다고 느낀다. 교회는 ‘관 계’와 ‘관계성'의 개념을 포스트모던 상황에 적합하도록 새롭게 발전시켜야 한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관계의 범위가 아니라 차이를 만들어내는 관계의 다양성 이다. 그러나 우리가 확립해야 할 가장 중요한 관계는 하나님과의 관계이다. 하 나님은 궁극적으로 우리가 관계를 맺고 있어야 할 대상이다.8) 그러므로 본 논문은 영성에 대한 관계적 이해를 통해 청소년들의 영성회 복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기독교교육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B. 연구방법 및 범위 본 논문은 관계적 관점을 가지고 청소년영성교육을 접근하려는 한 시도이 다. 본 논문은 전체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Ⅱ장에서는 관계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들을 바르트와 깔뱅, 부버와 키에 6) 고용수, 『만남의 기독교교육 사상』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94), 3. 7) Philip May, Which Way to Educate? (Chicago: Moody Press, 1975), 58. 8) Leonard Sweet, Postmodern Pilgrims, 김영래 역, 『영성과 감성을 하나로 묶는 미래교회』 (서울: 좋은씨앗, 2002), 172-73. - 4 - 르케고르, 페어베언과 코헛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는 이러한 학자 들의 신학적, 철학적, 심리학적 인간이해를 통해 인간이 본질적으로 관계적인 존 재이며, 궁극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지향하는 영적인 존재들임을 규명하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관계적 관점에서 기독교영성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 다. 이를 위해 우선 영성이 일반적으로 어떻게 이해되고 있으며, 그것과 달리 기 독교 영성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기독교 영성은 하나님과의 관계성을 그 출발점으로 한다. 또한 기독교영성은 하나님과의 개인적 관계에 머물지 않고, 이웃(타자)과의 관계성을 그 본질로 포함한다. 이러한 토대 위해 기독교 영성학 자들의 영성 연구의 두 가지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영성의 의미적 측면을 강조하 든, 실천적 측면을 강조하든 공통적으로 영성을 관계성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것 을 규명하고, 이 두 측면을 포괄하는 관계적 영성 이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장에서는 이러한 관계적 영성 이해와 더불어 관계적 기독교영성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선 기독교영성이 가르쳐 질 수 있는가를 제임스 로 더의 변형론과 아이리스 컬리의 영성발달단계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로더는 인간은 그리스도와의 만남 안에서 확인적인 체험을 통해 확신적인 인식이 일어 나면서 변형된다고 주장한다. 한편 컬리는 영성도 일생동안 발달하는 영역임을 분명하게 밝히면서, 영성의 양육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성교 육 방법의 이 두 측면을 포괄하는 관계를 살리는 기독교영성교육의 가능성을 모 색하고자 한다. Ⅳ장에서는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영성교육의 교육과정을 제시하고자 한 다. 이를 위해 청소년기에 대한 발달적 이해와 종교적 이해를 기반으로 청소년기 의 영성교육이 왜 필요한지를 살펴본 후,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영성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장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영성교육의 방법으로 기도와 거룩한 독서와 실천적 삶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이는 현대인들에게도 하 나님을 만나는 유용한 방법이 되기 때문이며, 말씀 훈련에 초점을 둔 청소년영성 교육 방법은 한국 청소년들이 가장 부족하지만 꼭 필요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Ⅴ장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교육 프로 그램인 “만나식스”를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교회의 청소년들은 주말 크리스챤이 - 5 - 대부분이다. 주일에 보는 성경 말씀이 전부이고, 기도 또한 식사기도가 전부인 청소년들이 많다. “만나식스”는 이런 현실 속에서 영적 성장을 위해 청소년들이 매일 매일 짧은 시간이라도 하나님과 사귐을 가질 수 있도록 큐티의 본문을 한 단락이 아닌 한 절로 줄여 쉽게 실천할 수 있도록 만들어 보고자 한다. 깊이 있 게 하나님을 만나기 위해서는 보다 더 긴 본문을 묵상하는 가운데 주님이 주시 는 음성을 듣는 것이 더 좋겠지만, 보다 많은 학생들이 쉽게 실천하게 하기 위해 짧은 시간동안 단계적으로 하루에 10분 이상 하나님의 말씀을 통하여 하나님과 의 관계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청소년 큐티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만나식스” 를 통해 삶의 전 영역에서 관계를 살릴 영성이 길러질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교육의 장을 가정, 교회, 학교에 따라 실천 방안을 달리 모색하고자 한다. Ⅱ. 관계에 대한 이론적 접근 본 장에서는 ‘관계’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인간이 신학적으로 어떠한 존재인지를 특히 하나님과의 관계성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바르트와 깔뱅을 중심으로 개혁교회의 입장을 살펴 볼 것이다. 철학적인 측면에서는 부버와 키에르케고르를 중심으로 한 관계적 인 간 이해를 다룰 것이며, 심리학적 접근으로 대상관계이론의 두 학자인 페어베언 과 코헛의 관계 이해를 살펴보고자 한다. A. 신학적 접근 : 바르트와 깔뱅의 하나님과의 관계성 이해 바르트는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에 따라 창조되었다는 사실로부터 인간도 하나님과 같이 관계 속에 있는 존재로 창조된 것이라는 신학적 근거를 세웠다. 창 1:26에 의하면 “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 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자”라고 하였다. 여기서 바르트는 “우리가 사람을 만들 자”라는 말은 하나님의 독백으로서 하나님 내부의 일치를 표현한다고 보았다.9) 9) Karl Barth, Church Dogmatics Ⅲ-1, G. W. Bromiley and F. F. Torrance - 6 - 이것은 하나님이 혼자 계신 분이 아니라, 다른 신적인 존재들과 함께 계신 분, 그들과의 관계 속에 계신 분이라는 뜻이며, 조직신학적으로 말한다면 하나님이 성부, 성자, 성령의 관계 속에 계신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이러한 하나님의 형 상에 따라 창조된 인간도 관계 속에 있는 존재라는 것이다. 또한 27절에 의하면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셨다”고 한다. 바르트는 나-너(Ich-Thou)의 관 계 규정을 말할 때 창 1:27에 따라오는 남자와 여자 사이를 구체적으로 들면서 형상에 대한 교리의 관점을 고정시켰다.10) 인류를 창조하실 때에 남자와 여자를 지으신 것은 인간의 운명을 완성시키는 데에는 서로가 필요 불가결하고 분리된 개인으로서는 참된 인간 생활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본 것이다. 즉 남성과 여성의 사귐이 하나님의 계명에 대한 인간의 책임이요 삶의 과제가 된다. 그런데 창조 사건에서 볼 때에 이러한 사귐의 자유는 하나님과 인간의 계약에 근거하고 있으며 다시 이러한 계약은 창조의 역사에 의하여 비롯되는 것이다.11) 창조와 계약의 이러한 내적 통일은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 속에서 성립한다. 예수 그리스 도 안에서 하나님은 인간이 되셨고 그와 이 인간과의 합일 속에서 스스로를 계 시하셨다.12) 하나님이 말씀하신 이 계약은 화해의 전제가 되며, 그 전제에 의해 서 화해의 대상이 되는 창조는 계약의 외적 기초이며, 계약은 창조의 내적 의미 가 된다.13) 그 의미는 하나님과 그의 백성 사이의 기본적인 관계를 계약이라고 하며, 이 관계는 성부와 성자 사이의 관계에서 유비되어지며, 인간과 하나님과의 관계를 지시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화해는 이 계약을 전제한 것 이다. 따라서 화해는 인간과 하나님 사이 뿐 아니라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 서 일어나는 것이 된다. 이것은 세 가지 계약적인 유형들로써, 인간과 인간, 하나 님과 인간, 성부와 하나님 자신 안에 있는 성자 사이의 관계 유비를 뜻한다.14) eds. (Edinburgh: T.&T. Clark, 1956), 182. 이하 CD로 표기함. 10) 남자와 여자를 만든 것은 관계와 동시에 구별을 전제한다. G. C. Berkouwer, Man : The Image of God (Grand Rapids, Mich.: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 1978), 72. 11) Karl Barth, CD Ⅲ/1, 94 12) 위의 책, 25. 13) 위의 책, 204. 14) Stuart D. Mclean, Humanity in the thought of K. Barth, (Edinburgh: T&T Clark, 1973), 973. - 7 - 다시 말해 이 관계는 단순히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로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 다. 인간은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이웃과의 관계 속에서, 자연과의 관계 속에 서 살아야 할 존재로 되었다는 것이다. 살아계신 하나님은 자기 자신의 바깥에 그 자신의 내적인 본질과 전혀 모 순을 일으키지 않은 채, 오히려, 자신의 내적인 본질과 합치하고 이를 영화롭게 하면서 하나의 짝(Counterpart)을 가질 수 있다. 하나님 자신의 존재와 영역 속 에는 하나의 짝이 있다. 즉 하나님의 존재의 징표는 ‘하나의 나’와 ‘하나의 너’가 하나님 자신 속에 내포되어 있다는 사실이라고 말한다.15) 이러한 나-너 (Ich-Thou)의 만남과 일치는 하나님의 존재 속에 진실하고 조화로운 자기 만남 과 자유로운 공존과 협동이 개방적인 만남과 상호성이 이룩되어 있음도 드러낸 다.16) 따라서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다는 사실은 하나님의 삶 속에 서 약동하고 있는 ‘나-너’의 만남과 공존과 협동과 개방적인 상호성이 인간을 통 해 반복되고 복사되고 반영되고 있음을 단적으로 증명한다.17) 그러나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은 인간은 하나님 앞에 범죄 하였다. 이러한 인간은 이제 하나님 앞에 설 수 없게 되었다. 곧 관계의 단절이다. 그러 면, 인간은 영원히 하나님과의 관계가 파괴 되었는가? 아니면, 아직도 인간에게 하나님과 관계를 가질 수 있는 일말의 접촉점이 남아 있는가? 가 우리에게 문제 시된다. 이것은 다시 말해서 타락한 인간에게도 하나님의 형상은 남아 있는가? 에 관한 문제이다. 인간의 타락이 하나님의 형상을 전적으로 파괴해 버렸는지, 혹은 부분적 으로 파괴되었는지에 대한 문제는 많은 신학적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이 문제에 대해 깔뱅(Calvin)은 모든 사람에게 하나님이 그 마음속에 그 의 위엄을 알 수 있는 이해력을 심어 주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죄로 인해 인간 안에 있던 하나님의 형상은 완전히 파괴되지 않았다하더라도 너무나 부패했 다.18) 따라서 타락 후에는 하나님의 형상이 그 형태가 있다 해도 아무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었다. 깔뱅은 인간의 타락을 통해서 하나님의 형상이 전적으 15) Karl Barth, CD Ⅲ/1, 196. 16) 위의 책, 185. 17) 위의 책, 196. 18) John Calvin, 『기독교강요선』, 이종성 역 (서울: 기독교서회, 1982), 35. - 8 - 로 파괴되기 전에는 인간의 존재 전체가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낸다고 한다. 그러 나 타락 후에는 그 광채가 없어졌다. 그럼에도 그는 말하기를 사람에게는 아직도 하나님의 형상의 파편이 남아 있어서 거기서 신의 지식이나 영광이 나타나며, 그 것이 또한 인간과 다른 동물을 구별할 수 있는 증거라고 한다.19) 이처럼 깔뱅은 타락한 인간에게 남아있는 하나님의 형상의 파편에서 인간 자신에게 하나님과 관계 할 수 있는 일말의 접촉점을 발견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는 다른 한편에서는 남아 있는 하나님의 형상이 너무나 부패했기에 아 무 기능도 발휘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이 점에서 우리는 인간의 전적인 타락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때에는 하나님과의 관계의 접촉점이 완전히 사 라지게 되는 것이다. 깔뱅의 이러한 주장은 자연 신학과 계시 신학의 논쟁을 야 기 시키는 원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20세기 초엽(1934)에 일어나 브루너(E. Brunner)와 바르트(K. Barth)의 논쟁은 ‘인간이 하나님과의 관계를 가질 수 있는 접촉점을 인정하느 냐?’에 대한 논쟁이었다. 먼저 브루너의 입장에서는 하나님과 인간, 하나님과 세계가 연결된다. 하 나님의 계시는 이 세계와 인간에 대하여 완전히 새로운 것이 아니라 이미 있는 것의 연장 내지 참된 실현을 의미한다. 그에게는 하나님과 인간, 하나님과 세계 의 연결성과 기독교의 고립과 일방적 편견성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 나 이것은 동시에 단점이 된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계시를 상대화시키며 하나님 의 존재를 인간화시키고 인간의 존재를 신격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인간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어떤 상응성이나 존재론적 연속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20) 이에 반해, 바르트 신학의 중심 과제는 하나님과 인간의 존재의 엄격한 구별이다. 하나님과 죄인인 인간 사이에는 어떤 존재론적 관계성 내지 존재 유비 가 있을 수 없고, 죄인인 인간이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고 그를 믿을 때만이 관 계가 형성될 수 있다. 그의 입장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과의 화해된 인 간, 하나님의 의로움을 받은 인간도 여전히 죄인으로 존속한다. 그래서 인간은 언제나 다시금 회개하고 신앙 가운데 머물러 있어야 할 존재, 성령의 역사에 의 19) 이종성, 『신학적 인간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7), 57. 20) 김균진, 『헤겔철학과 현대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1), 186. - 9 - 존할 수밖에 없는 존재이다.21) 여기서 바르트가 주장하는 바는 그리스도의 계시 의 유일성과 독자성이 확보되어야 비로소 인간과 그의 세계에 대한 참된 연결성 내지 타당성이 성립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타락한 인간이 가진 하나님의 형상은 자신의 죄로 인하여 파 괴되었다. 이러한 상태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단절시켰고, 인간과의 관계도 단절 시켰으며, 자연 세계와도 단절된 관계의 상태로 볼 수 있다. 이때에 인간은 모든 관계에 있어서 자기중심적 경쟁관계가 되고 물질적인 것을 가치 기준으로 삼아 자연 세계의 파괴를 더욱 가속화시킨다. 인간에 의해 파괴된 자연 세계는 인간의 생명을 위협한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인간이 타락하였다 하여도 모든 관계가 없어진 것은 아니다. 이렇게 타락한 인간이 다시 모든 관계와 화해하며 사랑의 관계를 가질 수 있는 길이 필요하다. 깔뱅은 하나님과의 완전한 연합을 목적으로 하는 성화의 길 을 말한다. 그는 이를 위해 먼저 그리스도와 연합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면서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접붙임’(gragted)이란 말로 설명하고 있다. 깔뱅은 영적인 사람을 거룩함으로 이끌어가는 것은 성령이라 했고 주권이 하나님께 속해 있다 고 했다.22) 바르트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을 통한 화해를 강조한다. 하나 님은 우리에게 자신을 계시하시는데, 그 계시는 진리의 말씀이신 예수 그리스도 이시다. 인간이 계시를 발견하는 길은 오직 믿음을 통해서이다. 그러나 이러한 믿음의 근거는 인간을 출발점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타자로부터 주어 지는 은총인 것이다. 그러므로 이 은총은 선물이다. 이러한 은총 속에서 인간은 그리스도 안에 거하며,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는다. 타락한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 인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인간이 된다. 이때에 우리 인간은 하나님의 형 상을 회복하는 것이다. B. 철학적 접근 : 부버와 키에르케고르의 관계적 인간이해 21) 김균진, 『헤겔철학과 현대신학』, 184. 22) 이원일, 『해석학적 상상력과 기독교교육과정』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4), 17-18. - 10 - 본 장에서는 부버와 키에르케고르를 통해 인간이 관계적인 존재라는 것을 철학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먼저, ‘관계’에 대한 논의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학자는 마틴 부버 (Martin Buber)일 것이다. 부버는 “태초에 관계가 있었다. 관계야말로 실존의 범 주요, 남을 맞아들이려는 준비태세이며, 혼의 틀인 것이다.”23)라고 말하면서 모 든 존재를 ‘관계’로 인식하였다. 그는 또한 “나라고 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나-너’라는 기본어와 ‘나-그것’이라는 기본어 안에 있는 ‘나’가 있을 뿐이 다.24)라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나는 항상 다른 대상들과의 관계 속에서만 존재한 다. 이처럼 부버는 개인의 우위성 보다 관계의 우위성을 주장하면서, 개성은 개 인의 단순한 만남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관계적 경험의 산물이라고 보았다. 인간은 세상을 살면서 누군가와는 관계를 맺으며 살게 된다. 부버는 그의 책 『나와 너』를 통해서 그러한 관계성은 두 가지 형태를 취한다고 주장하였는 데, 그것은 ‘나-너’(I-Thou)와 ‘나-그것’(I-it)의 관계이다. 우선, ‘나-너’(I-Thou)는 관계의 근원어이다. 그것은 상호성과 직접성, 현 존성, 그리고 강렬함과 언어 표현의 불가능성에 의해 특징 지워진다. 이러한 관 계성 안에서만 인간성과 인간이 실제로 존재 할 수 있다. 나-너의 “너”는 사람 에게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동물과 나무, 자연의 대상, 그리고 하나님까지를 포함할 수 있다. 나-너 관계의 경우에 있어서, “나”는 주체로서 주체에, 인격으 로서 인격에 관계되어 있다. 이러한 관계성은 ‘나’ 혹은 ‘그’ 안에서 일어나는 것 이 아니다. 그것은 “사이”(between)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정신(spirit)은 ‘나’안 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나와 너의 “사이”에 있다. 나아가서 관계는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적인 것이라는 말이다. “너”에게 응답하기 위해서 사람은 그의 존재 전체를 바쳐서 관계성 안에 들어가야 한다. 완전한 실재가 되기 위해서 나-너 관계는 상호적이어야만 하는 것이다.25) 반면, “나-너”와는 대조적으로 “나-그것’(I-it)”은 조정과 이용의 근원어 이다. 그것은 인간 사이(between him)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속 23) O. F. Bollnow, 『실존철학과 교육학』, 이규호 역 (서울: 박영사, 1967), 78. 24) Martin Buber, I and Thou, W. Kauffmann trans (New York: Scribner, 1970), 54. 25) 고용수, 『만남의 기독교교육 사상』, 38-39. - 11 - (within a man)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전적으로 주관적이며 상 호성이 결여되어 있다. ‘나-그것’은 주체로서 대상에, 사물에 대한 사람의 간접적 인 관계성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나-너’와 ‘나-그것’은 부버로 하여금 “대화의 삶”과 “독백의 삶” 사이의 구별로 나아가게 한다.26) 『나와 너』에서 부버는 “모든 관계성의 연장선은 ‘영원자 너’(Eternal Thou)에서 만난다.”27)고 말한다. 부버에게 있어서, 인간과 다른 존재의 만남 또 는 대화는 특히 다른 인간과의 관계로 나타나지만 궁극적으로는 신과의 관계에 의존하고 이 관계를 가리킨다. 부버는 하나님을 ‘영원한 당신’(Eternal Thou)이 라고 부른다. 이 용어에서 그가 의미하고자 하는 것은 하나님은 영원한 너라는 것이다. 부버의 중심적인 신화적 금언은 “영원한 당신은 나가 될 수 없다.”28)는 것이다. 하나님은 다만 나와 너의 관계에서만 접근될 수 있을 뿐임을 가르친다. 부버의 하나님 이해는 ‘나-너’의 관계의 연장이다. 우리는 또한 인간들의 ‘나-너’ 관계 안에서 하나님을 만난다. 하나님은 인간 존재의 근원과 근저(depth)로서 “거기에”(there) 계신다. 부버의 견해가 의미하는 더욱 중요한 사실은 신비주의 나 어떤 특별한 의식(rites)이나 실천(practices)과 같은 다른 특정 방식으로 하 나님을 찾아보려는 시도는 우매한 짓이다. 하나님은 이미 “여기에”(here) 계시는 까닭이다. 따라서 부버에게 있어서, ‘진실로’ 세계를 만나려는 것은 ‘매일의 삶을 거룩하게 사는 것’이다. 하나님은 특정한 장소에서만 만나지는 것이 아니라 일상 의 구체성 안에서 만나지기 때문이다.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는 인간은 하나님께 자신을 호소하고, 하나님과 더불어 변론할 수 있는 그런 대화의 관계이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하나님을 지향 하고 있고, 너와 더불어 모든 만남에서 영원한 너를 만나게 되고, 인간은 전 존 재를 바쳐서 하나님을 신뢰해야 하는 존재이다. 이 관계의 만남에서 하나님은 이 세계의 모든 것 속에 다 하나님이 계시기 때문에 하나님을 찾아 헤맬 필요가 없 다.29) 타자와 자연과의 만남을 통해서 역사하시는 하나님을 순간순간 만날 수 있다.30) 이 만남은 우리가 우리의 전체로 하나님께 응답함으로써 주어지는 것이 26) 고용수, 『만남의 기독교교육 사상』, 39. 27) Martin Buber, I and Thou, 75. 28) 위의 책, 160. 29) 위의 책, 110. 30) 위의 책, 111. - 12 - 며 선물이다. 그러므로 인간과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그 책임이 인간의 결단과 책임성 속에 있다.31) 이상의 논의에서 우리는 신앙 안에서의 관계성의 의미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부버의 주된 관심 가운데 하나는 그가 ‘영원한 너’라고 부르는 하나님과 의 관계를 가지는 것이다. 더욱이 그가 의도하고 찾고자 하는 것은 사람들과 관 계를 가지는 것처럼 하나님과도 하나 되어 살 수 있는 친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다.32) 부버는 생활 속에서 매일 만나는 순간적인 너는, 영원한 당신에게로 가게 하는 작은 빛의 역할을 한다고 생각했다. 모든 관계의 연장선은 영원한 너에게서 만난다. 모든 하나하나의 너는 영원한 너를 들여다보게 하여 주는 창문과 같다. 이 하나하나의 너를 통하여 영원한 너에게 나아간다. 이처럼 관계적 존재인 인간은 ‘영원한 너’인 하나님과의 관계를 지향한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더 고려할 사랑은 인간이 절망과 불안 속에 있는 실존적 인 존재라는 점이다. 이러한 인간 실존에게 하나님은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 키에르케고르는 인간을 하나님과 피조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자기 관계성 을 지닌 존재로 이해한다.33) 그에 의하면, 사람은 영이고, 이 영은 자기(the self)이다. 그러면 자기는 무엇인가? 자기는 관계(a relation)이다. 즉, 자기는 자 기 자신에 자기를 연결시키는 관계이다.34) 이처럼 키에르케고르는 인간의 자아 를 ‘영’으로 이해함으로써, 인간은 영의 근원 되신 하나님의 속성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물질세계의 속성을 지니고 있는 존재로 묘사하고 있다. 키에르케고르에 의하면, 인간은 유한과 무한, 필연성과 가능성, 육체와 영 혼을 함께 소유하고 있는 동시에, 이러한 두 축 사이에 역동적 균형을 유지해 나 가도록 지음 받은 존재다. 이러한 양극적 관계성이야말로 진정한 “인간 자신”이 되기 위한 결정적 요소이다.35) 다시 말해, 인간의 자아는 가능성(무한)과 필연성 (유한), 양극의 관계적 연합이다. 인간 속에 들어 있는 유한과 무한의 차원을 생 31) Martin Buber, Between Man and Man (New York: Macmillan Publishig, 1966), 16. 32) Martin Buber, I and Thou, 123-24. 33) James Loder & Jim Neidhardt, The Knight's Move (Helmers & Howard: Colorado Springs, 1992), 99-117. 34) Soren Kierkegaard, Fear and Trembling (New York: Doubleday, 1954), 49f. 35) James Loder & Jim Neidhardt, The Knight's Move, 99-117. - 13 - 각해 보자. 유한은 축소하는 축이라면, 무한은 팽창시키는 축이다. 유한이 중심을 잡는 축이라면, 무한은 그 중심을 흔들어서 넓혀 가는 축이다.36) 양극성은 상호 성으로 인해 자기다워지고, 보다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되도록 해준다. 양극성 중 어느 하나만으로는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될 수 없음을 깨닫게 된다. 이 양극성이 반드시 상호성 속에 공존할 때에만 비로소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될 수 있음을 깨 닫게 된다는 것이다.37) 그러나 이러한 관계의 양극성이 왜곡될 때 거기로부터 다양한 절망들이 생겨난다고 키에르케고르는 역설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왜곡은 양극의 관계적 연 합이 깨어져서, 한 극이 다른 극을 일방적으로 압도할 때 생겨난다. 인간의 자아는 가능성(무한)과 필연성(유한), 양극의 관계적 연합이다. 인 간 속에 들어 있는 유한과 무한의 차원을 생각해 보자. 유한은 축소하는 축이라 면, 무한은위의 책, 팽창시키는 축이다. 유한이 중심을 잡는 축이라면, 무한은 그 중심을 흔들어서 넓혀가는 축이다.38) 이러한 상호성의 참된 근거를 발견하기 위해 상호성은 자기 자신을 초월 하여 새로운 터전 위에서 전체 상황을 바라보게 된다. 이러한 상호성의 근거를 발견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양극성과 상호성이 함께 양립할 수 있는가 여부를 결정짓게 된다. 이러한 근거를 발견하지 못할 때, 양극성과 상호성은 더 이상 양 립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양극 중에 한 축이 다른 축을 압도하게 됨으로써 다 양한 형태의 절망이 생겨난다. 즉, 인간 유한성의 절망 또는 인간 무한성의 절망 이라는 왜곡이 생겨난다는 것이다. 인간의 절망은 양극성과 상호성의 전체적인 상호작용을 놓치게 될 때 생기게 된다.39) 그렇다면 인간은 어떻게 절망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인간 자신이 자기 외부에 존재하는 존재의 근거를 발견하고, 인간의 자기 관계성이 그러한 근거 위 에 기초하게 될 때, 비로소 절망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것은 곧 자신을 세워주 는 힘, 즉 성령의 능력 안에 자신이 “투명하게”(transparently) 기초 될 때, 비로 소 절망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투명하게 기 36) James Loder & Jim Neidhardt, The Knight's Move, 296. 37) 위의 책, 288-92. 38) 고원석 외 6인 공저, 『기독교교육에 생기를 불어넣는 일곱 주제』 (서울: 장 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2009), 137. 39) 위의 책, 136. - 14 - 초한다는 것은 존재의 근거 되신 하나님과의 온전한 사랑과 신뢰, 참된 신앙의 관계를 맺는 것을 말한다. 그때에야 비로소 인간은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될 수 있 으며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영(靈)이 될 수 있다.40) 이러한 키에르케고르의 관계적 사고는 인간이해에 대한 분명하고 신선한 통찰을 제시한다. 그는 인간 자신 속에 들어 있는 숨은 패턴을 드러내 보여 준 다. 이렇게 함으로써 설명하는 사람의 자아는 그러한 설명 속에 존재하는 동시에 그러한 설명을 넘어서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러한 모습은 인간의 원형 되신 창조주 하나님의 내적 본성을 반영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은 인간의 근원인 동시에 귀결점이신 하나님과 인간의 근접성과 거리성을 함께 보여 준 다.41) 이처럼 키에르케고르는 주체 자신이 하나님과 관계를 맺는 실존의 과제에 관심을 가졌다. 신앙인은 객관적 진리가 아니라 주체적 진리를 통해서 “단독자” 로서 하나님과 관계를 맺는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인간에게는 하나님과의 관 계를 맺는 실존의 과제를 해결할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C. 심리학적 접근 : 페어베언과 코헛의 대상관계이론 페어베언과 코헛은 대상관계이론의 주요 학자들이다. 대상관계이론 (Object Relations Theory)의 중심사상은 현재의 인간관계는 이미 과거에 이루 어진 관계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즉, 어릴 때의 내재화된 대상관계가 그 후 모든 대상관계에서 반복되고 재현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의 나의 감정, 판 단과 결정, 행동에는 과거 대상과의 경험의 결과물이다. 내재화(Internalization) 란 어린이가 대상들을 자기 나름대로 판단하고 인식하며 자신의 상상대로 대상 을 만들기도 하여 그 이미지를 마음속에 자신의 일부로 갖게 되는 것을 말한다. 대상도 내재화되지만 관계의 양상도 내재화된다. 