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회사
1. 가톨릭의 전래와 박해
1) 전래
(1) 임진 왜란 때 포루투갈 신부가 종군 신부로서 일본군과 함께 입국하였다. 1594년
12월 28일에 한국 역사상 최초의 교직자인 포르투갈 신부 그레고리오 세스페데스
(Gregorio de Cespedes)가 입국하여 일본의 고메즈(Luis Gonez O.F.M) 교구장에
게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2) 실학의 발달로 마태오 릿치의 천주실의(De Deo Ver Doctrina )등이 학문적 연구
대상으로 들어옴.
(3) 1783년 이 승훈이 뻬이징에서 영세를 받고 천주교 서적을 가지고 돌아옴.
(4) 1794년 12월, 중국인 신부 주문모가 전도하다가 순교함.
(5) 프랑스인 신부들이 계속 입국하여 전도하였다.
2) 박해
(1) 1801년 신유박해...3,000명 순교.
(2) 1839년 기해박해...200명 순교.
(3) 1866년 병인 대박해... 신부 7명과 8,000명의 신도가 순교.
2. 신교의 전래
1) 선교사 전 시대
(1) 1882년 화란 선교사 구쯔라프(Gutzlaff)가 만주에서 한인에게 선교.
(2) 1865년 토머스(Robert J.Thomas )선교사의 대동강변의 순교...개신교의 첫 순교
자.
(3) 1872년 존 로스(John Ross)와 맥킨타이어(John McIntyre)가 만주에서 개척 전도
를 하며 한인에게 전도.
(4) 1876년 외국에서 한국인 첫 세례 받음 - 백 홍준, 이 응찬, 이 성하, 김진기
(5) 1882년 로스역 성경 (누가,요한복음)의 발행 반포.
(6) 1883년 송천에 최초의 교회가 설립되었다.
(7) 1882년 12월 신사 유람단으로 이 수정이 일본에 가서 입신, 성경 번역.
2) 선교사의 입국
(1) 1884년 알렌(Allen) 의사 부부가 입국하여 의료 선교 실시.
(2) 1885년 언더우드와 아펜셀러가 정식으로 입국하여 선교사업 시작.
(3) 계속하여 각 교파 선교사들이 입국하여 전도에 열심을 다하였다.
3. 네비우스 방법
1) 발단
1890년 6월경 중국 산동성 주재 네비우스(John Nevius)선교사를 초청하여 선교 방법
을 듣고 한국 교회 선교의 기본 원칙을 정하였다.
2) 방법
개인 전도, 교회 자치, 학교 설립(교육 강조), 교회의 자급 운영, 기독교 윤리 엄수,
의료 전도, 사경회 실시, 여자 전도, 모든 기독교 서적을 한글로 출판. 기도 생활.
3) 결과 (자립 전도, 자치, 자급)
(1) 한국 교회는 자립하는 교회가 됨 (2) 성경 중심의 교회
(3) 기도하는 교회 (4) 전도하는 교회 (5) 교육하는 교회
4. 장로교 총회 조직
1) 선교사 공의회
(1) 1885년 이미 내한한 북장로교 선교사 5명이 북장로교 선교사회 조직.
(2) 1889년 오스트레일리아 선교사 데이비스 목사와 연합공의회 조직 (이듬해 데이
비스 목사의 사망으로 자연히 폐지)
(3) 1892년 남장로교 선교사들이 내한하여 1893년 <장로회 정치를 사용하는 미션회>
가 조직.
(4) 1898년 캐나다 장로교 선교사, 오스트레일리아 선교사의 내한으로 계속 합류.
(5) 이때까지 친목 단체 구실을 했다.
2) 조선 예수교 장로회 공의회
(1) 1901년 선교사와 한국인 총대가 참석하여 공의회 조직.
(2) 회원... 장로 3인, 조사 6인, 선교사 25인.
(3) 결의...a) 평양에 대한 예수교 장로회 신학교 설립.
b) 한국 자유 장로회 설립을 위한 위원 선출.
