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용어 사전 357

은사란 무엇인가

은사란 무엇인가 "형제들아 신령한(영적 선물)것에 대하여는 내가 너희의 알지 못하기를 원치 아니 하노니 너희도 알거니와 너희가 이방인으로 있을 때에 말 못하는 우상에게로 끄는 그대로 끌려갔느니라(고전12:1~2). 하나님은 구원 받은 모든 성도들이 하나님이 주신 은사에 대하여 알기를 원하신다. 그러므로 우리는 내가 받은 은사가 무엇이며 왜 내게 하나님께서 은사를 주셨는지 상고 하고 그 목적에 부합하는 삶을 살아야 할 것이다. 1. 은사의 정의 은사(恩賜) 라는 말은 본래 우리나라에서 옛날 임금이 백성들에게 내려주는 특별한 선물을 가리킬 때 쓰였다 왕이 사약(賜藥)을 내려도 성은(聖恩)이 망극(罔極)하옵니다. 하고 받았다는데 이 말은"임금님의 은혜가 너무나 커서 갚을 길이 없사 옵니다" 라는 뜻이다. 성경..

이단의 성경적 정의

이단의 성경적 정의 지금까지 일부 기독교회의 지도자들과 성도들은 이단이란 용어를 자기 입장에 편리한 대로 사용하였던 것이다. 가령 지교회, 노회, 총회를 보면, 자기 뜻과 맞지 않거나 노회와 총회의 노선이 다르면, 상대쪽을 향해서 우리는 정통이고, 너희는 이단이라고 주장해 왔던 것이다. 그렇기에 기독교회의 이단들까지도 말하기를 "지금은 우리가 이단일지는 모르지만 훗날에는 우리가 정통일 것이다" 라고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엇갈린 이단논쟁 시비에 대해서 그 동안 필자는 역사적·신학적, 그리고 성경적 정의를 내렸던 것이다. 여기에 대한 자세한 언급은 필자의 [이단종파 비판] 제 1권, 제 2권, 제 3권에서 밝혔다. 참고하면 유익할 줄 믿는다. 이제 성경적 이단에 대한 정의를 다음의 성경구절을 중심으로 밝..

영혼, 목숨, 생명.

yuchv(5590, 프쉬케) 영혼, 목숨, 생명. 명사 프쉬케(Homer 이래)는 프쉬코(yuvcw, 5594: 숨쉬다, 바람 불다)에서 유래했으며, 70인역본에서 매우 많이 나오며, 주로 히브리어 네페쉬, 때로는 레브와 레바브의 역어로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영혼, 목숨, 생명'을 의미하며, 다음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a) 지상의 외적, 육체적, '생명', ①'목숨, 생명력, 영혼(soul)', 계 8:7; 눅 12:20; 행 2:20; 계 6:9; 계 20:4. ② '지상의 목숨, 생명', 마 2:20; 롬 11:3; 마 20:28; 막 10:45; 요 10:11; 요 10:15; 요 10:17; 요일 1:3; 빌 2:30; 계 12:11; 행 20:24; 행 27:10; 롬 16:4 등. (b..

술] 술취함에 대한 성경의 견해

술] 술취함에 대한 성경의 견해 술은 인류 역사만큼 오래되었다.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밀농사를 지으며 정착한 인류는 그 때부터 오늘날의 맥주에 해당하는 술을 빚어 마셨다. 당시 기록이 담긴 점토판이 발견되었는데 밀 이삭의 대롱을 빨대로 사용하였더고 한다. 성경에도 술에 관련된 기록이 많다. 초기 기독교가 한국에 전해질 때 술과 도박, 첩제도 같은 문화가 가정과 사회를 파괴하는 병폐라 인식한 선교사들에 의해 금지되었다. 성경 속에 등장하는 술에 대한 기록을 살피기에 앞서 1 세기의 유대 문화와 발효에 대해 살펴보자. 중동지역에서 발효는 포도가 으깨어진후 6 시간 정도부터 바로 시작된다고 한다. 표면에 거품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이것이 발효의 표시이다. 이 때의 포도주를 십일조로 드리기에 적당했다. 이것을 ..

구약의 5대 제사와 4대 방법

구약의 5대 제사와 4대 방법 제사에 해당하는 '제바호(זבח)는 본래는 동물의 육체를 도륙한다에서 유래하여 제사, 헌물, 제물의 뜻으로 사용되었다. 점점 하나님에게 정성을 드리는 의식, 하나님을 경배하는 표현으로 하나님과 인격적교제로서 오늘날의 예배의식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제사의 방법으로는 동물, 식물, 액체 분향하는 방법이 있고 동물제사의 종류로는 (1)번제(燔祭), (2)화제, (3)속죄제(贖罪祭), (3)속건제(贖愆祭), (5)화목제(和睦祭), (6)요제(搖祭)가 있고, 식물제사 종류로는 (1)곡식을 드리는 소제(素祭)와 (2)술을 부어 드리는 전제(奠祭)가 있다. 제사를 드리는 방법에 따라, 화제(火祭) - '불살라 드리는 제사', 거제(擧祭)- 제물을 높이 들어서 바치는 제사, 요제(搖祭)..