페어베언은 프로이트가 생의 근본적인 동기를 쾌락이라고 보았던 것과는 40) 고원석 외 6인 공저, 『기독교교육에 생기를 불어넣는 일곱 주제』, 136. 41) James E. Loder, 『성령의 관계적 논리와 기독교교육 인식론』, 이규민 역 (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456. - 15 - 달리, 리비도가 쾌락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추구한다고 보았다.42) 그는 “리비도적 목적은 대상-관계와 비교해 볼 때 이차적인 중요성만 갖는다. 충동의 만족이 아니라, 대상과의 관계가 리비도적 추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43)라고 주 장한다. 다시 말해, 원래 리비도 에너지는 대상을 추구하며, 쾌락은 충동의 궁극 적인 목적이 아니라, 타자와의 관계를 위한 수단, 혹은 길잡이 역할을 한다는 것 이다. 페어베언은 이를 ‘대상추구적 리비도’라고 불렀다. 즉, 인간은 대상과의 관 계추구적인 존재로 본 것이다. 초기 부모가 어떤 돌봄을 제공하든 아이는 그것을 통해 부모와 관계를 맺는다. 그 후, 이러한 관계 형태는 아이가 타인들과 애착하 고 관계를 맺는 하나의 유형으로 자리를 잡게 되는 것이다.44) 즉, 유아는 처음부 터 타자들을 지향하며, 유아가 관계를 지향하는 것은 생물학적 생존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며, 유아는 개별적인 유기체가 아닌, 인간 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존재인 것이다. 인간의 근본적인 동기가 타자와의 접촉과 그 관계를 유지하려는 데 있음 을 주장하였다. 한편, 대상관계이론가 하인츠 코헛 또한 인간이 관계 안에서 태어나 거기 에서 살다가 죽는다고 보았다. 코헛의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주도권의 중심이며 심리적 인상들의 수령자로서의 자기”이다.45) 코헛에게 있어서 자기는 “시간과 공간 안에 존재하는 자극을 주고받는 주체로서 하나의 응집된 단위이며 객체로서 단독으로 존재하기 보다는 자기 대상과의 관계의 틀 안에서 존재한다 .”46) 즉 자기는 한 개인 안에서 독자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자기 대 상”(selfobject)과의 관계적 모체 안에서 형성되는 관계적 산물이라는 것이다.47) 그렇다면 코헛이 말하는 “자기대상”이란 무엇인가? 코헛은 갓 태어난 아 이도 자기를 갖고 있다고 보았다.48) 하지만 미숙한 유아의 자기는 연약하고 뚜 42) Stephen A. Mitchell & Margaret J. Black, Freud and beyond, 이재훈, 이해리 역, 『프로이트 이후』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205. 43) W. R. D. Fairbairn, An Object Relations Theory of Personality (New York: Basic Books, 1954), 60. 44) Stephen A. Mitchell & Margaret J. Black, 위의 책, 205-206. 45) Jay Greenberg & Stephen Mitchell, 『정신분석학적 대상관계이론』, 이재 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9), 547. 46) Heinz Kohut, 『자기의 회복』,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6), 99. 47) Frank Summers, 『대상관계 이론과 정신병리학』,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 리치료연구소, 2004), 356. - 16 - 렷한 형태를 갖고 있지 않다. 유아의 자기는 시간 속에서 지속될 수 있는 구조나 연속성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홀로 설 수 없다. 안정된 자기를 확립하기 위해 서는 아동으로 하여금 자기의 응집성, 항상성, 탄력성을 느낄 수 있게 도와주는 타자가 필요하다. 코헛은 유아의 관점에서 볼 때, 아직 자기로부터 분화되지 않 는 이러한 대상을 “자기 대상”이라 부른다. 자기 대상은 한 사람이 성숙하면 스 스로 담당하게 될 그의 정신구조의 기능을 유아 시절에 대신 맡아주는 사람을 말한다. 아동이 자기 대상과 융합될 때, 자기 대상이 되는 성인의 경험(그의 아 동에 대한 경험을 포함한)은 아동의 정신에 미묘하고도 깊은 영향을 미친다.49) 코헛의 “자기 대상”은 상상적 표상이 아니라 실제 사람들이다.50) 여기에서 자기 대상은 어린 자기가 스스로 수행할 수 없는 필수적인(심리적으로 삶을 지탱해주 는) 기능을 수행해주는 대상을 지칭하는데 유아에게 최초의 자기 대상은 모성적 돌봄을 제공하는 어머니이다.51) 갓 태어난 아이가 스스로는 감당할 수 없는 자 신안의 신체적 욕구들로 인해서 불안이 높아지게 될 때, 양육자가 아이의 불안을 담아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준다면 아이는 양육자를 자기대상으로 경험하게 된다. 아직은 미숙한 상태인 아이의 정신은 전능한 자기대상과의 동일시를 통해 자기애적 평정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자기대상의 경험이 실패하게 될 때, 아 이에게 일생동안 지속되는 심리적 결손이 발생하기 때문에 코헛은 자기대상이 창조될 수 있게 공감적인 환경을 제공해주는 양육자의 역할이 중요함을 계속해 서 강조한다.52) 자기대상은 사람일 수도 있고, 음악이나 특별한 문서, 자연경관 일 수도 있다. 종교적 전통이 신정한 것으로 인정하는 것들, 예컨대 경전, 나무, 조각물, 음악 등은 자기대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어떤 것이 자기대상이 되는 것 은 대상의 성질 때문이 아니라 그 대상과 특정한 방식으로 관계할 수 있는 개인 의 능력 때문이다. 자기 심리학에서 보면 하나님은 인간의 자기대상이다. 하나님은 전능하 48) Frank Summers, 『대상관계 이론과 정신병리학』,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 리치료연구소, 2004), 356. 49) Jay Greenberg & Stephen Mitchell, 『정신분석학적 대상관계이론』, 548-49. 50) Sheldon Cashdan, 『대상관계치료』, 이영희 외 3인 공역 (서울: 학지사, 2005), 47-49. 51) Frank Summers, 『대상관계 이론과 정신병리학』, 356. 52) Heinz Kohut, 『자기의 회복』, 91-93. - 17 - 며, 사랑이 충만하시며, 완전하시게 반사하는 부모(Perfect Mirroring Parent)로 서 경험될 수 있다. 코헛은 “이상화된 부모상과의 관계는 진실한 신자가 그의 하 나님과의 관계에서 그 유사점을 가질 수 있다.”53)라고 말한다. 즉, “약하고 겸허 한 신자가 융합하기를 원하는 완전하고 전능한 하나님은 아주 오래된 전능한 자 기대상, 이상화된 부모상과 일치한다.”54)는 것이다. 더 나아가 자기대상이 되는 하나님에게서 나오는 “이상화된 신성의 현존의 환각적 마법(Hallucinatory Conjuring)”55)은 개인에게 탁월한 용기와 힘을 줄 수 있는 원천이다. 이처럼 코 헛의 자기대상 개념은 힘주시고, 생기와 조화로움과 안전을 공급하시는 하나님 이미지와 연결하여 생각하면, 하나님은 더없이 좋은 자기대상이 된다. 결론적으로 인간은 본질적으로 관계적 존재이며 하나님과의 관계가 필요 한 존재이다. Ⅲ. 관계와 기독교영성교육 인간의 신학적 측면, 철학적 측면, 그리고 심리학적 측면에서 관계성이 갖는 의미를 고찰해본 결과, 인간은 본질적으로 관계적 존재이며, 궁극적으로 하 나님과의 관계가 필요한 존재들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기독교영성 교육에 있어서 관계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장에서는 기독교영성의 핵심이 관계 성임을 규명하고, 이러한 관계적 영성이해를 기반으로 기독교영성교육의 가능성 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A. 영성의 이해 1. 영성의 정의 53) Heinz Kohut, The Analysis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71), 27. 54) 위의 책, 106. 55) Heinz Kohut, How does analysis cure?, 76. - 18 - 영성(spirituality)이라는 단어를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신령스럽게 총 명한 품성’56)으로 간단히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사전적 영성 이해에 따르면 영 성은 우리 내부에 있는 어떤 인격적 요소가 된다. 이처럼 영성이라는 단어가 일 반적으로 쓰일 때에는 문자 그대로 ‘정신’(spirit 혹은 geist)를 뜻하기 때문에 매 우 광범위하게 적용 될 수 있다.57) 영성을 다룰 때에 제일 먼저 부딪히는 문제는 그 개념의 모호성과 혼돈이 다. 어떤 이들은 영성과 경건을 동일시하거나, 심지어 영성을 성령운동과 같은 맥락에서 생각하려 한다.58) 사실 영성이라는 용어가 분명하기도 하고 동시에 애 매하기도 하여 우리에게 많은 혼란을 가져다준다. 왜냐하면 그 용어가 개인과 집 단의 존재방식이나 양상으로 언급되는 광범위한 인간영역의 용어이기 때문이다. 오먼(Jordan Aumann)은 영성은 어떤 특정 종교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신 적 또는 초월적인 것을 믿는 사람에게는 누구에게나 적용되어 각 자의 종교적 확신에 따른 어떤 생활양식을 형성한다고 하였다.59)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영 성이란 단어는 기독교에서만 사용하는 전용어가 아니며, 스토아주의 영성, 불교 주의 영성, 도교의 영성, 실존주의 영성, 동양의 영성, 서양의 영성, 힌두교의 영 성, 회교의 영성, 혹은 외적인 경우에 이르기까지 이 용어는 널리 사용 될 수 있 다.60) 다시말해, 영성은 기독교를 포함한 모든 종교의 정신이나 사상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시대의 뛰어난 인물의 정신과 삶에도 적용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성은 인간 삶 또는 삶의 방향을 가리키는 말로 폭 넓게 사용 되고 있다. 영성은 육체적, 사회적, 정치적, 세속적인 것으로부터 분리된 내적 삶 에만 관심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삶과 체험의 모든 영역에 관계가 있 다.61) 그래서 오늘날 영성이란 말은 포괄적이며 체험적인 용어로 이해되고 있다. 영성은 개인에 따라, 집단에 따라 그리고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지 만 오늘날의 신학적 경향에 의하면 영성을 가령 기도의 경험과 같은 기독교적인 56) 신기철, 신용철, 항목, “영성”, 『우리말 큰사전 』 (1981). 57) 김외식, “영성신학의 일반적 이해”, 『영성과 목회 부록』 (서울: 대한기독교 서회, 1997), 232. 58) 김외식, “목회와 영성이해(Ⅰ)”, 『신학과 세계』, 제16호 (1988), 140. 59) Jordan Aumann, Spiritual Theology, 이홍근 역, 『영성신학』 (왜관: 분도 출판사, 1989), 18. 60) 오성춘, 『영성과 목회』 (서울: 장신대출판부, 1995), 40. 61) 정용석, “기독교 영성과 영성학”, 『기독교사상』 410호(1992), 93-94. - 19 - 내면생활에 국한시키지 않고 일상생활에서 실천되는 기독교 생활의 외적 표현 방식까지 인간 삶의 모든 차원을 다 포함한다.62) 영성은 인간의 내면적 차원과 대인관계의 차원, 그리고 사회적 만남의 차원 등 인생의 전 영역에 미치는 전인 적인 삶을 포괄하고 있다.63) 2. 기독교 영성 이해 세상에는 수많은 영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기독교 영성은 일반 영성 과 그 출발점을 달리하고 있다. 일반 영성이 인간의 내재적 정신이나 종교성에 근거하고 있다면, 기독교 영성은 먼저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성을 출발점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독교 영성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반 영성과 기독교 영성의 연속성에서 그 본질을 찾기보다 오히려 근본적 전제를 달리하는 데서 오는 상이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기독교 영성에 대한 정의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으나, 기독 교 신학자들의 기독교 영성에 대한 이해는 대체로 두 종류로 나누어짐을 발견하 게 된다. 첫째는 영성 이해에 있어서 하나님과의 관계성을 강조하는 부류이다. 이들은 영성을 하나님과의 관계성이나, 그 관계를 통한 인간의 존재 방식, 혹은 참 인간됨이라고 본다. 둘째는 보다 역동적이고 완전한 삶 전체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이다. 전자가 의미에 치중하였다면, 후자는 실천을 중요시하였다고 할 수 있 다. 또 전자가 정적(靜的)이라면, 후자는 동적(動的)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a. 기독교 영성의 의미적 측면 영성 이해에 있어서 하나님과의 관계성에 강조점을 둔 대표적인 영성학자 로는 가톨릭 영성 학자인 오먼(Jordan Aumann)을 들 수 있는데, 그에 의하면 영성이란 넓은 의미에서 인간 행위를 유발하는 그 어떤 태도와 정신으로서, 구체 화된 종교적 또는 윤리적 가치를 총칭한다. 다시 말하면 영성이란 개념은 ‘영’(spiritus)이나 ‘정신’(pneuma)이란 말과 깊은 관계가 있는 말로써 ‘신령한 능 62) 손승희,『영성신학의 이해 』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9), 136-37. 63) 오성춘, 『영성과 목회』, 49-54. - 20 - 력, 즉 초자연적인 능력’을 지칭하는 성서적 용어와 일치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진정한 ‘참 영성’은 예수 그리스도의 그 영성에서만 찾아 볼 수 있다고 하였 다.64) 그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모든 계명을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으로 요약 하셨다는 점을 주목한다. 따라서 “기독교의 완덕의 본질은 사랑(애덕)이며, 사랑 은 완덕의 제1차적인 요소”65)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사랑만이 인간을 초자연적 최후목적이신 하나님과 온전히 결합시켜 준다. 전통적인 영성의 가르침에서 애덕 은 의심할 여지없이 기독교적 완적의 본질을 이룬다. 사랑(애덕)은 다른 모든 덕 의 형상(Forma)과 감독자가 된다. 이러한 오만의 견해에 의하면 영성이란 인간 의 초월적인 가치와 능력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넬슨 떼이어(Nelson Thayer)는 “영성이란 넓은 의미에서 한 개인이 나 집단의 존재 방식을 가리키는 말이다. 다시 말하면 영성은 우리가 누구라는 것에 대한 표현이다.”고 하였다.66) 그러나 그는 이렇듯 존재 방식으로서의 영성 을 주장하는 한편, 영성은 성취나 도달이 아니라 운동의 이미지들67)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 영성의 과정성도 동시에 강조하고 있다. 그는 영성을 정의하면서, “영성이란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환경의 영향 아래 체험된 경험”68)이라고 말한 다. 즉, “살아본 체험이 영성의 중심”69)이라는 것이다. 살아본 체험이 영성의 중 심이라는 말은 그 사람이 관계를 맺은 대상과의 체현된 경험 안에서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는다는 뜻이다. 토마스 머튼(Thomas Merton)은 말하기를 심령(the heart)은 인간성 속 의 가장 깊은 심리학적 차원이고 아직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심연(abyss)과 대 항하는 형이상학적이고 신학적인 분석적 반성들과 개방성들을 능가하는 내적 장 소로서 우리의 존재보다 더 심오한 것과 관련된 것이라고 했다.70) 64) Jordan Aumann, 『영성신학』, 18. 65) 위의 책, 21. 66) Nelson S. T. Thayer, Spirituality and Pastoral Care, 백상열 역, 『영성 과 목회』 (서울: 대한기독교 출판사, 1989), 27-28. 67) 그는 여행, 순례, 베틀짜기, 방랑, 이러한 것들이 영성 형성에 관한 은유들이 라고 하였다. 68) Nelson S. T. Thayer, 『영성과 목회』, 8. 69) 위의 책, 56. 70) Kenneth Leech, Soul Friend: The Practice of Christian Spirituality (New York: Haper & Row, 1977), 11. - 21 - 조직신학자인 이수영은 영성의 신학적 의미를 철학적 의미로부터 구분하 면서, 하나님과의 관계성을 강조하였다. 그에 의하면 영성이란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졌고, 그리스도 안에서 확증되었으며, 복음 안에서 열매 맺는, 하나님 나라를 향해 열려진 참 인간적 삶의 능력이다.71) 그는 덧붙여 말하기를, 영성은 인간 존 재의 본질에 관한 것이지 인간의 어떤 부분적 구성 요소에 관한 것이 아니며, 전 인적 인간의 삶의 방향성에 관한 것이지 인간의 활동 영역의 한 부분에 관계된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72) 이런 의미에서 기독교적인 영의 개념은 초월하신 하나님의 성령을 갈망하 고 경험하며 관계를 맺어 하나님의 삶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인간 생명의 중심 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b. 기독교 영성의 실천적 측면 이러한 영성의 의미에 대한 고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삶 자체의 영역 에까지 확대시킨 영성에 대한 실천적 이해는 여러 학자들 사이에서 폭넓게 나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기독교의 영성은 시간적이며 지리적인 편협성을 초월한다. 그리스도 안에 서 계시된 하나님은 단순히 1세기의 유대인만은 아니다. 역사적 예수 안에는 최 고 극치의 순간, 즉 우주적 사건이 있다. 그러면서도 여전히 그것은 역사이다. 인 간 존재란 역사 속에서 자기의 영성을 실현해 나가는 영적인 존재이다. 확장된 상위의 의식은 불가피하게 우리의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진정한 영성은 사회 적 행동으로부터의 도피라고 말하는 것은 모순이라는 이유가 여기 있다. 어떤 사 람의 영성의 성취는 하나님 나라를 위한 그 사람의 행위에 의해서 측정된다.73) 이런 견해를 서술한 사람으로는 우선 매퀘리(John Macquarrie)를 들 수 있는데 그는 영성을 정의하기를, “영성은 완전한 의미에서 한 인간이 되는 (becoming a person) 과정이다. 다시 말하면 자신을 벗어나고 초월하여 삶의 보다 완전한 형태에 이르는 것”74)이라고 하였다. 그는 특히 인간의 exience(혹 71) 이수영, “영성의 의미에 관한 조직신학적 고찰”, 『신앙과 신학』 제 4집 (1988), 96-107. 72) 위의 책, 96-107. 73) U. T. Holmes, 『목회와 영성』, 김외식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36-38. - 22 - 은 밖으로 나감, going out)75)의 가능성을 중요시하여 영성을 하나의 역동적 형 태로 이해하였다.76) 영성은 ‘체험’과는 분리될 수 없으며 구체적인 신앙의 체험은 영성을 풍 부하게 만드는 질료이다. 이러한 영성 이해는 해방신학자들에게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라틴 아메리카의 많은 가난한 사람들의 체험에서 해방신학자들이 말하 고자 하는 영성이 샘물처럼 솟아난다. 라틴 아메리카의 해방신학자 구스타보 구 띠에레즈(G. Guitierrez)는 “모든 영성이 한결같이 주장하는 주님과의 일치가 그 를 인간에서 유리시키지 않으며, 이 일치에 도달하려면 인간을 통해서 가야하며, 그렇게 획득된 일치는 인간의 만남을 더욱 완전하게 만든다.”77)라고 말한다. 영 성에 대한 많은 책들을 펴낸 바 있는 헨리 나우웬(Henry Nouwen)은 쿠티에레 즈의 『해방신학의 영성』 서문에서 해방의 영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평가를 한다. 해방의 영성은 삶의 모든 차원에 관련된다. 이것은 역사 안에서 하나님의 구원활동이 인간실존의 모든 단계에 침투한다고 보는 것이다.78) 이와 같이 해방 신학자들이 말하고자 하는 영성은 그들이 처한 삶의 자리에서 그들의 언어로 영 성을 말하려는 것이다. 영성에 대한 이러한 실천적 이해는 특히 기독교교육학자들에게서 두드러 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몇 가지 예를 살펴보기로 하자. 토마스 그룸 (Thomas H. Groome)의 영성에 대한 정의를 보면 다음과 같다. “영성이란 우리 의 삶 가운데 있는 하나님의 사랑과 현존에의 참여 의식이며, 우리의 삶의 모든 차원과 행위 속에서 하나님과 우리 자신과 타인들과 올바른 관계를 가지고 살도 록 우리의 영을 움직이는 성령의 운동에 참여하는 의식이다.”79) 그는 특히 영성 74) John Macquarrie, Path in Spirituarity, 장기천 역, 『영성에의 길』 (서울: 전망사, 1986), 64. 75) 실존주의 철학자들은 ‘실존’(existence)의 의미를 탈존(脫存, exsisting), 즉 ‘밖에 서는 것’(standing out)으로 사용하는 데 비하여, 매쿼리는 영적 존재의 역동적 형 태를 표현하기 위하여 existence 대신 exience, 즉 밖으로 나감(going out)이라는 신조 어를 사용한다. 76) 위의 책, 66-72. 77) G. Guitierrez, A theology of Liberation, 한빛출판부편집부 역, 『 해방신 학 』 (서울: 한빛출판사, 1985), 222. 78) G. Guitierrez, 『해방신학의 영성』, 이성배 역 (왜관: 분도출판사, 1987), 영어판 서문(8-17) 참조. 79) Thomas H. Groome, "The Spirituality of the Religious Educator", - 23 - 이 올바른 삶과 깊은 연관이 있다고 하였다. 이 연관이란 하나님의 백성으로 사 는 것, 곧 거룩해진다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하나님과 우리 자신과 타인들 간에 올바른 관계 속에서 사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곧 하나님 우선적 삶이며, 나에 게 그렇듯 이웃에게 사랑과 정의를 가지고 사는 것을 말한다. 이 올바른 관계에 서는 특히 ‘정의’(Justice)가 중요하다. 그래서 정의와 영성은 분리할 수 없는 동 전의 양면과 같은 것이다.80) 한편, 밀러(Randolph C. Miller)는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관계성을 강조 하면서 성서의 한 구절,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것이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요, 둘째는 그와 같으 니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 두 계명이 온 율법과 선지자 의 강령이니라.”81)을 영성의 실천적 강령으로 생각한다. 그에게 있어서도 영성은 하나님과 이웃과의 관계 속에서 사는 삶이며, 이러한 사랑의 관계를 통하여 영성 이 개발되어 가는 것이다.82) 이렇듯 기독교교육학자들을 중심으로 한 실천적 학 자들에게 있어서는 영성이 주로 삶 자체와 깊이 연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영성의 개념을 의미 중심의 정적(靜的)인 것이라기보다는 실천적인 동적(動的)인 것으로 보기 때문에 당연한 귀결이라 할 수 있다. 3. 기독교 영성의 관계적 이해 지금까지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통하여 기독교 영성의 두 가지 측면, 즉 의미와 실천의 시각에서 영성을 고찰하였다. 이것은 다시 말하면 영성의 의미와 그 의미의 구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강조점이 어디에 있든지 영성에 대한 정의들이 공통적으로 의미하는 것은 영성을 관계경험으로 보는 것이다. 특히 어 반 홈즈(Urban Holmes)는 기독교 영성의 두 가지 측면을 포괄하는 폭넓은 정의 를 제공한다. 그는 기독교 영성을 관계경험으로 보고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자세히 설명한다.83) Religious Education Vol. 83, No. 1(1988), 10. 80) 미 6:8, 막 12:30,31. 81) 마 22:37-40. 82) R. C. Miller, "Process Spirituality and the Religious Educator", The Spirituality of the Religious Educator (1988), 69. - 24 - 첫째는, 영성은 인간의 관계성 형성에 대한 보편적인 능력이다. 영적인 사람, 비영성인 사람이란 없다. 인간을 사회적 동물, 정치적 동물로 보는 것은 인 간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공동체 안에 실존해야 한다는 말이다. 인간 존재란 본질 상 관계성을 요구하는 생물이라고 하는 사실에서 영성은 시작된다. 영성은 인간 이 된다는 것은 타자에 대해 개방적이 된다는 것이라는 가정에서 시작하여, 각자 의 내부에는 타자와의 합일을 원하는 타고난 열망이 있음을 주장한다. 이 열망은 에로스라고 알려져 있는데 여기서 애욕적(erotic)이란 단어가 나왔다. 그런데 이 욕망은 외설적인 감정보다 훨씬 더 심오한 것이다. 이것은 인간 상호간에 그리고 궁극적으로 하나님에 대해 느끼는 기본적인 요구이다. 이것은 개인 속에 있는 일 종의 에너지이며, 그 본래 목적에서 다소 벗어나긴 해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 의 영성적 열망의 터 닦음이 되는 것이다. 둘째로, 영성이란 초월적 실재와의 관계성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 은 감각 현상을 초월하는 그 무엇과의 관계를 맺고자 하는 영성을 기대하게 한 다. 과학적 분석은 모든 경험을 숫자에 축소시켜 버리고 말았다. 그 결과 객관성, 예측, 통제라는 가치에 중요성을 두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가치로서는 인간관 계의 신비를 설명할 수 없다. 영성에서 말하는 초월성 경험이란 자신의 힘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보다 더 위대한 그 무엇에 의해 물질세계를 초월하여 주어지 는 경험이다. 인간의 초월성의 경험은 일종의 에어지이다. 인간은 스스로 하나님 을 알 수 없다. 다만 그의 초월적 존재가 인간의 유한한 마음과 대면할 때 알게 된다. 하나님은 인간의 본질적이며, 규범적인 가치의 궁극적 근원이 되지만, 인간 이 이것을 파악하는 것은 하나님의 에너지가 각자의 경험의 세계로 들어올 때이 다. 이 초월적 에너지에 대하여 개방하고 있는 것이 영성적인 삶의 특징이다. 초 월성은 다른 방법으로는 얻을 수 없는 의미를 포착할 수 있다는 희망이며, 또한 영성은 그러한 의미, 즉 하나님의 마음과 관계성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이다. 셋째로, 영성은 고양되고 확장된 의식을 갖게 된다. ‘자기 소명의 명확성’, ‘전적으로 새로운 의미와 목적의식’을 갖게 된다. 영성은 습득하여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영성적으로 됨이란 그것은 일종의 수용성이요, 기다림이요, 신뢰함 이다. 그런 면에서 영성은 능동적인 수동성(An Active Passivity)이다. 개인이 83) U. T. Holmes, 『목회와 영성』, 29-38. - 25 - 하나님을 알 때, 즉 초월성과의 관계가 형성될 때, 그 감각된 결과로 인식이 고 양되어지고 확장된다. 초월성과의 관계경험의 결과로 인식이 고양되고, 확장되면, 더 깊게 관계할 수 있는 능력이 주어진다. 넷째로, 이것은 그러한 지식의 본체로 인도하며, 이 본체는 항상 역사적 이라는 사실로 인도한다. 역사적이란 말은 지식을 담고 있는 내용적 형상이 특정 한 시간과 장소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기독교 영성의 특성은 역사적 성격을 띠고 있으나, 시간적이며 지리적인 편협성을 초월한다. 예를 들면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사건은 분명히 역사성을 띠고 있다. 정확한 시간과 장 소가 있다. 하지만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그 역사는 오늘의 역사이지 이천년 전 의 역사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역사 안에 순간적으로 제시된 하나님의 자기 동일화(The Identification of God)는 모든 역사 안에서 하나님을 보게 하는 일 종의 초청이라는 것이다. 역사적 예수 안에는 최고 극치의 순간, 즉 우주적 역사 를 예기시켜 주는 사건이 있다. 그러나 그것은 여전히 역사이다. 또한 인간 개인 의 역사성 안에서 각기 다른 영성적 경험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인간 존재는 역 사적 상황 가운데서 자기의 영성을 실현하는 존재이다. 다섯째로, 영성은 세계 속에서 창조적 행위를 통하여 드러낸다. 어떤 결 단을 내리는 일과 이 결단에서 나오는 행동은 자신의 인식의 산물이다. 만약 테 니스 게임을 한다면, 먼저 테니스 게임이 있다는 것과 그 규칙을 숙달하여야 한 다. 모든 행동은 자신의 선택의 여지를 가지고 행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행동 은 세계를 향한 일종의 투사이다. 그리하여 전에는 몰랐던 일을 알게 된다는 것 이라면 그것은 불가피하게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진정한 영성은 사회적 행동 과 일치한다. “하나님의 나라가 하늘에서처럼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라고 기도 할 때 더욱 그러하다. 하나님의 의도하고 있는 대로의 세상을 우리로 하여금 볼 수 있고, 알 수 있게 되는 것이 영성의 본질이다. 영성의 성취는 하나님 나라를 위한 그 사람의 행위에 의해서 측정된다. 예수께서 말씀하기를 열매로 그를 알리 라고 했던 것과 같다. 그러므로 영성에 대한 정의는 “대상과의 관계경험을 통하 여 인식의 확장과 고양성을 가지고, 하나님의 마음인 긍휼로써 세계 공동체 속에 서 창조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영성이란 “인간의 관계성 형성능력이며, 그 관계 - 26 - 의 대상은 감각 현상을 초월하는 것이며, 그 관계는 주체의 노력과는 별개의 것 으로, 확장된 또는 고양된 의식으로서 주체에 의해 인식되며, 역사적 상황 속에 서 본질을 받고, 세계 속에서 창조적 행위를 통하여 그 자신을 드러낸다.”84) 깔뱅의 영성 이해 또한 영성의 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다 가지게 되는데 한면은 회개로 인한 사람의 변화이고, 다른 한 면은 새로운 삶으로의 참여이다. 깔뱅은 그의 『기독교강요』의 ‘성령론’에서 신생(新生, Regeneration)과 함께 그리스도인의 생활을 다루고 있는데, 이는 의인으로만 멈추지 않고 성화를 지향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85) 깔뱅이 추구했던 생활에로의 성화는 단시일 내에 순 간적으로 이루어짐이 아니라 조금씩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점은 성령 안에서의 자기 부정의 경건이요, 그 자기 부정은 신비주의자들의 자기 탈피 와는 다른 것으로서 하나님과 그리스도와 이웃에게 위치된 것이다.86) 따라서 깔 뱅의 영성적 관심은 그리스도인의 삶의 목적이 오직 하나님께 영광돌림(Soli Deo gloria)에 있다는 그의 표현 속에 요약되어 있다.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일 은 그분을 진심으로 경외하고 사랑하는 일이며, 또한 그분이 기뻐하는 삶, 즉 경 건하고 의로운 삶을 사는 일이며, 동시에 그분이 기뻐하시는 일 곧 선한 일을 행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와 유사한 견해를 필립 쉘드레이크(Philip F. Sheldrake)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그는 영성을 인간의 중심 신념과 가치를 추구하는 가운데 예수 그리 스도 안에서 하나님과 이웃과의 관계를 정립해 나가며, 진정한 자아를 찾고 자신 이 살고 있는 사회 속에서 신앙공동체에 속한 신앙인으로서 자신의 주체적인 사 랑을 실천하려는 노력이라고 보았다.87) 이러한 여러 학자들의 주장을 근거로 하여 기독교 영성을 정의해 본다면, “기독교 영성이란 하나님과 인간, 인간과 인간 사이에 형성되는 사랑의 관계성이 84) U. T. Holmes, 『목회와 영성』, 29. 