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신학 자유주의 신학! 66

종교다원주의란 무엇인가?

종교다원주의란 무엇인가? 21세기의 교회가 당면한 큰 문제는 종교 다원주의라고 할 수 있다. 종교 다원과 포스트 모더니즘의 영향은 점점 더 단 하나의 객관적 진리를 반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기독교는 "오직 예수", "오직 믿음"의 복음을 과연 유효하게 선언하고 선포된 복음이 사람들에게 얼마나 영향력을 가지고, 그들의 삶과 생활을 바꿀 수 있을지 고민하게 된다. 이제까지 기독교는 전통적으로 그리스도 혹은 교회 중심적 배타주의를 고수하며 신앙을 이끌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제 모든 종교들이 자기 절대성과 궁극성을 주장하고 서로 상이한 입장들이 공존하게 되었다. ​ 종교 다원주의란 종교 다원 현상의 문화적 상황 속에서 다원적인 종교들을 동일한 지평선에서 바라보며 다원적 종교들..

이성종교

I. 이성종교 (중략) 3. 이신론의 팽창과 소멸 이신론은 과학적이고 철학적인 분위기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난 사상이었다. 그것은 17세기 영국에서 일어나 프랑스, 독일 그리고 미국으로 퍼져 나갔다. 이신론자들은 하나님이 피조물 위에 초월해 계시다고 믿었다. 그리고 자연은 자연의 법칙에 의해서 운행되고 그 법칙은 이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성은 모든 것을 감지하고 주관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하나님이 자신의 창조 세계를 자연법 아래 두어 운행되게 하셨다고 믿으니 자연히 기적은 인정될 수 없었다. 그러자니 기적으로 가득 찬 성경의 내용도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하나님의 계시, 예언, 섭리 그리고 신인으로서의 그리스도등등의 내용도 처치 곤란한 것이었다. 자연신론자들에게는 예수가 단지 도덕을 가르친 선..

자유주의

자유주의 인간의 이성에 대한 자부심과 신뢰는 19세기에 그 절정을 이루었다. 그것은 자유주의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이름과 형태로 나타난 이 전통 전체를 자유주의라고 부르지만, 좀더 세분한다면 특히 19세기 후반부의 사상을 그렇게 부른다. 역사와 과학의 새로운 학설이 그 시발점이었다. 자신만만한 이성은 자신의 힘으로 건설할 이상향을 바로 앞에 보고 있었다. 1. 슐라이에르마허 현대 자유주의 신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프리드리히 슐라이에르마허(Friedrich Schleiermacher, 1768-1834)는 독일 실레지아의 목사 가문에서 출생하여 어렸을 때부터 경건주의의 감화를 받았다. 그의 아버지는 소년 슐라이 에르마허를 모라비아파 학교에 보내어 교육을 받게 했고, 후에는 형제단 ..

자유주의신학

자유주의신학 안명준교수의 현대신학 강의안 1 安明俊 敎授 (M.Div., Th.M., Th.M., Ph.D.) 머리말 이 강의안은 기본적인 신학의 지식을 가진 신학생들을 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현대 신학자들의 신학사상과 그들이 시도한 신학 방법과 성경 해석 방법을 중심으로 쓰여졌다. 1997년 3월부터 6월까지 기독신학교에서 강의했던 것을 중심으로 가급적 쉽고 간결하게 구성되었다. 현대의 모든 신학자들을 짧은 강의와 지면에 자세하게 다룬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중심적인 인물들을 선택하여 그 범위를 줄였고 그들의 신학사상을 세밀하게 전체를 다룬다는 것 또한 힘들기 때문에 신학생들에게 맞는 수준의 내용들을 선택하여 제한적으로 다루었다. 신학자들의 주장을 가급적 그들 자신들의 진술들을 가지고 다루었고, 그..

목창균의 「현대신학논쟁」요약

목창균의 「현대신학논쟁」요약 1부 자유주의 신학 1장 자유주의 신학의 태동 서론 19세기 초반에 등장하여 19세기 전반적으로 나타난 신학으로서, 구라파 특히 독일 신학계를 주도한 신학 사조를 흔히 자유주의 신학, 신개신교신학 혹은 현대주의 신학이라 한다. 이것은 1920년대까지 유럽신학계를, 그리고 1930년까지 미국신학계를 지배함. 현대에서 기독교의 본질(19세기 개신교의 관심사)이 어떻게 적용될수 있는지에 신학적 응답이자 현대시대의 산물임. Ⅰ. 자유주의 신학의 사상적 배경 자본주의+산업혁명+사회계급+과학과 기술의 발전 계몽주의(17~18세기)+경건주의+19세기 초의 낭만주의+기계론적 우주관 1. 계몽주의 이성을 중시, 특히 칸트의 철학을 바탕-자유주의에 영향 2. 경건주의 18~19세기, 17세기 ..