3) 독노회
(1) 1907년 9월 17일 평양 장대현 교회에서 <대한민국 예수교 장로회 노회> 조직.
(2) 신학 졸업생 7명에게 첫 목사 안수 - 서 경조, 한 석진, 양 진백, 길 선주, 이
기풍, 송 인서.
(3) 제주도에 선교사 파송 - 이 기풍 목사.
4) 예수교 장로회 조선 총회
(1) 1907년 독노회 조직 이후 교회가 계속 발전하여 7개 노회로 분할하는 동시에
총회 조직.
(2) 1912년 9월 1일 평양서 조직.
(3) 총회 조직 기념으로 중국 산동성에 선교사 파송....<역대 선교사> 김 영훈, 박
봉로, 사 병순(1913), 박 상순, 홍 승한, 방 효원, 이 대영, 방 지일, 김 호순
(여)
5. 기독교 조선 감리회 창설
1) 선교사의 내한
(1) 1885년 아펜셀러 입국 후에 남북 감리교회에서 선교사 계속 파송.
(2) 1927년부터 합동 운동이 일어나 미국 남,북 감리회 총회의 승인을 받아 조선 감
리 교회를 조직토록 하였다.
2) 조직
(1) 1930년 12월 2일 제 1회 총회가 서울 협성 신학교에서 개최되어 제1대 총리사
로 양 주삼 목사 피선.
(2) 1934년 선교 50주년 기념식 거행.
6. 1907년 부흥운동
1) 발단
(1) 네비우스 방법으로 사경회와 성경 연구열이 고조되었다.
(2) 원산에서 모인 선교사들이 수양회에서 성령의 역사 체험.
(3) 1907년 1월 평양 장 대현 교회에서 부흥 운동이 일어남.
(4) 길 선주 목사 인도의 부흥회로 새로운 영적 각성 운동 전개.
2) 결과
(1) 남녀 노소, 유무식자, 선교사, 국내 교역자, 신구 신자를 막론하고 성령의 감화
를 받음.
(2) 각자의 죄를 통해 자복하므로 화해와 사랑의 분위기 조성.
(3) 새로운 사랑과 봉사의 능력을 받음.
(4) 학교는 2주간 휴학하고, 일반은 사무 중지, 상가는 철시하여 기도에만 힘씀.
7. 백만명 구령 운동과 전진 운동
1) 백만명 구령운동 (Million Souls For Christ)
(1) 발단(1910-1911)
a. 1910년의 한일 합방으로 좌절감에 잠긴 백성들에게 영적 각성을 줌.
b. 민족의 활로로서의 교회의 사명 자각.
(2) 결과
a. 전도 헌신 일수가 연 10만일이 되었고, 70만권의 마가복음을 배포.
b. 일본 총독부의 교회 탄압의 기회가 되었다 - 105인 사건.
2) 전진운동
(1) 발단
a. 1919년 삼일운동이 일어나자 민족 대표 33명중 16명이 기독교인이었고, 조직,
동원의 모체가 교회였다.
b. 3.1운동으로 교회 피해는 극심하였다. 장로교만 해도 체포된 목사와 장로가
134명, 교인 3,804명, 사살 교인 47명, 재산 피해 약 3만 달러.
(2) 경과
a.장로 교회의 <전진운동> (The Foward Movement), 감리교회의 <백년 전진>(
The Centenary Advance)등을 조직적으로 전개.
b. 주일학교 운동이 활기를 띄다. 1920년 <주일학계> 잡지 발행, 1921년 전국 주
일학교 대회 개최.
c. 김 익두 목사의 신유, 부흥 운동으로 새로운 영적 감화를 끼침.
8. 신사 참배 강요와 수난
1) 강요
(1) 1934년 선교 50주년 희년 행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2) 1935년 가을 숭실 전문학교장 맥큔(George S.Mccune, 윤 산온)이 평남 지사에
서 신사 참배 강요를 받았다.