85) 박대인, “종교개혁 시대의 영성과 기독교 영성 운동”, 『제4회 연신원 목회 자 신학 세미나 강의집』 제4집(1984), 355. 86) Wilhelm Niesel, 『칼빈의 신학』, 이종성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3), 141. 87) Philip F. Sheldrake, “Teaching Spirituality", British Journal of Theological Education 12.1(2001), 53f. 김도일, 장신근, 『기독교 영성교육』, 46에서 재인용. - 27 - 며 동시에 사랑의 실천적 삶이다.”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계성과 삶 은 자연스럽게 그리스도 중심적 양식을 띠게 되고 , 이제 우리가 살고 행하는 것 이 아니라 오직 그리스도가 우리 안에 살고 행하게 된다.88) 즉 하나님과의 교제 로서의 수직적 영성은 이웃 사랑 혹은 결단과 투신으로서의 수평적 영성과 떨어 질 수 없으며 통전적으로 조화 되어야 한다. 이것이 그리스도 중심의 영성 생활 곧 기독교 영성이 되는 것이다. B. 관계를 살리는 기독교 영성 교육의 가능성 앞서 영성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하나님과의 교제로서의 수직적 영성은 사회와의 수평적 영성과 통전적으로 조화되어야 하며, 이러한 영성 이해 속에는 인간과 하나님과 사회와 자연이 모두 회복해야 한다는 함의가 포함 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영성 이해는 깨어진 세상의 모든 관계들을 회복시키는 역 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것이 영성교육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 다. 따라서 본장에서는 이러한 관계적 영성 개념에 근거한 영성교육의 개념과 가 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1. 기독교 영성 교육의 가능성 본 장의 논의에 앞서 먼저 ‘과연 영성을 인간인 교사가 가르칠 수 있는 가?’를 물을 수 있다. 이와 유사한 질문은 기독교 교육사에 이미 있었다. 조지 A. 코우는 ‘신앙을 가르칠 수 있나?’와 같은 질문을 던진 바 있고, 근래에 와서 리차드 오스머(Richard Osmer)도 이와 유사한 질문을 던지며 신앙은 가르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께서 주시는 선물이며, 인간인 교사가 할 수 있는 일은 신앙의 여러 면, 즉 신념, 신비, 헌신과 같은 면을 면밀히 연구하여 인간 학 습자가 신앙을 받아들일 준비를 시키며, 배움의 정신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조력자가 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영성이 만약 가르칠 수 있는 것이라면 영성교 육이라는 말이 성립되는 것이고, 만일 그렇지 않다면 영성교육이라는 말 자체가 88) 골 1:24, 1:29, 마 10:42. - 28 - 무의미하게 될 것이다. 연구자들은 영성의 성격을 규정함에 있어서, 신앙은 하나 님이 주시는 선물이라는 맥락과 유사한 논리를 적용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왜냐하면 신앙이 하나님이 주시는 선물이라는 논리와 같이, 영성도 그 시발점이 하나님이 되기 때문이다. 다만 인간 교사가 교육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하나님 이 허락하시는 영성을 품을 수 있도록 마음과 감각을 훈련시키고, 민감하게 단련 시켜서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허락하시는 영성을 받을 수 있도록 학습자의 마음 밭을 기경하며, 정한 그릇을 준비시키는 산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 다.89) 영성교육이란 영성훈련, 영성형성, 그리고 영성의 육성과 양육 등의 다양 한 개념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다. 이는 성숙한 영성발달을 목적으로 하는 모든 교수행위, 학습 상황의 설정, 분위기 조성, 학습 자료의 제공, 학습과정의 구성, 학습방법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영성을 교육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영성교육이라는 말로 그 의미를 포괄 적으로 사용한 사람은 아이리스 컬리(Iris V. Cully)이다. 컬리는 이렇게 영성교 육을 정의하였다. “영적생활은 개발되어 가는 것이다. 이러한 개발(cultivation)은 하나의 양육 (nurture)과 교육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영성은 생활양식을 통하여 밖으로 나타나는 하 나의 삶의 과정이다.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삶에서 영성의 성장에 관해 배우고, 또 양 육하도록 돕는 것이 영성교육이다. 이를 위해서 타인의 영적 성숙을 도울 교사의 자질이 육 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영성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론들이 요구된다. 또한 영성교육은 조직적인 강좌들을 통해 교회와 대학들과 신학교에서 개설되어야 한다.”90) 그러면서 컬리는 영성교육을 영성의 육성과 양육이라고 보충하면서 “식물 이 물, 산소, 각종 양분, 햇빛을 받아 성장하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듯이 사람 도 관심과 영적 양분을 공급받아 자라나며, 그 때의 양분이란 기독교 전통 안에 있는 풍부한 자원들을 의미한다”91)고 영성의 육성과 양육의 필요성을 설명하였 다. 이러한 영성 육성과 양육은 인간의 전 생애를 통하여 정신적, 정서적으로 성 89) 김도일, 장신근, 『기독교 영성교육』, 56-57. 90) Iris V. Cully , 『영적성장을 위한 교육』, 이기문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 사, 1993), 14-15. 91) 박영만, 『기독교 영성의 뿌리와 열매들』 (서울: 성광문화사, 1993), 30. - 29 - 장해 나가는 방법들을 아는 것과 연관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영적 육성이라는 개념은 확실하게 인간의 발달 욕구와 발달 현상 및 양상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전재하고 있다.92) 또한 영성교육에서 중요한 개념 중의 하나는 영성훈련이다. 영성훈련은 다양한 훈련을 통해 영성을 성숙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즉 영성훈련은 초월자로서의 궁극적 실재와의 연합을 그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초월하신 하나 님께 응답하는 능력을 강화시키고 더 깊게 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93) 이러한 영성훈련은 인간의 영적 욕구를 격려하고 그리스도와의 인격적인 만남과 교제 및 그를 통한 회개와 변화의 삶을 살도록 북돋우는 것이다. 즉 영성훈련이란 인 간성 그 자체의 핵심적 씨앗인 신성, 하나님의 형상을 개체적 생명과 공동체적 생명 속에서 구현하고 성취하도록 돕는 전인적 훈련이며 중요한 인간성의 성화 과정이다. 영성훈련이란 인간의 자기 존재 근거인 하나님과의 일치경험 뿐 아니 라 동료 인간과 생명전체로의 공감적 참여 훈련이며 교류훈련이다. 그리고 내면 화의 통합, 초월훈련이다. 결국 기독교라는 종교에 있어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형 성이며, 그리스도인의 생명 속에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이 부활체로서 재현되도록 돕는 전인적 공동체적 훈련이라고 할 수 있다94) 그러므로 영성교육은 인간 내면의 성숙을 위한 측면과 타인과 사회와의 관계성의 성숙의 측면, 하나님 안에서 성령 충만의 목적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것은 인간 삶의 전 영역에서 인격의 모든 차원과 관련하여 행해져야 하는 교 육임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인간의 삶의 전 차원에 변화를 주지 못하는 영성교육 은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2. 기독교 영성 교육의 이론적 접근 본 논문에서는 영성교육의 방법으로서 오늘날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로 더(James E. Loder)의 영성이 변형된다는 변형론(transformation)과 영적 성숙 을 위한 교육을 강조하는 컬리(Iris V. Cully)의 영성교육 방법을 상술하고자 한 92) Iris V. Cully , 『영적성장을 위한 교육』, 207. 93) 오성춘, 『영성과 목회』, 183. 94) 김경재, 『그리스도인의 영성훈련』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4), 40. - 30 - 다. 이 두 학자는 기독교교육학자들의 기독교 영성 교육 이론의 대표적인 두 축 을 대변한다고 볼 수 있다. 먼저 로더는 인간은 그리스도와의 만남 안에서 ‘확신 적인 체험’을 하며, 이 때 ‘확신적인 인식’이 일어나면서 변형되는 논리적 체계가 존재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변형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서는 영성 개발을 위한 교 육과 양육이 제공될 때 진정한 영적 성장이 가능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그리고 컬리는 영성도 일생동안 발달하는 영역임을 분명하게 밝히면서, 기독교 영성의 개발이 교육과 양육을 통해서 이루어질 때 진정한 영적 성장이 가능하다는 것이 다. a. 로더의 변형론 제임스 로더(James E. Loder)는 그의 저서 The Transforming Momen t95)에서 기독교신학, 심리학, 철학 등을 광범위하게 다루면서 변형론을 전개하고 있다. 그는 신학적으로 건전한 분석을 제공하면서, 변형사건을 우리가 지식을 얻 는 일반적인 방법과 비교하고 있는데, 그의 결론은 변형을 가져다주는 사건 발생 이 곧 하나님께 대한 신앙을 갖게 되는 통로가 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변형의 순간이야말로 영적인 문제에 관련하여 중요한 새로운 근거를 제공해주며, 실재의 본질에 빛을 비쳐주고, 피조물인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특별한 계시를 깨닫도록 하여 주는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변형의 순간은 하나님, 자아 그리고 세계에 대 한 새로운 지식을 얻는 순간으로 이해한다. 또한 우리의 삶 속에 침잠해 있는 허 무한 감정(the sense of nothingness)을 창조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힘을 주는 순간이라고 보고 있다. 이러한 로더의 사상인 변형의 순간이 지니는 중요한 의미는 그것을 경험 한 사람들이 실재(reality)96)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중요한 변형의 순간들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삶을 올바르게 평가하고 해석 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97) 즉 로더의 관심은 일차적으로 변형의 논리 (transformational logic)를 뒷받침해주는 방법론의 설정에 있다. 다시 말해, 그 95) James E. Loder, The Transforming Moment, 이기춘 외 역, 『삶이 변형 되는 순간』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2). 96) 하나님의 실재를 의미한다. 97) James E. Loder, 『삶이 변형되는 순간』, 38. - 31 - 는 사람들이 “어떻게”해서 믿음을 가지게 되는가, 또는 어떻게 해서 믿게 되는가 하는 것을 중심으로 연구하기를 원하고 있다.98) 로더에 의하면 인간의 변형을 일어나게 하는 “확신의 체험”의 중심에는 “확신적인 인식”이라는 논리체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확신적 인식을 체 험하는 것을 “인식사건”이라고 부른다. 사물에서 얻어지는 확신적인 인식은 인간 을 변형시키고, 나아가서 신앙이 성장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확신적 인식이란 인간의 영적인 모든 변화를 성령이 변화시키는 과정이라고도 볼 수 있 다. 또한 확신적 인식은 그리스도에 의해 인식사건이 시작되고, 증대되고, 결론지 어지는 4차원적인 것이라고 로더는 말하고 있다.99) 사도 바울도 “사람의 사정을 사람의 속에 있는 영외에는 누가 알리요 이 와 같이 하나님의 사정도 하나님의 영외에는 아무도 알지 못 하느니라”(고전 2:11) 라고 말했다. 이와 같이 하나님의 사정은 하나님 외에는 아무도 알지 못한 다고 했다. 그리고 로마서 8장 16절에서도 “성령이 친히 우리 영으로 더불어 우 리가 하나님의 자녀인 것을 증거 하시나니”라고 했는데 이것은 인간의 영과 하 나님의 영 사이에 유비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런데 이 유비는 그 리스도를 통해서만이 실제적이고 역사적(actual and historical)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성령의 유비를 근거로 해서 그리스도에 의한 인간 실존의 4 차원에서의 확신적인 인식사건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로더에게 있어서 확신이란 객관적 이성의 판단을 넘어 주관적 의지와 통합된 관념이다. 그 러므로 로더가 사용하고 있는 확신의 변형논리는 객관적인 것과 주관적인 것을 초월하여 양자를 모두 포함하는 인식의 구조이며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서 그는 새로운 인식의 형성을 통해 영성이 새롭게 변형되기에 인식형성을 위한 영성교육의 중요성을 암시해 주고 있다.100) 98) James E. Loder, 『삶이 변형되는 순간』, 24. 99) 이 사실에 대한 근거로서 로더는 영(靈)의 유비(analogy of the spirit)를 말 하고 있다. 인간에게 영을 창조함으로써 거룩한 분은 성령으로 신앙의 눈을 가지도록 하 였다. 우리는 영적인 자아(the self as spirit)로서만이 성령을 알 수가 있는 것이다. 다 시 말해서 성령은 성령을 파악할 수 있는 중간매체를 통해서만 파악될 수 있다. 이 사실 은 결코 어떤 혼돈이나 개념의 합병을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유비를 말하는 것이다. 위의 책, 158-59. 100) 장종철, 『한국교회와 기독교교육』(서울: 감신대출판부, 1991), 317. - 32 - 이처럼 새로운 인식사건인 확신적 인식을 체험하기를 요구하는 로더는 인 식사건이 내재적인 전형 또는 논리를 갖는데, 이 모든 인식사건은 다섯 가지 단 계를 통하여 이루어진다고 말하고 있으며, 그 중요한 다섯 가지 단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첫 번째 단계는 갈등단계(conflict)이다. 변형은 먼저 인식의 상황, 즉 문 제가 해결되어야 하고 해결될 수 있는 상황인 사회적, 문화적 상황 속에서의 분 명한 갈등으로 시작하며, 이 갈등이 강력할수록 더욱 큰 변화(change)를 요구한 다. 인식사건은 사실상 어떤 상황 속에 위치하게 되며, 상황 속에서 갈등을 느끼 는 것이다.101) 이와 같이 갈등의 단계는 인식 행위의 맥락 속에서 하나의 단절 이 생겨날 때 시작된다. 즉 인식 상황 안에 분명한 파열이 생기기 시작하는 것이 다. 이러한 모순의 영향 아래에서 인식 주체자는 자신의 인식방식이 갈등상태에 놓여 있음을 경험한다. 이때 경험자가 그 갈등상태에 관심을 많이 기울이면 기울 일수록 더욱 더 강력한 인식사건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102) 두 번째 단계는 탐사를 위한 중간단계(interlude for scanning)이다. 감정 적으로 그 자신이 처해 있는 상황 안에 봉착되어, 갈등상황에 빠져 있는 상태로 서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가능한 한 해결책을 찾으려는 심리적 과정에 빠져드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그 갈등이 의식 속에서 인식되면, 다음으로 탐 사를 위한 중간단계가 오게 된다. 이 기간은 몇 초 동안일 수도 있고, 수년이 걸 릴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탐사 작업은 제기된 문제의 해답을 찾는 것뿐만 아니라 그 문제를 여러 가지 각도에서 검토하고 분화(分化)시키는 작업이기도 하다. 이 것은 갈등을 보다 포괄적인 함축성에로 이끈다. 그리고 가장 보편적인 개념으로 해결을 찾는 인식사건의 한 단계이다. 말하자면, 이 단계는 인식의 사건을 형성 시키고 있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기다리는 단계이며, 여러 가지 의구심들에 휩 싸이는 단계이고, 궁구(窮究)하는 단계이며, 많은 가능성들을 머리 속에서 검토해 보는 단계이다.103) 세 번째 단계는 상상력을 창조적으로 발휘하는 단계(constructive act of the imagination)이다. 이 단계는 인식의 사건 속에서 상상력을 창조적으로 발휘 101) 최임선, 『신앙의 발달과정』 (서울: 종로서적, 1990). 102) James E. Loder, 『삶이 변형되는 순간』, 63. 103) 위의 책, 64. - 33 - 하는 단계이다. 확신을 갖게 해주는 힘을 갖은 통찰, 직관, 비전이 의식과 무의식 의 경계선상에서 나타나며, 인식사건에서 하나의 전환점을 이루는 단계이다. 단 절된 상황을 이루고 있는 요소들이 변형되고 있으며, 새로운 지각, 새로운 전망, 새로운 세계관이 그 인식자에 전달되는 행위가 중심적인 사건이다.104) 네 번째 단계는 에너지의 이완과 인식자의 개방단계(release of the energy and opening of the knower)이다. 이 단계는 두 가지로 표현된다. 하나 는 갈등상황을 지탱하기 위해서 묶여있던 에너지가 이완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 는 인식자가 그의 상황에 대하여 자신을 개방하는 것이다. 에너지의 방출이란 그 사건에 대해 전력을 다하여 결론에 도달했다는 증거로서, 그 해결에 대해 무의식 적으로 일어나는 반응을 의미한다. 인식자가 개방성을 경험한다는 것은 전념했던 갈등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상태를 의식함으로 일어나는 반응이며, 자기 초월을 위 한 의식의 반응인 것이다. 묶인 에너지의 방출 없이는 그리고 의식의 자기 초월 의 자유 없이는 갈등이 해결되지 못한다.105) 다섯 번째 단계는 해석단계(interpretation)이다. 이 단계는 상상력에 의 해서 도출해 낸 해결 방안을 실제의 행동이라는 견지에서 해석하는 것이며, 그 문제 상황이 본래 가지고 있던 상황들로 이루어져 있는 세계를 상징적인 방식으 로 해석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과거 지향적인 성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원래 의 상황과 지금의 상상에 의해 구성된 행위가 서로 일치, 또는 관련되어있는가를 분명히 해주는 적합성의 작용이 있다. 이 단계는 새로운 해결의 빛 아래서 갈등 적 상황을 재검토하는 단계이다.106) 지금까지 살펴 본 다섯 단계의 과정들은 하나의 전체적인 것으로 보아야 한다. 즉 이런 과정들이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종합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 결국 로더의 주장은 인간의 변형에는 확신의 경험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확신적 인식이 있어야 하며, 여기에는 단계를 뛰어넘는 도약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이성을 초월한 확신인 것이다. 또한 확신적 인식에는 반드시 변형의 논리가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논리에는 인간실존의 4차원을 걸쳐 일어나는 변형사건으 로서의 확신적 인식과정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들의 연속을 통해 성숙 104) James E. Loder, 『삶이 변형되는 순간』, 65-66. 105) 위의 책, 66-67. 106) 위의 책, 67-68. - 34 - 이 된다 해도, 변형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서는 영성개발이 교육과 양육이 제공될 때, 진정한 영적 성장이 가능하다. b. 컬리의 영성발달 단계 컬리는 영성이 일생을 통해 발달하는 영역임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으며 교육을 통해 그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면서 그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 “인간의 본성과 교육과 양육에 의한 의도적인 개발의 상호작용이 영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107)고 하면서, 기독교 영성의 개발이 교육과 양육을 통해서 이루 어질 때 진정한 영적 성장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컬리는 다음과 같 이 밝히고 있다. “창조주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을 받은 인간은 하나님과의 깊이 있는 관계를 추 구한다. 이러한 관계는 합일의 형태에 도달할 수 있다. 신앙으로 불붙었던 성도들의 삶이 이러한 사실을 증거해 준다. 그러나 깊이 있는 영성의 개발이 인간의 본성적인 갈망이라고 할지라도 영성은 모든 사람들에게 자연적으로 임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관계들이 다년간의 조심스러운 양육을 통해 성숙하듯이 우리의 영성이라고 부르는 하나님과의 관계도 다만 점 진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 그것은 교육의 과정이다. 그리고 교육은 평생에 걸쳐 계속된다 .”108) 그러면서 컬리는 “영성의 개발에는 인간의 전 생애를 통하여 정신적으로 성장해 나가는 방법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109)고 하면서 발달적 관점을 밝히 고 있다. 컬리는 인간이 가지는 본성적 욕구로서의 하나님에 대한 갈망과 신앙 발달을 위한 타고난 능력이 있다는 사실이 많은 이들에 의해 주장되고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발달 능력이 자신이 주장하는 영성 교육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영성 발달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영성교육이 가능하며 또한 영성이란 영성교육을 통해 개발되고 발달되어야 하는 과제로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논리는 균형 잡힌 영성교육이 행해져야 함을 강조하는데, 균 형 잡힌 영성교육이란 영성의 객관성과 주관성을 포괄하는 교육을 뜻한다. 영성 107) Iris V. Cully, 『영적성장을 위한 교육』, 75. 108) 위의 책, 37-38. 109) 위의 책, 207. - 35 - 의 객관성이란 인지적이며 합리적인 앎의 방법과 관련된 것으로서 하나님에 관 한 합리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며, 주관성이란 역시 유효한 앎의 방법 가운데 하나로서 인격적인 차원에서 시작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하나님과의 관계성, 이 웃과 세계의 관계성 가운데서 얻을 수 있음을 말한다. 따라서 균형 잡힌 영성교육은 개인주의적인 영성의 위험성을 극복하여 공 동체적인 영성 함양이 함께 가야하는데, 컬리는 과거의 영성에 대한 연구들과 그 훈련들이 주관적인 영성의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왜곡되면서 개인주의적인 영성 함양에 치우치는 쪽으로 퇴행되었음을 지적하였다. 교육의 과정에 있어서 무엇보 다 중요한 것은 “사람들을 도와 영적 성취에 대한 개인적 욕구와 공동체 내에서 의 영적 생활에 대한 표현에 균형을 맞추도록 가르치는 것이다.”110)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컬리는 사람들이 혼자하는 영적 생활들보다는 다른 이웃과 상호작 용 없이는 더욱 심화된 영성을 가질 수 없으며, 이웃과 세계와의 연대성 속에서 영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컬리는 영적 성장의 방법의 하나로서 영성 형성을 제시하는데, 영 적인 사람과 영적인 공동체는 모두 영성 형성의 에이전트들이다. 그러나 그들이 사람들을 도와 영적 생활의 발달을 도모하려는 의식적 노력이 있을 때에 이러한 영성 형성은 가장 완전하게 성취된다. 이러한 발달은 영적 생활에 관해 배우는 것과 그것을 ‘실천’하는 것을 조심스럽게 조화시킬 때 성취된다. 영성의 형성에는 영성 개발을 위한 의식적 노력이 포함된다. 그리고 영적인 삶도 자연스럽게 성장 되는 것이 아니라, 영성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정통한 사람들은 적절한 방법들을 탐구하고 개발해 왔다고 강조하면서 오늘날도 영성교육의 방법론들을 탐구하고 개발해야함을 천명하였다. 특히 영성개발의 방법으로 ‘침묵과 묵상훈련’, ‘기도를 통한 영성 개발’ 및 ‘영성 개발을 위한 조력자의 역할’들이 반드시 필요함을 강조 하였다. 111) 나아가 육성된 사람들은 하나님 안에서 자신들의 삶을 다른 이들과 나눌 수 있는 육성자가 되는 것이다. 또한 근본적으로 믿는 사람들은 하나님께 예배드 리기 위해 모이기 때문에 교회는 육성하는 공동체가 되는 것이다. 교회는 또한, 복된 소식을 전파하고 어려움에 처한 자들을 먹이고 입히고 찾아보라는 예수님 110) Iris V. Cully , 『영적성장을 위한 교육』, 167. 111) 위의 책, 241-57. - 36 - 의 명령에 순종해 나아감으로써 영적인 삶을 행함(the doing)으로 육성의 한 형 태를 취한다.112) 그리고 그는 영성은 연쇄적으로 양육되어가고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이어지기에 영적 성장을 성취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영적으로 자각한 사람들을 본받는 방법이 있다고 지적한다. 이는 일종의 삼투작용으로서 사람들을 다른 사 람이나 그룹과 함께 하게 하여 서로의 생활방식을 자기 속에 내재화시키는 방법 을 말하고 있다.113) 이처럼 컬리는 “영성은 육성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때 육성은 먹이는 것, 베푸는 것, 그리고 욕구를 채워주기 위한 관심을 의미하는데, 식물이 먹을 것 을 공급받음으로 성장하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음으로써 그 생의 몫을 다하 듯이, 육성되는 사람도 음식과 보호해 줄 환경과 사랑을 나눌 공동체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영적 성장 이론에 비추어 컬리가 이해하고 있는 각 연령별 영성발달단계이론을 각 단계별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제1단계인 ‘영아기’이다. 이 단계는 출생에서 2세까지의 시기이며, 이 시기 유아들의 일차적 욕구는 양육으로서, 양육을 통해 유아들은 신뢰의 능력 을 발전시키게 되며 양육자의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 신뢰성을 유아가 발견할 때 기본적 신뢰가 형성된다고 한다.114) 컬리는 신뢰란 “신앙을 갖는 것”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으므로115) 영성발달에 있어서 첫 번째 단계는 유아를 사랑으로 양육 해서 그 어린이가 주위환경을 신뢰할 수 있도록 어린이를 감싸주는 것이 중요하 다고 하였다. 그들은 감각을 통하여 느끼는 것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으므로 잠자 리에 들기 직전에 그 날의 여러 일들에 대해 그리고 하나님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 이야기에 따라 손이나 머리를 부드럽게 어루만져 주는 시간을 종종 가질 때 하나님은 쉼, 조용함, 편안함, 기쁨 등을 좋은 경험과 관련되어 가고, 가정예배나 절기, 기도 등의 구체적인 의식과 상징 속에서 어떤 특별한 사건이 축하되고 있 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 것이다. 제2단계는 ‘유아기’이다. 이 단계는 2-3세 시기로서, 이 나이의 어린이들 112) Iris V. Cully , 『영적성장을 위한 교육』, 271-74. 113) 위의 책, 52. 114) Erik H. Erikson, Identity : Youth and Crisis (New York: W. W. Norton, 1968), 97. 115) Iris V. Cully , 『영적성장을 위한 교육』, 208-209. - 37 - 은 스스로 어떤 결정들을 내리고자 하는데 이 때, 이들이 정기적인 가정예배에 참석하게 될 때, 강요하기보다는 오히려 납득을 시킬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 나 이의 어린이들은 주로 그들의 행동과 환경을 통해서 영적인 삶을 발달시킨다. 어 린이들은 성탄절이나 부활절과 같은 중요한 종교행사에 참여 할 수 있게 될 때, 그들의 영적인 삶을 발달시키게 되는 것이다. 제3단계는 ‘초기 아동기’로서, 이 단계는 4-6세 때로서 심리․사회적 위기 는 ‘주도성 대 죄의식’의 시기이다. 이 연령의 아동들은 자기에 대한 독자적인 감 각을 강화하여 외적 환경의 탐색에 주의를 향하게 된다. 행동은 목표 지향적이고 경제적이며 상상력이 풍부한 성격을 띤다.116) 이 단계의 어린이들은 창의성이 발달되며 그들의 일상관계의 폭은 가정을 넘어서 이웃과 학교에로 넓어지는 시 기이다. 영적 삶의 발달도 하나님과의 관계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하나님은 근본적으로 사랑을 베푸시는 분이라는 것을 인식시킴으로서 불안을 일으키지 말 것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이 단계의 아이들에게는 하나님께서 벌을 주시느냐 아 니면 용서를 해주시느냐 하는 것이 이들의 영적 발달에 아주 중요한 요인이 된 다. 이 시기에 하나님을 하나의 독립된 존재로 인식할 수 있고 남성적 아버지상 의 경험을 내면화한다고 한다. 파울러도 이 시기에는 어린이들의 상상력이 발달 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이에 성경이야기나 종교의식들이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지만 성인과 같은 차원에서 그들이 인지적으로 혹은 영적으로 그것들을 이해하지는 못한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심판하시는 분이라기보다는 용서하시고 회복시켜 주시는 분이라는 사실을 확인하는 일은 건강한 영성을 발달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117) 제 4단계는 ‘학령기’이다. 이 시기는 약 6-11세 때의 어린이로서 심리 사 회적 위기는 ‘근면성 대 열등감’이다. 잠재기로서, 전 단계에서 위기를 조성했던 성적 관심이 후퇴하게 되고, 열심히 배우려 하며 선생이나 부모를 따르게 되고 직업인을 보고 모방하려고 한다. 반면 실패에 대한 강한 두려움이나 성공에 대한 강한 두려움을 환기시키는 상황은 열등감을 낳게 된다.118) 이 시기의 어린이들 116) William C. Crain, Theories of development, 서봉연 역,『발달의 이론』 (서울: 중앙적성 출판사, 1983), 254. 117) Iris V. Cully , 『영적성장을 위한 교육』, 211-13. 118) Erik H. Erikson, Identity : Youth and Crisis, 122. - 38 - 의 영성은 보다 어렸을 때의 경험들로부터 발전하게 되며, 일부 고학년 어린이들 은 종교적 진술들을 단순히 받아들이는 것으로부터 그것들에 대한 질문을 던지 는 것으로 변하기 시작한다. 이때가 어린이들로 하여금 신앙을 갖도록 격려하는 연령의 단계라 볼 수 있다. 제5단계는 ‘청소년기’로서, 이 시기는 ‘정체감 대 정체감 혼란’의 단계이 다. 에릭슨에 의하면 이때의 가장 중요한 과업은 새로운 자아 정체감을 확립하는 것이다.119) 파울러에 의하면 이때의 ‘종합적-인습적 신앙의 단계’이다. 