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842

이원론 VS 혼합주의

이원론 VS 혼합주의 1. 죄 많은 이 교회로 충분한가? “예수를 안 믿는 것이 한국교회의 가장 큰 문제다.”( 188호(2006. 7. 15), 28) 내 친구 구교형 목사가 어느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예수를 믿는다면 이런 식으로 교회 다니고, 세상에서 살겠느냐고 한마디 덧붙인다. 가슴 아프지만 가장 정확한 한국교회 진단이 아닐 수 없다. 자기를 부인하고 예수의 뜻을 좇는 것이 신앙의 근본인데도, 예수를 부인하고 자기의 야망을 추구하는 것이 현실이 된지 오래다. 이제 “한국교회는 자기가 믿고 싶은 것을 믿는 것이 아니라 예수를 믿어야 한다.” 그의 언사가 자기 부인의 정도를 넘어서 자기 학대가 아닌가라고 반문할 수 있다. 하지만 적은 언제나 내부에 존재하는 법이다. 한국교회를 무너뜨리는 것은 외부의 ..

신학 2021.03.29

복음주의와 신복음주의의 차이점

복음주의와 신복음주의의 차이점 복음주의는 역사적으로 16세기 루터의 교회개혁 이후 루터교회와 개혁교회를 중심한 기독교회들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었다. 기독교회들을 복음주의라고 부른 것은, 신약성경에 밝히 증거된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의 복음을 왜곡시키고 복음 대신에 성례나 신자의 공로적 선행을 가르쳐왔던 로마 가톨릭과 구별하기 위해서이었다. 이와 같이, 복음주의는 역사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의 복음을 믿는 입장, 곧 성경적 기독교를 가리키는 용어이었다. 20세기 초 자유주의 신학이 교회들에 퍼지기 시작하고 미국에서 1940년대 소위 '신복음주의' 운동이 일어나기 전까지도 복음주의는 전통적 교회의 입장을 대변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그런 의미에서는 성경의 근본 진리들을 수호하는 전투적 입..

신학 2021.03.29

성경 교리란 무엇인가?

성경 교리란 무엇인가? 교리[敎理] 1. 교리(doctrine)란 무엇인가 “교리”는 각 종교나 교단이 자체적으로“진리”라고 규정한 원리 즉 원리나 이치를 말한다. 성경에서“교리”는 헬라어로“디다케Didache”또는 “디다스칼리아didaskalia”를 번역한 것인데“교사, 스승”을 의미하는 말로“가르쳐진 교리, 가르침, 교훈”을 의미한다. 한자로는 (敎 가르칠 교, 理 이치 이)이며, 영어로는doctrine(독트린) 이다. 2. 일반적으로 교리란? ① 신조(信條), 정책(政策), 주의(主義), 원칙(原則)을 말한다. ② (정부정책상의)원칙, 독트린(doctrine) 즉 교리(敎理), 교훈(敎訓), 주의(主義),학설(學說),따위의 뜻으로, 국제 사회에서 한 나라가 공식적으로 표방하는 정책상의 원칙을 말한다..

신학 2021.03.18

조직신학을 신론으로부터

조직신학을 신론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통적인 신학자들이 단순한 논리적 순서로서의 가치를 뛰어넘는 의미를 부여하는 것 같다. 루이스 벌코프는 "교의학 혹은 조직신학에 관한 연구는 대개 신론으로부터 시작한다. (중략) 만약에 우리가 신학을[이] - 만유의 시작이며, 근거이며, 귀착점인 - 하나님에 관한 체계적인 지식이라는 전제를 계속 밀고 나간다면, 신론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은 충분한 이유가 있다.(중략) 19세기초에 이르기까지는 교의학 연구를 신론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거의 일반적인 관례였었다. 그러나 슐라이에르마허(Schleiermacher)의 영향으로 인하여 변화가 일어났는데, 그는 새로운 방법을 소개함으로써 신학의 학문적인 특성을 보장하려고 노력했다. 인간의 종교적 의식이 신학의 자료로서의 ..

신학 2021.03.05

교의신학(敎義神學)신학이란 무엇인가?

*교의신학(敎義神學)신학이란 무엇인가? 교의신학 [한] 敎義神學 [라] theologia dogmatica [영] dogmatic theology 종교개혁 이전에는 교인들이나 신학자들이나 아무에게도 성경연구나 신학연구가 교황청에 의해서 차단되어 있던 시대였다. 종교개혁이 일어난 1517년 이후부터 성경연구나 교의학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개혁자들에 의해서 세워진 개신교들에게서 채택한 교의자료의 분류를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교의신학(敎義神學)의 개념 : 교의신학 또는 교리신학(敎理神學)이라고 번역되는 theologia dogmatica는 조직신학(組織神學)의 분과이다. 본래 ‘dogma’ 즉 주장, 결정, 지령, 원리 등의 뜻을 가진 단어가 성서에서는 법령이라는 뜻으로(행17:7, ..

