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842

복음주의와 신복음주의의 차이점

복음주의와 신복음주의의 차이점 복음주의는 역사적으로 16세기 루터의 교회개혁 이후 루터교회와 개혁교회를 중심한 기독교회들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었다. 기독교회들을 복음주의라고 부른 것은, 신약성경에 밝히 증거된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의 복음을 왜곡시키고 복음 대신에 성례나 신자의 공로적 선행을 가르쳐왔던 로마 가톨릭과 구별하기 위해서이었다. 이와 같이, 복음주의는 역사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의 복음을 믿는 입장, 곧 성경적 기독교를 가리키는 용어이었다. 20세기 초 자유주의 신학이 교회들에 퍼지기 시작하고 미국에서 1940년대 소위 '신복음주의' 운동이 일어나기 전까지도 복음주의는 전통적 교회의 입장을 대변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그런 의미에서는 성경의 근본 진리들을 수호하는 전투적 입..

신학 2021.09.12

개혁신학과 그 주변 신학들

개혁신학과 그 주변 신학들 1. 칼빈주의 16세기 종교개혁 시대에 스위스에서 태동하여 성경에 뿌리를 두고 초대 교부들의 가르침에 의존하면서, 칼빈의 '기독교강요'를 비롯한 신학저술과 주석을 기초로 하여 발전한 신학 체계와 신앙고백을 의미한다. 2. 개혁신학, 혹은 ‘개혁주의’는 로만 가톨릭의 오류를 시정하려는 16세기 유럽 종교 개혁자들의 신학 사상과 삶의 태도를 모두 포함하는데, 16세기에 유럽에서 발생한 다양한 종교개혁신학과 그 영향을 이어받아 발전한 개신교의 신학 사상을 일컫는, ‘칼빈주의’보다 포괄적인 용어다. 3. 정통신학 ‘스콜라적 정통주의,’ ‘신앙고백적 정통신학’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종교개혁 이후 한두 세대 이후에 후기 종교개혁자들이 발전시킨 신학 체계를 일컫는다. 정통신학은 칼...빈주..

신학 2021.09.12

메타-성경신학연구회 제안

메타-성경신학연구회 제안 meta-The Bible Theology1) 주경신학은 성경신학에 입문하도록 해서 성경신학을 통하여 하나님을 깨달아 새생명을 얻게 하고 새사람으로 성숙되어져 가게 한다. 그런데 신앙의 뼈대가 교의신학적 논리체계로 나타나고, 성경신학적 신지식에 의한 역사해석이 역사신학으로 정리되며, 성경신학적 신지식에 의한 삶의 모습이 실천신학으로 표출이 되어진다. 이렇게 성도의 성숙된 삶을 통하여, 결과적으로 하나님께 영광과 존귀를 돌리며 은혜의 영광을 찬송하게 되어진다(엡 1:3~6, 성경신학개론에서). "개혁주의 성경신학의 아버지"(the father of a Reformed biblical theology)라고 불리는 게하드스 보스(Geerhardus Vos)는 신학을 4 종류로 분류한다..

신학 2021.09.09

기독교 사상 논쟁

기독교 사상 논쟁 >Reformed Theology 目次 Contents 1. 一般啓示(恩寵)과 特別啓示(恩寵) 2. 自由意志와 奴隸意志 3. 칼빈주의와 아르미니우스주의 4. 啓蒙主義 5. 敬虔主義 6. 浪漫主義 7. 自由主義 8. 新正統主義 9. 根本主義 10. 宗敎多元主義 1장. 啓示 Revealation 1. 두 가지 종교 1) 종교를 크게 나누면 인간이 신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또는 와 신이 인간에게 찾아오는 또는 가 있다. 2) 기독교는 하나님이 인간에게 찾아와 자신을 나타내신 것을 믿는 계시종교에 속한다. 2. 두 가지 계시 1) 일반계시 - 하나님이 지으신 자연(자연계시), 역사의 변천과 인간의 양심을 통해 하나님의 능력과 신성을 보이신 것이다. - 인간의 타락으로 인하여 일반계시가 질적으로..

신학 2021.09.09

개혁주의(칼빈주의)에 대한 도전(1)

개혁주의(칼빈주의)에 대한 도전(1) 개혁주의(칼빈주의)에 대한 도전(1) A. 오순절운동의 형성과 발전과정 1. 찰스 파함(C. Parham) - 감리교회 목사로서 1900년에 캔자스에 벧엘성경학교를 세우고 성령세례의 표로서 방언을 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1900년 12월 31일, 철야예배 도중에 아그네스 오즈만이라는 여학생에게 안수기도 하였는데 1월1일 새벽에 중국어를, 2일 저녁에는 보헤미안 방언을 말했다. 이것이 오순절성령강림 이후 20세기에 일어난 최초의 방언사건이다. - 1905년 파함은 택사스의 휴스턴으로 성경학교를 이전했는데, 이 때 감리교회 목사이자 흑인인 윌리엄 씨모어가 입학하고 공부했다. 2. 윌리엄 씨모어(W. Seymour) - 파함으로부터 수학한 씨모어는 1906년 LA 성결교회..