이때의 신앙의 일관성이 있어야 하는데 이는 일방적으로 젊은이들의 전 환경 속에 있는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진다.120) 또한 종교적 신앙이 가정환 경의 연장과 함께 다른 환경들이 중요시된다. 즉 그들은 여전히 종교적일 수도 있고 영적인 것에 대한 깊은 이해를 유지할 수도 있으며, 기도나 자연계 또는 친 구 관계를 통해 신앙을 체험할 수 있다. 이때 성경에서 말하는 참된 자유는 자기 의지 속에서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추구하는 가운데 발견되는 것 이라는 역설적인 주장을 깨닫게 된다. 이들은 자신의 전 생애를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 집어넣어 이해할 수 있는데 이런 식의 자유 의지적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 을 때 이는 영성이 성숙되어 가는 시작을 의미한다.121) 제6단계는 ‘성인초기’인데, 이 시기는 발달 심리학적으로 볼 때, ‘친밀성 대 소외’의 특징을 띤다. 이 단계에 있어서 독특한 과제는 가족 구성원이 이외의 사간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122) 진정한 친밀감은 합리적인 정체감이 형성되었을 때에만 가능하다. 컬리는 어린이 시기와 청소년기 동안에 영적으로 발달되어 온 사람은 계속해서 신앙이 성장해 나가는데, 한편으로는 하나님의 현 존 앞에서 완전히 자기 자신이 되고자 하는 노력과 결혼 여부의 선택, 소명의 선 택 등은 성인초기에 부딪쳐야 하는 호기인 동시에 위기가 되기도 한다. 그것들은 영적 방향을 선택하는 기반을 제공하다기보다는 이미 선택된 길을 강화시키는 기반이 되는 것이다. 또한 이 기간에 그들은 헌신적이고 독특한 생활양식을 요구 하는 다른 식의 영적 환경을 추구하고 발견하기도 한다.123) 119) William C. Crain, 『발달의 이론』, 258. 120) James W. Fowler, 『신앙의 발달단계』, 243-79. 121) Iris V. Cully, 『영적성장을 위한 교육』, 217-20. 122) Erik H. Erikson, Identity : Youth and Crisis, 135. 123) Iris V. Cully, 『영적성장을 위한 교육』, 133. - 39 - 제 7단계는 ‘중년기’이다. 중년기의 발달 심리적․사회적 위기는 ‘생산성 대 침체’라고 할 수 있다. ‘생산성’은 넓은 의미로서 자녀를 낳고 가르치고, 작업을 통하여 물건을 만들고, 이상을 세우는 것을 말한다.124) 이러한 생산성이 결핍될 때의 결과는 성격이 침체되고 불모화 되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 사람들은 종종 일종의 ‘유사 친밀’(preudo-intimacy)로 퇴행하거나 마치 그들이 혼자인 것처럼 스스로 빠져들기 시작한다.125) 파울러는 이 시기를 ‘결합적 신앙’이라고 하면서, 이 단계를 자신의 과제를 새로이 인식하고 자신의 ‘심층적 장’에서 울려오는 음 성에 귀를 기울이기 시작한다고 하였다. 이 단계에서의 위험은 수동성과 무활동 성으로 인해 후퇴할 경우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이다.126) 이 시기는 초기 성인기에 가졌던 꿈이 어떤 점에서 퇴색되어 가고, 영적 추구와 성공을 추구하려는 목표 사이에 갈등이 일어날 수도 있다. 이럴 때 문제 점들을 잠재우기 위해서 삶의 영적인 측면을 무시하도록 유혹을 받아 하나님으 로부터 회피하려는 일이 일어날 수도 있다. 또한 사람들은 배우자의 사랑 속에 비추어진 하나님의 사랑을 배우며, 그들의 공동생활 속에서 성장하는 영성의 형 태를 창출해 내기도 한다.127) 제 8단계는 ‘노년기’이다. 노년기는 삶의 마지막 때로서 에릭슨은 ‘통합 대 절망’의 시기라고 말하면서, 죽음에 직면하게 됨에 따라 자기의 생애를 돌아 보고 이러한 과정에서 그들은 궁극적인 절망, 즉 이미 살아온 생애가 후회스럽고 이제는 시간이 다 흘러서 생을 선택할 기회가 없다는 느낌에 직면한다고 하였 다.128) 컬리는 이 단계에 속한 사람들은 죽음의 문제에 직면해야 하며 하나님과 하나 됨을 느끼거나 또는 하나님으로부터 버림을 받았다고 느끼게 됨으로 그들 의 영적 위치를 잘 일깨워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즉 이들에게 영성은 하 나님과 심오한 관계를 맺게 되는 것이며, 영원하신 분인 초월자에 대한 인식은 삶과 죽음의 과도기에서 희망의 바탕이 된다는 것이다. 그것은 긴긴 세월동안 개 발해온 영적 삶이 무엇이든 그것은 가정과 사회의 여러 세대를 간파하는 하나님 의 시각을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은 노인만의 특권이다. ‘내 뜻대로 마옵시고 당신 124) William C. Crain, 『발달의 이론』, 87. 125) Erik H. Erikson, Identity : Youth and Crisis, 87. 126) James W. Fowler, 『신앙의 발달단계』, 295-319. 127) Iris V. Cully, 『영적성장을 위한 교육』, 224. 128) William C. Crain, 『발달의 이론』, 265. - 40 - 의 뜻대로 행하옵소서’를 확신할 수 있는 것은 노인만의 특권이다. ‘내 뜻대로 마 옵시고 당신의 뜻대로 행하옵소서’를 확신할 수 있는 수용의 자세와 마음의 평정 은 영성이 성숙해 가는 마지막 표시가 되는 것이다.129) 이러한 컬리의 영성발달이론에 근거한 ‘육성’은 점진적인 과정이며 각각 의 발달단계에 대해 예민해야 한다. 그리고 교육자는 특별히 자신이 교육하는 사 람들과 함께 영적인 여행을 해야 하는데, 영적인 성숙을 위한 육성은 이러한 공 동체 안에서 이루어진다. 컬리는 이러한 “영적 성장은 전인적 삶을 지향한다. 그 러한 목표는 자아 속에서,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그리고 광대한 창조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육체와 정신과 영의 상호작용을 포함한다.”130)고 하면서 영성교육 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영성의 성숙을 위한 방법들은 개인적인 것과 공동체의 상호작용에 의한 방법들과 나아가 말씀에 의존하기도 한다. 이처럼 다양한 방법들은 영적인 성장을 위한 영성교육의 방법들임을 알 수 있다. 3. 관계를 살리는 기독교 영성 교육의 가능성 지금까지 영성과 영성교육에 대한 대부분의 이해는 성과 속, 영과 육, 개 인과 공동체에 대한 분리된 상태에서 초월자와의 합일이라는 측면에 치중하는 한계를 안고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영성교육은 이러한 분리된 인식을 지양하 고 수직적 차원과 수평적 차원의 조화를 포괄해야 할 것이다. 앞에서 제시된 로 더와 컬리의 이론도 기독교교육 안에서 바람직한 영성교육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그 이론들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로더의 기본적 주제는 심리학적으로 이해된 발달에 근거한 일종의 변형이 다. 그러나 신앙을 위하여 가장 의미 있는 변형들은 “실존적 변형들”이라는 것이 다.131) 제임스 파울러가 인간 속에 내재하는 발달능력이 단계적으로 변형해 가 129) Iris V. Cully, 『영적성장을 위한 교육』, 224-25. 130) 위의 책, 271. 131) Taylor, Dykstra and Ellis Nelson. ed, Changing Patterns of Religious Education, 이기문 역, 『기독교교육의 새 방향』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부, 1995), 138. - 41 - 는 신앙단계를 말하는데 반하여, 로더는 “갈등”에서 시작하여 변형의 논리체계를 거쳐 완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즉 로더는 그리스도의 사건과 계시의 선험성을 지 나치게 강조하는 신학적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132) 컬리 역시 영성의 합리 적인 측면과 초월적인 측면을 조화롭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영성교 육은 로더와 컬리에게 어떠한 통찰을 얻을 수 있는가? 첫째로 지금까지 많은 영성교육이 단편적이고 지시적, 훈련적인 측면에서 이해된 데 반해 컬리는 영성교육의 양육적인 면을 강조했다. 한 순간에 어떤 영 적 성장을 꾀하려는 것을 지적하면서 영성은 육성되어지고 하나님의 선물로 주 어진 잠재적인 영적 본성을 계속하여 개발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삶의 변화 에 좋은 가능성을 열어 주고 있다. 즉 영적으로 성장한다는 것은 외부적으로 새 로운 것을 계속 주입 받는 것이 아니라, 이미 그리스도인이 된 순간 성령으로 내 재된 잠재능력의 실현이라고 말하면서 그동안 소홀히 했던 우리의 영성개발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로 로더의 변형론적 영성은 정통주의 신학적 입장에 근거하고 있다. 이러한 신학적 배경 하에 로더는 세상에서 공허를 느낀 인간이 거룩성으로 찾아 오시는 하나님과 만나질 때, 인간 실존의 변형이 일어나고 신앙의 삶에 이르게 됨을 강조하였다. 이것은 인간의 발달로 형성될 수 없고, 얻을 수 없는 초월적 하나님과의 관계성을 다시 회복시켰다는 것이다. 그리고 변형론은 변형의 과정과 그 역동성을 말하고 있는데, 변형 논리의 주된 관심은 3차원인 죄의 차원에서 어떻게 이 차원을 극복하여 거룩의 4차원으로 나아가는가를 기술하고 있다. 그 런데 3차원에서 4차원에로의 전이는 인간적 노력의 산물이 아니라, 외부로부터 의 초월적 은총의 역사라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를 새롭게 변형시켜 가는 과정을 기독교교육에서의 확신적 경험으로 풀이한 로더의 이론은 신학과 사회과학 사이 의 만남을 가능케 했다고 평가할 만하다. 셋째로 영성의 일상적인 삶의 부분에로의 접근이다. 우리의 영성이 일상 적 접근으로 가지 못한 점은 이원론적인 현상 때문이다. 이처럼 성속(成俗)으로 이원화된 우리의 신앙의 삶의 현장에 컬리는 새로운 영적 재발견을 주고 있다. 우리의 일상의 삶 속에서 속(俗)의 대명사로 불리는 대표적인 것이 성(性)에 대 132) James W. Fowler, 『신앙의 발달단계』, 155-56. - 42 - 한 것이다. 매일 삶 속에서 상호작용의 관계로 끊임없이 일어나는 삶의 하나가 성적 욕구를 통한 관계이다. 컬리는 지구상의 모든 인간들은 사람의 평화적 건설을 갈망하고 자기가 전세계로부터 영적 차원들을 흡수해 온 창조된 모든 세계의 한 부분임을 인식함 으로써 형성되는 영적인 사람은 일상생활의 영성에 대한 독특한 시각을 제공해 준다고 보았다. “일상생활”이라는 용어는 세속적인 것처럼 들린다. 일상적인 활 동의 영역으로서는 어린이 양육, 가사 돌보기, 생활비 버는 일, 교회와 공동체의 봉사 등이 있다. 그러나 컬리는 “하나님께서 그러한 활동 속에서 자신을 계시하 신다.”133)고 주장한다. 그는 이어서 “영적 생활에는 영성에 관하여 배우는 것과 그것을 실천하는 것 사이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이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의식적 으로 일상의 생활에 대한 분석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면서, 이처럼 우리가 영 적으로 취급해야 할 너무나 많은 영성의 현장이 우리의 일상의 삶 속에 숨겨지 고 버려져 있는 많은 것을 새롭게 발견하여 그 안에서 영적인 삶을 이루어야 한 다는 시각은 그 동안 편협하게 좁혀져 있는 우리의 영성에 대한 시각을 전 삶으 로, 전 세계로 확산시켜 주고 있는 점에서 특기할 만하다. 넷째로 로더가 말하는 인간실존의 4차원(삶이 영위되는 세계, 자아, 공허, 거룩)에서 인간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공허를 느껴 마음을 비울 때, 존재 그 자체 이신 하나님의 거룩성이 찾아와서 변형이 된다는 변형논리는 하나님 안에서의 전인적인 인간변화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 이론을 전개해 나갈 수 있도록 방향 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컬리도 영성을 이론화시켜 영성을 교육적으로 양육, 육성 시킬 수 있다는 방법론을 제시하여 영성교육의 가능성을 만들어 놓은 것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다섯째로 너무나 중요한 영적 훈련의 자료이며 좋은 지침임에도 이미 옛 것으로 방치되어서 우리에게 도외시되었던 영적 전통적인 자원에 대해서 새롭게 일깨워 주고 있다. 즉 우리는 우리 안에 있는 좋은 영적 선물을 심각하게 받아들 이지 않고 버려지고 있는 상태이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가 이것의 가치를 모르고 제대로 사용하고 있지 못하는 문제점을 컬리는 지적하면서 소중한 영적 전통을 통하여 잃었던 영성교육의 길을 다시 제시하고 있다. 지금은 개신교 영성훈련의 133) Iris V. Cully, Education for Spiritual Growth, 285. - 43 - 과정에서 거의 사라진 절기, 성서일과 침묵, 묵상, 영적 독서, 신조 등 고전적인 풍부한 영적 훈련자원과 점차 사라지는 성례전과 세례교육을 재검토하여 우리의 영적 성장을 꾀하는데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컬리의 주장은 상당히 설득력을 지 닌다. 여섯째, 영성교육의 다양성의 개발의 문을 열어 주고 있다. 영성훈련이 특수한 것의 선호와 그것의 우월성으로 인해 다양한 영성 개발이 제대로 안되어 온 점을 생각할 때 컬리의 다양한 삶의 모습 속에서 하나님과의 만남은 영성의 다양성과 일치성의 부분을 새롭게 조명 해 주시고 모두를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 로 묶어 주는 광범위하고 포괄절인 영성교육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 의 영성교육의 나아갈 방향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134) 본 논문은 이상에서 살펴본 로더와 컬리의 장점들을 수용하면서 관계를 살리는 영성교육의 가능성을 다음과 같은 측면으로 타진해보고자 한다. 첫째, 관계적 영성을 성숙시키고 발달시키기 위해 행해지는 모든 형태의 교육적인 활동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인간 영성의 발달에 대 한 체계적인 연구와 그에 따른 체계적인 교육과정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영성교육 방법이 개발되기 위해서는 청소년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 청소년영성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바람직한 영적 성장의 삶은 그 자리에 안주하기보다는 날마다 새롭 게 자기개혁을 이루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리 주위를 바라볼 수 있는 비평적인 사고가 발달해야 한다. 전통적인 것을 단순히 그래도 전수하고 그것을 배우는 것을 넘어서 오늘 나의 다양한 삶의 현장에서 제기되는 수많은 질문에 대해서 어떻게 응답하며 그것을 실천하는가 라는 것이 영성교육의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개인의 영성활동을 포함하여 교 육받는 사람의 수준과 그 훈련수위를 진단하여 성숙한 인격으로 교육시키기 위 해서 기존의 영성교육은 체계와 질서를 가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영성교육의 방법으로 삶의 모든 관계 영역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며, 전통적인 영성교육방법을 오늘날 청소년들의 상황 134) 은준관은 기독교교육의 현장의 의미를 말함에 있어서 “변화된 인간은 자리 와 또 다른 자리들을 변화시킨 줄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 은준관, 『기독교교육 현장 론』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4), 24. - 44 - 과 눈높이에 맞도록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셋째, 앞에서도 밝혔듯이 기독교영성교육 방법은 더욱 개발되어야 하고 그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런데 관계를 살리는 청소 년영성교육을 연구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시해야 할 점은 기독교영성교육이 성령 안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성령의 도우심을 바래야 한다는 점 이다. 김도일은 최근 그의 “시종일관(始終一貫) 성령 안에서 교육하기”라는 글을 통해서 기독교교육과 성령과의 관계를 다루면서 성령은 인간 교사가 자기 능력 만큼 일하다가 더 이상 일할 수 없는 한계에 다다랐을 때부터 역사하는 분이 아 니라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 하시는 분임으로 교사는 처음부터 끝까지 성령 안에 서 성령과 함께 가르침의 사역을 수행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135) 컬리의 말처 럼 “우리는 가르치나 성령은 반응을 불러일으키신다”136) 로더 또한 그의 저서 『성령의 관계적 논리와 기독교교육 인식론』에서 성령이 “삼위일체 하나님의 내적 삶 속에 참여하는 동시에, 성부와 성자로부터 나오며 또한 성부와 성자 사이를 연결시켜 주시는 분이시다.”137)라고 주장한다. 이 때 성령의 역동적 내주(perichoresis)라는 개념이 중요하다. 이 페리코레리스 라는 개념은 “성부, 성자, 성령이 서로 모든 점에서 서로가 하나님을 상실함 없 이, 상호내주와 상호침투를 통해 역동적인 하나가 되어 사역하심을 묘사”138)하 는 개념이다. 그러므로 성령은 성부와 성자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삼위 속에 내 주하시는 분으로 단지 하나의 은사로 한정할 수 없는 인격적인 존재임을 기억해 야 할 것이다. 더욱이 성령은 그리스도와 인간의 연합을 도와주시며 성도의 삶 속에 내주하신다. 그러므로 깔뱅이 역설한 것처럼 “우리의 마음이 성령에 사로잡 히기까지는 아직 우리가 그리스도와 연합되었다고 할 수 없다.”139) 여기서 주목 할 점은 로더가 말하는 ‘영’이 무엇보다 “관계적 특성”(quality of relationality) 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관계적 특성”이 의미하는 것은 서로 관계를 맺는 135) 김도일, “시종일관 성령 안에서 교육하기”, 『미간행논문』(2010). 136) Iris V. Cully, "Instruction or Nurture" Religious Education LⅫ (May-June 1967), 225-61. 137) James E. Roder, 『성령의 관계적 논리와 기독교교육 인식론』, 이규민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54. 138) 위의 책, 56. 139) John Calvin, CD Ⅲ/I, 3. - 45 - 두 실체 사이에 자신의 고유한 특성을 훼손시킴 없이 서로 떨어져 있던 두 요소 를 하나로 묶어 주는 역동적 상호관계성을 의미한다.140) 로더는 이러한 상보성 (相補性: complimentarity)라는 개념으로 성령의 특성을 설명하면서 독자들의 이 해를 돕고 있다. 맥스 재머(Max Jammer)는 상보성을 “서로 배타적인 것처럼 보 이는 두 가지 개념 사이에 존재하는 논리적 관계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관찰대상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위해서는 이 두 개념을 함께 필요로 하는 그런 관계성”141)이다. 왜 상보성이라는 개념이 성령의 존재론적 특성을 설명하는 데 에 필요한가? 그것은 성령이 바로 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바르트(Karl Barth) 의 말처럼, “성령은 서로 다른 것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역할을 한다. …일종의 불일치를 하나로 묶어 준다. … 성령의 역사는 두 축을 조화시키고, 묶어주어서 참된 일치를 향해 나아가도록 도와주는 것이다.142) 따라서 기독교영성교육은 시 종일관(始終一貫) 성령 안에서 관계성을 살리는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 Ⅳ.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영성교육 본장에서는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사람과의 관계 안에서, 그리고 삶의 전영역에서 관계로서의 영성이 살아나는 청소년영성교육을 모색하기 하고자 한 다. 이를 위해 먼저 청소년기에 대해 이해하고, 청소년기에 영성교육이 왜 필요 한지를 밝힌 후,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영성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그리고 교육 의 장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A. 청소년기에 대한 이해 1. 청소년기의 구분 140) James E. Roder, 『성령의 관계적 논리와 기독교교육 인식론』, 40. 141) Max Jammer, The Conceptual Development of Quantum Mechanics (New York: McGraw Hill, 1966), 181. 142) Karl Barth, CD Ⅳ, 761. - 46 - 청소년기란 사회학적으로는 의존적인 아동기에서부터 자립적인 성인기로 가는 전환점이며, 심리학적으로는 하나의 주어진 사회에서 아동의 행동과 성인으 로서의 행동을 구별해서 새로운 적응을 해야 하는 한계상태를 의미한다.143) 청 소년의 말은 ‘靑年’과 ‘少年’의 합성어이다.144) 생물학적 의미를 강하게 담고 있 는 청소년(Adolescence)이라는 용어는 ‘성장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Adolescere' 에서 유래된 말로 “성숙으로서의 성장”을 의미한다.145) 청소년이라 함은 사춘기 와 청년기의 미성년자를 통틀어 지칭하기도 한다.146) 하지만 청소년의 정의는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개념 정의가 역사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어 왔으 며, 학문 영역과 학자에 따라, 사회 문화적, 생물학적, 국가의 관련법규에 따라 다르게 규정되기 때문이다. UN의 청소년 범위는 15세-24세까지이고, 우리나라 의 청소년 관련법규의 경우 민법은 20세 미만을 미성년자로, 근로기준법에서는 18세 미만으로, 아동복지법은 18세 미만을 보호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연령 층은 대체로 12세로부터 20세까지로 보고 있다.147) 발달심리학에 의하면, 청소 년 시기는 사춘기가 시작되는 12-13세에서부터 성인의 역할과 책임을 담당하기 시작하는 직전까지로서 대개 22-24세까지에 기간을 청소년기로 본다.148) 생물 학에서는 신체가 균형 있게 발달하는 시기를 말하는데 남녀의 연령에 따라 성장 의 속도와 그 발달 상태에 있어서 분명한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연령으로 청소 년기를 구분하는 절대 기준을 잡을 수 없다.149) 청소년은 아동에서 성인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있는 모두를 말하지만 본 논문은 교육의 대상을 한정하기 위해 중학생과 고등학생으로 연령에 맞추어 그 시기를 보고자 한다. 143) Rolf E. Muss, Theories Adolescence, 송정두 역, 『청소년 이론』 (대구 :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0), 10. 144) 함종환, 『청소년학 원론』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27. 145) Rolf E. Muuss,『청소년 이론』 (경북: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1), 10. 146) 고용수, “청소년이해와 교육적 과제”, 『장신논단』제3집(1987. 3), 223. 147) 권이종, 『청소년학 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1996), 71-73. 그러나 대 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는 18세미만, 19세미만, 20세미만 등으로 상이하게 규정된 청소 년관련법규를 18세 혹은 19세 미만으로 통일시키기 위해서 의견을 수렴 중에 있다. 『조선일보』, 1998. 2월 9일. 148) 고용수, “청소년이해와 교육적 과제”, 223-24. 149) 권이종,『청소년학 개론』, 71. - 47 - 2.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성 이 시기에 청소년은 개인이 내적으로 변화하는 시기이며 그 사회가 요구 하는 기대에 도달하려고 노력하며 인격 완성을 도모하고, 사회적인 기능을 취하 는 마지막 단계이다. 이러한 시기에 있는 청소년은 커다란 변화 앞에서 불안정한 시기를 맞게 된다.150) a. 신체변화 청소년기는 아동기의 종착점으로 앞으로 하나의 독립된 개체로서의 역할 을 담당하게 될 성인기로 한발 내디딜 준비를 하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모든 발달단계별로 특징이 나타나지만 청소년기는 빠른 신체적 변화와 함께 매우 극 명하게 발달에 따른 특징들이 드러나는 시기이다. 출생 이후 48개월까지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던 성장발달은 아동기에 들어서면서 다소 주춤하다가 청소년이 되 었다는 말을 들을 정도로 신체의 빠른 성장과 함께 성적인 성숙이 시작된다. 특 히 남녀의 성호르몬 분비로 인한 2차 성징이 나타나는 것도 신체적인 변화로 보 아야 한다. 이렇게 신체변화와 함께 성적인 성숙이 촉진되면서 생식능력에 있어 성인수준에 도달하게 된다. 청소년기에 남성의 경우 근육과 골격이 특히 발달 되 면서 몸무게가 증가하며, 수염 및 변성, 얼굴의 골격에 있어서 성인수준에 도달 한다. 여성인 경우는 남성과 확연히 구분을 되는 유방의 발달과 월경, 피부의 변 화가 일어난다. 청소년 초기부터 진행된 생식기관의 성숙은 후기에 가서 거의 완 성된다.151) 이러한 빠른 신체의 변화로 성인의 이미지만을 갖게 되는 것이 아니라, 성 역할에 대해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정체성을 만들어 주며,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다양한 감정과 욕구들을 경험하게 되면서 삶에 대한 새로운 기대를 갖게 된다. 하지만 어느 특정한 부위의 발달로 일시적 불균형 현상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 또한 본인이 원해서 발달 한 것이 아니라 자연적 현상이기 때문에 이러한 급 격한 신체적 변화가 청소년들에게 심각한 갈등과 혼란을 가져다주는 심리적불균 형의 상태에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152) 150) 조은숙,『정신위생』 (서울: 교육연구사, 1988), 52. 151) 사미자, “청소년 그들은 누구인가?”, 총회남선교회 지도위원회 편, 『교회와 청소년지도』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출판국, 1991), 31-36. - 48 - b. 인지발달 청소년기는 아동기의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경험으로부터 출발하는 사고 와 달리, 인지적발달이 현저하여 일반 법칙들을 생각하게 하고, 나아가서 추상적 인 것에 대한 논리적인 사고가 가능하다. 삐아제(J. Piaget)가 말 한대로 이 시기 는 “형식적 조작기”로서 사고의 구조를 형성하며, 추상적이고 형식적인 개념을 구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실제 경험과 유리된 사고를 할 수 있게 되는데,153) 예를 들면 진리, 정의, 평등과 행복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들을 사용하기 시작하 며 나아가서 현재와 다른 가상적인 현실을 생각해 가강 공간에서 공상할 수 있 게 된다. 이러한 능력은 또한 현실을 넘어 이상(ideal)을 생각할 수 있는 능력으 로 이어지며, 본격적인 세계관, 가치관, 인생관 등이 형성된다. 청소년 시기의 지 적 성장은 모든 면에서 변화를 가져오며 보는 시각이 다양해지고 관점이 생기며 나아가 신앙을 자라도록 하는 원동력을 형성시키기도 한다.154) 청소년의 사고는 현실에 기초하지만 현실보다는 가능성에 집중하려고 한다. 그래서 그들이 추구하 는 이상이 현실로 이루어지기 어렵다고 생각될 때 실현 가능한 방향으로 자기의 이상을 맞추기보다 현실이 왜곡되었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타당한 이상이 실현되 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현실성이 결여된 자기중심적인 사고의 위험과 독 단에 빠질 수 있다.155) 그래서 현실에 대한 불만과 독단은 결국 부모나 사회에 대해 반항하는 등 이념화된 방어기제를 사용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이 계 획을 세워 미래에 대해 생각 할 수 있지만 자신이 처해 있는 실존적 현재, 과거 와 미래에 대한 시간개념의 확대는 미래에 대한 기대와 함께 불안을 증폭시킨 다.156) 또한 과거에 의심하지 않고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던 많은 일들에 대하 여 인지발달로 인해 비판적인 관점을 가지면서 모순과 혼란을 경험하게 되고, 결 과적으로 심각한 회의를 느끼면서 종교를 가지고 있는 청소년은 종교적 회의에 152) 사미자, “인생주기론에 비추어 본 청소년”, 『기독교사상』(1988, 5), 59-60. 153) 고용수, “청소년이해와 교육적 과제”, 225. 154) 박원호, “청소년 신앙과 교회교육”, 『제2회청소년 지도자를 위한 심포지 움』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부, 1998), 6. 155) 목회와 신학 편, 『십대청소년 목회론』 (서울: 두란노, 1993), 12-13. 156) 김태련, 장휘숙, 『발달심리학』 (서울: 박영사, 1991), 253-54. - 49 - 빠질 수 도 있다.157) c. 심리변화 청소년들은 예민하다. 그들은 위엄과 권위의 행사에 대해서는 무조건적인 반항을 나타내며, 기쁨 증오 슬픔 질투 수치감 사랑과 같은 정서는 매우 강렬한 모습을 띠며, 극단으로 달리기 쉽다.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갈등 중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은 반항적인 태도와 독립에 대한 불안이다. 반항적 태도는 아동기까지의 긴 성장 과정에서 부모나 성인들에게 무조건 의존하던 생활에서 점점 벗어나 이제는 자율적인 인간으로 독립하고 싶은 욕구가 강하게 작용하면 서 나타난다. 독립하고자 하는 욕구 안에는 불안적요소가 동반하다. 아직 완전한 성인이 아니라 독립적인 인격체로서 혼자서 모든 삶을 책임져야 한다는 사실에 심한 불안을 느끼면서 반대로 의존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이렇듯 서로 반대 되는 심리변화가 동시에 일어나므로 청소년들은 혼란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심리적인 갈등을 반드시 경험하는 시기이다. 청소년들은 기분에 상당히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다. 여기에서 기분이란 말은 실망과 낙담을 잘 하고, 상황에 따라 감정이 잘 변화된다는 점이다. 청소년의 감정은 매우 유동 적이며, 이율배반적인 동시에 열등감에 쉽게 빠진다. 그러나 변화된 자기 자신에 대한 모습을 탐색하면서 자의식이 높아지기도 한다. ‘나는 누구인가?’ 즉 실존적 인 질문들을 통해 실존적 접촉점을 찾아가면서 자아정체감(self-identity)이 형성 된다.158) 에릭슨(E. H. Erikson)은 청소년기에 가장 중요한 과제로 자아정체성159) 의 확립이라고 말했다. 만약 이 시기에 자아정체성의 확립을 이루지 못한다면 청 소년은 실존적 좌절 내지 역할 혼란(role-confusion)에 빠져 정체성(identity) 위 기를 맞는다. 이러한 위기 상황을 극복하지 못하면 청소년들은 부정적 자아정체 성이 형성 되어 비행 집단에 참여하기도 한다. 또한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자신의 미래에 대한 결정이나 계획을 유보시키는 결정유예기간(moratorium)을 지닌다. 157) 사미자, “인생주기론에 비추어 본 청소년”, 60. 158) 사미자, “청소년 그들은 누구인가?”, 36-38. 