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용어 사전

성화(聖化)에 대한 이해

하나님아들 2021. 9. 9. 19:19

   성화(聖化)에 대한 이해

 

 

성화(聖化, sanctification)

성령의 인도와 도우심으로 본인의 결단과 노력에 따라(롬12:9,16,17;갈6:7,8,15) 점차 죄의 부패에서 떠나 성결케 되고 선을 행할 능력을 얻어 그리스도의 형상을 닮아가는 것을 말한다(엡4:13). 거룩한 모습으로 변화되는 것으로(롬8;29;요일3:2), 구원에 이른 과정을 의미한다. 루터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게 되며 의롭게 된 자는 거룩한 생활을 통하여 완전한 구원에 이르게 된다고 했다. 따라서 성화는 기독교인의 거룩한 생활을 의미한다(골3:9,10). 성화는 ‘의인’처럼 단번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고, 거룩한 생활을 통하여 성숙되고 사후에 영화(glorification)를 통하여 완성된다.

 

< 소요리 문답 35 >거룩하게 하신 것이 무엇인가?<답> 하나님의 값없는 은혜의 역사이신데 이로써 우리가 하나님의 형상을 좇아 온 사람이 새로워짐을 얻고 점점 죄에 대하여서는 능히 죽고, 의에 대하여 서는 능히 살게 되는 것이다(살후2:13;엡4:23,24;롬6:4,6,14,8:4;벧전1:2).

 

1. 성화의 목적(目的)

영원히 온전케 하시고(히10:14) 하나님 자녀의 형상을 회복한다(롬8:14).

 

2. 성화의 방법(方法)

① 하나님의 말씀(요17:17) ② 그리스도의 보혈(히10:10) ③ 성령(벧전1:2) ④ 기도(요14:22).

 3. 성화의 방편(方便)  1) 성경(聖經) - 삶의 방향을 분명히 제시하는 객관적 표준이다(벧전1:22;벧후1:4). 2) 성례(聖禮) - 성령의 임재와 감동으로 인한 유익이 있다(롬6:3;고전12:13;벧전3:21). 3) 섭리(攝理) - 성령과 말씀을 통한 인도는 인간을 의의 길로 이끈다(시119:71;롬2:4;히12:10). 4) 기도(祈禱) - 하나님과의 대화 혹은 교제는 성령의 거룩케 하시는 능력을 받게 한다(요14:22).

 

4. 성화의 3 단계(段階)

① 체험(과거) -그리스도를 믿는 순간부터 거룩하게 된다(고전1:2;살후2:13)

② 성장(현재) - 더욱더 그리스도를 닮기 위하여 노력한다(골1:10)

③ 완성(미래)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하게 된다(엡5;27;살전5;23,24).

 

5. 성화의 특성(特性) 

성화는 우리 안에 있는 나쁜 성품들을 버리게 하시고 하나님의 새 성품으로 만들어 가신다. 성화는 성도의 외적 생활에 변화를 가져오면 선행이라는 열매를 맺게 된다. 그렇다고 모든 선행이 성화의 결과는 아니다.

선행 중에는 하나님의 일반 은총에 의하여 자연적인 생활 상의 필요를 위해 중생한 자가 하나님께 순종하려는 성향과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동기로 행하는 것이며(마12:33), 하나님의 율법에 대해 의지적으로 순종함에서 비롯된 것이고(신6:2;마15:9), 그 궁극적인 목적이 오직 하나님의 영광이란 점에서 세속적 선행과 구별된다(고전13:31).

① 소극적으로 인간의 죄악된 성향을 제거하는 것이고(롬6;6;갈2:20;5:24), 적극적으로는 거룩하여져서는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것이다(롬6:11;갈2:19).

② 인간의 지·정·의를 표현한 전인(全人)에게 영향을 미친다(롬6:12;고전6:20;살전5:23).

③ 양자가 구원받은 성도의 법적 지위 변화인 반면 성화는 하나님의 원천적인 거룩을 내주하시는 성령의 도움으로 생활에 확대시켜 나가는 내면적인 성령의 변화로서 점진적 계속성을 갖는다.

