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7 21

12신조 / 우리는 이것을 믿는다.

12신조 / 우리는 이것을 믿는다. 1신조신·구약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靈感)된 말씀(딤전 3:16)으로 신앙과 생활에 대하여 정확무오(正確無誤)한 (마 5:17; 요 10:35) 유일의 절대 규범이다. (시 119:105) 성경은 구원만이 아니라 성경이 언급한 과학과 역사도 무오하다. 2신조살아 계시고 참되신 하나님은 한 분뿐이시며(신 6:4; 딤전 2:5) 유일한 경배대상이시다. (신 6:13; 마 4:10)하나님은 스스로 계시는 분(출 6:14; 사 40:28)으로 어디나 계신다. (왕상 8:27; 사 66:1)하나님만 참 신(神)이시고, 사람들이 섬기는 모든 신(神)들은 다 우상들이다. (사 40:18-19)하나님은 만물 및 인간의 창조자로 피조물인 만물 및 인간과 구별되신다.(창 1:1, 27-..

사해 사본

사해 사본     ​1947년 봄, 베두인 목동인 주마 무하메드 Jum'a Muhammed는 여느 때와 다름없이 양과 염소 떼에게 풀을 먹이기 위해 사촌 두 명과 함께 사해Dead Sea 북동쪽 해안의 절벽 기슭을 거닐고 있었다. 소년들이 속해 있는 타아미레Taamireh 지파 사람들은 수세기 동안 유목 생활을 해왔기 때문에 황무지와 위험한 절벽의 구석구석을 손바닥 보듯 훤하게 꿰고 있었다. 하지만 잃어버린 염소를 찾으러 나선 주마는 신중하고 조심스럽게 가파른 암벽을 기어올랐고 자신이 서 있는곳 바로 위에 작은 동굴이 두 개 있는 걸 발견했다. 그는 염소가 그곳에 숨었을지 모른다고 생각하여 돌을 안으로 집어던졌다. 놀랍게도 둔탁한 '쿵' 소리 대신 무언가 깨지는 소리가 들려왔다. 보물처럼 귀중한 무언가가..

요한계시록의 일곱교회의 역사적 배경

요한계시록의 일곱교회의 역사적 배경 구분 배   경에베소소아시아의 수도.게스터 강구에서 5마일 상류에 있는 산유지다. 현재의 이즈미르에서 80KM 위치한 도시. 로마국의행정상, 교통상의 중심지이며 아시아 7교회중의 하나가 있었던 곳이다. 에베소에 대한 우리의 역사적 자료는 고대에 활약한 작가들의 작품이나 고고학적 발굴에 의해 얻어진 수천 점의 비문에 의존하지만, 도시의 기원에 대한 정확한 지식은 알 수 없다. 역사에서 에베소의 이름이 최초로 언급된 것은 기원전 13세기경의 히타이트 성경의 헷 족속 비문에서 인데 그 비문에 APASAS라고 불리웠던 도시가 바로 이 지역으로 추정된다. 에베소 폐허 기원후 1세기에 에베소는 기독교인들에게는 중요한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37-42년 사이에 기독교 전도에 주력..

성경에 나오는 기도의 10가지 종류

성경에 나오는 기도의 10가지 종류         기도는 우리가 하나님과 연결될 수 있는 가장 친밀한 방법 중 하나이다. 기도할 때 우리의 감정, 생각, 깊은 걱정과 두려움, 그리고 감사한 것을 하나님께 공유하게 된다. 또한 기도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하시는 바를 듣고 성령께서 우리의 걸음을 인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도의 한 가지 매력적인 특징은 세상의 아무도 똑같이 기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미 기독교 사이트 바이블스터디툴즈( Biblestudytools)는 성경에 나오는 기도의 10가지 종류를 소개했다.1. 경배의 기도"다 여호와의 이름을 찬양할찌어다 그 이름이 홀로 높으시며 그 영광이 천지에 뛰어나심이로다" (시편 148편 13절)이런 종류의 기도는 깊은 사랑, 존경, 그리고 감사함으..

중요한 신앙 고백서

중요한 신앙고백서 (1) 말부르그 신조1529년 독일 황제 빌립의 소집으로 말부르그 회담이 모이게 되었는데, 이 회담은 프로테스탄트 신학자들이 로마 카톨릭의 위협에 맞서 연합 전선을 구축하기 위해 모인 회담이었다. 회담 결과 삼위일체, 그리스도의 위격, 이신칭의, 세례, 선행들, 신앙고백, 세속권위 같은 교리들에 관한 전반적인 의견 일치를 표명한 15개조를 공포하였다. 그러나 , 제 15항의 성만찬에 관해서는 완전 일치를 보지 못함으로 결과적으로 프로테스탄트 진영을 분열시키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2)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The Confession of Augsburg)1530년 황제 칼 5세가 소집한 독일의회에 제출되었던 루터파 신앙고백이다. 작센선후 요한이 루터, 요나스, 부겐하겐, 멜랑히톤 등..

