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03 4

제직훈련학교 훈 련 교 재

제직훈련학교훈 련 교 재    제직은 교회를 세우는일꾼이다   교회에서는 세상의 잡담, 농담, 장난,             소란, 자랑, 판단을 일절 금합니다. 교회는 혼자서 말씀보고, 둘이 모이면 찬송부르고,셋이 모이면 합심기도를, 흩어지면 전도 합시다!내 집은 만민의 기도하는 집이라(사 56:7. 막 11:17) 생명샘 교회  1. 제직의 의미와 중요성(행6:1-7)  제직! 교회를 세우는 기둥이다1. 본문은 초대교회가 부흥을 하면서 발생한 문제와 그 문제를 해결한 사건을 다루고 있다. 초대교회에서 발생한 문제의 발단은 무엇입니까?(1절) 2. 이러한 문제들을 사도들이 직접 해결하다보니 그들도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다. 그것은 무엇입니까?(2.4절) 그러자 사도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어떠한 결..

제직 세미나 자료

제직 세미나 자료I.제직 훈련을 위한 서설1.제직의 의미제직이란 교회의 직원을 가리키는 말로써 장로교회에서는 목사, 전도사, 장로, 안수집사, 서리집사를 제직이라고 부른다. 그중에 목사, 장로, 안수집사, 권사를 항존직이라고 부르며, 전도사나 서리집사는 임시직이라고 한다. 제직중에 목사와 전도사를 교역자라고 하며, 제직이라하면 장로, 권사, 안수집사, 서리집사를 의미한다.2.직분자를 세우는 목적에베소서 4:11-12에 "그가 혹은 사도로, 혹은 선지자로, 혹은 복음 전하는 자로 혹은 목사와 교사로 주셨으니 이는 성도들을 온전케 하며 붕사의 일을 하게 하며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려 하심이라"고 기록된 말씀은 교회 직분의 주된 목적을 잘 나타내고 있다.1)성도를 온전케 하기 위하여온전케 한다는 말은 일이나 사..

출애굽기의 기원과 성격

출애굽기의 기원과 성격 출애굽기라는 명칭은 구약성서의 헬라어 역본인 칠십인역(LXX)에서 나온 것이다. 본래 맛소라 텍스트(MT)는 "그리고 이름은 이러하니라"는 말로 책이름이 붙여져 있었다. 그러나 칠십인역(LXX)과 벌게이트(Vulgate)역 등 대부분의 영역본들은 '길을 떠나다' (ex + odos)라는 의미를 담아 'Exodus'라 부르고 있다. 한글 개역은 '출애굽기'라고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출애굽기는 애굽 탈출기라기보다는 오히려 성막 건축기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스라엘이 애굽에 거주할 당시의 애굽의 역사를 족장들의 행적과 관련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출애굽기는 애굽을 떠난 이스라엘 백성들의 이야기를 신학적으로 조명한 이스라엘의 신앙고백이라고 할 수 있다.출애굽기는 모세의 ..

모세 오경 2024.11.03

칼 바르트(Karl Barth)의 신학 한종희 목사

칼 바르트(Karl Barth)의 신학한종희 목사   차 례 Page 1 1. 바르트는 누구인가? 2. 바르트의 신론Page 2 3. 바르트의 창조론 4. 바르트의 기독론Page 3 5. 바르트의 종말론 6. 바르트의 부활론 1. 바르트는 누구인가?칼 바르트(1886-1968)는 스위스 바젤 태생이고, 바젤에서 생을 마감했다. 목사요 신학교 교수였던 아버지는 보수신앙을 바르트에게 심어주려고 노력했지만, 바르트는 아버지의 뜻을 따르지 않았고, 1908년 22살 때에, 말북 대학교에서 자유주의 신학자 헤르만의 제자가 되었다. 헤르만은 자유주의 신학자 니출의 제자였고, 당대에 대표적인 교의학 교수였다. 바르트는 1909년 23세에 쥬네부 개혁파 교회 목사가 되었고, 쉬라이엘마허의 책을 읽었다. 스위스 자펜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