159) 자아정체감이란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여러 가지 역할들을 하나로 통합하려는 의식적, 무의식적 노력, 즉, 여러 역할들을 하나의 정체로 종합하는 것을 말한다. - 50 - 이 기간에 사용하는 행동양식은 대체로 반사회적이며 비윤리적 특징을 지닌 다.160) d. 사회관계 청소년기에는 가족으로부터 독립하려는 마음의 증대와 함께 개인적 동기 에 의해서 선택되고 구성된 “또래집단”161)에 속하고 싶어 한다. 청소년기에 들 어서면 친구관계의 모습이 달라진다. 아동기처럼 집이 가깝고 같이 다닐 수 있거 나 학교에서 만나는 공간의 제약에 따른 놀이 친구가 아니라 마음의 친구를 찾 는다. 마음의 친구는 친화력이 강하여 부모 형제와의 시간보다 마음의 친구와 지 내는 것을 더 선호한다.162) 따라서 많은 시간을 가정 밖에서 보내면서 인식과 경험의 폭이 확장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어른들, 교사와 동료들로부터 이상적인 모델이 형성되기 때문에 부 모에 대한 상이 다양하게 수정되고, 어른들의 권위의 관계의 틀에서 벗어나 수평 적 관계를 추구하면서 소속집단과의 우정의 관계가 점차 이성과의 접촉에로 눈 을 돌리게 된다.163) 이성과의 관심과 교제는 청소년들에게 사회관계 적응 면에서 매우 중요하 다. 청소년들은 이성과 직접 교제함으로써 나와 다른 어색한 대인 관계를 극복하 며 넓히는 과정을 자연스럽게 사회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된다. 또한 점차적으로 이성의 또래와 관련을 맺을 수 있는 능력, 자존감, 친밀함을 증진시 키며, 동시에 나와 다른 사람의 관심의 포용, 상호신뢰와 확신을 배우게 된 다.164) 3. 청소년기의 종교관 청소년기에 일어나는 종교적 사고의 변화는 사춘기 현상의 출현과 함께 160) 박원호, “청소년 신앙과 교회교육”, 7-8. 161) J. Corbett, Creative Youth Leadership (Valley Forge: Judson Press, 1977), 45. 162) 박아청, 『청소년과 아이덴티티』 (서울: 배영사, 1987), 161. 163) 고용수, “청소년이해와 교육적 과제”, 226-27. 164) 김정휘, 『현대 청년심리학』 (서울: 학문사, 1983), 73. - 51 - 종교적 행동에 변화된 형태로 나타나고, 아동기에 가졌던 불완전한 신앙심이 약 해지거나 깨지게 된다. 청소년들은 들은 설명에 대하여 논리적 근거를 찾고 이에 이의를 제기하기도 하고, 종교가 나와 어떤 연관이 있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질문을 하고, 그것에 대한 논리적 설명과 구체적 해답을 찾고자 한다.165) 골드만(R. Goldman)은 청소년기의 종교적 특징을 “청소년들은 명제적, 추상적 사고의 발달에 따라 성서를 비문자적, 은유적, 시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고, 하나님을 상징적, 추상적, 영적으로 이해하기 시작 한다”166) 고 말한 다. 청소년들의 이러한 종교적인 사고는 추상적인 성향을 보이는데, 이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종교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임을 강조하였다.167) 그래서 청소년은 진정한 종교의 한 모습을 보며 이해하고, 그에 따른 신앙의 성장도 기 대할 수 있다. 종교는 아동기 때 단순한 이야기의 주제나 동화의 차원, 혹은 객 관적 사실로서의 차원이라기보다는 청소년기의 실존적 삶의 자리로 연결되어지 는 주관적 차원으로 들어가게 된다. 즉 십자가 구속사건이 내 인생과 어떤 관계 가 있고 왜 그 사건에 관심을 가지고 고민해야 하며 그것이 또한 자신의 삶에 어떤 의미를 주는가의 문제에 직면한다. 이러한 어려운 질문은 청소년의 신앙적 수준이 성숙한 단계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168) 파울러(J. W. Fowler)의 신앙발달에 의하면 청소년기를 제3단계로 종합 적, 인습적시기(Synthetic-Conventional Stage)에 해당된다. 이때는 개인의 경험 은 가정의 울타리 밖으로 확대된다. 여기에서 학교, 마음의 친구들, 사회의 현실, 대중매체 그리고 종교 등의 여러 영역들이 서로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신앙은 이러한 다양하고 복잡한 상황 속에서 일관성 있는 방향성을 제공한다. 또한 가치 들과 정보들을 논리적으로 종합해 준다. 신앙은 정체성과 전망을 위한 근거와 상호인격적인 견지에서 궁극적인 환경을 제공한다.169) 하지만 아직은 객관적으 로 자신의 신앙에 대하여 깊이 반성하거나 검증하는 단계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 165) 윤주병, 『종교심리학』,(서울: 서광사, 1988), p. 178. 166) Ronald Goldman, Readiness for Religious (New York: The Seabury Press, 1976), 162-66. 167) 사미자, “청소년 그들은 누구인가?”, 45. 168) 사미자, “청소년 그들은 누구인가?”, 45. 169) James W. Fowler, 『신앙의 발달단계』, 사미자 역 (서울: 대한예수교장로 회 총회출판국, 1987), 277-78. - 52 - 단계는 의미 있는 다른 사람들의 기대와 판단에 예리하게 일치되지만 동시에 독 립적인 전망을 구성하고 유지할 만큼 그 정체성과 자율적 판단을 확실히 갖고 있지 못하고 자신의 주변에 중요한 타인의 기대와 판단에 정확히 순응하려는 “순응주의 단계”(Conformist stage)이다.170) 이 시기는 관점채택(Perspective Taking)171)에 의해 다른 사람들을 통해 자신을 바라보고 생각하며 느끼게 된다. 점차 주변의 주요 인물들의 생각, 관점에 민감해지고 결국 영향을 받아 자기의 신앙이나 도덕, 정체성 형성의 기초가 된다. 그래서 이 시기의 신앙을 동조의 신 앙이라고 한다. 청소년기의 신앙은 다른 사람 또는 자기가 속한 공동체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의존적 신앙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부모의 신앙이고, 주변 신앙 인의 신앙이고, 교회의 신앙이다.172) 존 웨스터호프Ⅲ(J. H. Westerhoff Ⅲ)는 이를 귀속적 신앙(affiliative faith)이라고 말한다.173) 그러나 스스로 신앙을 가지려고 노력들이 모여 자주적 인 신앙으로 성장한다. 신앙은 평생을 통해 성장하는 과정에서 성장의 다리를 놓 는 역할을 하는 시기가 청소년 시기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기의 신앙을 잘 성 장 할 수 있도록 다리가 잘 만들어지면 신앙의 성장이 비교적 마지막 단계에까 지 나아갈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평생 청소년 단계식의 신앙에 일평생 머 무르게 된다.174) 청소년기의 종교적 관심은 아무런 관점과 비판 없이 받아들였던 아동기대 와는 달리 형식적이고 제도적, 교리적인 종교에 대하여 비판적이다. 특히 신앙과 도덕적 행위 사이의 일치하지 않는 경험을 할 때에 그 종교에 대하여 막대한 회 의를 품게 되고,175) 그 문제가 관념적으로 해결되지 않을 때에는 자신의 종교를 떠나는 청소년들도 있다.176) 170) 박원호, 『신앙의 발달과 기독교교육』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996), 70-71. 171) 관점채택이란 신앙이 발달함에 따라 점점 남의 입장이나 관점을 채택하면 서는 폭이 넓어짐을 뜻한다. 예를 들면 처음엔 자기의 관점만 취하다가 차차 남의 관점 을 고려하게 되고 아울러 남이 내게 대하여 생각하는 것도 고려하게 된다. 따라서 너와 나 모두를 감싸고 있는 객관적인 관점을 채택하게 된다는 것이다. 위의 책, 54. 172) 박원호, 『신앙의 발달과 기독교교육』, 70, 72. 173) John H. Westerhoff Ⅲ, 『기독교 신앙과 자녀교육』, 이숙종 역 (서울: 대 한기독교서회, 1991), 35. 174) 박원호, “청소년 신앙교육과 교회교육”, 11. 175) 고용수, “청소년이해와 교육적 과제”, 229. - 53 - B. 청소년 영성교육의 필요성 청소년의 영성이 성장한다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성에 따른 종교관 형성에 대해 앞서 보았다. 이 시기의 종교관 형성이 평생을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시기에 영성교육은 그 어떤 교 육보다 선행되어야 한다. 영성 성장의 두 가지 면을 제임스 파울러는 이렇게 말 하고 있다. 하나는 양적 성장으로 어느 특정한 하나의 신앙방식 내에서 점점 내 용이 채워지고 체계화 되는 것을 말하며, 다른 하나는 질적 성장으로 현재가지고 있는 방식을 뛰어넘는 새로운 방식의 신앙을 갖는 것이다. 청소년의 영성교육의 필요성도 이처럼 양적 성장과 질적 성장이 나타나야 한다. 아동기 때부터 점차적 으로 체계적으로 수용되어진 신앙의 양적성장은 청소년이 되어서야 그리스도인 으로서의 자아정체성 확립에 큰 역할을 하며, 질적 성장은 종합적-인습적 신앙 에서 개별적-반성적 신앙으로 성장하는 것이다. 1.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자아정체성 확립 청소년의 수직적, 수평적인 이해를 통해 이 시기는 환경의 변화와 발달단 계에 의한 갈등으로 혼란과 당혹감을 느끼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수많은 관계 속에서 특히 부모와 기타 주변의 어른들로부터 정서적 독립의 성향이 강하게 나 타나며, 남녀 간에 새로운 인식의 변화와 성숙한 관계를 형성해야 하며, 진로 선 택 및 미래를 위한 준비와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시민이 될 수 있는 성숙한 인 간이 될 준비를 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가치관과 도덕적 원칙들을 학습하고 그 것들을 행동의 지표로서 활용해야 한다. 이러한 발달적 과제를 안고 있는 시기가 바로 청소년의 시기이며, 이 모든 것을 포함하는 과제가 바로 자아정체성을 형성 하는 것이다.177) 사미자 교수는 청소년기에 성취해야 할 과제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 정체 176) 사미자, “청소년 그들은 누구인가?”, 46. 177) 사미자, “인생주기 이론에 비추어 본 청소년기”, 『기독교 사상』(1988. 5), 58. - 54 - 성을 형성하는 일이라고 말하면서,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어떤 신념이나 이념체 계를 통하여 자신이 관계를 살리는 인생의 방향을 찾으려는 욕구가 있다. 인생의 목표와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찾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종교는 이상적인 신념체 계와 실존의 방향을 제공해 주는 나침반과 같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고 말한다.178) 그러나 청소년에 대한 우리의 신앙교육이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을 형성하 는 데 어떤 신념이나 이념체계의 방향성만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라 신앙과 신념 을 구분한고 파울러는 말한다. 만일 우리의 신앙교육이 신념이나 이념체계에 방 향을 제시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의지적 차원에 국한 된다.179) 파울러에게 있어 서 신앙은 전인(the whole being)에 관계된 것이며 이 신앙의 성장은 일평생 단 계적으로 일어난다.180) 즉 청소년의 신앙교육이 필요성 중의 하나가 바로 그리스도인으로서 자아 정체성을 확립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은 청소년기에 관계된 모든 발달과제들을 포함한 것이다. 예를 들면, 청소년 시기의 신체적 발달단계를 통해 건강한 신체 상(body image)을 가져야 한다. 이것은 신앙교육을 통해 하나님은 외모가 아니 라 중심보시는 분이라는 것을 알게 함으로써 하나님의 사랑을 바로 인지하게 하 며 이로 인해 건강한 신체상을 가르쳐야 한다. 성적인 발달에 있어서도 청소년은 잘못된 성의식을 갖기 쉽다. 오늘날 사회문화적 환경이 잘못된 성을 가르칠 때, 신앙교육을 통해 아름다운 성을 가르쳐야 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말하면 구 성애의 성교육을 통해181) 성을 생명, 사랑, 쾌락으로 교육을 했을 때 신앙교육은 여기에서 단순한 생명의 성이 아닌 하나님의 형상을 가진 자녀의 출생을 가르쳐 야 한다. 형식적 조작기에 있는 청소년들은 논리적 사고가 점점 성숙하고 있는 단 178) 사미자, “청소년 그들은 누구인가?”, 47. 179) 파울러는 신앙과 신념을 구분한다. 파울러에 의하면 신념은 신앙을 표현하 고 전하는 중요한 방법들 주의 하나이지만, 신앙은 신념보다 심오하고, 신념과 행동 안에 서 의식할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무의식적 동기도 포함한다고 말한다. James W. Fowler, Weaving The New Creation, 『변화하는 시대를 위한 기독교교육』, 박봉수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6), 136-37. 180) 박원호, 『신앙의 발달과 기독교교육』, 35. 181) 구성애, 『구성애의 성교육』 (서울: 석탑, 1995). - 55 - 계이다. 추상적인 사고가 가능하며 가상적인 사고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단편적 인 지식교육에서 논리적 체계가 바르게 세워가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 시기에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자아관, 가치관, 인생관, 세계관 등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청소년시기의 지적발달을 신앙교육을 통해 도울 수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성경말씀에 대해 암기할 수 있도록 하며, 자신의 능력으로 성경의 진 리를 발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매사를 하나님의 기준으로 판단하도록 권 면하며, 성경말씀을 지식적으로 아는 것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 적용하도록 도와 주는 신앙교육이어야 한다. 이 시기의 청소년은 도덕적 혼란을 겪는 시기이다. 특히 청소년의 문제를 지적할 때 도덕적인 혼란을 많이 지적하게 된다. 신앙의 교육은 결코 도덕적 성 장을 도외시해서는 안 된다. 도덕은 신앙의 핵심적인 요소이며 신앙의 열매이다. 하나님에 대한 신앙은 이웃과의 도덕적 관계로 나타나야 한다. 신앙교육을 통해 청소년들로 하여금 도덕에 대해 생각하고 무조건적으로 순종하는 모습에서 벗어 나서 스스로 도덕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외적인 행 위에 의존하는 도덕이 아니라 성숙한 판단과 동기에 대한 교육을 함으로써 성서 가 가르치는 도덕의 내면적인 동기를 성숙시킬 수 있는 교훈을 얻을 수 있 다.182) 그러므로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만남의 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청소년의 시기는 인격적 관계에 따라서 깊은 영향을 받는 시기이다. 누구를 따르 느냐에 따라서 자신의 가치관, 인생관, 신앙이 달라질 수 있다. 정체성 확립에 있어서도 “나는 누구인가?”, “어떤 가치관을 가져야 하는 가?”에 대해서도 성서에 근거한 충실한 해답으로 자아정체성 확립에 도움을 주 어야 한다. 2. 개별적-반성적 신앙으로의 성장 신앙은 일평생을 통해서 성장하며 청소년 시기는 성장의 다리를 놓는 시 기이다. 만일 청소년 시기의 신앙이 잘 성장하면 신앙의 성장이 비교적 마지막 단계까지 나아가게 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청소년 단계식의 신앙에 일평생 머 182) 박원호, “청소년의 신앙특성과 교회교육”, 31-32. - 56 - 무르게 된다고 파울러는 말한다. 즉, 나이가 많아져도 신앙생활 속에서 신앙의 성숙도에 있어서는 질적인 변화가 없다는 뜻이다. 청소년 시기는 그 동안의 신앙 을 종합하고 체계를 세우면서 이제는 다음에 다가올 가장 힘든 성인 초기의 신 앙을 위한 기초를 다지는 시기이다. 청소년 시기의 신앙의 중요성을 더 잘 알기 위해서는 다음 단계인 성인 초기(20-35)의 신앙의 과제를 생각해야 한다. 개별적-반성적 청년기에 나타나는데, 신앙의 성장에 관한 한 신앙의 거듭 남이라 할 수 있다. 이전 단계까지의 신앙이 주위에 의지한 신앙이라면 4단계의 신앙은 자신의 신앙, 자주적인 신앙이라 할 수 있다. 3단계에서 자신의 정체성 문제로 몸부림치는 청소년은 이제 청년기에 들어서면서 자신의 신앙에 대해 깊 은 반성이 일어나며 자주적인 신앙을 가지려는 노력이 나타난다. 자신의 헌신, 삶의 스타일, 신념, 태도에 대한 책임을 심각히 결정하고 감당해야 하기에 대부 분의 경우 깊은 갈등과 고통을 겪는다. 이 고통을 이기지 못하고 3단계의 신앙 에 일평생 머무는 사람들이 있다.183) 파울러는 4단계로의 변천은 사춘기 후반의 청소년이나 성인이 자신의 헌 신들, 생활양식, 신념들과 태도들에 대한 책임부담을 심각하게 다루기 때문에 특 별히 중요하다고 말한다.184) 청소년시기의 신앙교육의 필요성은 다음 신앙의 단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계속해서 발전해 나아가게 한다. 결합적 신앙으로, 그리고 보편화된 신앙으로 나아가도록 기초가 되어준다. 청소년의 신앙교육은 바로 이러한 신앙 성장에 중요한 기초가 된다. C.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 교육 본 장에서는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그리고 교육의 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 교육의 목적 183) 박원호, 『신앙의 발달과 기독교교육』, 71-72. 184) James W. Fowler, 『변화하는 시대를 위한 기독교교육』, 292. - 57 - 기독교교육의 목적과 목표는 교육을 수행함에 있어서 하나의 나침반과 같 은 역할을 한다. 그런데 여기서 반드시 기억할 것은 목적과 목표를 구분하는 일 이다. 목적은 더욱 궁극적으로 성취되어야 할 이상이라면, 목표는 단기적으로 그 성취도가 측정될 수 있는 것이다.185) 다시 말해 영성교육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성취되기를 지향하는 방향을 예시하며 자익적인 노력을 통하여 도달하게 될 수 있는 최종상태를 추상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이다. 반면에 영성교육의 목표는 그 목적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필요조건으로 요구되어지는 “과정적”이며 “수 행적”인 행동양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단기적 수행 과정 후 그 성취 여부 가 실제적으로 판별될 수 있는 실천가능한 행동양식을 규정하는 용어이다.186) 예를 들어 예수의 제자가 되는 것이 목적이라면 예수의 제자가 지닐 수 있는 구 체적인 도덕적 정서적 수준은 목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영성교육은 이러한 목 적과 목표를 결정함에 있어서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종교적이며, 개인적이며, 경건한 도덕인을 만들어 내고자 하던 전통적인 기독교교육의 목적은 세속적이며, 상황적이며, 기술인으로 변화하고 있는 오늘의 인간 형성의 거센 물결에 의하여 그 초점을 잃어가고 있다. 이제 기독교 영성교 육은 자율적이며, 자기 책임적이며 통전적인 인간, 곧 영성적 인간이 전제되어야 한다. 기독교교육의 목적은 “학습자로 하여금 영성적 존재가 되도록 돕는 행 위”187)로서, 참인간성 회복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즉 영성교육은 성서의 객 관적인 지식이 하나님과 인격적으로 깊이 관계를 맺는 것으로써 기독교적인 바 른 앎(orthodoxy)과 기독교적 바른 삶(orthopraxis)이 의미 있게 균형을 이루는 것이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영성교육을 위하여 영성교육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통전적 차원에서 하나님과의 합일(union)이 이루어져야 한다. 현대의 영성 이해는 인간을 ‘영’과 ‘육’으로 이분하기보다는 영과 육의 통 185) 손원영, 『기독교교육의 재개념화』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175. 186) 강희천, 『기독교교육의 비판적 성찰』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258-259. 187) Thomas H. Groome, Educating for Life: A Spiritual Vision for Every Teacher and Parent (New York: The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1998), 328. - 58 - 전적 존재라는 인간이해부터 시작하여, 하나님과 인간의 영적인 일치 (communion), 그리고 더 나아가서 인간과 하나님 그리고 자연 및 우주와 연합 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즉, 영적 성장을 위한 기독교교육은 인간의 인지적, 정의 적, 행동적인 측면을 통합하는 교육이 되어야 하며, 하나님과 인간, 그리고 자연 과 우주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었음을 교육해야 한다.188) 위의 목적을 이루 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인지적 차원에서 하나님의 뜻을 이해하도록 격려하며, 정서적 차원에서 하나님의 임재를 체험하도록 촉진하고 행동적 차원에서 하나님 의 뜻을 행동으로 실천하게 하는 반복적인 삶의 형태를 강조함으로 그 실현의 가능성을 지향하도록 돕는 의도적인 계획이 되어야 한다.189) 둘째, 일상의 삶을 통하여 하나님의 은총을 자각하고 공유하는 것이다. 전인적이고 총체적인 능력형성을 지향하는 영성교육이란 일상의 삶을 통 하여 하나님을 경험함으로써 그 사랑을 기초로 공동체와의 관계를 형성해가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영성교육 교사들은 학습자들이 하 나님, 자기 자신, 타인들 및 세상과 각기 맺고 있는 상호관련성을 인식할 수 있 는 보편적 잠재능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190) 셋째, 창조적인 비판적 성찰과 해석을 통하여 삶의 구체적인 장(context) 에서 실천(praxis)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영성교육 교사는 영성적 삶을 살아가는 학습자들이 초월자인 하나 님에게 실제적 상황에서의 영적 응답을 하게 하는 창조적인 행위의 실천을 통해 서 그 구현을 기대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도와야 한다. 앞에서 영성교육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제언하였다.191) 첫째, 통전적 차원에서 하나님과의 합일(union)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일상의 삶을 통하여 하나님의 은총을 자각하고 공유하는 것이다. 셋째, 창조적인 비판적 성찰과 해석을 통하여 삶의 구체적인 장(context) 에서 실천(praxis)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 영성교육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88) 손원영, 『기독교교육의 재개념화』, 172. 189) 강희천, 『기독교교육의 비판적 성찰』, 259. 190) 위의 책. 191) 위의 책, 258-59. - 59 - 첫째,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인 측면을 통합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 를 위해 청소년들의 전 환경 속에 있는 다양한 요소가 상호작용 되도록 통합적 교육을 해야 한다. 둘째, 지, 정, 의를 바탕으로 일관성 있는 신앙이 되도록 교육 한다. 바로 이것은 삶 속에서 하나님과 교제하는 삶을 살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삶의 구체적인 장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가정, 교회 학교, 친구 등 여러 가지 그물로 관계를 통해 신앙을 체험 할 수 있도록 한다. 2.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 교육의 내용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목적과 목표가 선정되면 그러한 목표가 충 실히 반영된 교육 내용이 선정되어야 한다. 기독교교육의 내용은 교육과정 및 수 업과 관계된다. 전통적으로 교육과정은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였고, 수업 은 교수-학습 과정을 통해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였다. 그러나 인간의 경 험과 잠재적 교육과정을 강조하는 다수의 현대 교육학자들은 교육과정의 논의가 단순히 가르칠 내용만을 문제 삼거나 혹은 수업이 가르칠 방법만을 문제 삼는다 고 보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은 교육과정과 수업을 이분화 하는 것에 반대하면 서, 이 양자 사이의 일치 혹은 유기적 연계성을 중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 기독 교교육의 내용은 가르칠 내용과 방법을 함께 문제 삼는다. 전통적으로 기독교교육은 언어의 표현, 암기 등을 통하여 이루어져왔다. 이것은 교육을 일종의 대상에 대한 인식으로만 이해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인 적인 영적 성장을 지향하는 영성교육은 어떤 객관적 사실들의 주입만으로 추구 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주관적 경험의 발달만으로 추구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므로 영성교육은 학습자들이 전통적인 방법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대 화와 참여를 통하여 하나님의 긴밀한 관계에서 그리고 하나님과 세계 사이의 대 화에서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응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되어야 한다. 교육의 내용 선정에 있어서 기독교 전통 속에서 형성되었던 영성의 훈련 들이 파편화의 위기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또한 요청되는 내용임 을 밝히고자 한다. 그것은 곧 ‘정화의 기도’, ‘믿음’, ‘조명’, ‘깨달음’ ‘회심’, ‘비 - 60 - 움’, ‘일치’, ‘실천’ 등과 같은 것들이 영성교육의 내용으로 선정되어야 한다는 것 이다. 본 논문에서는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교육의 내용으로 ‘정화의 기도’, ‘깨달음’, ‘실천’을 영성 교육의 내용으로 선정하여 교육에 참여한 자들이 기독교 적인 바른 사람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구체적인 영성교육의 방법을 모색하 고자 한다. 청소년영성교육의 내용으로 살펴볼 것은 첫째로 ‘정화의 기도’이다. 그리 스도인의 온전한 영적인 삶을 살아간다는 것은 결코 평탄한 길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리스도인들은 항상 성령 안에 거하는 삶을 살아가야 하며, 세상 속에 있는 우리의 존재를 정화시켜야 한다. 따라서 기독교인들은 자신의 내면에서 이 세상적인 것을 비워서 내면에 그리스도의 영이 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정화의 기 도’가 요청된다.192) 둘째, 청소년영성교육의 내용으로 ‘깨달음’이 필요하다. 우리의 내면이 정 화되면 우리 내면에는 하나님의 본성에 대해 깨달음이 있어야 하며, 하나님과 우 리 사이의 관계에 대한 깨달음이 있어야 한다. 그래서 학습자들이 하나님의 본성 은 사랑이라는 것을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193) 셋째, 청소년영성교육의 내용으로 필요로 하는 것은 ‘실천’이다. 학습자들 이 조명의 단계를 걸쳐서 더욱 더 하나님과 일치가 되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즉 참된 그리스도인으로서 실천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화의 기도와 깨달음 그리고 실천을 바탕으로 한 영성교육을 통 하여 학습자들은 하나님을 만나고 하나님과의 계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끊임없 이 자기를 비워내며 통합적인 영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이러한 영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영성교육의 목적이 반영된 청소년영성교육의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로 ‘정 화의 기도’이고, 둘째로 영성교육의 내용으로 ‘깨달음’이 필요하다. 또한 셋째로 영성교육의 내용으로 필요로 하는 것은 ‘실천’이다. 3.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 교육의 방법 192) 협동신학연구소 편, 『기독교신학과 영성』 (서울: 솔로몬, 1995), 156. 193) 위의 책, 138. - 61 - 통전적이고 전인적인 성장을 지향하는 영성교육의 방법은 무엇보다도 단 순한 주입식이나 강요는 배제되어야 한다. 즉 성서를 고정된 문자로 전락시키고 삶의 적용을 방해하는 교리의 주입식 교육방법이 아닌 실천을 중심으로 한 교육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교육방법은 문제해결의 방법, 활동학습, 교사 와 학습자가 상호경험을 나누는 방식, 대화를 촉진하는 방법 등을 채택하여 교재 에만 의존하는 단순한 지식의 축적에서 벗어나 학습자들의 적극적이고 자유로운 참여와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교수방법을 통하여 영성교육 교 사들은 학습자들이 하나님의 긴밀한 관계에서 그리고 하나님과 세계 사이의 대 화에서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응답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기독교 영성이 그 들의 삶에 어떠한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를 발견하는 능력을 키워줄 수 있어야 한다. 앞서 영성교육의 목적이 반영된 청소년영성교육의 내용은 첫째로 ‘정화의 기도’이고, 둘째로 ‘깨달음’이고, 셋째로 ‘실천’이다. 위에서 언급한 청소년 영성교육의 내용을 중심으로 청소년 영성교육의 실 제적인 방법으로 첫째로 기도와 둘째로 거룩한 독서 그리고 셋째로 성찰과 실천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a. 기도 인간의 영성회복을 위해 가장 기본적인 것은 기도생활이며, 학습자들은 기도를 통하여 기도를 통하여 이 세상적인 것을 비워서 자신의 내면에 그리스도 의 영이 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영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영성교육을 추구하는 교사와 학습자들은 참으로 기도란 무엇인가? 라는 기도에 대한 성찰이 있어야 한다. 기도란 그저 주 문을 외우듯이 하는 것이 아니며, 또한 개인의 번영과 복을 간구하는 것이 아니 다. 영성교육자들은 학습자들이 참된 기도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내면에 진정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기도란 하나님과의 만남을 추구하는 개인적인 노력과도 같으며, 이 노력을 통하여 하나님의 은혜가 작용할 때만 진정한 하나님 과의 합일이 가능하다. - 62 - 이와 같은 하나님과의 합일을 지향하는 기도를 네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 고자 한다. 첫 번째 단계는 ‘명상의 기도’라는 불리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대단 한 노력을 필요로 하는 시작 단계이다. 학습자들은 명상의 기도를 통하여 자기 훈련과 세상 욕망에 대한 부정과 참된 기도 세계에 도달하려는 절제된 삶이 요 구되며, 하나님을 향해 조금씩 나아가게 된다. 