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842

“유신진화론, 2천년 표준교리 부인하고 복음 훼손”

“유신진화론, 2천년 표준교리 부인하고 복음 훼손” [2019.12.16 18:35] 제3회 교진추 학술심포지엄서 김병훈 교수 발표 하나님의 창조와 섭리 활동 혼동 아담과 하와 인류의 조상임 부인 창조와 죽음과 타락 관계 허물어 다음세대 구원 이끄는 데 어려움 ▲김병훈 교수가 강의하고 있다. ⓒ이대웅 기자 14일 열린 제3회 교과서진화론개정추진회(교진추) 학술심포지엄에서는 임번삼 박사(전 고려대 객원교수)에 이어 김병훈 교수(합동신대)가 ‘진화론이 기독교 신학에 미친 영향’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김병훈 교수는 “기독교 신학자들 사이에 ‘유신진화론(진화창조론)’을 주장하는 이들이 점점 많아지는 까닭은, 이들이 믿기에 유신진화론이야말로 오히려 성경에서 말하는 하나님의 창조신앙을 잘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이..

신학 2020.06.17

개혁신학과 WCC 에큐메니즘

[개혁신학과 WCC 에큐메니즘-① WCC 역사와 신학] ‘오직 성경’ 최후 보호막마저 열었다 정준모 목사(대구성명교회·대신대 교수) 2010년 01월 19일 (화) 15:43:04 기독신문 ekd@kidok.com ▲ 정준모 목사 제10차 WCC 총회 부산 유치가 결정된 뒤 한국교회가 혼란에 빠졌다. WCC가 종교다원주의라는 성명서가 잇따라 발표되고, 심지어 WCC 총회를 반대한다는 입장까지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본지는 WCC의 역사와 신학은 물론 종교다원주의와 개혁신학 등을 살펴보고 한국교회가 나갈 방향을 설정하고자 정준모 목사의 특별기고를 4회에 걸쳐 게재한다.〈편집자 주〉 1. 들어가는 말 지난 해 9월, 제10차 WCC 총회가 대한민국 부산 개최로 선정된 이후 한국 교계의 신학적 뜨거운 감자로..

신학 2020.06.13

기독교 신학을 생각한다(18) – 성경의 시녀인 신학

기독교 신학에 내재된 문제(8)/기독교 신학을 생각한다(18) – 성경의 시녀인 신학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라면 신학은 그 말씀에 대한 인간의 학문적 연구 결과이다. 성경은 완전하고 변함없는 진리를 말하지만 신학은 이를 불완전하게 해석할 수 있다. 어느 신학자나 교회도 자신의 해석이 완전하다고 말할 수 없다. 교회처럼 신학도 날마다 개혁되어야 한다. 특정 교단이나 교파의 신학이 완전할 수 없고 성경의 가르침에 비교적 가장 근접한 신학만 있을 뿐이다. 선지자들과 사도들이 성경을 기록했다(엡3:5절). 선지자는 물론 사도들은 구약 성경에 정통한 히브리 인들이었다. 창조주 하나님을 믿는 히브리 인은 일원론자이다. 사도들은 헬라 철학의 이원론을 절대로 용인하지 않았다. 시대의 요구에 따라 헬라 문화와 언어를 이..

신학 2020.05.17

성경해석학/뽈 리꾀르의 신학적 해석학 이창용(평택대 신대원)

성경해석학/뽈 리꾀르의 신학적 해석학 이창용(평택대 신대원) 1. 들어가는 말 프랑스의 대표적 해석학자 뽈 리꾀르는 철학적, 신학적 작업을 통해 아주 인상적인 사상의 길을 왔다. 리꾀르는 인간의 의지, 악, 신화와 상징, 은유와 이야기 등의 다양한 주제와 실존주의, 현상학, 구조주의1), 정신분석학, 이데올로기 비판, 분석 철학 등의 현대철학의 방법들을 해석학의 관점에서 종합하려는 연속의 시도를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의 사상은 끊임없는 ‘해석의 모험’이라고 불려질 수 있다. 리꾀르의 신학적 해석학2)에 관한 논문들은 성서해석학, 성서해석의 논구를 통해 영어로 번역, 편집되었고, 불어로는 구조주의 해석학과 논쟁을 담은 성서주석과 해석학과 주로 90년대의 논문들이 수록된 으로 편집되었다. 리꾀르의 신학..

