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용어 사전 357

이 세상 나그네길, 길 가는 순례자

이 세상 나그네길, 길 가는 순례자 제 1 강 이 세상 덧없는 나그네길 I. 전체적 개요 (1) 강좌의 목적 (i)살아 온 세월보다 살아 갈 세월이 더 적은 그리스도인들로서 남은 생애에 대해 어떤 인식과 태도로 임해야 하는지 올바른 신앙 자세를 촉구하기 위함. (ii)그리스도인으로서 올바른 나그네 의식을 함양함으로써 세상 삶의 덧없음을 상기하는 것과 동시에 세상 삶의 의미 심장함을 고취하는 것 사이에 균형을 유지하도록 도움. (2) 강좌의 내용 (i)제 1 강: 이 세상 덧없는 나그네길 --> 이 세상이 나그네의 길과 같이 일시적이고 덧없음을 강조함. (ii)제 2 강: 천국을 앞당기는 순례자의 길 --> 이 세상이 덧없음에도 불구하고 새 하늘과 새 땅의 가치관을 실현하는 매우 중요한 기회임을 천명함. ..

이 세상 나그네길, 길 가는 순례자

이 세상 나그네길, 길 가는 순례자 제 2 강 천국을 앞당기는 순례자의 길 I. 서론: 나그네 의식의 재음미 (1) 제 1 강과의 연결 (i)“나그네”의 세 가지 특징적 면모. ①이질성(異質性, heterogeneity). ②임시성(臨時性, temporality). ③취약성(脆弱性, vulnerability). (ii)나그네 개념의 발전. ①세 단계. 체험기 ---> 확장기 ---> 심화기 ②심화기에서는 특히 “임시성”의 면모가 극명히 드러남. (2) 균형의 중요성 (i)두 가지 극단적인 패턴을 피해야 함. ①첫째 패턴: 나그네 의식이 전혀 없음. a.이 세상에 대해 하등의 이질감을 갖지 않음. b.이 세상과 세상의 것들을 영원하고 절대적인 것으로 생각함. c.자취적 취약성과는 거리가 먼 삶을 영위함. ..

신약성경의 삯과 상 개념 연구 -

“하늘에서 너희의 삯이 큼이라” - 신약성경의 삯과 상 개념 연구 - 정 훈 택 (신약신학) 신약신학은 두 언어 즉 이 천 여년 전의 헬라어와 현대 한국어 사이의 만남으로 이루어진다. 한국어를 익힌 우리가 헬라어를 배워 헬라어로 표현되어 있는 신약성경을 이해하고 이것을 한국어로 재생하는 작업을 우리는 신약신학이라고 부른다. 두 언어 사이의 시공간적 간격, 각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의 역사와 문화적 간격 등이 깊은 골, 높은 산, 때로는 건널 수 없는 넓은 강으로 등장한다. 가장 간단한 문자적 번역조차도 불가능할 때가 있다. 정확한 대응어가 있는 데도 불구하고 헬라어에 대한 무지 내지 오해 때문에, 다른 한 편으로는 현대 한국어에 대한 무지 내지 오해 때문에 정확한 번역이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신앙과 믿음의 구별

신앙과 믿음의 구별 ‘신앙'(믿는 것)과‘믿음’은 같은 말 같습니다. 그러나 성경을 자세히 살펴보면, 완전히 다른 말입니다. 1. 사용빈도 구약성경 전체에서 ‘믿는 것(희브리어-아만)’은 창세기 15:6절에서 시작해서 하바국에 이르기까지 수십 회에 걸쳐 나옵니다. 반면에 ‘믿음(희브리어-에무나)’은 하바국2:4절에 단 한번만 나오고 있습니다. 신약성경에서는 ‘신앙(헬라어-피스튜오)’과 ‘믿음(헬라어-피스티스)’라는 말로 바뀌면서 ‘믿음’은 ‘믿다’라는 말을 어원으로 하면서 구약에서 단 한차례 사용된 것과 달리 여러 차례에 걸쳐 사용됩니다. 2. 용어의 정의 가. 신앙 이는 말 그대로 어떤 대상을 ‘신뢰’하다는 뜻으로 비록 헬라어와 희브리어가 다르지만 그 의미하는 바는 같습니다. 나. 믿음 반면에 ‘믿음’..