물론 이 과정은 하나님의 은총을 통해서만 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는 ‘침묵의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학습자들은 세상의 욕망 으로부터 벗어나 이제 하나님과 은총에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게 된다. 세 번째 단계는 ‘연합의 단계’ 이다. 이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은 하나님의 은총으로 인해 하나님과의 교제가 더욱 고조되는 것을 경험한다. 그래서 하나님 의 은총으로 인하여 경건한 삶 속에서 하나님께 복종하는 삶을 살아 갈 수 있게 되며, 고통과 고뇌는 하나님과의 연합을 통해 기쁨과 행복으로 바뀐다. 따라서 기독교 영성교육은 기도의 의미를 일상생활 속에서 감수성을 가지고 하나님과의 사귐을 가능케 하는 교육 내용이 되어야 한다. 마지막 단계는 하나님이 주시는 폭우와 같은 은총을 받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학습자들은 하나님과 완전한 연합을 이룰 수 있으며, 이 단계에서 학습 자들은 기도는 노동이 아니라 영광으로 경험된다. 이러한 단계를 통하여 학습자 들은 인간의 노력으로 출발된 기도가 하나님의 은총에 의해 인간의 노력이 사라 지고 점점 더 하나님과 하나가 되는 기도의 시간을 경험하게 된다. 즉 학습자들 은 인간의 삶 속에로 들어오시려 하는 초월자의 거룩하심에 자신을 비추어 보면 서 비로소 진정한 자기 자신의 모습을 바라 볼 수 있게 되며, 영적인 삶은 하나 님의 자기 계시의 주도권에 끊임없이 자신을 개방함으로써 심화될 수 있다. 따라 서 영성교육 교사들은 학습자들이 기도를 통하여 균형 잡힌 영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야 하고 이러한 영적인 성장은 곧 신비적인 체험이 그저 개인적 관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정의와 변혁의 차원까지 확대되는 참된 영성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b. 거룩한 독서194) - 63 - 하나님의 본성과 특성에 대하여 이해하고 깨닫게 하는 교육방법 중에 하 나가 거룩한 독서195) 즉 성경을 통하여 하나님의 계시를 발견하고 만나는 것이 다. 이것은 단순히 말씀의 지식전달이나 습득이 아니라 말씀으로 하나님을 만나 고자(encounter)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렇게 말씀으로 하나님을 만나고, 대화하 고, 그분과의 관계가 살아나는 독서와 기도의 전 과정을 ‘거룩한 독서’(lectio divina)라고 부른다. 기독교교육이 갖는 가장 큰 특징은 다른 학문과 달리 성서 를 그 기본 텍스트(text)로 사용한다는데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성서 없는 기독교 교육은 기독교 교육이라고 말할 수 없다. 또한 성경을 읽고 묵상하는 것은 기독 교인의 신앙생활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영성교육에 있어서 성서읽기는 학습자가 성서를 읽는 것임과 동시에 성서 의 구체적인 사건들이 하나의 신앙 사건으로서 성서를 읽는 학습자의 삶에 신앙 적 변화가 구체적으로 일어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 이 성서를 읽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첫째, 성서를 읽을 때 상황적으로 읽는 것이다. 이러한 성서읽기를 통하 여 영성교육의 참여자들은 성서에 나오는 인물들의 삶이 자신의 삶과 얼마나 유 사한지를 생각하게 되며, 그들이 지녔던 변화의 힘이 자신 안에서도 넘칠 수 있 도록 경험하게 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성서를 역사적으로 읽어 나감으로써 성서의 이야기를 통하여 과거 의 무엇을 기억해야 되고 무엇을 희망해야 하는지를 질문하면서 읽는 것을 의미 한다. 이러한 성서읽기는 영적 성숙을 지향했던 역사적 실존 인물들에 관한 이야 기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실천가능한 행동양식으로 재구성함으로써 학습자들 194) 이 용어는 일찍이 알렉산드리아 출신의 그리스 오르겐이 처음으로 ‘테이아 아나그노시스’(Theia Anagnosis)라는 그리스어로 표현했다. 이 단어를 라틴어로 표현하 면 ‘렉시오 디비나’(lectio divina)가 된다. 195) 거룩한 독서(lectio divina)는 베네딕트 수도원으로부터 찾아볼 수 있다. 이 것은 시각과 청각을 이용한 독서식 기도법으로 단순한 읽음을 아니라 기억을 통한 내면 화 작업을 의미한다. 소리 형태로 읽어진 독서는 특별한 단어들과 구들을 반복하게 되고 그러한 반복을 통하여 특정한 내용의 성서 내용을 접하게 되고 거기서 오랜 숙독을 통하 여 그 내용과 상응하는 자아를 형해 사는 것이다. 초기 수도자들이 거룩한 독서를 하였 던 이유는 설교준비나 가르침을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였고 헌신과 경건의 훈련형태였으 며, 성서교육의 내용은 아니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영성교육의 방법으로 제안하는 거 룩한 독서는 성서교육을 위한 것임을 밝힌다. - 64 - 이 본받아야 할 모범적 유형들을 이해하고선택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성서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이며 그것이 우리로 하여금 ‘행하도록’ 인도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발견하면서 읽어가는 것이다.196) 영성교육의 참여자 들은 이러한 성서읽기를 통해 인간의 삶 속으로 들어오시려 하는 초월자의 거룩 하심에 자신을 비추어 보면서 비로소 진정한 자기 자신의 모습을 바라 볼 수 있 게 되며, 영적인 삶은 성서 속에서 하나님의 자기 계시의 주도권에 끊임없이 자 신을 개방함으로써 심화될 수 있다. 하나님은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데 있어서 주도권을 가지며, 하나님의 계 시는 성서를 통해서 전해지기 때문에 성서를 읽는다는 것은 단순한 성서의 지식 만을 얻기 위함이 아니다. 성서를 읽는 목적은 바로 하나님의 계시에 대해 신앙 으로 응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따라서 영성교육을 하는 교사는 하나님에 관한 지식(knowing about God)을 얻기 위한 교육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하나 님을 알게 하는 (knowing of God)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197) 1) 개인적인 거룩한 독서198) ① 준비단계 우선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한다. 거룩한 독서를 할 때 가장 기억해야 하는 것은 하나님의 임재이다. 시작하기 전, 성경은 하나님이 우리(나)에게 보낸 편지 임을 상기한다. 성경 말씀을 펼치기 전 “오소서 성령님”하고 성령님의 도우심을 청한다. 성경의 저자에게 영감을 준 성령, 그 성령이 내 안에 계시므로, 성령께서 우리의 스승이 되신다. ② 읽기(Lectio) 손으로는 성경책을 들고 읽을 곳을 편다. 눈으로는 성경 말씀을 보면서 입으로는 그 말씀을 작은 소리로 천천히 읽는다. 귀로는 그 말씀을 듣는다. 여기 서 읽는다는 것은 우리를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말씀 앞에 우리자신을 열어드리 는 것을 의미한다. 말씀의 지식을 얻기 위해서가 아니라 말씀이 우리를 변화시키 196) Maria Harris , Fashion Me People , 고용수 역, 『교육목회 커리큘럼』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7), 161. 197) 이정효, 『기독교노인교육』 (서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2), 77. 198) 임창복 외 3인 공저, 『기독교 영성교육』 (서울: 한국기독교교육교역연구 원, 2006), 188-190. - 65 - 도록 우리를 말씀 앞에 열어드리는 것이다. 말씀을 읽다가 한 줄의 글이나 단어 가 마음에 부딪혀와 관심을 사로잡으면, 거기에 멈춰서 그 말씀에 머문다. 그리 고 그 말씀을 주의 깊게 반복해서 읽고 또 읽는다. ③ 묵상하기(Meditatio) 마음에 와 닿는 그 구절에 밑줄을 그어 표시한다. 그리고 그 구절을 작은 소리로 천천히 반복 암송한다. 우리의 관심을 끄는 단어나 구절을 반복하는 것이 다. 이것은 소위 되새김질에 비유할 수 있다. 삼킨 음식을 꺼내어 씹고 또 씹듯 이 하나님께서 주신 말씀을 계속 되새김질 하는 것인데, 주어진 말씀을 반복함으 로써 말씀이 우리 내면 깊이 뿌리를 내려서 말씀과 내가 하나가 되게 하는 것이 다. 또 다른 방법으로 그 말씀이 왜 나의 마음을 움직였는지, 그 말씀은 내게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를 우리의 마음과 이성과 감정, 즉 우리의 전 인격을 동원 하여 묵상하기도 한다. 여기서 묵상은 말씀에 대한 지적인 연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④ 기도하기(Oratio) 오라티오는 ‘말한다’, 즉 ‘기도한다’는 의미이다. 주어진 말씀과 그 말씀의 의미를 통해서 하나님이 오늘 나의 삶을 어떻게 인도하시는 지를 발견한다. 이 단계는 말씀이 나의 존재의 가장 깊은 곳까지 들어갈 수 있도록 나를 더욱 말씀 앞에 열어놓는 단계이며, 주신 말씀에 대하여 나의 생각, 뜻, 결심, 느낌을 동원 해서 하나님께 응답하는 단계이다. 성 키프리안은 이렇게 말했다. “성경을 통해 서 하나님이 우리에게 말씀하시고 우리는 기도를 통해서 하나님께 말합니다.” ⑤ 관상(Contemplatio) 관상은 말씀을 통해서 우리를 찾아오신 하나님의 현존 앞에 머무르는 단 계이다. 성령이 나와 하나님과의 관계를 더욱 깊게 해 주시고 인도하고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나님의 품안에 깊은 사랑과 평화 속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다. 우리 는 거룩한 독서를 행하는 가운데 우리에게 영원 전부터 영원까지 임재하시는 하 나님 앞에 머무르고 있는 우리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관상의 경험은 하 나님의 은혜의 선물이다. ⑥ 마무리 단계 - 66 - 끝마칠 때에는 하나님께 대한 감사의 기도로 마무리 한다. 기도의 자리에 서 일어나기 전에 고요히 감사 기도와 주님의 기도를 바친다. 일어나기 전에 마 음에 와 닿았던 성서 구절들 중 하나를 택하여 기억이나 쪽지에 간직한다. 일어 나면서 그 구절을 가지고 일상으로 돌아간다. 선택한 성서구절을 일상에서 끊임 없이 되뇐다. 2) 그룹이 함께하는 거룩한 독서199) ① 준비단계 공동으로 하는 거룩한 독서에서도 거룩한 독서를 시작할 때는 몸과 마음 을 바르게 하며 하나님의 임재를 기억한다. 마음의 내적 고요함을 유지하며 성령 께서 이 모든 과정을 인도해 가시도록 도움을 구한다. 내적 고요함을 위해 조용 한 음악을 사용할 수 있다. ② 읽기(Lectio) 이때는 하나님의 말씀에 귀 기울여 듣는 자세가 중요하다. 인도자는 정해 진 본문을 천천히 기도하는 마음으로 소리 내어 읽는다. 인도자는 성경본문을 다 읽은 후에 1분정도 멈췄다가 다시 반복하여 소리 내어 읽는다. 같은 방법으로 한 번을 더 읽는다. 회중들은 마음을 열고 자신의 마음에 와 닿는 말씀에 주목하 여 듣는다. 각자 침묵 속에서 받은 말씀을 반복하여 마음에 되새긴다. 내가 받은 말씀 한 단어나 구절을 그룹 안에서 어떤 설명 없이 간단히 나눈다. ③ 묵상하기(Meditatio) 인도자가 성경 본문을 다시 읽는다. 5분정도 침묵하면서 받은 말씀을 계 속해서 반복하는 묵상을 한다. 소가 되새김질을 하듯이 받은 말씀이 내면화 되도 록 깊이 반복한다. 또한 오늘 받은 말씀이 내게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왜 나에게 그 말씀이 주어졌는지, 그 말씀이 왜 그리고 어떻게 나에게 중요한지를 묵상할 수 도 있다. 오늘 받은 은총이 무엇이며, 받은 말씀이 왜/어떻게 나에게 중요한지를 한 두 문 장으로 서로 나눈다. ④ 기도하기(Oratio) 199) 임창복 외 3인 공저, 『기독교 영성교육』, 190-191. - 67 - 인도자가 성경 본문을 다시 읽는다. 받은 말씀에 어떻게 응답할 것인지 5 분 동안 묵상 하면서 침묵기도를 드린다. ⑤ 관상(Contemplatio) 말씀을 주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리며 5분 정도 하나님 임재를 느끼며 하 나님의 품안에 머문다. ⑥ 마무리 단계 주기도문이나 각자의 오른편 쪽 사람의 응답을 돕는 기도를 드림으로 마 친다. 인도자가 공동체를 대표해서 자유롭게 감사기도를 드려도 된다. 선택된 하 나의 성서 구절을 기억이나 쪽지에 간직한다. 선택된 구절을 가지고 각자 일상으 로 되돌아간다. 매일의 삶에서 선택된 성서구절을 끊임없이 되뇐다. 이상에서 거룩한 독서가 일정한 순서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반드시 순 서대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이 네 가지는 단계이기보다는 순간(Moment)으로 이해하는 것이 적합하다. 우리가 하나님과 하나 되기 위해 나아가고자 하는 열망 으로 거룩한 독서를 실천할 때, 읽기에서 묵상을 거치지 않고 바로 기도하기나 관상의 경험으로 나아갈 수 있다. 또는 묵상의 경험에서 바로 기도하기를 거치지 않고 관상의 경험으로 나아 갈 수도 있다. 이 순간에서 저 순간으로 가는데 있어서 일정한 순서를 갖는 것이 아니 다. 이러한 거룩한 독서의 과정을 다음과 같이 그림200)으로 설명할 수 있다. 관상 묵상하기 읽기 기도하기 <그림1. 거룩한 독서의 과정> 200) 임창복 외 3인 공저, 『기독교 영성교육』, 193. - 68 - 이 그림에 의하면, 거룩한 독서의 어느 순간은 다른 세 순간들과 원이나 점선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어느 한 순간에서 세 개의 다 른 순간으로 바로 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국 가장 깊은 기도인 관상 기도로 가는 차원에서 거룩한 독서를 실천하고자 할 때, 처음에는 ‘읽기’로 시작하지만 인도되어지는 과정은 기도의 기계적인 발전 형태로 나타나지 않는다. 우리의 기 도는 전적으로 성령님의 역사하심에 달려 있다. 거룩한 독서는 전적으로 성령의 인도에만 의존하고 따라야 하는 것이다. c. 성찰과 실천 컬리는 영성이 일생을 통해 발달하는 영역임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으며 교육을 통해 그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면서 그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 “인간의 본성과 교육과 양육에 의한 의도적인 개발의 상호작용이 영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201)고 하면서, 기독교 영성의 개발이 교육과 양육을 통해서 이루 어 질 때 진정한 영적 성장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처럼 컬리는 “영성은 육성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때 육성은 먹이는 것, 베푸는 것, 그리고 욕구를 채워주기 위한 관심을 의미하는데, 식물이 먹을 것 을 공급받음으로 성장하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음으로써 그 생의 몫을 다하 듯이, 육성되는 사람도 음식과 보호해 줄 환경과 사랑을 나눌 공동체를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영적성장 이론에 비추어 컬리가 이해하고 있는 각 연령별 영성발달단계별 신앙적 이론 중 각 청소년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5단계는 ‘청소년기’로서, 이 시기는 ‘정체감 대 정체감 혼란’의 단계이 다. 에릭슨에 의하면 이때의 가장 중요한 과업은 새로운 자아 정체감을 확립하는 것이다.202) 파울러에 의하면 이때의 ‘종합적-인습적 신앙의 단계’이다. 이때의 신앙의 일관성이 있어야 하는데 이는 일방적으로 젊은이들의 전 환경 속에 있는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진다.203) 또한 종교적 신앙이 가정환경의 연장과 함께 다른 환경들이 중요시된다. 즉 그들은 여전히 종교적일 수도 있고 영적인 것에 대한 깊은 이해를 유지할 수 201) Iris V. Cully, 『영적성장을 위한 교육』, 75. 202) William C. Crain, 『발달의 이론』, 258. 203) James W. Fowler, 『변화하는 시대를 위한 기독교교육』, 243-79. - 69 - 도 있으며, 기도나 자연계 또는 친구 관계를 통해 신앙을 체험할 수 있다. 이때 성경에서 말하는 참된 자유는 자기의지 속에서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추구하는 가운데 발견되는 것이라는 역설적인 주장을 깨닫게 된다. 이들은 자신의 전 생애를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 집어넣어 이해할 수 있는데 이런 식의 자유 의지적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을 때 이는 영성이 성숙되어 가는 시작을 의 미한다.204) 그렇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조명의 단계를 걸쳐서 하나님과 일치가 되는 삶을 살아간다는 것은 예수께서 본을 보이신 것처럼, 세상 속에서 구체적 섬김으 로 실천하며 살아가는 삶을 말한다. 학습자들이 이와 같은 삶을 살아갈 수 있도 록 영성교육 교사는 청소년으로 하여금 신앙의 정체성이 자신의 삶의 정황과 무 관한 것이 아님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신앙의 앎의 사건들을 삶의 사건들로 비판 적으로 구상하고 성찰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성찰을 통하여 사회의 약자와 소외된 자들의 소리에 관심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관심은 자신의 실존과 더불어 실존의 이유를 확인시키는 중요한 동기를 제시함으로서 학습자들의 영성의 지평을 넓혀 갈 수 있다. 따라서 영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청소년들은 반드시 자기 자신에 대한 깊 은 성찰과 함께 구체적인 기도행위와 이웃을 향한 사랑이 실천이 이루어져야 한 다. 만약 신앙인이 비판적 성찰 없이 단순한 묵상이나 기도모임에 참여하거나 선 행을 실천한다면, 그것은 진정한 영성으로서의 의미를 상실한 채 하나의 심리요 법으로 축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천이란 반드시 비판적 성찰을 동반한 덕의 실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비판적 성찰이란 영성을 추구하는 자들 이 고요하게 자신을 돌보는 행위이며, 더 나아가 세상을 하나님의 나라로 변혁시 키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판적 성찰을 통해 청소년들은 영적으로 성숙할 수 있을 것이 다. 영적 성숙이란 하나님과 일치된 증거로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 또한 잘 맺어 진 것을 말하며, 영성교육이란 거듭난 자아가 그리스도를 닮는 것을 목표로 하여 하나님과의 관계 및 이웃과의 관계를 성서적으로 맺어 가는 삶을 위한 노력의 과정이다. 204) Iris V. Cully, 『영적성장을 위한 교육』, 217-20. - 70 - 이것은 곧 그리스도인의 가치관을 가지고 남을 위하여 사는 삶, 즉 십자 가의 길을 따라가는 삶이다.205) 그러므로 영성교육 교사들은 청소년들이 궁극적 으로 일상적인 삶을 통해 하나님과 교제하며 개인적인 삶과 공동체적인 삶이 분 리되지 않는 통전적인 삶을 통하여 이웃사랑의 구현을 실천하며 살아갈 수 있도 록 도와야 할 것이다. 4.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 교육의 장 청소년 영성 교육을 위하여 교육의 실천적인 방법들을 개발할 때 좀 더 관계가 회복되어지고 살아 날 수 있는 교육의 장도 함께 생각하고 만들어 가야 한다. 랜돌프 밀러는 교육현장을 가정, 학교, 사회공동체, 그리고 교회로 보다 광 범위하게 나누었다. a. 가정 랜돌프 밀러는 교육현장을 보다 광범위하게 나누었다. 그 중에서도 가정 은 기본적인 창조질서로써, 기독교 교육이 일어나는 가장 중요한 현장 중의 하나 이다. 가정은 심리적인 관계로써 이루어지는 창조적 차원이 있는가 하면, 동시에 구속적 핵으로써 성례전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전자는 에로스적인 것으로서 성적결합이 이루어지나 영원하지 못하므로 영원한 관계를 필요로 한다. 이는 곧 자기희생적인 사랑이 근거되어 있는 헤노시스(henosis), 즉 두 몸이 합하여 하나 가 된다는 거룩한 관계를 말한다. 그러므로 가정은 곧 관계이고, 그것은 생리적 인 관계와 구속적인 관계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종합예술이다. 가정은 자녀들의 인격형성에 결정적인 의미를 가지며 신의 은총과 사랑으로 얽힌 가정의 분위기 는 행동발달에 결정적이고도 귀중한 요소가 된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기독교 가 정은 “구속적인 세포”이며, 모든 참 공동체와 관계의 축소판이다.206) 가정은 하나님에 의해서 인간에게 주어진 최초의 삶의 장으로서 본질적 교육기능을 가진 인간교육의 원초적인 공간이며, 남자와 여자가 함께 짝을 이루 205) 이정효, 『기독교 노인 교육』 (서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2), 89. 206) Randolph C. Miller, Eudcation for Christian Liv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1963), 94-97. - 71 - 어 공동생활을 영위하면서 신앙과 정신을 계승하고 보존하고 발전해 나가는 태 두리라고 할 수 있다.207) 그러므로 청소년 영성 교육에 있어서 가정은 가장 기 본 단위지만 그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다. b. 학교 오늘날 학교환경은 교사와 학생의 인격적인 만남의 장이 되기보다는 대학 입시의 수련장이 되고 있다. 학교는 학생들의 인격형성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어 느 대학에 몇 명 진학했느냐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입식 지식 위주 교육, 시험 성적에 의한 단선적 인간평가로 진학위주의 교육에 순응하지 못하는 학생 들을 문제아 취급을 한다. 인간적 고려가 어려운 대형학급, 창의성과 탐구적인 교육 풍토보다는 획일화, 입시위주의 교육과 연계됨으로써 통과 의례로써 제도화 된 학교 내에 수용된 청소년들에게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학교의 프로그램은 대부분 교과서 중심이고, 학교의 대부분의 조직 구조 와 시설이 또한 지식 위주, 교과서 중심의 학습을 위한 것뿐이다. 또한 과밀한 학급분위기, 교사와 학생 간에 학생상호간의 인간관계는 형식적이며, 기계적이다. 여기에 학교에서의 정서교육이나 생활교육은 엄두를 내지 못한다. 입시체제 문제, 과밀한 교육환경의 문제는 학교 내에서 교사와 학생, 학 생간의 신뢰관계의 결여를 가져오고 있다. 즉 교사, 학생 간에 마음의 교류나 인 격의 교류가 없는 실정이다. 가장 활발하게 영성 교육이 이루어 져야 할 학교가 죽어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바라보기만 하는 것은 더 안타까운 일이다. 학생 과 학생, 학생과 교사, 학생과 학교, 학생과 교실 등 관계적인 요소들을 찾아가며 그 관계 속에서 죽어있는 영성 교육을 회복시켜야 한다. c. 교회 예수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에서 청소년교육은 그 시기에 맞는 교육의 장 으로서 굉장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래서 청소년을 바로 이해하고 교회의 청소년들의 고민을 바로 알고 재해석해야 한다. 교회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학업 과 진로, 진학문제는 제일 큰 고민거리가 되었다. 2008년도 실시한 한국 교회 207) 오인탁, 『기독교 교육』 (서울: 종로서적, 1991), 57. - 72 - 학교 학생들의 교육의식 조사에서 교회학교 학생들이 가장 고민하는 것이 무엇 인지를 묻는 질문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학업(성적)’으로서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49.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8) 이처럼 학업과 진 로에 대한 교회 청소년들의 고민은 그들의 신앙생활에서 문제점들이 드러난다. 즉, 학업 때문에 주일을 거르는 일이 많고, 학생뿐만 아니라 신앙생활을 하는 부 모들조차도 교회에서 시간낭비보다, 학원으로 독서실로 가기를 원한다. 이러한 진학위주의 학교교육은 교회 청소년들이 배워야 할 기독교가치관 을 학교의 부정적인 상황들로 인해 배우지 못하게 된다. 즉 ‘내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라’(마19:19) 계명보다 입시위주의 교육정책으로 내 몸과 같이 사랑 해야 할 존재가 아닌 경쟁상대로 여기고 있다. 이것은 청소년 시기에 배워야 할 ‘섬김과 나눔’의 남을 위한 삶을 살게 하는 것이 아닌, 자신만을 위해 살게 하는 이기적인 인간상을 가지게 한다. 많은 사람들이 공교육이 실패하였다고 한다. 그렇다면 교회교육은 성공하 였는가? 이러한 질문에서부터 교회는 청소년 교육의 가능성의 장을 열어보아야 한다. 예배, 교육, 선교, 친교, 봉사 등 모든 영역에서 관계를 살리는 영성교육이 필요하다. Ⅴ.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 교육의 실제 : 청소년 말씀묵 상 “만나식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영성교육의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청소년 영성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론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청소년 영성 교육의 교재인 만나식스를 개발하였다. 이제 만나식스의 이론적 배경, 목적, 내용과 활용방법, 그리고 만나 식스의 활용의 장인 가정, 학교, 교회에서의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개발하여 208) 박상진, “한국교회교육 위기 극복을 위한 새로운 접근”, 입시․사교육 바로세 우기 운동본부 편, 『교회학교 부흥에 대한 새로운 접근』, 미간행 세미나 자료 (2008), 3-5. - 73 - 청소년의 삶의 여러 과정에 영향을 준 훈련과 양육을 통한 교육과정을 살펴보자. A. 만나식스의 이론적 배경 1. 종합적 단계를 통한 청소년영성교육 로더에 의하면 인간의 변형을 일어나게 하는 “확신의 체험”의 중심에는 “확신적인 인식”이라는 논리체계가 존재한다. 그는 이러한 확신적 인식을 체험하 는 것을 “인식사건”이라고 부른다. 그러면서 그는 새로운 인식의 형성을 통해 영 성이 새롭게 변형되기에 인식형성을 위한 영성교육의 중요성을 암시해 주고 있 다. 이처럼 새로운 인식사건인 확신적 인식을 체험하기를 요구하는 로더는 인식 사건이 내재적인 전형 또는 논리를 갖는데, 이 모든 인식사건은 다섯 가지 단계 를 통하여 이루어진다고 말하고 있으며, 그 중요한 다섯 가지 단계를 갈등단계 (conflict), 탐사를 위한 중간단계(interlude for scanning), 상상력을 창조적으로 발휘하는 단계(constructive act of the imagination), 에너지의 이완과 인식자의 개방단계(release of the energy and opening of the knower), 그리고 해석단 계(interpretation)로 제시하면서 결국 이러한 다섯 단계의 과정들을 하나의 전체 적인 것으로 보았다. 여기에는 단계를 뛰어넘는 도약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이성을 초월한 확신이다. 이러한 확신적 인식에는 반드시 변형의 논리가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논리에는 인간실존의 4차원을 걸쳐 일어나는 변형사건으로서의 확신적 인식과정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들의 연속을 통해 성숙이 된다 해도, 변형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서는 영성개발이 교육과 양육이 제공될 때, 진정한 영 적 성장이 가능하다. 로더의 이 종합적 단계를 하나님과의 실존적 관계형성을 통 한 청소년 영성교육을 개발하기 위해 만나식스의 7단계로 재구성하였다. 2. 균형잡힌 청소년영성교육 만나식스는 컬리의 균형 잡힌 영성교육에서 다음과 같은 점을 반영하였 - 74 - 다. 첫째, 만나식스는 영성의 객관성과 주관성을 포괄하고자 한다. 영성의 객 관성이란 인지적이며 합리적인 앎의 방법과 관련된 것으로서 하나님에 관한 합 리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며, 주관성이란 역시 유효한 앎의 방법 가운데 하나 로서 인격적인 차원에서 시작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하나님과의 관계성, 이웃과 세계의 관계성 가운데서 얻을 수 있음을 말한다. 둘째, 만나식스는 개인주의적인 영성의 위험성을 극복하여 공동체적인 영 성 함양을 함께 추구하고자 한다. 컬리는 과거의 영성에 대한 연구들과 그 훈련 들이 주관적인 영성의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왜곡되면서 개인주의적인 영성 함양 에 치우치는 쪽으로 퇴행되었음을 지적하였다. 교육의 과정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람들을 도와 영적 성취에 대한 개인적 욕구와 공동체 내에서의 영적 생활에 대한 표현에 균형을 맞추도록 가르치는 것이다.”209)라고 밝히고 있 다. 셋째, 만나식스는 영적 생활에 관해 배우는 것과 그것을 ‘실천’하는 것을 조심스럽게 조화시키고자 한다. 이처럼 컬리가 강조한 객관성과 주관성의 균형, 개인주의적 영성과 공동 체적 영성의 균형, 앎과 실천의 균형이 잘 이루어질 때 영성 교육이 잘 이루어 질 것이다. 이러한 균형에 대한 통찰은 만나식스의 장(가정, 학교, 교회)으로 나 아 갈 수 있는 길을 제공하였다. 즉 관계가 살아나는 청소년 영성 교육으로서의 만나식스 개발과 장을 열어 주었다. B. 만나식스의 목적 한국교회의 청소년들은 주말 크리스챤이 많다. 주일에 보는 성경 말씀이 전부인 학생이 대부분이다. 이런 현실 속에서 청소년들의 영적 성장을 위해 청소 년들이 매일 매일 짧은 시간이라도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사귐을 가질 수 있 도록 말씀묵상의 본문을 한 단락이 아닌 한 절로 줄여 쉽게 실천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209) Iris V. Cully , 『영적성장을 위한 교육』, 167. - 75 - 깊이 있게 하나님을 만나기 위해서는 보다 더 긴 본문을 묵상하는 가운데 주님이 주시는 음성을 듣는 것이 더 좋겠지만, 보다 많은 학생들이 짧은 시간동 안 구체적으로 10분 정도의 시간 안에 하나님의 말씀을 통하여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사귐의 시간을 가지도록 만들었다. 즉 만나식스라는 영성훈련교재를 통해 수직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통해 실존적 자아를 계속 발견하고 성장해 가면 서 신앙이 자라가고, 이 수직적 영성은 이웃사랑 혹은 결단과 투신으로서의 수평 적 영성으로의 확장이 이루어질 것이다. 바로 만나식스의 목적은 나와 하나님, 나와 이웃과의 관계 속에서 양육되어지는 교육과정이다. C. 만나식스의 방법과 내용 1. 만나식스의 7단계 일반적으로 큐티는 Quiet Time이라고 하면서 이 말을 의역해서 경건의 시간이라고 번역한다. 하나님을 조용히 만나 주님과 교제하는 경건한 시간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이 교제라는 말보다 ‘사귐’이라는 말이 우리에게 더 친숙하고 더 풍성한 의미를 이해하게 한다. Manna6는 QT를 하나님과 사귀는 시간으로 이해 하려고 한다. Manna6 사 귐 의 7단 계 ❶ 조용히 앉아 찬양을 하며 하나님을 향해 마음을 연다. (‘내 영혼이 내 영혼이 주님을 찬양하며 기뻐합니다 내 영혼이 내 영혼이 주님을 찬양합니다~’) ❷ 간절한 마음으로 주님의 임재가 느껴질 때까지 호흡에 맞춰 기도 한다. (들숨에...‘주 예수님! 날숨에...나와 함께하소서’) ❸ 말씀을 천천히 3번(이상) 읽으며 뜻을 헤아려본다. ❹ 반복하여 읽으며 부딪히는 말씀을 통해 하나님과 사귐을 가진다. ❺ 사귐을 통해 주시는 메시지를 적고 실천을 위해 기도한다. - 76 - <표1. 