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철학 동양 철학

실존주의는 무엇인가

하나님아들 2024. 2. 25. 23:16

실존주의는 무엇인가              

 

 

1. 실존주의란?

1) 실존주의(existentialism)는 인간 전체의 본질보다 인간의 삶과 내면을 중시한 철학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사르트르는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라 했지요. 사르트르는 인간은 먼저 실존한 다음 세계 안에서 서로 만나고 세계 속에서 문득 모습을 나타냈다가 그 후에 정의 된다고 했습니다.

3) 따라서 인간 중심의 이 사상은 기독교와 유대교 그리고 무신론을 말하는 광범위한 주제들과 저자들이 포함됩니다.

3) 또한 실존주의가 인간의 음악, 미술, 문학, 연극, 시, 정신분석 등 다양한 인간 문화와 예술 활동이 이 사상을 전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된 것도 이해가 됩니다.

2. 실존주의는 어디서 영향을 받았나?

1) 실존주의는 외부 사물이 인간 주체 안에 현상으로 드러나는 모습을 탐구한 현상학(하이덱거 등)에 영향을 받은 철학의 분야라 할 수 있겠습니다.

2) 또한, 헤겔의 관념론(인간의 체계적 이해)과 콩트의 실증주의(모든 것은 과학적 실증이 중요하다)를 반박하면서 그 모습을 드러냈지요.​

 

3. 실존주의의 특징

1) 이 실존주의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인간이 헤겔이 이해하는 것처럼 그렇게 체계적 존재가 아니고 구체적인 일상생활을 매우 중요한 것으로 간주하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2) 즉 구체적 삶을 강조한다 함은 추상적인 이론적 철학을 위주로 했던 근대철학의 주류를 비판함을 말하지요.

3) 따라서 실존주의의 관심은 인간의 모든 삶 즉 본질, 내면, 불합리, 부조리, 고뇌, 두려움, 죽음, 선택 앞에 놓인 인간 등이 되겠습니다.

4. 시대적 상황

1) 실존주의는 하나의 철학사상이라기 보다 하나의 정신적 운동이었습니다. 그것은 이 철학사상이 등장한 시대적 분위기, 즉 이차세계대전 이후 세계를 지배했던 서구 과학문명의 폐해를 직면하는 시대적 반성의 분위기와 크게 부합되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2) 즉 실존주의는 서구의 과학문명 쇠퇴의 전주곡이고, 서구문명의 위기의식과 보조를 같이 합니다.

3) 다시 말하면 실존주의는 합리주의에 대한 반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5. 실존주의 사상

1) 실존주의는 인간의 본질을 부정한 대신 인간 개인의 절대성과 고유성을 주장했다는 점에서 여전히 인간 중심적 사상입니다.

2) 실존 이라 번역되는 exisence란 단어는 existere(ex=sistere) 파생어로서 합리론 체계에서 인간의 내면, 심리적 인식을 고찰해서 관념적 본질을 발견하려는 것과는 달리 그 체계가 밖으로 나온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존재를 중시합니다.

3) 합리론적 체계가 인간보다 인식의 대상인 법칙에 매인 하나의 기계로서의 자연, 또는 객체/대상에 주목하고 그것을 다루는 사람 그 자체에 대해 관심두지 않으므로 인간은 강조하는 것 사이에서 분열되어 있음을 비판합니다.

4) 인식의 주체는 단지 인식하는 기계, 거울일 뿐인 것으로 여겨집니다. 또 본질, 원칙, 원리란 사실상 구체적인 사실들의 이론적 추상일 뿐, 오히려 삶을 왜곡하고 제대로 보여주지 못한다 할 수 있지요.

 

6. 실존주의와 기독교

1) 어거스틴, 파스칼등을 거론하나 일반적으로 키에르케고르(1813-1855)가 기독교 실존주의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서구철학에서 흔히 도외시되었던 파토스적 인간에 주목하고 인간의 불안, 죄, 절망, 허무, 공포 죽음의 주제로 삼았습니다.

2) 그는 인간을 “하나님 앞에 선 단독자”라 하였지요. 하이덱거는 "인간을 세계 안에 내던져진 존재"라 했습니다.

 

7. 무신론적 실존주의

1) 선구자 니체(1844-1900)는 서향 철학의 이제까지 주된 주제였던 이성적 성향에 대한 본격적 비판합니다. 그는 서양사상을 아폴로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성향으로 나누어 이제껏 중시되던 조화와 이성의 코스모스 만이 아니라 혼돈과 광기의 세계도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임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그는 무의식의 세계의 잠재력, 힘을 보여준 프로이트와 많이 통한다할 수 있습니다. 그가 종래 철학의 기계적이며 논리적인 서술보다 서정적이고 자못 예언자적인 형식으로 서술을 감행하는 것도 그의 이러한 철학사상과 부합합니다. 그는 또한 의미와 가치의 근원인 기독교적 신의 죽음을 선언하였습니다.

