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842

종말론

종말론 1. 개인 종말론 현재의 세상 곧 아담의 범죄의 영향으로 오염된 이 우주가 그리스도의 재림과 연이은 심판으로 완전 폐지되고 새 하늘과 새 땅이 도래되는 역사 종말 외에도 인간 각 개인의 영,육이 분리됨으로 인하여 현세의 세상과는 관계를 끊게 되는 개인적 종말이 있다. 1. 육체적 죽음 1) 육체적 죽음의 정의와 필연성 (1) 육체적 죽음의 정의 - 육체와 영혼의 분리를 말한다(요 19:50). 이때 육체는 그 기능이 정지된 채 흙으로 돌아가고, 영혼은 별도의 지정된 곳으로 간다(전 12:7). (2) 육체적 죽음의 필연성 - 원래의 인간에게는 눅음이 없었으나, 죄를 범함에 따라 하나님이 진노하시므로(시 90:7) 그 심판의 결과(롬 1:32; 5:16; 갈 3:13) 필연적인 죽음이 오게 되었다(..

신학 2020.04.11

여성론 ( 여자에서 결혼까지 )

여성론 ( 여자에서 결혼까지 ) 1. 여자의 근본 1)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인간 여자는 인간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이는 인간으로서 남자와 비교할 때 한 가지라도 비하 될 수 없는 인격체라는 사실입니다. 남존여비 사상이나 가부장제도적 사고는 성경에 맞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형상을 입고 창조되었다 함은 하나님의 창조성과 그 성품을 가졌다는 것입니다. (창 1:27)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고전 11:12)여자가 남자에게서 난 것 같이 남자도 여자로 말미암아 났으나 모든 것이 하나님에게서 났느니라 2) 남자 갈빗대 하나로 지음 받음 남자의 갈빗대 하나로 중심 하여 사람을 지으셔서 여자로 칭하셨습니다. 이는 여자의 근거가 남자에..

신학 2020.04.11

-내세론 연구-

-내세론 연구- 송 기 호 박사 예장연합장신총회 총회장 총회신학·신학연구원 원장 -내세론 연구-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분들의 건강과 무궁한 발전을 기도드립니다. 본인은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연합장신)의 총회장으로서 예나 지금에서 가장 시급한 과제인 내세론의 문제를 복음신문을 통하여 연재를 하고자 합니다. 내세론의 서론격인 부분을 시작으로 앞으로 본격적인 내세론에 대해 기술될 예정이오니 여러분들의 연속적인 기도와 편달을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이 내세론의 문제는 사후의 세계의 문제로서 과연 “사후의 세계는 있는가” 함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니 바른 이해가 반드시 있어야만 합니다. 거두절미하고 이는 “천국과 지옥은 있는가? 아니면 없는가?” 그리고 이어서는 “낙원과 음부는 있는가? 아니면 없는가” 함의 ..

신학 2020.04.11

구원의 5대 교리

구원의 5대 교리 프랑스의 위대한 개혁자 '죤 칼빈'(John Calvin, 1509-1564)은 교회사(敎會史)에서 전무후무(前無後無)한 정통기독교리를 체계화시켰다. 그의 성경중심주의와 절대주권사상의 개혁의 물결에 로마 카톨릭은 힘을 잃게되고, 개혁주의 장로교회(Presbyterian Church)라는 대의민주제(代議民主制) 아래 제네바를 기점으로 교회는 날로 새로워져갔다. 그런데 칼빈이 소천(召天)된 후 40년이 지난 1603년 경 어느 날, 개혁주의 신앙의 본산지인 네델란드에 정부 관리출신인 코른헤르트(Coornhert)라는 사람이 나타나서 칼빈주의의 '주권', '예정' 등을 반박하는 글을 써서 정부에 올림으로써 파문이 일기 시작했다. 이 소식을 들은 칼빈의 수제자 '베자'(Deodore Beza)..