만나식스 사귐의 7단계> a. 조용히 앉아 찬양을 하며 하나님을 향해 마음을 연다. 찬양: ‘내 영혼이 내 영혼이 주님을 찬양하며 기뻐합니다 내 영혼이 내 영혼이 주님을 찬양합니다’ 이 단계는 내 영혼의 날씨를 느끼면서 하나님을 향해 찬양으로 닫혀 있던 영혼을 활짝 열며 하나님을 찬양하는 순서이다. 만나식스에서는 학생들에게 ‘내 영혼이’를 추천한다. 일단 가사가 간단하면서도 반복해서 부르는 가운데 찬양 속 으로 깊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보통 목소리로 부르다가 점점 작 게 부르며 마지막에는 거의 소리 없이 영혼으로 불러 본다. 물론 이 밖에도 여러 가지 찬양을 부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요즘 많이 부 르는 “주님 말씀하시면 내가 나아가리다”와 같은 찬양이나, “내 눈 주의 영광을 보네”같은 찬양은 하나님을 향해 영혼을 열고 주님을 맞이하며 주님께 나아가는 데 매우 좋은 찬양이다. b. 간절한 마음으로 주님의 임재가 느껴질 때까지 호흡에 맞춰 기도한다. 예수기도: 들숨에 ‘주 예수님!’ 날숨에 ‘저를 불쌍히 여기소서’ 이 단계는 찬양 가운데 마음을 연 상태에서 주님을 향하여 간절히 기도하 는 단계이다. 만나식스에서는 모든 청소년들이 어렵지 않게 큐티할 수 있도록, 기도를 잘 못하는 청소년들도 쉽게 기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천년 이상의 전 통을 가진 동방정교회의 ‘예수기도’를 소개한다. ‘예수기도’는 원래 ‘주 예수 그리 스도 하나님의 아들이여, 이 죄인을 불쌍히 여기소서’라는 기도를 호흡에 맞추어 드리는 것이다. 5세기부터 정교회 수도자들은 예수님 이름을 삽입한 기도문을 우선적으 로 선택하였다. 그들은 예수님 이름을 부름으로써 마귀를 몰아내고 망상망념을 물리치는 힘을 얻었고, 오래도록 하나님 추상을 마음속으로 간직할 수 있었 다.210) ❻ 하루 종일 하나님이 주신 말씀과 함께 살아간다. ❼ 잠자기 전 '10분기도' 시간에 다시 한 번 확인 후 기도한다. - 77 - 나중에 이 기도가 익숙해지면 어떤 면에서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거나 조금 그 의미를 완화하며 생각해왔던 ‘쉬지 말고 기도하라’시던 성경 말씀이 바로 이 런 기도를 두고 하는 말씀이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도 된다. 숨 쉴 때 마다 기도 하던 기도가 어느 순간 심장 박동과 함께 기도하는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나도 모르는 순간에 내가 기도하고 있는 모습을 발견하고는 깜짝 놀라기도 한다. 이 기도를 통하여 하나님 앞에서 내가 죄인임을 겸손히 고백하고, 성경을 통하여 하 나님께 나아가는 순간에 나에게는 성경을 온전히 이해할 만한 지혜도, 그 말씀을 받아들일만한 가슴도, 주신 말씀을 실천할 만한 실천력도 없음을 인정하며 오직 주님의 은혜만이 나를 구원하실 수 있음을 고백하는 것이다. 저 멀리 지나가시는 예수님을 느끼며 예수님을 목 놓아 불렀던 각종 병자들의 심정으로 주님을 향해 깊이 외치는 기도이다. 디도데 웨어는 동방정교회의 역사와 신학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동방정교회 저술가들이 '마음의 기도'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 그들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특별한 기도인 예수의 기도를 마음에 간직하고 있었다. 그리스의 영성주의적 저술 가들 가운데 ,먼저 포티스와 디아도쿠스(5세기 중반)와 후에 시나이 산의 성 요한 클리마쿠 스( 579-649) 는 특별히 가치 있는 기도의 형식으로 '예수'라는 이름을 끊임없이 반복하거 나 회상할 것을 추천하였다. 시간의 과정 속에 그 이름에 대한 초대는 예수의 기도로 알려 진 짧은 문장으로 구체화 된다 "하나님의 아들 주 예수 그리스도여, 나에게 자비를 베푸소 서" 13세기경(만약 그 이전이 아니라면) 예수의 기도를 암송하는 것은 특정한 육체적 운동 과 관계되었고, 집중을 돕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호흡은 조심스럽게 그 기도에 맞춰져 규칙 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특별한 몸의 자세-즉 머리는 숙이고, 턱은 가슴에 기대고, 눈은 심장에 고정시킴-이 추천되었다. 이것은 종종 ‘헤시케스트 기도법’으로 불려지나, 헤시케스 트들에게 이 운동은 기도의 본질을 구성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서는 안된다. 그들은 그 자체 를 하나의 목적이 아니라 집중을 돕는 것, 일부에게만 부수적으로 유용하나 모든 사람들에 게는 필수적이 아닌 것으로 생각하였다. 헤시케스트들은 하나님의 은혜를 얻는 데에 기계 적 수단은 없으며, 자동적으로 신비적 상태에로 인도하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 을 알았다.”211) 또한 "순례자의 기도"라는 책에서 러시아의 무명의 평신도 순례자는 예수 210) Bernard McGinn, J. Meyendorff ed., 『기독교영성』(1) (서울:은성, 1997), 656. 211) Timothy Ware, The Orthodox Church, 이형기 역, 『동방정교회의 역사 와 신학』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9), 84. - 78 - 기도를 통해 놀라운 경험을 하였고 예수 기도는 동방 정교회 특히 러시아 정교 회의 특별한 영성으로 지금까지 계속되어 오고 있다. c. 말씀을 천천히 3번 읽으며 뜻을 헤아려본다. 초대 교회에서는 문서로 된 성경이 부족하여서 말씀을 읽기보다는 들었 다. 묵상의 시간에 성경을 읽을 때에도 눈으로 보기보다는 귀로 듣는 심정으로 말씀을 읽어야 한다. 그러므로 성경을 천천히 읽을 수밖에 없다. d. 반복하여 읽으며 부딪히는 말씀을 통해 하나님과 사귐을 가진다. 겸손히 주님의 임재 가운데 성경을 반복해서 읽으면 어느 순간 어떤 구절 이 돌출되어 나옴을 경험한다. 다른 말로는 어떤 구절이 또는 어떤 내면의 음성 이 눈에 띄거나 감동되거나, 깨달음을 주거나 하는 등 말씀과 부딪히는 일이 일 어난다. 이 말씀은 하나님과 내가 사귐을 가지는 단서가 된다. 그 말씀이 곧 나 에게 주시는 명령일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 말씀을 통해 하나님 과 대화를 시도해야 한다. 하나님은 그렇게 하시기를 원한다. 하나님께 그 말씀 을 가지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물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님 왜 이런 말씀을 제게 주셨는지요?” “이 말씀이 자꾸 걸리는데 어떤 뜻입니까?” “저는 이 말씀에 동의할 수 없습니다. 이해할 수 없습니다. 도대체 주님이 그렇게 행동하신 이유 가 무엇입니까?” “주님 저보고 어쩌란 말씀이십니까?” “주님, 이 말씀을 통하여 제게 가르쳐주소서. 저도 모르는 저의 모습을 깨닫게 하시고, 이 민족과 교회가 이 말씀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주소서” 등등의 방법으로 말씀을 가지고 주님과 사귄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점은 단지 어떤 말씀에 대하여 새로운 통찰을 얻는 것이나 지식을 얻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주님의 음성이 나의 영혼에 부딪 히고 나의 솔직한 고백을 통하여 하나님과 사귐이 일어났는가 하는 점이다. 하나님과의 사귐에서 또 한 가지 중요한 것은 반드시 사귐이 언어를 통하 여 일어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우리는 정말로 사랑하는 사람과 같이 있으면 아무 말 없어도 같이 있다는 그 자체가 위로와 행복을 주는 것을 경험한다. 화가 난 부모 앞의 자녀는 부모가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그 분위기를 몸속 - 79 - 깊이 느끼고 자각과 함께 회개를 하기도 한다. 하나님이 주시는 말씀 앞에서 어떤 느낌들이 든다. 그 느낌이 도대체 어 떤 종류의 느낌인지를 파악하고 좋은 느낌이라면 그 느낌을 내면화 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나쁜 느낌이라면 그 느낌을 통해 자신의 실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 다. 이슬비가 몸을 서서히 적시듯이 하나님이 주시는 감정과 느낌에 깊이 잠잠해 있으면, 어느덧 내가 하나님의 마음을 닮아가게 되기도 하고, 하나님의 마음과 다른 내 안의 어떤 욕망의 실제를 경험하게 되기도 한다. 성경을 읽으며 부딪치는 말씀과 그 말씀에서 경험되는 느낌을 가지고 하 나님과 사귐을 갖는다. 때로는 말로, 때로는 또 다른 느낌으로 하나님과의 사귐 을 한다. e. 사귐을 통해 주시는 메시지를 적고 실천을 위해 기도한다. 부딪히는 말씀을 통해 주시는 하나님의 음성이나 느낌을 통해 알 수 있는 하나님의 마음을 경험하셨다면 그 음성과 마음의 메시지를 적고 그것을 실천할 수 있도록 기도한다. 루터는 말씀 묵상의 순서를 oratio(기도), meditatio(묵상), tentatio(연단) 의 순서로 정리했다. 중세 가톨릭의 묵상의 방법인 거룩한 독서(Lectio Meditatio Oratio Contemplatio)의 마지막은 contemplatio라는 것인데 루터는 이 순서를 바꾸었을 뿐만 아니라 마지막의 contemplatio(주시하고 응시하여 내 면화하는 것)대신 tentatio를 넣었다. 이는 하나님의 말씀의 묵상이 앉은 자리에 서 관상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삶의 자리에서 연단 가운데 깨닫고 체득되어 성화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 연단 의 자리에서 승리하기 위하여 기준이 세워져야 하는 데 바로 그것이 묵상을 통 해 주시는 하나님의 메시지이다. 그리고 그 메시지를 실천하기 위하여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한데 그 은혜를 채워주셔서 순종 가운데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체험 케 해달라는 기도를 하는 순서이다. f. 하루 종일 하나님이 주신 말씀과 함께 살아간다. 다섯 번째 단계에서 설명한 루터의 oratio(기도), meditatio(묵상), - 80 - tentatio(연단)에서 마지막 해당하는 순서이다. 연단의 삶 가운데 하나님과 사귐 을 경험하고 구체적으로 더 깊이 체험하고 느껴보는 시간이다. 그 말씀을 종일 입에 물고 꼭꼭 되씹거나, 더 깊이 그 의미를 그 느낌을 묵상하며 하루를 보내는 가운데 말씀이 체득되는 순간이다. g. 잠자기 전 '10분기도' 시간에 다시 한 번 확인 후 기도한다. 큐티 곧 하나님과 사귐의 완성은 삶 속에서의 부딪힘 곧 tentaio(연단)에 있다. 말씀 묵상이 꼭 하루 안에 완성되는 것은 아니지만 주간의 묵상을 확인해 봄으로 그 말씀을 가지고 연단 가운데 경험하였는지를 반추해보고, 때로는 기도 의 응답을 체험하며, 살아계신 하나님을 기억하게 하는 기도노트 확인의 시간이 되 기도 한다. 2. 만나식스의 활용방법 하나님은 출애굽 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매주 6일(월-토) 만나(출 16:31)212)를 주셨다. 이 만나는 많지도 적지도 않게 적당하게 취해서 이스라엘 백성들의 주식으로 공급 된 하나님의 은혜의 선물이다. 이처럼 우리도 일상의 삶에서 하나님과의 사귐을 위해 만나를 매주 6장씩 공급받는다. 매일 한 두절의 말씀을 외우고 하루를 생활하는 하나님의 청소년으로 살아가도록 영적 공급의 장치가 청소년 큐티인 만나식스이다. 위에서 만나식스의 7단계를 통해 말씀 묵상하는 내용과 순서를 보았다. 다음 아래의 표를 보며 만나식스의 활용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a. 매주 일정한 주제에 해당하는 성경구절을 매일 묵상할 수 있다. b. 영어 성경을 추가하여 영문 성구를 접할 수 있고 영어 학습도 가능하 다. c. 어려운 단어는 뜻을 적어주어 기본적인 단어 학습도 가능하다. 212) 이스라엘 족속이 그 이름을 만나라 하였으며 깟씨 같이 희고 맛은 꿀 섞은 과자 같았더라. - 81 - d. 날마다 다른 성경구절 카드를 제공한다.(25주까지 가능) e. 카드 뒷면에는 만나를 묵상하며 기록할 수 있는 여백이 있어 하루를 돌아보며 하루의 삶을 돌아 볼 수 있다. 10분이면하나님을만날수있다.!! 학업에바쁜청소년들이매일10분씩생활속에서하나님을만날수있도록, 선택된성경구절을순서에따라 묵상하는카드를제작하여나누어주고있습니다. 만나6 (청소년 매일 QT) 카드뒷면에는만나를묵상하며기록할 E 수있는여백이있다. D 날마다다른성경구절카드를제공한다. 어려운단어는뜻을적어주어기본적인 C 단어학습도가능하다. 영문성경(NIV)을추가하여영문성구를 B 접할수있고영어학습도가능하다. 매주일정한주제에해당하는성경 A 구절을묵상할수있다. 카드뒷면에는만나를묵상하며기록할 E 수있는여백이있다. D 날마다다른성경구절카드를제공한다. 어려운단어는뜻을적어주어기본적인 C 단어학습도가능하다. 영문성경(NIV)을추가하여영문성구를 B 접할수있고영어학습도가능하다. 매주일정한주제에해당하는성경 A 구절을묵상할수있다. D C B A E - 82 - <그림2. 만나식스 샘플> 3. 만나식스의 내용 성경은 거룩한 가르침과 실천의 저장소이며 주님의 말씀이 우리에게 다가 오는 매개이기 때문에 제프레이 웨인라이트(Geoffrey Wainwright)는 성경의 이 러한 영적 기능을 하나님 말씀의 성례전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청소 년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어렵게 받아들인다. 왜냐하면 청소년이기 때문이다. 이 말의 의미는 말씀을 외우면 좋다고 하여 그냥 외우던 아동기와 많은 삶의 우여 곡절 끝에 말씀이 다가오는 성인기도 아니기 때문이다. 즉, 말씀이 어렵게 다가 오는 시기이다. 그래서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고, 이 시기에 필요한 요절들을 선 별하여야 청소년들이 더 하나님의 말씀을 가까이 하는 관계적 교육상황이 된다. 이러한 이해의 바탕아래 내용의 선정에서 주제와 요절에 대한 연구는 계속 되어 야 한다. 이러한 연구 중 일부분을 소개하며 이와 같은 내용으로 계속 확장해 가 야 한다. a. 청소년 영성에 맞춘 주제 절기의 교육적 주제 - 사순절(예수님 알라뷰), 대림절(빛이있으라) 가족의 달 주제 - 쉴만한 물가 시험기간에 맞춘 주제 - 위로부터의 지혜 - 83 - 청소년 제자훈련과 새신자 교육에 맞춘 주제 - 신앙생활 b. 청소년 영성에 맞춘 요절선정 주제에 따라 청소년의 눈높이와 영성에 맞는 쉬운 구절을 청소년 사역자 와 청소년 교사와 학생의 참여로 요절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요절은 수백명의 청 소년들을 대상으로 요절의 선호도를 또 다시 선별하였다. 알라뷰,예수님 1 믿음 2 회개 3 용서 4 절제 5 사랑 쉴만한 물가 6 평안 7 보호와인도 8 가족 9 치유 10 감사 신앙생활 11 예배 12 구제 13 QT 14 기도 15 주와동행 위로부터의 지혜 16 잠언Ⅰ 17 잠언Ⅱ 18 잠언Ⅲ 19 잠언Ⅳ 20 잠언Ⅴ 빛이있으라! 21 소망의 빛 22 사랑의 빛 23 구원의 빛 24 생명의 빛 25 빛이있으라 알라뷰, 예수님 1 2 3 4 5 믿음 회개 용서 절제 사랑 월 계3:20 눅15:7 요일1:9 시34:12-13 요일4:10 화 합2:4 벧후2:9 요8:11 잠15:18 요3:16 수 롬5:1 시51:10 딛2:14 잠6:10-11 요일3:16 목 엡2:8 고후7:10 마6:15 벧전2:11 롬8:39 금 약1:2-3 벧전3:10 엡4:32 딤전6:17 고전13:4 토 딤후1:2-3 딤후2:15 벧전3:9 갈2:22-23 엡3:18-19 쉴만한 물가 6 7 8 9 10 평안 보호와인도 가족 치유 감사 월 빌4:6-7 시27:1 신4:40 약5:13 대상16:34 화 벧전5:7 시121:5-6 골3:20-21 시34:18 시50:23 수 요14:27 사41:10 시133:1 사51:12 엡5:4 목 마11:28 잠16:9 요일4:20 약5:16 시139:14 금 사26:3-4 잠3:5-6 잠17:1 고후1:4 살전5:16-18 토 요16:33 사40:31 잠1:8-9 사61:2-3 시92:1-3 신앙생활 11 12 13 14 15 예배 구제 QT 기도 주와동행 월 시150:6 막12:31 수1:8 마7:7 요15:5 화 요16:23 마6:3-4 시19:14 약5:15 벧후1:5-7 수 말3:10 잠11:25 히4:12 요15:7 엡4:15 목 딤후3:16-17 약2:15-16 시143:8 엡6:18 고전3:16 금 사56:7 롬12:8 약1:22 렘33:3 갈2:20 토 요4:23 고전13:3 시119:33-34 마18:19 고후5:17 - 84 - 위로부터 의 지혜 16 17 18 19 20 잠언Ⅰ 잠언Ⅱ 잠언Ⅲ 잠언Ⅳ 잠언Ⅴ 월 잠1:7 잠8:13 잠17:9 잠24:1 잠3:33-34 화 잠2:7 잠10:8-9 잠18:2 잠25:28 잠10:19 수 잠3:27 잠12:25 잠19:24 잠28:20 잠11:3 목 잠8:17 잠13:5-6 잠20:23 잠29:23 잠13:4 금 잠10:12-13 잠14:29-30 잠21:2 잠30:8 잠15:23 토 잠12:15-16 잠16:18 잠23:23 잠30:32 잠21:4 빛이 있으라! 21 22 23 24 25 소망의 빛 사랑의 빛 구원의 빛 생명의 빛 빛이있으라 월 마 1:22-23 눅 2:52 눅 2:10-11 마 5:3 시119:113-5 화 눅4:18 요15:9-10 요 3:17-18 마 5:5 엡5:8-10 수 딤전4:10 마22:37-39 요 8:12 마 5:6 시97:10-11 목 말4:2 마5:44, 46 갈 1:4-5 마 5:7 엡4:22-24 금 롬15:13 요15:16-17 롬 8:1-2 마 5:8 마5:15-16 토 고후13:11 롬8:38-39 벧전 2:9 마 5:9 시67:1-3 <표2. 요절 편 (5세트-25주 과정)> D. 만나식스의 장213) 1. 가정에서의 만나식스의 활용 일주일에 예배와 기타 활동을 하는 몇 시간을 제외하고 청소년들은 거 의 대부분의 시간을 교회 바깥에서 보낸다. 물론 그 대부분은 학교와 학원 생 활이 차지하겠지만 생활의 주요 터전이 가정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신앙생활에 있어서도 가정의 중요함이 크다. 자녀를 그리스도인으로 성장시키 기 위해, 그리고 참다운 크리스천 가정이 되기 위해 우리 가정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그래서 다음과 같이 가정에서의 만나식스의 활용방법을 제시해본다. a. 만나식스 가정예배 제각기 바빠 서로 얼굴보기도 힘든 가족의 현실이 있지만 간단하게 가정 213) 장석현, “만나는 달콤해”, 『교육교회』(2005년 2-12월호). - 85 - 예배를 드리는 가정들이 있다. 그리고 가정예배를 드리고 싶지만 어떻게 드려야 할지 고민이 되는 가정도 많이 있다. 가정 예배를 위한 자료들이 있지만 청소년 자녀를 둔 가정은 만나식스를 활용하는 것이 더 만나식스를 하는 자녀와 공감대 를 형성 할 수 있고 또한 간편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오늘의 만나 구절이 포함된 성경 본문을 읽어 전체적인 이해를 돕고, 그것을 본문으로 말씀을 전할 수 있다. 또는 각자가 구절을 통해 느끼고 이해한 바를 나누면 자연스럽게 기도 제목으로 도 연결될 수 있다. 서로를 위한 중보기도로 예배를 마친다. 만나식스 가정예배순서를 요약하면 찬양(내 영혼이 찬양 합니다 2분), 침 묵기도(2분), 오늘의 만나 말씀 묵상(10분), 묵상 나눔(1인 3분), 기도제목 나눔 (1인 3분)의 순으로 가정예배를 드린다. 4인 가족 기준으로 시간은 40분이 넘지 않도록 조절한다. 예배시간이 길어지면 자녀의 집중도가 떨어 질수 있으니 예배 를 마치고, 꼭 즐거운 밥상 공동체(식사나 간식 나눔의 시간)를 병행하면서 예배 중 다 나누지 못한 대화는 이 때 하는 것이 좋다. b. 사랑의 만나 쪽지 한 때 자녀의 도시락에 넣어 보내는 쪽지가 유행했던 적이 있다. 비록 지 금은 급식으로 인해 이러한 아름다운 의사소통이 적어졌지만 사랑의 쪽지는 부 모의 사랑을 전하기에 손색없는 방법이다. 이왕이면 예쁜 메모지에 반짝이 펜을 사용하여 적어보자. 오늘의 만나 한 구절과 함께 사랑과 격려가 담긴 짤막한 메 시지를 적어서 등교하는 자녀의 주머니에 쏘옥 넣어준다면 예전 도시락의 무게 만큼이나 든든하고 따뜻할 것이다. 너무 자주하면 청소년의 특성상 쉽게 식상하 며 그만큼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가장 등교하기 힘든 월요일에 말씀과 메 시지가 담긴 쪽지편지로 자녀와의 의사소통을 하면 좋다. c. 토요 큐.티타임 큐티와 Tea를 함께 나누는 가족 큐.티타임이다. 일주일에 저녁식사 한번 은 온가족이 식사를 한다. 저녁상을 물리고 간단한 다과상을 마련해 둘러앉아 보 자. TV를 끄고 얼굴을 마주보기가 처음에는 다소 민망한 가정도 있을 수 있지만 먹을거리는 분위기를 편안히 풀어주는 능력이 있다. 지난 한 주 동안 묵상한 만 - 86 - 나 중에서 하나씩을 나눈다. 말씀을 보고 느꼈던 것, 하나님과의 만남, 자기반성, 구체적인 실천 계획 등등을 이야기한다. 주의할 점은 누군가의 설교나 훈계의 시 간이 되어서는 안 된다. 이해와 격려만으로도 충분하다. 실천거리가 있는 경우라 면 실천의 정도에 따라 기분 좋은 선물이 따른다면 더욱 화기애애한 자리가 될 것이다. 토요일이 아니라 가족이 편한 시간이라면 어느 때든 상관없다. d. 만나 뽑기 하나의 만나 세트로 온 가족이 큐티를 한다. 예쁘장한 상자나 벽걸이 주 머니에 만나를 낱장으로 떼어 넣고 문 가까이에 둔다. 일터로 나가면서, 등교하 면서, 배웅하면서 각자 하나씩의 만나를 뽑아간다. 묵상한 간단한 느낌이나 실천 사항을 한 줄로 적고 마지막에 이름이나 사인을 남긴 후 저녁에는 다시 반납한 다. 표시가 되어있기 때문에 중복될 염려가 없고 다른 가족 구성원이 남긴 메시 지도 나눌 수 있어 한 데 모이기 어려운 가족의 경우 큐티 나눔의 효과도 기대 할 수 있다. 가정예배나 토요 큐.티타임을 할 때에 뽑아서 나누는 시간을 가지면 좋다. 2. 학교에서의 만나식스의 활용 청소년들은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낸다. 그런데 과연 기독 청소년으로서 학교에서의 신앙생활을 잘 할 수 있을까? 학교에서의 수업과 과 제 그리고 친구들과의 어울림 속에서 자신의 신앙생활을 위해 영성 훈련의 시 간을 조금이라도 확보하지 않고 시간을 할애해서 훈련하지 않는다면 결국 주 말 기독청소년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이것은 이중적인 삶의 모습 속에서 교회와 학교에서의 다른 자신의 모습으로 신앙생활의 위기를 맞게 될 것이다. 그래서 만나식스를 통해 개인의 영성 및 다른 기독청소년들과의 유기적인 관 계 속에서 바른 신앙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a. 학교에서의 개인 만나식스 활용 주일에 받은 만나식스 6장을 학교에 꼭 가지고 다닐 수 있도록 미리 책가방 - 87 - 에 넣어둔다. 그리고 학교에 등교하여 규칙적으로 10분정도 만나식스를 할 수 있는 적당한 장소와 시간을 정한다. 10분 이상 간섭을 받지 않을 수 있는 장소와 시간을 정해야 한다. 그리고 만나식스 사귐의 7단계를 따라 매일 실천한다. 가급적이면 그 날의 만나를 외운다. 아침에 외울수록 오랜 시간동안 만나의 말씀을 되새김 할 수 있 기에 가급적 아침에 외우도록 한다. 영어성경 구절도 소리 내어 읽어보고 주요단어 를 1주일 단위로 체크한다. 특히 뒷장에 꼭꼭 씹어 먹기를 잘 해서 자기 전 만나식 스 꼭꼭 씹어 먹기를 체크하고 기도한다. 사실 개인이 하기에는 큰 결단이 필요하다. 그래서 가장 친한 친구와 함께 하는 것이 꾸준히 규칙적으로 할 수 있고 나눔을 통해 서로의 신앙을 체크 할 수 있어 좋다. 학교에 같이 할 친구가 없다면 중고등부 인터 넷 커뮤니티를 통해 그날의 사귐과 실천내용을 올려 네트워크 친구를 만들면 좋다. 이때 부모나 교사가 함께 참여하여 피드백해주면 좋다. b. 학교에서의 셀모임을 통한 만나식스 활용 학교에서 개인이 만나식스를 하다가 점차 만나식스 친구들을 모아 함께 시도한다. 특별히 학교에 기독동아리가 있거나 반에 기독청소년이 있다면 권유하 여 함께 시작하면 좋다. 학생들끼리 하기 어렵다면 기독교사의 도움을 받아 점심 시간이나 등교시간 30분 미리 나와 아침시간에 모임을 하면 좋다. - 학교에 3인 이상 모일 수 있는 셀이어야 한다. (기본단위 3-6명이 적당하다.) - 자원하는 학생을 중심으로 셀을 구성한다. (학생의 자발적 참여가 셀모임의 생명력을 길게 만든다.) - 5주 이상 성실하게 만나식스를 한 학생을 셀 리더 자격 조건을 준다. - 셀 리더는 만나식스 사귐의 7단계 교육을 따로 받는다. - 점심시간을 활용하여 조용한 장소에서 모임을 갖는다. (처음에는 일주일에 2번 모임을 갖고 점차 늘려 간다.) - 시간을 정하면 꼭 시간을 엄수하여 시작한다. (지각과 결석시 예를 들어, 50원 벌금, 어깨 주무르기 같은 작은 벌칙 을 만든다.) - 만나식스를 한 후 한 명만을 위해 중보 기도해 준다. - 88 - (점차 확대하여 학교에 같이 다니는 친구들을 위해 중보 기도표를 만든 다.) - 다른 교회를 다니는 친구라도 함께 할 수 있다면 참여하도록 한다. - 각 학교 셀 리더들만 따로 모임을 갖는다. (월1회-중보기도와 셀 상태를 점검한다.) - 가장 모범이 되는 셀은 학기별로 시상을 한다. # 셀모임 일지 - 주간 학교모임 상황표를 교회 셀 게시판에 체크한다. 모임회수 날자 시간 참석 불참 비고 1회 4.4(월) 12:30-12:50 이유진,차준미,신동석 차준희 2회 4.6(수) 12:30-12:45 이유진,차준미,신동석, 차준희 3회 4.8(목) 12:35-12:55 차준미,신동석,차준희 이유진 늦게시작 - - - - - - <표3. 셀모임 일지> 3. 교회에서의 만나식스의 활용 청소년이 교회에 나와 신앙 공동체로서 함께 말씀과 삶을 공유하는 시간 이 참으로 적다. 한국의 입시와 공부 경쟁의 상황 속에서 교회에 나오는 청소년 들은 그 시간이 신앙생활의 전부인 이들이 대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짧은 시간 에 말씀을 많이 나누며 신앙의 공통의 경험을 갖게 하기에는 주중의 만나식스를 통해 나눔으로 깊이 있는 교제와 관계가 고학년으로 갈수록 기대할 수 있다. a. 팀사역을 통한 만나식스 활용 - 팀사역의 분류( 반별모임, 부서모임, 팀별모임) 반 별 1-1, 1-2, 2-1, 3-1..... 반목회 부서별 친교부, 봉사부, 교육부, 선교부(전도부), 찬양부 기존교회 부서구성 팀 별 쉐마교육부, 파워멀티팀, 미션선교팀, 디코봉사팀, 코이친교팀, 웨이브찬양팀 팀구성의 예 <표4. 팀사역의 분류> - 89 - - 만나식스 나눔의 시간과 참여방법. (개인 활용방안과 학교 셀 활용방안과 마찬가지로 시간과 장소가 정해지 면 엄격히 지킨다.) 분류 나눔의 시간 참여방법 반 별 주일 공과를 시작하기 전에 만나식스를 나눈다. 한명씩 돌아가면서 주중에 가장 마음에 와 닿았거나 실천을 했던 만나를 발표 하도록 한다. 하지만 강요하지는 말고 실천이 없었다면 다른 사람으로 넘어간다. ( 강요하다보면 만나식스 나눔이 아닌 습관적이고 상투적인 대답이 나올 수 있다.) 부서별 부서별 모임과 팀모임 전에 만나식스로 시작한다. 부서와 팀모임은 가급적 토요일에 한다. -5일수업제 확산으로 앞으로 청소년 주 말교육을 위해 준비해야한다. 팀 별 <표5. 만나식스 나눔의 시간과 참여방법> - 만나식스 팀사역 활용의 극대화 활 동 내 용 참 고 만나식스 중보기도 만나식스 나눔 후 6번째 카드에 자신 의 기도제목을 쓰고 옆 사람에게 돌린 다. 매주 다른 사람의 카드를 받아 중 보기도를 해준다. 월별로 기도제목카드를 모 아서 기도나무에 붙인다. (벽면에 기도나무를 만든 다.) 매달 공통된 기도제목을 뽑아 주보나 홈페이지에 오린다. 만나암송대회 반별로 정기적으로 해도 좋고 분기를 정해서 중고등부 전체 성경 암송대회 를 한다. 고등부는 영어로 된 만나 를 외워도 좋다. (혹은 단어 암기) 만나베스트 게시 만나식스 게시판을 만들어 반별, 혹은 팀별로 그 주에 가장 잘 실천한 학생 의 만나를 게시한다. 물론 베스트는 반별로 학 생들이 뽑도록 한다. 만나우편발송 3주 이상 장기 결석자에게는 만나를 우편 발송 한다. 우편발송에 부담이 있는 친구들은 같은 학교친구에 게 전달한다. *만나를 달란트시장의 달란트로 활용이 가능하다. (위의 기도제목카드와 베스트 카드는 가산점을 주어도 좋다.) <표6. 만나식스 팀사역 활용의 극대화> - 90 - b. 수련회와 방학생활을 통한 만나식스 활용 방학이 되면 대게 많은 청소년들은 게을러지기 쉽다. 그리고 많은 시간 을 낭비하기 쉽다. 방학이라는 시기는 바로 청소년들에게 신앙생활의 기초를 좀 더 집중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시기이다. 특히 수련회가 있으므로 좀 더 역 동성 있는 가르침을 만들 수 있다. 바로 이때 말씀으로 다가가기 위한 통로로 만나식스를 적극 활용해 본다. - 30일 아침 만나 나눔 -만나친구와 함께 하기 방학이 되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아침기상 시간이 늦어지고 시간관리가 잘 되지 않아 생활의 리듬이 깨지기 쉽다. 물론 방학이야 말로 학생들에게 있어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지만 게을러지기 쉬운 시기이다. 아침 만나 나눔은 등교의 압박이 없이 좀 더 깊이 말씀을 묵상 할 수 있 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혼자 한다는 것은 아무래도 무리가 있다. 그 래서 반에서 만나를 같이할 수 있는 ‘만나친구’를 정한다. 만나친구는 서로 시간 을 정하여 모닝콜을 해주고 아침에 만나를 한다. 그리고 주일에 서로의 만나를 교환 한다.(만나 뒤에 만나 나눔을 한 적용부분을 보도록 한다.) * 30일 만나 나눔 출석표를 만들어 방학 동안 성실히 한 학생에게는 선 물을 준다. - 친구에게 이메일보내기 방학동안 못 보는 친구에게 일주일에 한 번씩 메일을 보낸다. 이메일을 보낼 때는 자신이 일주일 중에 가장 은혜 받은 만나의 내용을 적어 준다. 특히 방학동안 자신이 전도할 친구를 정해 기도하고 만나의 내용을 이메 일을 통해 주기적으로 보낸다. - 퀴즈대회 그동안 해 왔던 만나를 가지고 퀴즈대회를 한다. ( 수련회 때에도 할 수 있다.) 개인과 팀으로 나누어 해보자. (a) 빨리 찾기 - 만나 성경구절 빨리 찾기. (b) 암송 - 암송구절을 미리 나누어 주고 암송대회를 한다. - 91 - (요절을 뽑아 외워도 좋다.) (c) 낱말 맞추기 - 만나성구를 구절을 나누어 조각을 낸 뒤에 빨리 찾는 게임이다. - 수련회 식사요절 수련회기간에 보통 7-9번의 식사를 한다. 그렇다면 최소한 7개의 요절 을 암기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청소년시기에 암기한 요절이 평생을 간다는 것은 누구나 안다. 하지만 청소년시기에 외워야할 요절을 뽑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생소한 성구를 외우는 것은 또한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학기 중에 익숙 하게 묵상했던 청소년을 고려해서 뽑은 만나를 이용한다면 더 낳은 식사요절이 될 것이다. Ⅵ. 결론 A. 요약 본 논문은 한국교회의 기독교교육이 위기해 처해있고, 그 중심에 청소년 이 가장 큰 위기에 직면하였다는 인식 아래 이에 대한 대안적 방법들을 연구하 였다. 기독교 청소년들의 영성의 미약함은 한국 기독교의 미래를 어둡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청소년들에게 영성의 회복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논의를 전개함에 있어서 본 논문은 인간 본질에 대한 이해와 영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간이 본질적으로 관계적인 존재이며, 영성이란 관계성이라는 것을 규명하고 ‘관계적 영성’이라는 관점에서 청소년영성교육을 접근하고자 하였 다. 논의의 시작인 Ⅱ장에서는 관계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들을 바르트와 깔 뱅, 부버와 키에르케고르, 그리고 페어베언과 코헛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바르트와 깔뱅을 통해서 신학적인 관점에서 관계성의 의미를 살펴 보았다. 바르트는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에 따라 창조되었다는 사실로부터 인간도 - 92 - 하나님과 같이 관계 속에 있는 존재로 창조된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타락한 인간이 가진 하나님의 형상은 자신의 죄로 인하여 파괴되었다. 이러한 상태는 하 나님과의 관계를 단절시켰고, 인간과의 관계도 단절시켰으며, 자연 세계와도 단 절된 관계의 상태가 되었다. 그러나 인간이 타락하였다 하여도 모든 관계가 없어 진 것은 아니다. 이렇게 타락한 인간이 다시 모든 관계와 화해하며 사랑의 관계 를 가질 수 있는 길을 바르트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화해에서 찾고 있다. 그렇다면 철학적인 측면에서의 관계성은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 부버는 인간이 본래적으로 관계적인 존재임을 주장한다. 그는 ‘나-그것’의 비인격적이고 도구적인 관계가 아니라 ‘나-너’의 인격적인 관계가 되어야 함을 역설하며, 모든 ‘너’와의 관계의 연장선은 ‘영원한 너’에게서 만난다고 주장한다. 그가 의도하고 찾고자 하는 것은 사람들과 관계를 가지는 것처럼 하나님과도 하나 되어 살 수 있는 친밀성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키에르케고르를 통해 인간 실존이라는 측면에서 관계성을 접근해 보았다. 