현대신학의 위기와 그 근황

현대신학의 위기와 그 근황 I . 현대신학의 집안싸움 1. 서론 .............................................. 3 2. 본론 .............................................. 4 1) 불트만 ........................................... 4 2) 판넨베르그와 몰트만 .............................. 6 3) 집안싸움 .........................................10 3. 결론 ..............................................12 II. 성경을 해부하는 현대신학 1. 집도하는 불트만 .......................

현대신학강의: 福音主義와 정치신학

현대신학강의: 福音主義와 정치신학 복음주의 Evangelicalism 미국을 중심으로해서 복음주의운동 유럽과 전세계 영향 20세기 운동 2차대전 복음주의는 세계에 있는 기독교인의 대다수가 이 운동에 영향 지금 현재 이 세계 기독교에서 가장 강력한 운동이 복음주의 운동이다. 지금까지 자유주의의 발생 미국에서는 근본주의 유럽에서는 신정통주의가 대항해서 싸웠다. 자유주의는 무너져 내렸다. 근본주의와 신정통주의라는 신앙중심으로 자유주의가 일어난 것은 19세기의 일이고 근보눚의 신정통주의 20세기 전반부 2차대전이 일어나기 전까지. 근본주의와 신정통주의가 합쳐서 복음주의가 배태하게 20세기 후반에 가장 강력 19세기 후반 자유주의 넘어진 다음에 다시 머리를 들어서 이 복음주의와 같은 teo에 신 자유주의가 세속화..

현대신학강의: 종교개혁과 자유주의

현대신학강의: 종교개혁과 자유주의 신학 비판적 성찰 : 배우고 개인이 가진 기독교에 대한 이해를 성찰한다는 것이다. 수정을 받아야 한다. 신학이라는 것은 하나님의 말씀의 원리안에서 비판이라는 말과 은혜로 신학을 하자 이것은 안된다. 비판적으로 해야 한다. 개혁주의 신학을 발전하게 한 원인이 된다. 경험을 중시한다. 예식주의 , 말씀을 강조하는 곳에 신학이 발달한다. sola scriptura 카톨릭은 철학이 발달했기 때문이다. 개신교에서는 하나님 말씀이 진리라고 본다. 자기 비판이 먼저 선행해야 한다. 말씀으로 자신을 먼저 비판해야 한다. 자기이해에 대해서 제3자의 관점으로 나와서 자기이해를 하나님의 말씀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다. 성령의 역사가 있으면 비판할 수 있다. 성찰이라는 말이 중요한 것은 거..

에큐메니칼 운동과 복음주의

에큐메니칼 운동과 복음주의 I. 왜 이 문제가 논쟁의 초점인가? 최근 한국교회의 가장 중요한 논쟁 가운데 하나가 세계교회협의회(이하 WCC)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 논쟁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가 2013년 WCC 10차 총회를 유치하면서 불거졌다. NCCK는 이 총회를 유치하면서 이 총회를 한국사회 전체의 축제로 만들려고 했다. 그리하여 3부 요인이 참여하는 총회 유치 축하회를 갖고, 언론도 이것을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아울러서 NCCK는 WCC 총회를 이념을 초월한 기독교올림픽이라고 홍보하였다. NCCK는 특별히 이 총회를 한국교회 전체가 참여하는 총회로 만들려고 계획하고, 한국교회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복음주의 교회들에게 참여를 요청하게 되었다. 여기에 대해서 복음주의 교회들..

자유주의 신학이란 무엇인가? 최덕성(고려신학대학원)

자유주의 신학이란 무엇인가? 최덕성(고려신학대학원) (기독교와 자유주의, 상이한 표현인가, 다른 종교인가?) 자료출처 http://blog.daum.net/hakema/124 영국국교회 사제 존 셀비 스퐁은 다원주의 시대를 맞아 급속하게 변모하는 21세기의 기독교를 ‘새로운 기독교’(A New Christianity)라 부른다. 신약신학자 마커스 보그는 이를 ‘새로 등장하는 기독교’(A Newly Emerging Christianity)라고 일컫는다. 어떤 사람들은 ‘신세계 기독교’(A New World Christianity)라고 하기도 한다. 한국교계는 이 ‘새로운 기독교’를 ‘자유주의 신학’이라고 일컬어 왔다. 기독교 전통 안에 있는 여러 가지 신학 유형 가운데 하나로 이해하여 그것이 역사적 기독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