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신학!! 구약개론!!

구약 개론 7

하나님아들 2021. 5. 8. 23:59

구약 개론

 

1. 개론학사와 개론학의 방법들

1) 구약개론학의 과제를 간략히 서술하라.(26-27)

개론학은 고고학의 덕분으로 재현되는 고대중동의 틀 속에서 보이는 구전전승의 과정에서 부터 개별문서들의 문서적인 고정과 여러 책들의 요약을 거쳐 구약이 정경으로 합생되고, 문서 형태의 최종적인 확정에 이르기까지 구약의 문서들의 성립과 전승을 추구해야 한다.

2) "개론"이란 표시를 제일 먼저 사용한 사람은?(28)

아드리아누스 신부가 그의 저서 "성서들 개론(Einleitung in die gottlichen Schriften)"에서 사용하였다.

3) 중세기의 구약개론 학자들은 누구인가?(28)

라쉬(Raschi)라는 사람과 이븐 에스라(Ibn Esra)

이븐 에스라는 축자영감설때문이라도 단지 암시적으로만 이따금씩 비평적인 주해들과 그리고 신명기 3:10-12, 27:1-8, 31:9절에서와 똑같이 신명기 11절에 동부 요르단 땅이라는 말 대신에 "요르단 건너쫏 이란 표현에서부터 어떤 암시를 받은 후 그 책의 저자는 모세가 아닐 것이라는 결론을 끌어 내렸다.

기독교 측에서는 이시도르 폰 세빌라(Isidor von Sevilla)가 활역하였고 그는 Proemiorum liber이라는 강요안에 요약하였다.

또 니콜라우스 폰 뤼라(Nikolaus von Lyra)는 그의 히브리어 지식을 가지고 유대인 학자들의 작품들을 전달하였고, 원문과 직접적인 결속을 맺을 수 있었다.

4) karlstadt가 주장한 핵심은 무엇인가?(29)

그의 저서 "작은 정경에 관해서"(1520)에서 다음과 같은 문체비평적인 고찰을 전하였다.

오경과 여호수아서에 나오는 이야기체의 단락들 사이에는 아무런 문체적인 차이가 성립되지 않으며, 양 책에는 동일한 저자가 기록했다는 사실이 있다. 문체적인 근거로 보면 에스라가 아닐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

5) 맨 처음으로 오경의 자료 분리를 주장한 이들은 누구인가?(30)

H. B. 빗터(Witter)J. 아스트룩(Astruc)

6) de Wette의 공헌은?(30-31)

요시야의 율법서를 신명기서와 동일시함으로써 확고한 연대기적인 것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책들의 연대를 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7) 쿠에넨과 그라프의 공헌은?(31)

오경서의 제사문서적인 자료층을 포로후기의 시대로 정하였다.

8) 구조유형에 대해서 서술하라(33)

구조상 어떤 확고한 도식에 준했으며 다소 확정된 동기들을 보여 주었고, 원산지로서는 특정한 삶의 자리의 본거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에서 출발하고 있다.

9) 양식사란 무엇인가?(33)

문학 비평적인 분해의 토대 위에서 여러 관점들 가운데 하나로 그의 연장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10) 다음을 간략히 설명하라.(34-37)

동기사

구약적인 소재들과 동기들을 가능한 대로 넓게 그의 주위 세계에서 끌어내는 것

소재사

한 소재가 어떤 본문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가를 찾는 것

전승사

구약책들의 전 역사와 관계하며 또 문학형성 이전 단계어서부터 문서적인 고정과 간행에 으리기까지 점차적으로 성장하여 왔던 전승을 탐구한다.

전승사적인 탐구는 문서적인 단위형태들을 최종형태적인 시각에서만 보는 것이 아니라, 단위형들이 성립되었던 어떤 전체적인 과정을 추적한다.

전통사

개별적인 동기들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동기들로써 덩어리가 커진 구약으로 인해 전통적인 흐름을 추구해 보려는 것

문체분석

음성론, 싯귀의 구조, 표상어 사용과 근성에 대한 가치 평가에서 문예학적인 "새로운 문체론"의 원칙들이 응용

고고학과 지형학

영토사적인 참구들과 고대 중동에 있던 역사적인 관계들에 대한 해석

11) 편집사란 문엇인가?(37)

수집자, 편집자들과 교정자들의 의도쪽으로 방향을 두고 있는 것

12) 저자가 요청하는 현재 개론학의 특별과제는?(38)

분산되는 방법들과 구별되려는 경향들을 조정하며 통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여러 다른 방향들의 병존과 대립을 저지하며, 유기적으로 개론학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새롭게 내용적인 설명을 분류하고, 히브리 구약의 정경에서는 그들의 각 위치와는 독립적으로 내용상으로 연관되어 있는 책들로 분류화해서 묶어 놓을 필요가 있다.

또 고대중동의 배경으로부터 양식사와 전통사적인 물음을 지나서 TEXT의 수집과 전승에 이르기까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하겠고, 개별적으로 구약의 분류에 속해있는 책들의 형성과 성립과정을 분석과 통합하여 설명해야 한다.