2) 또한 니체는 서양 철학의 책심이라 할 질서나 이성의 관념, 그것의 학이라할 형이상학을 파괴할 목적을 가지고 사고하고 저술했습니다. 그는 근대의 이성적 문화란 그 시초가 반기독교적이나 결국 그것이 기독교의 mirror image, 즉 a Christianity without God의 문화였음을 간파한 첫 사람이었습니다.

3) 니체는 서구의 형이상학이 결국에는 권력의 의지의 미화된 표현에 불과함을 보았던 것이지요. 이런 의미에서 그는 막스 이전의 이데올로기 비판을 정초한 사람이었습니다.

4) 반면에 비신앙인 실존철학자였던 싸르트르는 인간에게 주어진 자유는 축복이 아니라 오히려 저주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5) 사르트르(1905-1980)는 “실존이 본질을 선행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인간의 존재는 본질보다 지금 여기서 (here and now) 자유 결단에 의해 형성되는 세계가 중요하며 존재에 영향을 주는 진리가 중요하다는 것이지요.

6) 그의 “인간은 자유로 저주를 받고 태어났다.”는 말은 본질주의에 대한 비판이었습니다.

7) 사르트르식 실존주의의 주된 관심은 인간 주체와 인간 내면성에 있으며 이러한 나는 절대로 자유로워야 하는 나이지요. 이런 나는 자유로울 수밖에 없는 저주를 받고 태어난다고 했습니다.

8) 이러한 무신론적 실존주의는 인간의 자유를 위하여 하나님의 존재를 부정하게 됩니다.

9) 실존주의는 인본주의라는 사르트르의 말은 인간의 자유를 강조함과 동시에 인간의 책임을 강조합니다. 그러나 유신론적 실존주의에서는 하나님을 부정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여기서는 하나님은 이론적으로 파악될 수 없는 절대 타자(abselute Other)로서 다만 인격적인 만남으로만 알 수 있다고 합니다.

10) 실존주의자 카뮈는 시지프스 신화와 기타 작품에서 매우 영웅적 인간관을 제시하고 도스토예프스키의 <카라마죠프 형제>는 다른 종류의 실존적 인간상을 표현합니다.

11) 이렇게 실존주의에서 사신死神신학의 뿌리가 발견되는 것이 우연이 아닙니다.

12) 인간중심주의와 무신론에 뿌리를 둔 철학의 본성에 실존주의적 지나친 개인주의와 경험지향적인 방법의 접근은 이 실존신학이 현대신학에 혼합적 방식을 보여주게 된 것이지요.

 

8. 실존주의의 영향

1) 실존주의는 20세기 초 서구의 위기적 상황으로 인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2) 실존주의는 다른 어떤 사상보다 기독교와 더 깊은 연관을 맺은 사상이었습니다. 실존적 철학자들 중 가장 반 기독교적이라 할 니체역시 부친이 목사였던 기독교에 뿌리를 둔 사람이었지요. 그 외에도 마르셀, 베르자예프, 마리탱등 모두가 기독교인이었고 그 외에도 마틴 부버나 레비나스는 유대인으로 유대교적 전통의 철학을 했던 사람입니다.

3) 이러한 관계로 해서 많은 신학자들도 이들 영향을 받았습니다. 신 정통 철학이라 불리는 계통의 신학자들이 그 예입니다. K. Barth, E, Brunner, R. Bultmann, P. Tillich 등 60년대까지 신학계를 지배하던 사람들의 거의 모두가 실존주의적 철학에 기반을 두고 신학을 했지요.

4) 따라서 현대신학 연구에 있어서 실존주의 연구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9. 실존주의의 기여

1) 이론적 철학에 반발한 실존주의가 인격성 회복에 기여한 바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그 극단적 비판이나 이론적 철학을 비판하는 논조의 이론적 성격은 역설적입니다.

2) 개인 인격성 강조는 또 다시 신 막스주의의 인간 개인성보다 사회성을 중시하는 사상에 의해 위협을 당하고 있지요.

3) 따라서 신학에 부정적인 반면, 현대문화와 사회에는 실존주의적 비판이 필요한 국면도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조덕영 박사(창조신학연구소, 조직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