사랑의 종류

사랑의 종류 에로스(eros) : 육체적인 매력에 이끌리며 좋아하는 타입을 정확히 안다. 말하자면 "이유"있는 사랑. 이상적인 연인(물론 외적인 요인)을 찾으면 한 눈에 반한다. 루두스(ludus) : "놀이", "게임"을 뜻하는 라틴어. 이상형이 없고, 한 사람을 사랑하기를 거부한다. 사랑에서 재미가 중요하므로 동시에 여러 사람을 만날 수 있다. 스토르게(storge) : 형제, 자매, 친구 사이에 서서히 무르익는 사랑. 천천히 진행되는 만큼 열기도 어리석음도 없다. 서로 아주 편한 관계로써 뜨거운풼 사랑보다 우정과 가정이라는 큰 목표가 소중하다. 매니아(mania) : 한 사람에게 완전히 사로잡히며 질투와 소유욕이 강하다. 늘 상대방의 사랑을 확인하고 자기가 너무 사랑하는지 두려워한다. 일종의 중독처..

열매에 관한 성경의 구절들

열매에 관한 성경의 구절들 성경에 나타난 열매에 관한 기록들입니다. 체계적인 정리는 아닙니다. 열매에 관련된 다양한 상징과 의미를 간추립니다. 열매에 대한 개요 열매는 하나님의 선물입니다. 창세기 1:29 하나님이 가라사대 내가 온 지면의 씨 맺는 모든 채소와 씨 가진 열매 맺는 모든 나무를 너희에게 주노니 너희 식물이 되리라 열매는 하나님의 복의 결과이다. 신명기 8:6-9 네 하나님 여호와의 명령을 지켜 그 도를 행하며 그를 경외할지니라 !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를 아름다운 땅에 이르게 하시나니 그곳은 골짜기에든지 산지에든지 시내와 분천과 샘이 흐르고 밀과, 보리의 소산지요, 포도와, 무화과와, 석류와, 감람들의 나무와, 꿀의 소산지라 너의 먹는 식물의 결핍함이 없고 네게 아무 부족함이 없는 땅이며..

프뉴마(성령)의 사전적 의미와 성경의 사용용례와 용법

프뉴마(성령)의 사전적 의미와 성경의 사용용례와 용법 pneu'ma(프뉴마) : 바람, 호흡, 생명, 영,성령 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 명사 프뉴마(Aeschyl., Hdt. 이래)는 프네오(pnevw: 바람이 '불다', 숨쉬다)에서 유래했으며, 다음의 의미를 지닌다. 1) 바람 이 단어의 어근은 공기의 기류로서의 역할을 하는 활력을 의미한다. 이 어근의 의미를 근거로 하여 프뉴마는 첫째로 바람을 의미한다. 이 바람은 폭풍, 일반적인 바람, 미풍, 심지어는 수증기일 수도 있다. 바람은 기후, 건강, 성격에 영향을 미치며, 자연적인 것으로도 간주되고 신적인 것으로도 간주된다. 2) 호흡 프뉴마는 숨을 쉬는 호흡을 의미한다. 여기서 호흡은 콧김을 내뿜는 것에서부터 헐떡이는 호흡에 이르기까지를 포함한다..

세례의 의미

세례의 의미 예수님께서 다시 오실 때까지 그의 몸 된 교회에게 꼭 지키라고 명하신 두 가지 의식이 있는데 이는 곧 세례와 성찬입니다. "열한 제자가 갈릴리에 가서 예수의 명하시던 산에 이르러 예수를 뵈옵고 경배하나 오히려 의심하는 자도 있더라. 예수께서 나아와 일러 가라사대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내게 주셨으니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 볼찌어다 내가 세상 끝 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 하시니라" (마 28:16-20) 이 말씀은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셨다가 삼일 후에 부활하시고 승천하시기 전 제자들에게 명하신 말씀입니다. 즉 모든 사람에게 가서 복음을 전하고, 구원을..

성화과정에 대한 신학적 분석

성화과정에 대한 신학적 분석 죄인이 자기 자신이 죄인임을 깨닫고 자신의 죄를 회개하며 예수 그리스도를 주님과 구주로 영접하는 순간 “회심”(conversion)의 사건이 일어난다. 이 회심의 사건이 일어나는 순간 동시적으로 우리의 영혼은 거듭나게 되며, 성령의 인치심과 내주하심이 있게 되고, 성령을 통한 그리스도와의 연합, 양자됨과 칭의와 확정적 성화의 놀라운 사건이 일어난다.이후 성도는 영적으로 자라나는 과정, 즉 점진적으로 그리고 실재적으로 거룩하게 변화되는 과정을 겪게 되는데 이 과정을 우리는 “점진적, 실재적 성화”(progressive and practical sanctification)라고 부른다. 이 성화의 과정에서 성도는 매우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된다. 첫째, 성화의 과정은 평생동안 지속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