(3) 1938년 9월 10일 조선 예수교 장로회 제27회 총회에서 신사는 종교가 아니고
국민의식이라 하여 참배키로 결의하였다. (1954년 제39회 총회가 안동에서 모여
27회 결의를 취소)
2) 수난
(1) 1943년 장로회 총회가 해산되고 일본 기독교단 조선 교단으로 변함.
(2) 1943년 성결교, 안식교, 침례교를 폐쇄
(3) 주 기철, 최 봉석 등 수 많은 순교자와 진리의 파수를 위해 옥고를 당한 많은 산
순교자를 내었고, 한국 교회의 대 수난기가 되었다.
9. 교회의 분열과 합동
1) 장로교의 제1차 분열
(1) 1946년 9월 고려 신학교 개교.
(2) 출옥 성도들의 교회 재건안과 일제시 일본 신도에 귀의했던 교직자 사이의 알력.
(3) 1952년 9월 11일 고려파 총회를 따로 세움.
2) 장로교의 제2차 분열
(1) 1938년 9월 30일 평양 신학교가 신사참배 문제로 무기 휴학.
(2) 1939년 가을, 서울에서 조선 신학교 개교.
(3) 해방후(1947년) 조선 신학교의 자유주의 신학에 불만을 품은 조선 신학생 51명
의 진정서가 총회에 제출되었다.
(4) 자유주의 신학(김 재준 교수 주도) 문제로 1953년에 기독교 장로회가 설립되
었다.
3) 장로교의 제3차 분열
(1) 1959년 9월 대전서 모인 제44 회 총회에서 wcc문제와 경기노회 총대권 문제 등
으로 분열.
(2) 교권과 선교사의 작용 등 여러가지 이유로 세칭 승동측과 연동측으로 분열되었
다.
4) 감리 교회의 분열과 합동
(1) 1945년 가을, 감리교 재건 중앙 위원회를 조직하여 재건을 논의하였으나 소위 부
흥파와 유지파로 분열 되었으나 1949년 3월 <기독교 대한 감리회>로 합동하였다.
(2) 1954년 3월 감독 선거로 호헌파가 생겼으나 1959년 3월 재합동.
(3) 1975년 총리원측과 총회측으로 분열되었으나 재합동 운동이 계속 일어나고 있
다.
5) 성결 교회의 분열과 합동
(1) 1943년 12월 29일 총회 해산.
(2) 1945년 11월 9일 재건 총회.
(3) 1960년에 연합기관 문제로 분열하여 기독교 성결교회는 동양 선교회(O.M.S)와
관계를 맺고, 예수교 성결 교회는 I.C.C.C와 관계를 맺고 있다.
6) 장로교의 합동 운동
(1) 승동측과 고신측의 합동
a. 신학,주장,대외 관계가 같으므로 1960년 12월에 합동하여 이른바 합동측을 형
성.
b. 1962년 고신측 인사들 가운데 환원하여 고신측을 다시 형성.
(2) 합동측과 통합측의 합동 모색
a. 1965년에 급진되었고, 쌍방 총회가 위원을 선출하고 합동 원칙, 세칙까지 작
성하고 1968.3.1일 오후 2시에 대전에서 합동 총회를 개최키로 하였으나 통합
측이 여러가지 이유로 참석하지 않아 백지화 되었다.
10. 교회 성장 운동
1) 운동의 의의
민족 복음화 운동, 전군 신자화 운동, 빌리그래함 전도 대회, 엑스폴로 74, 선교 1
백주년 향한 교회 성장 운동, 77민족 성회등 일련의 전도운동을 통해 기독교의 자 원
집중과 민족복음화에 새로운 역사를 이룸.
2) 운동의 확산
각 교단, 단체, 개인을 막론하고 새로운 개척운동과 전도운동은 안으로는 민족 복음
|
|
'한국교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국 교 회 사 (0) | 2020.08.27 |
---|---|
한국장로교단의 분열 쓴이: 이천우 (0) | 2020.04.29 |
한국교회사 (0) | 2020.04.09 |
최근 한국 교회사 연구 흐름-사관과 방법론을 중심으로- (0) | 2020.04.08 |
한국기독교사 연구의 어제와 오늘 (0) | 2020.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