신학 2021.09.09

개혁주의에 대한 도전(2)

개혁주의에 대한 도전(2) 자유주의 신학의 형성 배경 A. 경건주의 1. 사회적 배경 1) 독일 루터교회의 일치신조(1577년)와 칼빈주의자의 축출 2) 스콜라적 정통주의(죽은 정통주의)에 대한 반감 확산 2. 경건주의 운동가들 1) 스페너(Spener, 1635-1705)의 6가지 개혁 - 말씀운동/ 루터의 만인제사장 사상정립=평신도운동 / 사랑의 실천 / 논쟁에서 탈피 / 신학교육의 개혁 / 경건을 위한 설교의 강화 2) 프랑케(A.H. Francke, 1663-1736) - 라이프니쯔 대학에 성경연구회 조직 - 가난하고 소외된 계층을 위한 누더기학교 설립(1695) 3) 벵겔(J. Bengel, 1687-1752) - 성경주석가 4) 고트프리 아놀드(G. Arnold, 1666-1714) 5) 진젠..

신학 2021.09.09

종말론 총 정리

종말론 총 정리 1. 철학에 있어서의 종말론 플라톤은 죽음 이후에도 영혼이 계속 존재한다는 영혼 불멸성을 가르쳤다. 그러나, 스피노자의 범신론 철학에서는 이러한 종말론 사상이 존재하지 않았다. 칸트는 그의 실천이성비판에서 영혼 불멸을 주장하였으나, 19세기 관념론적 철학은 다시 범신론에 기초하여 영혼불멸의 이론을 배제하였다. 2. 사도시대에서 5세기초까지 종말 사상 초창기에는 기독교적 종말의 개별 요소 등을 잘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리적인 짜임새는 부족하였다. 당시 사람들은 그리스도께서 가까운 시기에 재림하실 것으로 여겼으므로 성도들의 관심은 미래보다는 현실에 있었다. 그리고, 처음 2세기동안에는 천년왕국설이 우세를 보였다. 따라서, 이 시기의 종말론은 기독교적 종말론이었다. 3. 중세시대의 종말론 사상 ..

신학 2021.09.07

교의학의 정의

◈ 교의학의 정의 교의학은 성경에 철저히 기초하여 , 기독교회의 교의의 내용들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새롭게 조직하여 또는 이러한 연구에 수반되는 諸 문제들을 취급하는 학문이다. 즉 ① 성경에 철저히 기초하여; 성경은 교의학의 가장 기초이며 유일한 최종권리를 가지고 있다. 성경에 기초하여 교회의 Dogma 내용을 연구의 주제와 내용이 되게 해야한다. 또한 교의학 연구의 주제는 Dogma 자체이다. ② 새롭게 조직화하여; Dogma의 내용을 새로운 고백형식으로 하지 않고 기본적으로 믿어온 교의들을 새롭게 쉽게 풀이하고 성명하는 일을 교회가 해야 한다. 교의학 주제 이며 임무는 교의 자체의 욘구요 그것을 조직 체계화하여 보다 쉽고 명료하게 표현하는 신학의 문제이다. ◈ 교의학의 필요성 현시대를 antidogm..

신학 2021.09.07

조직신학 요약

- 조직신학 요약 3) 성경의 무오성 (1) 성경은 그 중심사에 있어서 무오하다 (2) 선포하는 모든 내용에 있어서 (3) 그 모든 기록의 문법적 의미 그대로에 있어서 역사적,과학적으로 절대 무오하다 * 기독교 강요 - 우리들의 지식은 성경에 가르치는 모든것을 하나도 예외없이 겸손하고 순종적으로 받아드려야 한다. *가장 균형잡힌 성경관 정의 :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 진리, 귄위에 있어서 오류가 없으며 또한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과 믿음과 행위에 있어서 실수가 없고 곧바른 법칙이다. 4) 성경해석의 문제 해석학은 : 해석의 원리를 제시하는 학문 주 석 은 : 해석학에 의해 세원진 원리를 실제 적용하는것 주 석 은 : 본문이 말하는 바를 찾아주고 밝혀주는 과제 (본문에 대한 해석) 해석학은 : 우리에게 말하..

신학 2021.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