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신학 자유주의 신학! 66

자유주의 신학의 태동/ 목창균

자유주의 신학의 태동/ 목창균 Ⅰ. 들머리 19세기 신학은 단순히 연대기적으로 구획지어진 19세기의 신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1799년 슐라이에르마허의 종교론 출판으로 부터 제1자 세계 대전에 이르는 기간의 신학을 의미한다. 이는 형식과 내용 특히 신학 방법론에서 그 전과 후의 정통주의 및 신정통주의 신학과 뚜렷히 구분된다. 이러한 19세기 신학은 여러 부류로 세분될 수 있으나, 구라파, 특히 독일 신학계를 주도한 신학사조를 흔히 자유주의 신학, 신개신교 신학 혹은 현대주의 신학이라 한다. 이것은 1920년대까지 유럽 신학계를 그리고 1930년대까지 미국 신학계를 주도했다. 자유주의 혹은 현대주의는 그 안에 다양한 입장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 뜻을 정확히 정의하기가 쉽지 않다. 그럼에도 ..

신사고(The New Thought Movement )에 점령당한 한국교회

신사고(The New Thought Movement )에 점령당한 한국교회 미국의 복음주의 교회가 요동치고 있다. ‘2016년, 개신교 개혁 500주년을 맞는다. 우리는 복음주의가 흔들리는 것을 발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미국인들이 성경을 좋아하고 있다.’는 사실이다.(Break Point) 미국 성경공회와 바나 그룹(Barna Group)은 미국 시민 2/3가 성경에 ‘의미있는 삶을 살기 위해 사람들이 알아야 할 모든 것이 담겨있음을 믿는다.’라고 했다. 세계 최대 기독교 정보제공단체 중 하나인 라이프웨이 리서치(LifeWay)가 발표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기독교 신앙에 관한 47개 항목 설문 응답자 3,000명 중 70%가 ‘참된 하나님은 한 분’이라는데 동의하고, 3명은..

현대신학의 유형(Types of Modern Theology)

현대신학의 유형(Types of Modern Theology) 1. 福音化 類型 2. 對話類型 3. 狀況化 類型 현대신학의 유형에는 복음화 유형, 대화 유형, 상황화 유형이 있다. 이들의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서 각 유형별로 대표적인 인물들의 저서를 세 권씩 모두 아홉 권의 책을 선택하여 그 내용들을 검토하였다. 복음화의 유형으로서 도날드 맥가브란의 {교회성장학}(보문출판사), 존 스토트의 {현대 기독교 선교}(성광문화사), 그리고 올랜도 코스타스의 {성문 밖의 그리스도}(한국신학연구소), 대화의 유형으로서 웨슬리 아리아라자의 {성서와 종교간의 대화}(감리교신학대학출판부), R. 파니카의 {종교간의 대화}(서광사), 그리고 존 힉의 {하나님은 많은 이름을 가졌다}(도서출판 창), 그리고 상황화 유형으로서 ..

우리는 왜 오늘날의 현대신학을 알아야 하는가?

우리는 왜 오늘날의 현대신학을 알아야 하는가?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 이탈리아의 플로렌스 도시에서 시작되어 14세기부터 16세기 사이에 진행 된 문예부흥(文藝復興, Renaissance) 운동은 중세 이후 인류역사에 광풍과 같은 새로운 변화를 몰고왔다.문예부흥은 고대 헬라와 로마의 인간 중심적인 철학 사상과 문화와 예술을 부활시킴으로서 이후 세계 문화와 인간의 삶의 모든 영역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 문예부흥운동이 종교적으로 특히 기독교에도 큰 영향을 준 것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에라스무스(Desiderius Erasmus, 1466-1536)나 부대(Guillaume Budé, 1467-1540) 같은 기독교 인문주의(人文主義, humanism) 자들을 통해 종교 개혁자..

자유주의 신학이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신학이란 무엇인가? 최덕성(고려신학대학원) (기독교와 자유주의, 상이한 표현인가, 다른 종교인가?) 자료출처 http://blog.daum.net/hakema/124 영국국교회 사제 존 셀비 스퐁은 다원주의 시대를 맞아 급속하게 변모하는 21세기의 기독교를 ‘새로운 기독교’(A New Christianity)라 부른다. 신약신학자 마커스 보그는 이를 ‘새로 등장하는 기독교’(A Newly Emerging Christianity)라고 일컫는다. 어떤 사람들은 ‘신세계 기독교’(A New World Christianity)라고 하기도 한다. 한국교계는 이 ‘새로운 기독교’를 ‘자유주의 신학’이라고 일컬어 왔다. 기독교 전통 안에 있는 여러 가지 신학 유형 가운데 하나로 이해하여 그것이 역사적 기독교..