신학 2020.04.11

현대신학의 연구 방법

현대신학의 연구 방법 현대신학은 조직신학, 교회신학, 성서신학, 실천신학등 여러 분야에서 접근할 수 있는 학문이다. 이 글은 조직신학적 입장에서 현대신학을 접근하였다. 그런데 현대라는 특수성은 이들 분야가 엄밀하게 구분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현대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아직 시기적으로 이르며, 교회사학의 한 분야인 교리사는 결국 조직신학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조직신학이 이론 뿐만 아니라 실천을 강조하는 추세에 있음으로 실천신학적인 관심을 고려하여야 하며, 성서의 현대적 의미를 강조하는 성서학자들이 점중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이들 분야들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Ⅰ. 현대신학의 연구 방법 현대신학을 연구하기가 어렵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그 몇가지 이유를 들면 다음과 같다..

신학 2020.04.09

현대신학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이상직(호서대 교수)

현대신학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이상직(호서대 교수) 현대신학은 조직신학, 교회신학, 성서신학, 실천신학등 여러 분야에서 접근할 수 있는 학문이다. 이 글은 조직신학적 입장에서 현대신학을 접근하였다. 그런데 현대라는 특수성은 이들 분야가 엄밀하게 구분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현대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아직 시기적으로 이르며, 교회사학의 한 분야인 교리사는 결국 조직신학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조직신학이 이론 뿐만 아니라 실천을 강조하는 추세에 있음으로 실천신학적인 관심을 고려하여야 하며, 성서의 현대적 의미를 강조하는 성서학자들이 점중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이들 분야들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Ⅰ. 현대신학의 공부 방법 현대신학을 연구하기가 어렵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

신학 2020.04.09

실천신학개론

실천신학개론 강의1 - 실천신학 개론 (I) I. 종교(Religion): A. 전통적 견해 - 종교란 믿는 것(신조, belief) 이다. B. 슐라이어마허 (Friedrich Schleiermacher) - 종교란 느끼는 것(feeling)이다; 19 세기에 그는 종교 의 핵심이 신조나 윤리적인 것이 아니라, 느끼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C. Millard J. Erickson - 종교란 믿는 것(신조), 느끼는 것, 혹은 태도(경험), 생활방식(예법)등을 종 합한 것이다. II. 신학(Theology) A. 어원(Therminology): 그 어원은 헬라어의 하나님(theos-God) + 말씀(logos-word, discourse, doctrine)이란 단어에서 유 래된 합성어이다. B. 원천(so..

신학 2020.04.09

한국 오순절 성령운동의 신학적 평가 김경재 교수

한국 오순절 성령운동의 신학적 평가 김경재 교수(한신대 신학과 / http://soombat.org) I. Introduction 이 논문은 한국의 오순절교회의 성령론과 그 선교운동을 세계교회 협의회의 '바아르선언문'(Baar Statement)의 열려진 성령론에 근거한 새로운 선교신학의 관점에서 평가하려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한국의 오순절 교회운동중에서 1960-90년대 불과 30년동안 단위 개체교회로서 회중교인수 13만명에 이르는 놀라운 교회성장을 이룩한 한국하나님성회(The Korean Assemblies of God) 교단의 조용기목사가 이룩한 한국오순절교회운동의 본질을 그의 성령론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신학적으로 평가하려는 것이다. 이 논문의 중심 논제는 한국 오순절교회운동의 놀라운..

신학 2020.04.09

Narrative Theology (이야기 신학) 이성호

Narrative Theology (이야기 신학) 이성호 이성호 "이야기 신학"은 현재 학계에서 가장 인기있는 신학방법이다. 이야기신학은 정의하기가 그렇게 쉽지 않지만 "이야기"를 신학을 표현하는데 가장 적절한 양식으로 생각하는 것에는 일치하고 있다. 이야기 신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신학이 무슨 이야기냐라"고 의아하겠지만, 성경 자체가 이야기라는 카테고리에 들어간다는 점을 인식한다면 우리는 이야기를 긍정적인 관점에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야기 신학의 대가로서는 Hans Frei를 들 수 있는데 그는 본문 자체를 강조하는 "신비평주의"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사람이었다. 그는 근대의 역사 비평적 성경해석이 성경의 의미를 성경 안에서 찾지 않고 역사적 상황 속에서 찾으려는 오류를 범하였다고 비판하였다...

신학 2020.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