신학 2020.04.29

성령론 논쟁(허마스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성기호

성령론 논쟁(허마스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성기호 (성결대 명예총장) 여러 차례에 걸친 교회 회의를 통해 기독론에 관한 정통 교리가 확립됨으로 성자(聖子)이신 그리스도의 1인격 2성 2의(1人格 2性 2意)가 확정되었다. 즉 몸을 입고 사람이 되어 땅에 오신 그리스도는 한 인격체요, 신성과 인성을 동시에 가지고 계신 참 하나님이며 참 사람이시고, 한 인격인 그리스도 안에는 인간의 의지와 하나님의 의지가 동시에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고 교리로 채택되었다. 그러나 성령에 관하여는 오늘날 우리가 신앙을 고백하는 사도신경에 나타난 것과 마찬가지로 니케아 신조(325년에 채택)에도 "그리고 성령을 믿사오며(And we believe in the Holy Spirit)"라는 간단한 언급밖에 되어 있지 않았다.[J...

신학 2020.04.29

신복음주의의 발생과 발전

신복음주의의 발생과 발전 A 신복음주의의 발생 우리는 신복음주의를 잘 연구해야 한다. 그러면 신복음주의란 무엇인가? 여기에 대한 정의는 사람에 따라서 달리 해석이 된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두 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하나는 신복음주의의 친구들에 의한 정의이고 다른 하나는 신복음주의의 반대자들에 의하여 주어진 정의이다. 이 신복음주의는 어떻게 발생하게 되었는가? 그 원인을 먼저 알아야 할 것이며 그 원인을 알려면 또한 1900년부터 1930년 어간의 미국 장로교 역사를 알아 보아야 할 것이다. 미국에 있어서 1900년과 1930년 어간에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배교운동이 일어나 강하게 발전되었고 이에 맞서 근본주의자들의 단체가 생겨 그들과 투쟁을 전개한 시기였다. 그래서 1910년에는 자유주의도 근본주의도..

신학 2020.04.29

"종말이란 무엇인가"

"종말론" 제1번 "종말이란 무엇인가"-정지련 교수-감리교 인천성서신학원 교수)--발췌 임재복추천 0조회 918.07.10 21:53댓글 1 북마크기능 더보기 게시글 본문내용 1. 종말론이란 무엇인가? 정지련-감리교 인천성서신학원 교수 1. 서론 종말론이란(Eschatology) 세상의 마지막 때 일어날 일들에 관한 교리체계를 지칭한다. 이 개념은 본래 그리스도교의 교리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신학 용어였지만 현대 종교학자들은 다른 종교에 나타나는 유사한 주제들을 종말론이란 용어로 설명하기도 한다. 예를 들자면, 엘리아데(M. Eliade)는 고대 종교의 제의에서 세상의 마지막 때 창조의 원초적인 시간이 재생된다는 영원회귀의 신화를 발견하고 이것을 신화적 종말론으로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그리스도교의 종말론..

신학 2020.04.20

삼위의 개별적 연구

삼위의 개별적 연구 삼위(三位)로서 존재하시는 하나님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는 힘들지만, 각 위별로 개별적으로 연구하는 일은 어느 정도 용이하다. 그러나 삼위는 완전히 구분되는 존재가 아니다. 1) 성부(聖父) (1) 명칭 - 그분에 대한 주요한 이름인 ‘아버지’는 만물의 창조자이시며(욥 1:6; 2:1; 눅 3:38), 구약 선민(選民)을 보호하시며(신 14:1; 사 63:16), 신약 신자들의 구원자이심(요 1:12; 롬 8:15)을 표현한다. (2) 사역 - 성자를 발생하시며 성령을 발출하신 내향적 사역과 만물 창조와 구속을 계획하며 보전 섭리하시는 외향적 사역이 있다. 2) 성자(聖子) (1) 명칭 - 제 2위이신 그리스도에 대한 가장 중요한 명칭은 ‘아들’이다. 그는 성육신 이전부터 아들로 언급되..

신학 2020.04.11

인간론 / 논문신학성경

인간론 / 논문신학성경 1. 인간의 기원(Origin) 인간은 범죄함으로 말미암아 멸망 받을 수밖에 없는 존재가 되었다. 현재와 같이 타락한 상태의 인간을 바로 깨닫기 위해서는 범죄 이전의 인간에 대하여 알 필요가 있다. 특히 어떻게 하여 인간이 이 세상에 존재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지식이 요구되는 것이다. 1. 창조론 성경은 하나님의 6일간 창조 사역의 마지막 날 인간 창조가 이루어졌다고 단언한다. 인간 창조 이전의 창조는 모두다 인간을 위한 것이었다. 1) 인간 창조의 특징 인간은 다른 피조물과는 확연히 다른 과정과 방법으로 창조되었다. (1) 특별한 계획에 따른 창조 - 인간의 창조는 삼위 하나님간의 엄숙한 계획의 결과 였다(창 1:26). 이는 다른 창조보다도 인간 창조의 중대성을 보여 준다. (2..

신학 2020.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