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5

요한계시록 개요

요한계시록 개요 404구절 중 –구약에 관련된 구절 278절 성경은 하나님의 약속입니다!그 중에는 되어진 일이 있고, 지금 되어지는 일이 있고, 미래에 되어질 일이 있습니다. ‘요한계시록’을 ‘계시록(啓示錄)’ 이라고 합니다. 계시록은 비밀이 아닙니다. 비밀(秘密)이란 보여주면 누구든지 알 수 있는 내용을 말합니다. 반면에 계시(啓示)란 보여줄지라도 알 수 없기 때문에 가르치거나 설명해 주어야만 알 수 있는 내용을 말합니다. 따라서 요한계시록은 ‘비밀록(秘密錄)’이 아니라 ‘계시록(啓示錄)’이라고 합니다.요한계시록의 전체 내용은 404구절 입니다. 404구절 중에 구약에서 인용한 말씀이 278구절 입니다. 278구절은 대략 68% 분량입니다. 그러므로 요한계시록을 이해하려면 구약과 관련된 말씀을 ..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이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이World council of churshes 현대 교육철학의 사조를 논할 때 비교적 최근의 동향으로 일컫는 사조 중 하나로 포스트 모더니즘을 꼽을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포스트 모더니즘이란 어떠한 개념과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포스트 모더니즘의 정의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서는 학자에 따라 다른 정의를 내리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포스트모더니즘에는 다양한, 그리고 때로는 서로 모순적인 요소들이 함께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은 post라는 접두어의 모호성으로 인해 ‘후기 모더니즘’이나 ‘반 모더니즘’ 또는 ‘탈 모더니즘’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후기 모더니즘이라고 할 경우 모더니즘을 계승하는 의미..

뉴에이지 운동의 정체는 무엇인가

뉴에이지 운동의 정체는 무엇인가 이 글은 국민일보 종교란에 연재되는 기사를 옮긴 것이다. 뉴에이지 운동 --- 새시대 운동 혹은 새세대 운동을 뜻하는 이 용어에 대해 뜻있는 기독인들은 반기독운동이라고 말하면서 경각심을 가질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이미 전세계적으로 폭넓게 확산되어 있음에도 이 운동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지도는 아주 낮은 것이 사실이다. 영화, 서적, 음악 등을 통해 이미 우리 사회에도 깊숙히 침투해 인간의 영혼을 잠식하고 있는 뉴에이지 운동의 정체를 알아 보기로 한다. Ⅰ. 달콤하게 젖어드는 사탄문화 --- 92.3.13최근 뉴에이지 계통의 테이프 및 음반이 각 레코드 판매점 매상고의 10 - 30 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또 {배꼽}, {성자가 된 청소부} 등 명상 서적들이 서점..

뉴에이지 운동의 정체 F.A.에버하르트

뉴에이지 운동의 정체 F.A.에버하르트(Frank A. Eberhardt) 저인하대학교 교수 정동수 역 "땅과 거기 충만한 것이 주의 것이요, 세상과 거기 거하는 자들도 주의 것이라"(시편 24:1) 뉴에이저의 기도: "빛의 세력들이 인류에게 광명을 가져오게 하소서. 능력이 위대한 이들의 수고와 함께 하게 하소서. 그대로 이루어지게 하시며 우리 또한 자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해방의 주께서 나오시며......비밀 장소에서 말 탄 자가 나와 우리를 구원하소서. 오소서 강한 이시여.....빛, 사랑, 능력, 그리고 죽음이 오시는 이의 목적을 성취하소서...... 목적이 사람들의 작은 의지를 인도하리니 이 목적은 여러 마스터가 알고 섬기는 것이니이다. 우리가 인류라 부르는 중심으로부터 사랑..

뉴에이지 운동의 정체

♣ 뉴에이지 운동의 정체 1! ♣ 뉴에이지가 사탄적인 줄 몰랐다 /조 요셉 목사 (bethesda3kr@yahoo.co.kr) ◈ 인간이 신이다. 주장 뉴에이지 운동이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간단히 한마디로 요약하기는 어렵다. 미국의 명망있는 장로교 목사 제임스 케니디 박사는 뉴에이지 운동을 설명하기란 뒤범벅된 스파게티를 정리하는 것과 비슷하다 고 말한다. 그러나 이에 관심을 갖고 있는 기독인들은 뉴에이지가 분명히 반성경적이며 적그리스도적(그리스도에 대항하는 성격)이라고 말한다. 뉴에이지의 사상적 배경에 대해 루터교의 지원용 목사는 범신론과 영지주의 등을 들고 있다. 지 목사는 범신론은 신이 세계(자연)에 흡수되었다는 견해로써 자연을 강조한 나머지 신을 망각, 결과적으로 무신론에 이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