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신학 자유주의 신학! 66

현대 교회 문제

현대 교회 문제 에베소서 2/20~22 너희는 사도들과 선지자들의 기초 위에 세워졌으며 예수 그리스도께서 친히 귀중한 모퉁이돌이 되셨고 그분 안에서 건물 전체가 함께 알맞게 맞추어져 주 안에서 거룩한 성전으로 자라 가며 또한 그분 안에서 너희도 성령을 통하여 하나님의 거처로 함께 지어져 가고 있는 것이니라. 성경적 교회관은 예수님을 모퉁이 돌로 삼아 성령을 통하여 성도들이 하나님의 거하실 거처로 함께 지어지는 것입니다. 그러나 현재 한국 기독 교회는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성경을 바탕으로 한 근본적인 믿음을 외면하고 교권주의, 기복주의, 물질주의, 은사주의, 자유주의, 형식주의, 권위주의, 성장주의, 성공주의, 율법주의, 인본주의, 세속주의 등에 물들고 있습니다. 에스겔 44/23 또 그들은 내 ..

Friedrich Schleiermacher (1768 ~ 1834)

Friedrich Schleiermacher (1768 ~ 1834) 현대 신학의 아버지, 자유주의 신학의 선구자. Calvin 과 Barth 사이의 뛰어난 신학자. 그의 신학은 오늘날까지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제 단순히 교회의 교리나 성경 구절의 나열로 신학을 전개할 수 없게 되었다. Schleiermacher는 현대과학과 사상의 도전에도 불구하고 그리스도교가 어떻게 존립할 수 있는 가를 자신의 신학적 과제로 삼고 그리스도교의 전통적인 진리를 현대의 정황에 맞게 재해석함으로 써 현대 신학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교리, 성서 신조들 권위 대신 그리스도의 종교 경험 감정, 신 의식을 출발점으로 삼았다.) 1. 생애 - 위대한 종합의 신학자. 프러시아 군목의 아들. Moravian School ..

Rudolf Bultmann (1884-1976)

Rudolf Bultmann (1884-1976) 1. 생애 및 사상 배경 1884. 8. 20 Oldenburg 의 Wiefelstede에서 개신교 목사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K. Jaspers와 같은 Gymnasium을 다녔다. Tubingen, Berlin, Marburg에서 신학과 철학을 공부하였다. 1910 신학박사, 1912 Marburg에서 신약학 교수 논문을 완성하였다. 1916-1920 Breslau 와 Gissen 대학에서 교수. 1921 - 1951 Marburg 大교수, 1951 Yale 대학교의 Shaffer Lectures, 1966 에딘버러 大 Gifford Lectures. M. Heidegger와 친분. 성서의 신화적인 세계관에 대한 견해로 보수교회의 비판을 받음. 공관복음..

Karl Barth ( 1886-1968)

Karl Barth ( 1886-1968) 1.생애 바르트는 20 세기 신학을 연 인물이며, 종교 개혁자 이후 최대의 개신교 신학자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스위스 Basel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Fritz Barth는 Berne에서 교회사 및 신약학 교수였다. 바르트는 18세에 Berne 대학에서 신학 수업 시작하여, 독일 여러 대학에서 공부하였다. Berlin에서 Harnack, Reinhold Seeberg, Julius Kaftan, Hermann Gunkel의 강의를 듣고 Tübingen에서 Theodor Haring, Marburg에서 Wilhelm Herrmann, Johanones Weiss등의 강의를 들었다. 특히 W. Herrmann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1909 Geneva에서 목..

세속화 신학

세속화 신학 1. 현대인의 세계관 Luther : How can I get a gracious God ? 현대인 : 내세, 구원, 은총 보다는 이 세상에서의 행복(well being 잘 사는 것)이 주관심사가 되었다. here and now ! 에 관심 그래서 오늘날 신에 대한 질문도 그 초점은 중세나 종교 개혁 시대와는 다르다. 하나님의 은혜로우심이 관심이 되기보다 도대체 Where are you, God?을 질문. F. Nietzche. The Joyful Wisdom “God is dead.” God remains dead! And we have killed him ! 모든 형이상학의 종막을 선언 - Platon 이후 유지되어온 감각세계와 초감각 세계의 분리가 더 이상 의미 없는 것으로 됨. 즉 과..