키에르케고르는 인간을 하나 님과 피조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자기 관계성을 지닌 존재로 이해하였다. 자기는 자기 자신에 자기를 연결시키는 관계이다. 키에르케고르는 인간의 자아를 ‘영’으 로 이해함으로써, 인간은 영의 근원 되신 하나님의 속성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물질세계의 속성을 지니고 있는 존재로 묘사하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 인간 실 존은 불안하고 절망하여 죽음에 이를 수밖에 없는 존재이다. 이런 인간이 절망에 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존재의 근거 되신 하나님과의 온전한 사랑과 신 뢰, 참된 신앙의 관계를 맺음으로써 가능하다. 그때에야 비로소 인간은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될 수 있으며,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영(靈)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페어베언과 코헛은 현재의 인간관계가 이미 과거에 이루어진 관계의 영향을 받는다고 보는 대상관계이론의 주요 학자들로서 심리학적 측면에 서의 관계성에 대한 통찰을 제공해 준다. 이 중, 페어베언은 ‘대상추구적 리비도’ 라는 개념을 제시함으로써 인간이 본질적으로 관계적 존재임을 역설한다. 다시말 해, 그는 원래 리비도 에너지는 대상을 추구하며, 쾌락은 충동의 궁극적인 목적 이 아니라, 타자와의 관계를 위한 수단, 혹은 길잡이 역할을 한다고 봄으로써, 인 간을 대상과의 관계추구적인 존재로 보았다. 코헛 역시 인간이 관계 안에서 태어 - 93 - 나 거기에서 살다가 죽는다고 봄으로써 인간의 관계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그가 관계적 측면에서 우리에게 제공하는 중요한 통찰은 인간의 ‘자기대상’으로서의 하나님 이해이다. 다시말해, 인간은 자기대상과의 관계 속에서 존재하는데, 이상 적인 자기대상, 즉 하나님은 전능하며, 사랑이 충만하시며, 완전하시게 반사하는 부모로서 경험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신학적 측면, 철학적 측면, 그리고 심리학적 측면 에서 관계성이 갖는 의미를 고찰해본 결과, 인간은 본질적으로 관계적 존재이며, 궁극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가 필요한 존재들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기독교영성교육에 있어서 관계의 의미는 무엇인가? Ⅲ장에서는 “기독교영성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기독교영성교육이 가능한가?”에 대한 논의 를 관계적 영성이라는 관점에서 시도하였다. 오늘날의 영성은 인간의 내면적 차원과 대인관계의 차원, 그리고 사회적 만남의 차원 등 인생의 전 영역에 미치는 전인적인 삶을 포괄하고 있는 개념이 다. 세상에는 수많은 영성이 있다. 그러나 일반 영성이 인간의 내재적 정신이나 종교성에 근거하고 있다면, 기독교 영성은 먼저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성을 출 발점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기독교 영성에 대한 정의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으나, 기독 교 신학자들의 기독교 영성에 대한 이해는 대체로 두 종류로 나누어짐을 발견하 게 된다. 첫째는 영성 이해에 있어서 하나님과의 관계성을 강조하는 부류이다. 이들은 영성을 하나님과의 관계성이나, 그 관계를 통한 인간의 존재 방식, 혹은 참 인간됨이라고 본다. 둘째는 보다 역동적이고 완전한 삶 전체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이다. 전자가 의미에 치중하였다면, 후자는 실천을 중요시하였다고 할 수 있 다. 또 전자가 정적(靜的)이라면, 후자는 동적(動的)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기독교 영성 학자들의 영성 이해에는 영성의 의미적 측면에 대한 강 조, 또는 실천에 대한 강조라는 두 축이 있어왔지만, 강조점이 어디에 있든지 영 성에 대한 정의들이 공통적으로 의미하는 것은 영성을 관계경험으로 본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관계성이라는 관점에서 기독교 영성의 두 가지 측면을 포괄하 는 폭넓은 정의를 다음과 같이 내리고자 한다. 기독교 영성이란 하나님과 인간, - 94 - 인간과 인간 사이에 형성되는 사랑의 관계성이며 동시에 사랑의 실천적 삶이다. 이러한 관계성과 삶은 자연스럽게 그리스도 중심적 양식을 띠게 되고, 이제 우리 가 살고 행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그리스도가 우리 안에 살고 행하게 된다. 즉 하나님과의 교제로서의 수직적 영성은 이웃 사랑 혹은 결단과 투신으로서의 수 평적 영성과 떨어질 수 없으며 통전적으로 조화 되어야 한다. 이것이 그리스도 중심의 영성 생활 곧 기독교 영성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독교 영성 개념에서 알 수 있듯이 하나님과의 교제로서의 수 직적 영성은 사회와의 수평적 영성과 통전적으로 조화되어야 하며, 이러한 영성 속에는 인간과 하나님과 사회와 자연이 모두 회복해야 한다는 함의가 포함 되어 있다. 이러한 영성 이해는 깨어진 세상의 모든 관계들을 회복시키는 역할을 담당 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것이 영성교육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관계적 이해를 기반으로 한 기독교영성교육은 가능한가? 리차드 오스머(Richard Osmer)는 신앙은 가르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 직 하나님께서 주시는 선물이며, 인간인 교사가 할 수 있는 일은 신앙의 여러 면, 즉 신념, 신비, 헌신과 같은 면을 면밀히 연구하여 인간 학습자가 신앙을 받 아들일 준비를 시키며, 배움의 정신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조력자가 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영성이 만약 가르칠 수 있는 것이라면 영성교육이라는 말이 성 립되는 것이고, 만일 그렇지 않다면 영성교육이라는 말 자체가 무의미하게 될 것 이다. 연구자들은 영성의 성격을 규정함에 있어서, 신앙은 하나님이 주시는 선물 이라는 맥락과 유사한 논리를 적용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왜냐하면 신앙이 하나님이 주시는 선물이라는 논리와 같이, 영성도 그 시발점이 하나님이 되기 때 문이다. 다만 인간 교사가 교육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하나님이 허락하시는 영 성을 품을 수 있도록 마음과 감각을 훈련시키고, 민감하게 단련시켜서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허락하시는 영성을 받을 수 있도록 학습자의 마음 밭을 기경하며, 정 한 그릇을 준비시키는 산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영성과 영성교육에 대한 대부분의 이해는 성과 속, 영과 육, 개인과 공동체에 대한 분리된 상태에서 초월자와의 합일이라는 측면에 치중 하는 한계를 안고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영성교육은 이러한 분리된 인식을 지 양하고 수직적 차원과 수평적 차원의 조화를 포괄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 95 - 논문은 영성의 수직적 차원에 보다 강조점을 두고 있는 로더의 변형론과 수평적 차원에 보다 강조점을 두고 있는 컬리의 양육적 관점을 비교하고 종합하려고 시 도하였다. 로더는 인간은 그리스도와의 만남 안에서 ‘확신적인 체험’을 하며, 이 때 ‘확신적인 인식’이 일어나면서 변형된다는 논리적 체계의 존재함을 말한다. 그러 나 변형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서는 영성 개발을 위한 교육과 양육이 제공될 때 진정한 영적 성장이 가능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한편, 컬리는 영성을 교육할 수 있다는 의미와 관련하여 영성교육이라는 말로 그 의미를 포괄적으로 사용하였다. 그는 영적생활은 개발되어 가는 것이며, 이러한 개발(cultivation)은 하나의 양육(nurture)과 교육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 다고 보았다. 그에게 있어서 영성은 생활양식을 통하여 밖으로 나타나는 하나의 삶의 과정이다. 기독교영성교육 방법은 더욱 개발되어야 하며, 로더와 컬리의 두 측면에 대한 상호비판적인 수용이 필요하다. 그런데 기독교영성교육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기독교영성교육이 처음부터 끝까지 성령 안에서 관계를 살리는 교 육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Ⅳ장에서는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영성교육을 모 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기에 대한 발달적 이해와 종교적 이해를 기반 으로 청소년기의 영성교육이 왜 필요한지를 살펴본 후,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영 성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장을 제시하였다. 먼저 청소년 영성교육의 목적을 다 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인 측면을 통합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 를 위해 청소년들의 전 환경 속에 있는 다양한 요소가 상호작용 되도록 통합적 교육을 해야 한다. 둘째, 지, 정, 의를 바탕으로 일관성 있는 신앙이 되도록 교육 한다. 바로 이것은 삶 속에서 하나님과 교제하는 삶을 살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삶의 구체적인 장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가정, 교회 학교, 친구 등 여러 가지 그물로 관계를 통해 신앙을 체험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교육의 내용으로 ‘정화의 기도’, ‘깨달 - 96 - 음’, ‘실천’을 영성 교육의 내용으로 선정하여 교육에 참여한 자들이 기독교적인 바른 사람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구체적인 영성교육의 방법을 모색하였다. 그 다음 청소년 영성교육의 실제적인 방법으로 기도, 거룩한 독서 그리고 성찰과 실천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Ⅴ장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 영성교육 프로 그램인 만나식스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한국교회의 청소년들은 주말 크리스챤 이 대부분이다. 주일에 보는 성경 말씀이 전부인 학생이 대부분이고, 기도 또한 식사기도가 대부분인 청소년들이 많다. 만나식스는 이런 현실 속에서 청소년들의 영적 성장을 위해 청소년들이 매일 매일 짧은 시간이라도 하나님과 사귐을 가질 수 있도록 큐티의 본문을 한 단락이 아닌 한 절로 줄여 쉽게 실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깊이 있게 하나님을 만나기 위해서는 보다 더 긴 본문을 묵상하는 가운데 주님이 주시는 음성을 듣는 것이 더 좋겠지만, 보다 많은 학생들이 짧은 시간동안 구체적으로 10분 정도의 시간 안에 하나님의 말씀을 통하여 하나님과 사귐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청소년 큐티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만나식스”를 통해 삶의 전 영역에서 관계를 살릴 영성이 길러질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교육의 장인 가정, 교회, 학교에 따라 실천 방안을 달리 개발하였다. 특히 기도와 말씀묵상과 실천적 삶의 부분을 강조하면서 개발된 만나식스는 현재에도 계속 업그레이드 되어가고 있고,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영성교육 방법으로 수정 보완되 고 있다. B. 제언 영성의 시대적 관심 속에서 현대인들의 갈급함이 더욱 느껴진다. 현대인 들은 많은 관계의 단절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궁극적인 존재자인 하나님과의 관 계 단절은 인간 실존을 죽음으로 몰아넣는 심각한 사안이다. 따라서 본질적으로 관계적인 존재인 인간에게는 하나님과의 관계성이 회복되는 것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삶의 과제이다. 관계적 영성 이해에 대한 통찰은 위기에 처한 청소년 기 독교육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그러나 아무리 많은 이론과 사상들이 있어도 그것 으로는 청소년들의 삶을 변화시킬 수 없다. - 97 - 그래서 본 논문의 가장 큰 관심과 초점은 실제적인 영성교육방법에 있다. 본 논문은 관계를 살리는 청소년영성교육의 실제로서 만나식스 사귐의 7단계를 통한 청소년 큐티인 만나식스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의 가장 큰 의의는 청소년 영성 이론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청소년 영성교 육 훈련 교제인 만나식스를 개발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삶 속에서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신앙생활의 어려운 부분의 한 영역을 만나식스를 통해 채워가며 나아 가서 성인으로 더 나은 영적 성장에 도움이 되는 도구로 사용되어지기를 바란다. 만나식스는 우리의 삶을 움직일 수 있는 말씀의 원동력임과 동시에 청소 년 시기에 훈련되어야 할 좋은 영성교육 방법임을 수년째 임상을 통해 피드백 되어 지고 있다. 특히 교육교회에 연재 되었던 그 활용방법은 우리의 삶 전 차원 에 깊숙이 들어갈 수 있는 매뉴얼이 될 것이다. 본인은 10년째 청소년 사역을 하면서 청소년 큐티의 많은 시행착오를 거쳤지만 현재는 청소년 큐티가 청소년 들의 삶의 변화를 경험하며 관계가 살아나는 체험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다음의 몇 가지 제언으로 부족한 논문을 마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에 대한 이해나 그들을 위한 영성교육 이론 연구는 많이 이 루어져 왔다. 하지만 청소년들의 영성이 실제로 회복 혹은 증진되고 그들의 삶이 변화되어 실천적인 측면으로까지 나아가 하나님과의 관계, 이웃(타자)와의 관계 가 살아나려면 실제 교육과정의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제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청소년 영성교육개발만을 위한 연구소나 모임, 또는 이들을 돕는 커리 큘럼 네트워크가 잘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논문에서 제안한 만나식스는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한계 를 또한 내포하고 있다. 청소년영성교육에 있어서 관계가 보다 살아나기 위해서 는 보다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들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더 큰 열정을 가질 것을 일깨워준 사람이 있다면 삐에르 바벵일 것이다. 그는 그의 저서 『디지털시대의 종교』214)에서 오늘의 세대와 진정으로 커뮤니 케이션하기 위해서는 더 적극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오 늘의 세대와의 진정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영성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문 214) Pierre Babin, www.internet.GOD, 이영숙 역, 『디지털시대의 종교』 (서 울: 한경PC라인, 2000). - 98 - 자 커뮤니케이션 시대의 방식과는 달라야 한다. 오늘날의 청소년들의 관계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보다 넓고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 다. 따라서 더 많은 장소, 더 많은 관계 속에서 매스미디어장치 등 다양한 방식 으로 만나식스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더욱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99 - 참고문헌 A. 동양서적 강희천. 『기독교교육의 비판적 성찰』.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 『기독교교육사상』. 서울: 연세대출판부, 1993. 고용수. 『만남의 기독교교육 사상』.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94. 구성애. 『구성애의 성교육』. 서울: 석탑, 1995. 김경재. 『그리스도인의 영성훈련』.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4. 김균진. 『헤겔철학과 현대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1. 김도일, 장신근. 『기독교 영성교육』. 서울: 동연, 2009. 김외식. 『영성과 목회 부록』.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7. 김정휘. 『현대 청년심리학』. 서울: 학문사, 1983. 김태련, 장휘숙. 『발달심리학』. 서울: 박영사, 1991. 권이종. 『청소년학 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1996.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교회여 생명을 잉태하라: 다음세대를 품는 교회』. 서 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7. 류기종. 『기독교영성』. 서울: 은성, 1997. 목회와 신학 편. 『십대청소년 목회론』. 서울: 두란노, 1993. 박아청. 『청소년과 아이덴티티』. 서울: 배영사, 1987. 박영만. 『기독교 영성의 뿌리와 열매들』. 서울: 성광문화사, 1993. 박원호. 『신앙의 발달과 기독교교육』.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996. 손승희. 『영성신학의 이해 』.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9. 손원영. 『기독교교육의 재개념화』.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오성춘. 『영성과 목회』. 서울: 장신대출판부, 1995. 오인탁. 『기독교 교육』. 서울: 종로서적, 1991. 이원일. 『해석학적 상상력과 기독교교육과정』.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4. 이정효. 『기독교노인교육』. 서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2. 이종성. 『신학적 인간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7. 은준관. 『 기독교교육 현장론 』.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4. 임창복, 김문경, 오방식, 유해룡. 『기독교 영성교육』. 서울: 기교교교육교역연구 원, 2006. - 100 - 유해룡. 『하나님체험과 영신수련』.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999. 윤주병. 『종교심리학』. 서울: 서광사, 1988. 장종철. 『한국교회와 기독교교육』. 서울: 감신대출판부, 1991. 조은숙.『정신위생』. 서울: 교육연구사, 1988. 최임선. 『신앙의 발달과정』. 서울: 종로서적, 1990. 최한구. 『마틴 부버의 생애와 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2. 협동신학연구소 편. 『기독교신학과 영성』. 서울: 솔로몬, 1995. 함종환. 『청소년학 원론』.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B. 서양서적 Barth, Karl. Church Dogmatics Ⅲ, Ⅳ. G. W. Bromiley and F. F. Torrance eds. Edinburgh: T.&T. Clark, 1956. Berkouwer, G. C. Man : The Image of God. Grand Rapids, Mich.: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 1978. Buber, Martin. Between Man and Man. New York: Macmillan Publishig, 1966. . I and Thou. W. Kauffmann trans. New York: Scribner, 1970. . Hasidism. trans. by Greta Hort, et al. New York: The Philosophical Library, Inc., 1948. Corbett, J. Creative Youth Leadership. Valley Forge: Judson Press, 1977. Erik H. Erikson. Identity : Youth and Crisis. New York: W. W. Norton, 1968. Fairbairn, W. R. D. An Object Relations Theory of Personality. New York: Basic Books, 1954. Goldman, Ronald. Readiness for Religious. New York: The Seabury Press, 1976. Groome, Thomas H. Educating for Life: A Spiritual Vision for Every Teacher and Parent. New York: The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1998. - 101 - Hinshelwood, R. D. A Dictionary of Kleinian Thought. London: Free Association Books, 1989. Hughes, J. "Fairbairn's Revision of Libido Theory: The Case of Harry Guntrip" In Fairbairn and the Origins of Object Relations. ed. J. Grotstein and D. Rinsley. New York: Guilford Press, 1944. Jammer, Max. The Conceptual Development of Quantum Mechanics. New York: McGraw Hill, 1966. John Eusden and Westerhoff. The Spititual Life: Learnig East and West. New York: Seabury Press, 1982. Kierkegaard, Soren. Fear and Trembling. New York: Doubleday, 1954. Kohut, Heinz. How does Analysis Cure?,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4), 61. . The Analysis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71), 27. . The Restoration of the Self, Madeson: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77), 99. Lee, James Michael. The Spirituality of the Religious Educator. Birmingham, AL: Religious Education Press , 1985. Leech, Kenneth. Soul Friend: The Practice of Christian Spirituality. New York: Haper & Row, 1977. Loder, James & Jim Neidhardt. The Knight's Move. Helmers & Howard: Colorado Springs, 1992. Mclean, Stuart D. Humanity in the thought of K. Barth. Edinburgh: T&T Clark, 1973. Miller, Randolph C. Eudcation for Christian Liv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1963. C. 번역서적 Aumann, Jordan. Spiritual Theology. 이홍근 역. 『영성신학』. 왜관: 분도출판 사, 1989. - 102 - Babin, Pierre. www.internet.GOD. 이영숙 역. 『디지털시대의 종교』. 서울: 한경PC라인, 2000. Bollnow, O. F. 『실존철학과 교육학』. 이규호 역. 서울: 박영사, 1967. Buber, Martin. I and Thou. 김천배 역. 『나와 너』.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 『예언자의 신앙』. 남정길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7. Calvin, John. 『기독교강요선』. 이종성 역. 서울: 기독교서회, 1982. Cashdan, Sheldon. 『대상관계치료』. 이영희, 고향자, 김해란, 김수영 공역. 서 울: 학지사, 2005. Crain, William C. Theories of Development. 서봉연 역.『발달의 이론』. 서 울: 중앙적성 출판사, 1983. Cully, Iris V. 『영적성장을 위한 교육』. 이기문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Fairbairn, W. Ronald D. 『성격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연구』.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3. Foster, Richard J. Money, Sex, Power. 김영호 역. 『돈, 섹스, 권력』. 서울: 두란노서원, 1989. Fowler, James W. Stages of Faith. 사미자 역. 『신앙의 발달단계』. 서울:한 국장로교출판사, 1995. . Weaving The New Creation. 『변화하는 시대를 위한 기독 교교육』. 박봉수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6. Greenberg, Jay & Stephen Mitchell. 『정신분석학적 대상관계이론』.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9. Groome, Thomas H. 『기독교적 종교교육』, 이기문 역. 서울: 대한예수교장로 회 총회교육부, 1983. Guitierrez, G. A theology of Liberation. 한빛출판부편집부 역. 『 해방신학 』. 서울: 한빛출판사, 1985. .『해방신학의 영성』. 이성배 역. 왜관: 분도출판사, 1987. Harris, Maria. Fashion Me People. 고용수 역. 『교육목회 커리큘럼』.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7. Holmes, U. T. 『목회와 영성』. 김외식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 『영성과 목회』. 백상렬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103 - 1989. Kohut, Heinz. 『자기의 회복』.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6. Loder, James E. The Transforming Moment. 이기춘외 역. 『삶이 변형되는 순간』.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2. . 『성령의 관계적 논리와 기독교교육 인식론』. 이규민 역. 서 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Macquarrie, John. Path in Spirituarity. 장기천 역. 『영성에의 길』. 서울: 전 망사, 1986. McGinn, Bernard and J. Meyendorff ed. 『기독교영성』(1). 서울: 은성, 1997. Mitchell, Stephen A. & Margaret J. Black. Freud and beyond. 이재훈, 이해 리 역. 『프로이트 이후』.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Muss, Rolf E. Theories Adolescence. 『청소년 이론』. 송정두 역. 대구 : 계 명대학교 출판부, 1980. Niesel, Wilhelm. 『칼빈의 신학』. 이종성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3. Siegl, Allen M. 『하인츠 코헛과 자기 심리학』. 권명수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 연구소, 2002. Summers, Frank. 『대상관계 이론과 정신병리학』.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 치료연구소, 2004. Sweet, Leonard I. Postmodern Pilgrims. 김영래 역. 『영성과 감성을 하나로 묶는 미래교회』. 서울: 좋은씨앗, 2002. Taylor, Dykstra and Ellis Nelson. ed. Changing Patterns of Religious Education. 이기문 역. 『기독교교육의 새 방향』. 서울: 대한예수 교장로회 총회교육부, 1995. Thayer, Nelson S. T. Spirituality and Pastoral Care. 백상열 역. 『영성과 목 회』. 서울: 대한기독교 출판사, 1989. Ware, Timothy. The Orthodox Church. 이형기 역. 『동방정교회의 역사와 신 학』.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9. WesterhoffⅢ, John. H. 『기독교 신앙과 자녀교육』. 이숙종 역. 서울: 대한기 독교서회, 1991. Zuck, Roy. 『교회와 청소년』. 박영호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1. - 104 - D. 논문 고용수. “청소년이해와 교육적 과제”. 『장신논단』제3집. 1987. 3. 김도일. “시종일관 성령 안에서 교육하기”. 『미간행논문』. 2010. 김외식. “목회와 영성이해(Ⅰ)”. 『신학과 세계』. 제16호. 1988. 박상진. “청소년, 그들을 이해하고 그들의 고민을 해결하라”. 『교육교회』. 2010년 6월호. . “한국교회교육 위기 극복을 위한 새로운 접근”. 입시․사교육 바로세우기 운동본부 편. 『교회학교 부흥에 대한 새로운 접근』. 미간행 세미나 자 료. 2008. 박원호. “청소년 신앙과 교회교육”. 『제2회 청소년 지도자를 위한 심포지움』.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부, 1998. 이수영. “영성의 의미에 관한 조직신학적 고찰”. 『신앙과 신학』 제 4집. 1988. 사미자. “인생주기 이론에 비추어 본 청소년기”. 『기독교 사상』. 1988, 5. . “청소년 그들은 누구인가?”. 총회남선교회 지도위원회 편. 『교회와 청 소년지도』.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출판국, 1991. . “인생주기론에 비추어 본 청소년”. 『기독교사상』. 1988, 5. 장석현. “만나는 달콤해”. 『교육교회』 2005년 2-12월호. 정용석. “기독교 영성과 영성학”. 『기독교사상』 410호. 1992. Cully, Iris V. "Instruction or Nurture". Religious Education LⅫ. May-June 1967. Groome, Thomas H. "The Spirituality of the Religious Educator". Religious Education Vol. 83, No. 1. 1988. Hess, Carol Lakey. "Educating in the Spirit". Religious Education Vol. 86. No.3. Summer, 1991. Miller, R. C. "The Holy Spirit and Christian Education". Religious Ekducation Vol. 57. No. 3. My-Je 1962. E. 사전 『민중 엣센스 국어사전』. 1974. 신기철, 신용철. 『우리말 큰사전 』.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