④ 칭의나 양자 같이 법적 지위 또는 신분상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불안, 공포, 절망 등을 몰아내고 기쁨, 소망, 평강을 증진시키는 현실적인 변화를 일으킨다.

⑤ 현세에 완성되지 않으며(왕상8:46;잠20:9;롬3:10;약3:2;요일1:8), 영혼의 성화(Sanctification)는 성도의 죽음에서, 또한 육신의 성화는 세상의 종말 곧 육체의 부활시에 완성된다(롬3:10;히12:23;약3:2;계14:5)

⑥ 성화는 타락으로 인해 오염된 원초적 인간성의 회복이다.

⑦ 성화는 실체의 변화라기보다 방향의 변화로서, 존재의 모든 영역과 성향에 영향을 미친다.

⑧ 성화는 삼위 하나님, 특히 성령님의 사역이지만, 또한 자유로운 순종을 통한 인간의 책임을 요구한다.

⑨ 성화는 그리스도의 속죄에 근거한다.

⑩ 성화는 신앙에 의해 개인에게 적용된다.

⑪ 성화는 중생에서 발생하는 즉각적 성화와 전 생애동안 계속되는 점진적 성화로 실현된다.

 

6. 점진적 성화(漸進的 聖化,  gradual sanctification)

성령의 사역을 통해 계속 새로워지고, 그리스도의 형상을 닮아가며 은혜 안에서 성장하고 거룩함을 완성시켜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7. 성화와 칭의의 비교(比較)

성화는 많은 면에서 칭의와 대조가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① 칭의는 단회적이고 순간적이지만, 성화는 반복적이고 점진적이다.

② 칭의는 현재에 완전히 이루어지지만, 성화는 그리스도를 목표로 한다.

③ 칭의는 그리스도의 공로를 기초로 하지만, 성화는 그리스도를 목표로 한다.

④ 칭의는 성부께서 법적으로 선언을 하시지만, 성화는 성령께서 실질적으로 변화를 일으키신다.

⑤ 칭의는 믿는 자 밖에서 이루어지지만, 성화는 믿는 자 안에서 이루어진다.

⑥ 칭의는 오직 하나님의 은혜만으로 주어지지만, 성화는 믿는 자의 노력이 필요하다.

⑦ 칭의는 사죄와 영생으로 구성되지만, 성화는 옛사람을 벗고 새사람을 입는 것으로 구성된다.

 

8. 비고성화는 우리 안에 있는 나쁜 성품들을 버리게 하시고 하나님의 새 성품으로 만들어 가신다. 성화는 성도의 외적 생활에 변화를 가져오면 선행이라는 열매를 맺게 된다. 그렇다고 모든 선행이 성화의 결과는 아니다.선행 중에는 하나님의 일반 은총에 의하여 자연적인 생활 상의 필요를 위해 중생한 자가 하나님께 순종하려는 성향과 하나님을 영화롭게 할 동기로 행하는 것이며(마12:33), 하나님의 율법에 대해 의지적으로 순종함에서 비롯된 것이고(신6:2;마15:9), 그 궁극적인 목적이 오직 하나님의 영광이란 점에서 세속적 선행과 구별된다(고전13:31). 성화에 대해 다양한 견해들이 존재하지만, 다음과 같은 공통적 신앙을 가지고 있다.1) 성화는 타락으로 인해 오염된 원초적 인간성의 회복이다.2) 성화는 실체의 변화라기보다 방향의 변화로서, 존재의 모든 영역과 성향에 영향을 미친다.3) 성화는 삼위 하나님, 특히 성령님의 사역이지만, 또한 자유로운 순종을 통한 인간의 책임을 요구한다.4) 성화는 그리스도의 속죄에 근거한다.5) 성화는 신앙에 의해 개인에게 적용된다.6) 성화는 중생에서 발생하는 즉각적 성화와 전 생애동안 계속되는 점진적 성화로 실현된다. 

'성경 용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례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 ?  (0) 2021.09.09
성화과정에 대한 신학적 분석  (0) 2021.09.09
성전(聖殿)에 대한 이해  (0) 2021.09.09
상(賞)이란 무엇인가  (0) 2021.09.08
건전한 상급 신앙  (0) 2021.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