자유주의 신학의 태동/ 목창균

자유주의 신학의 태동/ 목창균 Ⅰ. 들머리 19세기 신학은 단순히 연대기적으로 구획지어진 19세기의 신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1799년 슐라이에르마허의 종교론 출판으로 부터 제1자 세계 대전에 이르는 기간의 신학을 의미한다. 이는 형식과 내용 특히 신학 방법론에서 그 전과 후의 정통주의 및 신정통주의 신학과 뚜렷히 구분된다. 이러한 19세기 신학은 여러 부류로 세분될 수 있으나, 구라파, 특히 독일 신학계를 주도한 신학사조를 흔히 자유주의 신학, 신개신교 신학 혹은 현대주의 신학이라 한다. 이것은 1920년대까지 유럽 신학계를 그리고 1930년대까지 미국 신학계를 주도했다. 자유주의 혹은 현대주의는 그 안에 다양한 입장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 뜻을 정확히 정의하기가 쉽지 않다. 그럼에도 ..

칼 바르트의 이단적인 사상

칼 바르트의 이단적인 사상 몇 가지만 그의 저서들에서 인용해 봅니다. 1. 성경은 무오(無誤)하지 않다고 한다. 선지자들과 사도들 자신은 심지어 그들의 직분에 있어서도, 심지어 증인으로서의 그들의 역할에 있어서도, 심지어 그들의 증거를 기록하는 행위에 있어서도, 우리와 같이 실제, 역사적 인간이었고 그러므로 그들의 행동에 있어서 죄가 있고 그들의 말이나 기록에 있어서 잘못을 범할 수 있었고 또 실제로 범했다.11) 2. 성경의 역사적 사건들 전반에 대해 회의적이다. 아브라함과 모세와 같은 인물들이 후대의 신화 제작의 산물들이든지 아니든지 무슨 문제가 되는가[!].13) 구약과 신약의 성경 역사는 실상 전혀 역사가 아니고, 위에서 보면 일련의 자유로운 신적 행위들이며 아래서 보면 본질상 불가능한 어떤 것을..

신정통주의는 칼 바르트

신정통주의는 칼 바르트(K. Barth, 1886~1968)에 의해 창시된 신학이다. 그는 슐라이어마허로 대변되는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의 방법론을 정반대로 뒤집어 놓았다. 그는 인간의 경험이나 종교적 의식이 아닌 하나님의 말씀을 신학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그의 신학은 한 마디로 하나님의 말씀의 신학 또는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유주의에 대한 맹렬한 공격과 하나님의 말씀과 그리스도의 중심에 대한 강조가 바르트 신학의 주요한 특징이다. 그러나 바르트와 자유주의 신학의 관계성을 이해하는 것이 그의 신학을 이해하는 지름길이다. 왜냐하면 그이 신학이 자유주의 신학과의 오랜 논쟁을 통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는 자유주의 신학의 교육을 받고 신학자가 되었으나 훗날 자유주의와 결별하고 ..

해방신학 [解放神學, theology of liberation]

해방신학 비판 해방신학 [解放神學, theology of liberation] 영혼과 빈곤의 구제는 정의롭지 못한 사회정치구조에서 해방됨으로써 이루어진다는 신학운동으로 라틴아메리카에서 출발하여 제3세계로 널리 퍼졌다. 라틴아메리카는 1950년대에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을 모델로 하는 ‘발전’ 혹은 ‘개발’이라는 이념 아래 사회·경제 발전을 통한 현대화를 추구했는데, 그것은 발전된 자본주의 세계의 경제기구들에게 지배될 수밖에 없었다. 1960년대에 이르자 라틴아메리카의 사회과학자들 사이에는 그러한 발전주의가 선진국에 대한 라틴아메리카의 사회·경제적 종속(從屬)을 초래했다는 논의로 발전하였다. 즉, 1960년대에 선진국의 부(富)는 배로 증가했으나, 세계 인구의 2/3를 차지하는 제3세계의 빈곤은 심화되어만 ..

알미니안 주의를 배격함

알미니안 주의를 배격함 Jacobus James Arminius(1560-1609)는 몇가지 중요한 점에 대해서 칼빈주의자들과 다른 견해를 가지고 나왔다. 그가 죽은 후 43명의 추종자들이 네덜란드 국가 총회에 그들의 이단적인 견해를 제출했던 바, "1610년 항의서"가 그것이었다. 이 문서와 나중에 더욱 분명히 제시된 문서에서 알미니안주의자들은 다음의 다섯가지를 가르쳤다. 이 다섯 가지 중에 자신의 신앙과 일치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반드시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1. 예지적 믿음에 근거한 선택: 선택은 하나님께서 태초에 누가 그의 아들을 믿음으로써 선택받을 것인지를 알고 계신다는 의미의 예지적 신앙에 기초한 것이다. 2. 그리스도의 속죄의 우주성: 그리스도의 속죄 사역이 모든 사람들이 구원받을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