구약에서 죽은 자가 살아난 사례

구약에서 죽은 자가 살아난 사례  신.구약 성경 66권 중에 육신이 죽은 자가 살아나는 얘기는 전체적으로 8번이나 나온다.구약에 2번 그리고 나머지 6번은 신약에 실려 있다. ① 사르밧 땅의 과부아들(왕상17:17-24)② 수넴 여인의 아들(왕하4:17-37) ③ 유대 관원인 야이로의 딸(막5:22-43)④ 나인성의 청년(눅7:11-17)⑤ 나사로(요11:17-44) ⑥ 여 제자 다비다(행9:36-43)⑦ 졸다가 떨어져 죽었던 유두고(행20:7-12)*  예수님(마28:6; 막16:6; 눅24:6; 요20:14) - 부활하심등이 죽었다가 살았으나 부활은 아니다. 예수님이 부활의 첫 열매이기 때문이다.그들은 죽었다가 소생했을 뿐 부활의 몸을 받은 것이 아니었다.구약에 나오는 2번의 죽은 자를 살린 얘기는 ..

사단의 이름과 특징

사단의 이름과 특징         사단의 이름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에는 고유한 이름이 주어져 있습니다. 이름은 서로 다른것과 구별짓는 가장 편리한 방법입니다. 본명이든 별명이든 간에 이름은 그 사람을 한정지어 줍니다. 이름이 밝혀지면 그 사람의 됨됨이도 자연적으로 연상이 됩니다.성경에는 사단도 여러 가지 이름으로 나타나 있는데 그 이름들은 한결같이 사단의 성격을 잘 나타내 주고 있습니다. 사단이란 이름은 히브리어를 그대로 음역한 것이며 우리말로 의역하면 방해자, 대적자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⑴ 사단 : 누가복음 10장 18절⑵ 마귀 : 마태복음 4장 1절⑶ 계명성 : 이사야 14장 12절⑷ 뱀 : 고린도후서 11장 3절⑸ 용 : 요한계시록 12장 9절⑹ 벨리알 : 고린도후서 6장 5절⑺ 바알세불 :..

사단의 하는 일

사단의 하는 일  하나님을 대적하는 사단은 잠시도 쉬지 않고 자기의 일을 분주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혀 불가능해 보이는 일도 약간의 틈만 있으면 이를 거점으로 조금씩 세를 확장하여 결국 이루고 마는 것이 사단의 끈질긴 습성입니다.그러므로 사단에게 잠시라도 틈을 보이면 유혹에 넘어가게 됩니다.⑴ 죄를 세상으로 끌어들임사단이 자기 관점에서 자평할 때 가장 큰 업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아마 죄를 세상으로 끌어들인 일일 것입니다. 피조물들, 특히 인간을 통하여 경배 받기를 원하시는 하나님은 자신의 형상을 닮은 인간을 창조하신 후 그들에게 자유의지를 주어 하나님의 분부를 따르도록 선한 길로 인도하셨건만 선택이라는 자유의지와 유혹이라는 달콤한 미끼는 사단의 의도 쪽으로 손을 들어주고 말았습니다.범죄는 여러 형태로..

루시퍼라는 이름

루시퍼라는 이름  루시퍼라는 단어는 성경에 나오지 않는다.단지 킹제임스 한글 성경이 이 단어를 사용하였을 뿐이다.오늘 우리 한국의 기독교계 내에서는 루시퍼 사상에 관해 너무나 잘못된 인식을 하고 있는 것 같다. 예를 들어 루시퍼는 천사장이며, 하늘의 성가대장이었는데 타락하여 마귀(Satan)가 되었던 천사장의 이름이라는 것이다.이렇게 定說로 받아 드려지고 있는 "루시퍼=천사장=사탄(마귀)"라고 하는 이 말이 성경적으로 옳은 말인가? 이렇게 한국 교계에서 무비판적으로 받아 드려지고 있는 "루시퍼"는 천사장이며, 이는 또한 "사탄"이라고 하는 성경적으로 살펴보자.루시퍼라는 용어는 이방신화의 산물이다.1. 그리스 신화의 산물이다.(1) 루시퍼(혹은 루키훼르): 신우라노스의 손녀 에노스 여신은 "아스타이오스"라..

성경의 의의

성경의 의의    1. 성경(聖經, bible)의 의의(意義)거룩한 정경이라고 선포된 책으로,인간을 구원하시려는 하나님의 뜻이 말씀의 형식으로 기록된 하니님의 특별한 책이다(요5:39,20:31;딤후3:16,17).2. 성경의 명칭(名稱) 1) 성경(聖經)성(聖)은 히브리 말로 「코데쓰」로서 구별한다는 뜻이요, 세상을 떠나 하나님과 관계된다는 뜻이다.경(經)은 헬라말로「캐논」으로서 「곧은 자」, 「척도」, 「표준」이란 뜻이다.따라서 성경은 하나님이 계시하신 신앙의 규범으로서 신자들의 신앙과 행위에 표준이 된다(수23:6;신28:1).​2) 바이블(Bible)희랍어의 “비블리아”(Biblia)란 말에서 왔는데 이것은 “작은 책들”이란 뜻이다(계10:2,9).​3) 약속(約束, Testament)라틴어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