신학 2021.02.08

요약 조직신학

요약 조직신학 I. 서론(序論,Introduction) 인간 구원의 진리를 체계화한 교리의 세부 내용을 고찰하기 전에 먼저 정확 무오한 교리는 어떻게 확정할 수 있는가 하는 방법론의 문제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정확한 방법론이 먼저 규정되어야만 그 방법론에 의해서 정리된 교리가 신빙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방법론을 다루는 서론은 기독교 인식론과 정확 무오한 교리의 절대유일의 근거로서 하나님의 계시인 성경의 여러 속성에 대하여 다룬다. 1.교리(敎理)가 필요한 이유 1. 이단(異端)의 극복 성경적이지 못한 ‘다른 복음’(갈 1:6-9)을 가려낼 수는 지침으로서 필요하다. 2. 신앙 성숙 성경 진리의 조직화는 성숙한 사고와 바른 행동을 가능케 한다. 3. 성경의 건전한 연구 성경의 전체 맥락..

신학 2020.12.07

기독교 논증신학

기독교 논증신학 1. 논객논파 먼저, 이 논증신학의 강의를 쓰면서 하나님께 감사드린다. 자가당착일지 모르지만 한국교회 부흥 제1세대라고 할까?! 출발은 좋았는데 어느 시점에 와보니 하나님의 계산법에 전혀 맞지 않아 추락하는 자들이 너무 많아졌다. 그래서 후배들에게 다시는 이런 길을 가지 말아야 한다는 진심어린 부탁으로 제3강에서 “논증신학”을 논파한다. 내가 걸어온 길이 실패라고 생각되었던 때도 있다. 하지만 참 다행이다. 그 이유는 하나님은 일찍이 나에게 “내로라!” 하는 인기도 주지 않으셨고, 또 나 스스로 그 인기에 메이지도 않았다. 나중에 한 테마로 접근하여 강의하겠지만 기독교 안에도 많은 마술들이 성행해왔고, 거기에 편승하여 “잘 하면 성공한다.”는 자본주의 대열에 끼어들만한 인물도 못되었다. ..

신학 2020.11.12

고대시대의 교회의 신학논쟁

고대시대의 교회의 신학논쟁 1. 영지주의 vs 이레니우스 처음 2세기의 이단은 영지주의였다. 이들은 3세기에도 존재하였는데, 3세기에 이르러서는 특별히 마니교가 매우 주요한 이단으로 떠올랐다. 당시 이교에서 발생한 영지주의는 기독교 내에 들어와 종교적 혼합주의를 추구하였다. 고대의 세계는 정신적 자원이 고갈되고, 극심한 기근, 구원의 결핍으로 죽어 가고 있었다. 그러는 동안 기독교가 보여주는 갱생과 감화력은 이들에게 기쁨을 주었다. 그러나 이들은 십자가의 어리석음을 전하는 기독교에 만족하지 못하였다. 이교의 정교한 예배 의식에 친숙했던 이들은 교회의 예배가 무미건조하고 아무런 효험도 없는 것으로 보였다. 그리하여 영지주의자들은 이교의 여러 종교와 기독교를 한데 결합시킴으로써 당시의 이러한 모든 형편을 타..

신학 2020.11.12

기독교 변증학 (Christian Apology)

기독교 변증학 (Christian Apology) 1장. 기독교와 변증 1. 변증은? - 辨證(Apologitics) : 辨 변호하다 〕→ 하나하나 떼어서 종합적으로 증명하는 것. 證 증거를 대다 - 기독교 변증 : 기독교에 대항하는 모든 이설에 대하여 기독교의 교리를 수호하고 옹호하 기 위한 것. 2. 변증의 필요성 - 한국 교회가 진정한 하나님의 뜻대로 세상교회의 기둥이 되려면 사도행전적인 교회가 되어 수많은 사람들의 의문점에 대하여 이성적으로 변증하고 설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준비시켜야 한다. (J.P 모어랜드) - (마 22:37)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여기서 마음이란 지성을 말하는 것- 뜨거운 가슴, 차가운 이성, 강건한 의지의 균형..

신학 2020.08.30

세대주의란 무엇인가?

세대주의란 무엇인가? 1. 세대주의의 기원 세대주의의 기원은 1820년대의 영국 Dublin 이라는 마을로 거슬러 올라가다. John Nelson Darby (1800-1882) 라는 사람은 기성교회에서 목사만이 안수 받은 특수층인 성직자만 설교하고 성례식을 집례하는 것이 종교개혁 사상인 “만인사제 (priesthood of all believers" 에 위배된다하여 교회를 박차고 나와서 따로 몇몇 모여서 성경공부를 시작했다. 모든 잘 못된 사람들은 기성교회를 비난하고 따로 모여서 새로 라는 미명으로 모여서 정통적인 방법으로 성경을 가르치지 않고 자름대로 ”새로운 진리“를 발견했다고 주장하며 새로운 를 만든다. 여호와의 증인이나 통일교나 모르몬교나, 지금은 활동이 약화되었지만 옛날 박태선의 전도관이나 ”..

신학 2020.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