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용어 사전

성화과정에 대한 신학적 분석

하나님아들 2021. 9. 9. 19:20

성화과정에 대한 신학적 분석

 

죄인이 자기 자신이 죄인임을 깨닫고 자신의 죄를 회개하며 예수 그리스도를 주님과 구주로 영접하는 순간 “회심”(conversion)의 사건이 일어난다. 이 회심의 사건이 일어나는 순간 동시적으로 우리의 영혼은 거듭나게 되며, 성령의 인치심과 내주하심이 있게 되고, 성령을 통한 그리스도와의 연합, 양자됨과 칭의와 확정적 성화의 놀라운 사건이 일어난다.이후 성도는 영적으로 자라나는 과정, 즉 점진적으로 그리고 실재적으로 거룩하게 변화되는 과정을 겪게 되는데 이 과정을 우리는 “점진적, 실재적 성화”(progressive and practical sanctification)라고 부른다. 이 성화의 과정에서 성도는 매우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된다.

 

첫째, 성화의 과정은 평생동안 지속됨을 기억하라.

이 땅을 살아가는 모든 성도들은 예외없이 성화의 도상에 있다. 목적지에 도달한 사람은 한 사람도 없다. 어떤 성도가 다른 성도보다 상대적으로 성화에 있어서 진보해 있을 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성도의 성화과정이 마무리 된 것은 아니다. 주님이 우리를 부르실 때까지 우리는 평생동안 거룩한 변화의 과정 중에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둘째, 성화의 과정은 영적 상승 (spiritual ups)와 영적 침강(spiritual downs)의 연속이라는 사실을 기억하라.

우리는 때로는 마치 히말라야의 에베레스트산 정상에 오른 것과 같은 영적 극치의 경험을 하지만, 때로는 그랜드캐년의 깊은 골짜기에 내려 꽂힌 것 같은 영적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 때로는 주님의 은혜에 감격하여 전심으로 주님을 사랑하며 전적으로 헌신하는 삶을 살아가지만, 때로는 심각한 유혹에 빠져 영적인 방황의 삶을 살아갈 수도 있다.

 

셋째, 성화의 과정은 죽임과 살림의 과정임을 기억하라.

여기서 죽인다는 것은 우리 가운데 남아있는 죄와 죄의 소욕을 죽이는 것이다. 죄와 죄의 소욕을 죽이고, 쳐 복종시키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무기는 하나님의 말씀이다. 하나님의 말씀은 성령의 검으로 우리에게 남아있는 죄의 정욕을 제거하는 영적 수술칼이다. 여기서 살린다는 것은 우리 안에 내주하시는 성령을 선택하고 성령이 주시는 소욕을 따라 살아감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매순간 선택의 기로에 서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성령을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잔존하는 죄와 육체의 소욕을 선택할 것인가? 이 선택의 싸움에서 우리는 성령의 능력과 인도하심을 힘입어 성령을 선택하는 훈련을 계속해야 한다.

 

넷째, 성화의 과정은 벗음과 입음의 과정임을 기억하라.

벗음이란 옛사람을 벗어버리는 것이다. 옛사람의 소욕, 생각, 태도, 말, 행동을 점진적으로 벗어가는 것이다. 입음은 새사람을 입는 것이다. 성령이 주시는 소욕, 성령의 생각, 거룩한 태도와 말과 행동을 점진적으로 계속해서 입어가는 것이다. 주님이 우리를 당신께로 부르시는 순간 우리의 영혼은 죄로 물든 몸을 벗어버리고, 완전히 거룩한 존재로 변화된다. 그것이 “영화”(glorification)의 사건이다. 

 

다섯째, 성화의 과정에서 우리는 심각한 백슬라이딩(backsliding) 즉 영적 타락을 경험하게 되며, 때로는 영적 침체나 우울증에 빠지기도 한다.

여기서 심각한 백슬라이딩의 실례로 가장 좋은 것은 다윗의 타락일 것이다. 다윗은 “하나님 마음에 합한 사람”이라는 놀라운 칭찬을 들었지만, 그의 전성기가 왔을 때 자기의 신복 우리아의 아내인 밧세바를 강제로 취하고, 우리아까지도 전장에 나아가서 살해되도록 음모를 꾸몄다. 이것은 매우 심각한 죄악이었고, 하나님은 다윗의 죄에 대하여 진노하셨다. 다윗의 영적 타락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했지만, 끝내 하나님은 그를 다시 회복시켜 주셨다. 또 어떤 성도들은 성화의 과정에서 심각한 영적 침체를 경험하고, 수개월 심지어 수년동안 영적 방황기를 경험하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성도의 성화과정은 매우 드라마틱한 과정이다.

롤러 코스터와 같이 높이 상승했다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로 떨어지기도 하는 경험을 반복한다. 성도의 성화과정을 가장 잘 묘사한 작품인 존 번연의 [천로역정](The Pilgrim’s Progress)은 성경 다음으로 가장 많이 읽힌 기독교 서적이 되었다. 그것은 성도들에게 있어서 성화의 과정이 신앙생활에 매우 중요한 관심사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성욱 교수(美 덴버신학대학원 조직신학교수)

http://kctusa.org/bbs_detail.php?minihome_id=&bbs_num=1391&tb=board_theologian&b_category=정성욱교수

 

'성경 용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례의 의미  (0) 2021.09.09
세례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 ?  (0) 2021.09.09
성화(聖化)에 대한 이해  (0) 2021.09.09
성전(聖殿)에 대한 이해  (0) 2021.09.09
상(賞)이란 무엇인가  (0) 2021.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