칼 바르트의 성경관 비판

칼 바르트의 성경관 비판 서 언 홍수처럼 밀어닥치는 자유주의의 물결속에서 우리가 찾아야 할 길은 무엇인가? 한국에서는 바르트 연구협회까지 생기고 더욱 가관인 것은 바르트야말로 20세기의 최대 신학자라고 각광을 보내고 바르트, 부르너, 헤겔, 슈라이엘마하, 틸리히, 불트만, 토인비, 니버, 니체, 윌암제임스, 죤두이 등의 서적이 봇물처럼 쏟아져 나와서 보수신학에 대해 도전장을 보내고 있다. 그래서 개인주의 신학의 학적표출이 역사교회가 쌓아온 개혁주의 교리를 파괴할 수 있다는 사상으로 변해가고 있다. 그래서 한국교회는 그토록 건장하던 정통주의 교회가 해방후 반을 자유주의에 내어주어 버렸다. 설사가상으로 바르트주의가 판을 쳐 초월주의적 계시관이 한국교회의 우상으로 떠올라 이제는 성격적 계시관이 오히려 열세에 ..

자유주의 신학(liberal theology)

자유주의 신학(liberal theology) 19세기 인본주의 사상(계몽주의) 흐름에서 태종한 일반 사조로 인간이성의 자유로운 발상에 의해 의문되고, 평가되고, 판단되고 비판되는 인간의 다양한 사고 중심의 성경해석을 주장하는 신학의 한 유파로 현대 신학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신학사조라 하겠다. 1. 자유주의 신학의 근원은 무엇인가? 중세 시대의 사람들은 교회의 권위에 대해 맹목적으로 순종해야 했었다. ※ 중세시대(로마 카톨릭 통치시대) : 1200년 십자군 전쟁 패배 → 르네상스혁명(인본주의 태동 ↔ 신본주의 ↔ 하나님 대적주의) → 인문주의 예술, 문학을 통한 확산 → 인본주의 철학의 등장 → 자유주의로 발전 → 자유주의 신학으로 확산(20세기 초부터) 그러나 중세 시대가 무너지고, 인간의 자유(하..

자유주의 신학의 예수관

자유주의 신학과 기독교는 예수에 대한 태도에서 예리하게 대립된다. 예수에 대한 기독교적인 태도는 신약성경 전체에서 나타난다. 신약성경의 증거를 조사하는 최근 수년 간의 통상적인 방법은 사도 바울에게서 시작하는 것이다. 바울이 예수와 맺은 관계는 진정한 의미의 종교적 관계였음이 분명하다. 바울에게 있어서 예수는 신앙을 위한 모범만이 아니었다. 무엇보다도 예수 자신이 신앙의 대상이었다. 예수를 닮는 것이 바울에게 중요하기는 했지만, 이것은 훨씬 중요한 다른 어떤 것에 의해 완전히 가려졌음이 분명하다. 예수의 모범이 아니라, 예수의 구속 사역이 바울에게는 일차적인 것이었다. 예수에 대한 믿음이었다. 바울은 조금도 망설임 없이 그 영혼의 영원한 운명을 예수에게 의탁했다. 바로 이것이, 바울이 예수에 대해서 진정..

그리스도의 복음을 파괴하는 자유주의 신학의 심각성"근본주의 장로교의 필요성"(1)

그리스도의 복음을 파괴하는 자유주의 신학의 심각성 "근본주의 장로교의 필요성"(1) 김 효성 목사 신약교회의 시대가 2천년을 지난 지금, 온 세계에서도 그러하지만, 특히 우리 나라에서 근본주의적 장로교회들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느끼면서 나는 ‘근본주의적 장로교회’가 무엇이며 그것이 왜 필요한지 몇 마디 증거하고자 한다. 장로교회 신약교회의 시대가 2천년을 지난 지금, 온 세계에서도 그러하지만, 특히 우리 나라에서 근본주의적 장로교회들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느끼면서 나는 ‘근본주의적 장로교회’가 무엇이며 그것이 왜 필요한지 몇 마디 증거하고자 한다. 1. 대의정치 장로교회의 첫번째 주요한 원리인 대의(代議) 정치란, 교인들이 뽑은 대표자들(목사와 장로들)에 의해 교회가 운영된다는 뜻이다. 이것은 성경이 증거하..

자유주의 신학을 기독교로 볼 수 있는가?

자유주의 신학을 기독교로 볼 수 있는가? 머리말 현대교회가 안고 있는 기독교 정체성(正體性)의 문제들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생각할 수 있다.  이단적 자유주의신학의 포용,  우상숭배 수준의 천주교회와의 친교,  교리적 분별력 없는 교회연합운동,  종교다원주의 경향,  절제되지 않는 무질서한 은사운동 등 주님은 아시아 교회의 문제들을 지적하셨다.(계 2:-3:) 바른 교회는 주 께서 원하시는 바이다. 사도 바울은 이것을 이렇게 말했다. “이는 곧 물로 씻어 말씀으로 깨끗하게 하사 거룩하게 하시고 자기 앞에 영광스러운교회로세우사티나주름잡힌것이나이런것들이없이거룩하 고 흠이 없게 하려 하심이라.”(엡 5:26,27) 오늘날 교회의 정로(正路)는 1) 성경의 근본 교리들을 지키고 2) 이단 적 자유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