구약성경의 비유와 기적

구약성경의 비유와 기적 1. 구약성경의 비유들 • 나무 비유- 삿 9.7-15 • 가난한 사람의 양을 도둑질- 삼하 12.1-4 • 두 형제- 삼하 14.1-24 • 레바논 가시나무와 백향나무- 왕하 14.8-14 • 포도밭- 에 5.1-7 • 살구나무와 끓는 가마(냄비)- 렘 1.11-19 • 베로된 허리 띠- 렘 13.1-11 • 포도주로 가득찬 병들- 렘 13.12-14 • 토기장이- 렘 18.1-10 • 무화과 두 바구니- 렘 24.1-10 • 진노의 잔- 렘 25.14-38 • 포도나무- 겔 15 • 녹이 가득한 가마 솥- 겔 24.3-5 • 마른뼈가 가득한 골짜기- 겔 37.1-14 • 측량사- 슥 2.5-14 • 순금등대와 두 감람나무- 슥 4.1-14 • 날아가는 두루마리- 슥 5.1-4 ..

구원의 확신과 영적성장

구원의 확신과 영적성장 구원의 확신은 교파적인 쟁점으로 바뀌었다: 1. 로마 카돌릭의 신학은 이 세상을 살면서 구원의 확신을 갖는 것을 부인하고, “참” 교회의 일원이 되는 것에 확신을 두게 한다. 2. 존 칼빈(개혁 전통)은 확신을 선택(예정)에 두지만, 사람은 이 세상에서의 삶 이후에 심판의 날 때까지 장담할 수 없다고 한다(칼빈은 예정론 아래 참조). 3. 요한 웨슬리(감리교 전통)는 완전한 사랑(알고 있는 죄를 넘는 사랑)에 확신을 두고 있다. 4. 많은 침례교인은 거저 주시는 은혜라는 성경의 약속에 확신의 근거를 두는 경향이 있다(그렇지만 경고와 권고는 모두 무시하고 있다). 그리스도인의 확신에 대한 신약의 역설적 제시와 관련하여 두 가지 위험성이 있다: 1. “한 번 구원받았으면 언제라도 구원..

성경에서 사용한 상징적 수(숫자)와 666

성경에서 사용한 상징적 수(숫자)와 666 성경에 나오는 숫자들은 때때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1. 하나 – 하나님(예, 신 6:4; 엡 4:4-6) “여러분, 잘 들으십시오.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단 한 분밖에 없는 여호와이십니다."(신명기 6:4) 2. 둘- 증거, 간증, 선포 성경에서 '둘'(two)이라는 숫자는 선포와 증거(증인), 간증을 상징하는 숫자이다. 따라서 그룹 둘이 속죄소 위에서 마주 대하고 있다는 것은, 속죄소가 하나님의 임재의 장소인만큼 곧 그룹이 하나님의 영광과 거룩을 선포하고 또한 증거하고 있다는 뜻이다. 3. 셋(3)- 삼위 하나님을 상징(사6:3, 마28:9, 고후13:13) 하늘이 3층으로 구성돼 있다는 성경 구절처럼 하늘의 숫자다. 노아의 방주도 3층이며 예수님도 3일 ..

인침

인침 그리스도를 영접함으로 성령을 받은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의 택한 백성이 되며, 하나님은 그들의 소유주와 보호자가 되신다. 이런 관계 변화를 확증하고 보증하는 것이 '인침'이다. 인은 다음의 내용을 나타내는 고대의 방법이었다. 1. 진리 (참조, 요 3:33) "그분의 증거를 받아들인 사람은 하나님이 참되신 분이라는 것을 인정(인쳤다)하였다."(요한복음 3:33) 2. 주인임 (참조, 요 6:27; 딤후 2:19; 계 7:2-3) "그러나 하나님의 견고한 터는 섰으니 인침이 있어 일렀으되 주께서 자기 백성을 아신다 하며 또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마다 불의에서 떠날찌어다 하였느니라"(딤후 2:19) 인침'은 '봉인'(封印), '보증의 표식'을 가리킨다. 이것은 하나님의 소유가 된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인..

인침

인침 그리스도를 영접함으로 성령을 받은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의 택한 백성이 되며, 하나님은 그들의 소유주와 보호자가 되신다. 이런 관계 변화를 확증하고 보증하는 것이 '인침'이다. 인은 다음의 내용을 나타내는 고대의 방법이었다. 1. 진리 (참조, 요 3:33) "그분의 증거를 받아들인 사람은 하나님이 참되신 분이라는 것을 인정(인쳤다)하였다."(요한복음 3:33) 2. 주인임 (참조, 요 6:27; 딤후 2:19; 계 7:2-3) "그러나 하나님의 견고한 터는 섰으니 인침이 있어 일렀으되 주께서 자기 백성을 아신다 하며 또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마다 불의에서 떠날찌어다 하였느니라"(딤후 2:19) 인침'은 '봉인'(封印), '보증의 표식'을 가리킨다. 이것은 하나님의 소유가 된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