13) 경건사적 탐구와 제의 기능적인 고찰 방법에 대하여 약술하라(37)

경건사적인 탐구는 가장 넓은 의미에서 재의와 관련하여 전승들의 성립과 전개와 똑같이, 그의 근원, 발전과 또 변경에 대한 사상과 경건성의 표현들을 추구하고 있다면 제의적이며, 제의기능적인 고찰방법은 제사에 대한 고대 중동과 구약문학의 큰 부분과의 관계들을 추구한다. 그리고 성소들과 축제들의 제의전설들의 형성을 추구하고 있다.

 

2. 이스라엘 문학의 전제들

1) 이스라엘 문학의 4가지 전제들은 무엇이며 그 전제들을 약술하라(38-46)

1. 지리적 역사적인 전제 - 단일적이거나, 폐쇄된 거주지역이 아니였기에 주민들사이에 팽팽한 사회적인 긴장들과 여러 종류의 교통지대로 인하여 분리된 지역들의 발전과 독립적 정치적인 형태들로 나누어진 분열상태로 나타나고 있다. 또 평지를 통과하는 도로들로 인하여 아프리카와 아시아를 잇는 교량지대였고, 이집트, 메소포타미아와 소아시아 사이를 연결해 지는 곳이었다. 그래서 그는 언제나 그곳을 거점으로 확보하려는 지배세력들 사이에서 벌어진 투쟁의 소용돌이 속으로 휘말렸으며, 이방의 지배권에의 굴복이 빈번하였다.

2. 문화적인 전제 - 팔레스틴의 정착이후 유목민적인문화적인 요소들과 또 부분적으로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의 영향들만 가져왔던 것은 아니다. 그들은 가나안의 수준 높은 문화영역안으로도 빠져들어 갔다.

3. 문학적인 전제 - 팔레스틴에 이스라엘이 정착하였을때는 이미 오래전부터 그 땅에는 문자와 필법이 알려졌다. 설형문자가 공문서와 외교적인 문서교환에 사용되었다.

이스라엘인들은 매우 단순한 이야기 방식을 취해왔으며 또 팔레스틴에 이미 있었던 개별 이야기들이나 이야기군들을 주도적인 이념들 아래서 커다란 전체적인 서술들로 총괄하였고 계속해서 체계적인 서술들을 창조하였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야웨가 이방민족들과 인간들의 운명을 지휘한다는 신앙은 어떤 유일한 종류의 문학의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4. 야웨의 신앙은 결정적인 힘을 형성한다. 이는 독자적인 이스라엘 문학의 성립을 가능하게 한다. 고대 중동의 다른 문학과는 확실하게 구별된다. 야웨신앙의 추진력들이 하나님의 통치와 하나님의 공동체의 사상이라는 사실이 더욱 명백해진다.

 

3. 구전전승과 문학

1) 구전전승과 문서 전승을 주장한 학자들은 누구이며 이 두 전승의 특색은 무엇인가? 그에 대하여 약술하시오(47-52)

구전전승 - 니베르크, 엥넬, 비르케란트, 니일젠

전승은 동방에서 주로 구전적인 과정에서 생겼으며, 문서적인 과정에서는 드물게 있었다. 어떤 문학작품의 수록은 짧은 길든 구전전승의 시간을 전제한다. 그리고 구전전승은 책으로 수록된 후에도 작품의 사용과 영속성을 위해 정상적인 형태로 남았다. 그것은 바벨론 포로시대까지 전통학단들이나 전통 중심부에서 본질적으로 구전적인 전역사를 가졌던, 재료를 보존하여 확대하였던 전통학단에 있던 전역사를 가졌던 구약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그런 구약은 그의 문서적인 행태를 가진 망명후기 유대교 공동체의 창작이다.

문서전승 - 비덴그렌, 군네벡, 헴펠, 쉬투루울 뮐러

구전전승의 의미와 신빙성을 본질적으로 과소평가하고 다만 예외적인 경우들만 인정한다. 비덴그렌은 아주 가정 오랜 시대에서부터 있던 즉시적인 문서간행과 본문들의 재발간을 생각한다.

2) 이스라엘 역사에서 구전 전승이 점차로 후퇴한 시기는?(52)

솔로몬시대에서부터 문호적인 융성과 유비하여 점차 쇠퇴

3) 구전전승과 문서 전승의 관계를 정리해 보시오(54)

긴 구전전승이나 절대적인 문서전승, 혹은 평행적이며 동시적인 구전적 문서적인 전승을 고려할 수 없다. 일부는 구전적인 전승으로 꽃이 피어 자랐으며 바로 그런 것으로 확정되었으며 다른 문학형식은 문서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있었다.

 

4. 산문

1) 산문에 있어서, 편집시에 발생하는 현상들은 무엇인가?(55)

원래의 독립적인 개별적인 단편들의 독특성들은 계속해서 은폐되고, 그것들이 커다란 맥락을 이룬 이야기 가닥들, 자료층 혹은 문학작품 속으로 섞여들어간 후에는, 그 독특성을 파악하기 어렵다.

2) 산문의 일반적인 특징은?(56)

어문적인 독특성이 있다. 많은 단문들에서 짧은 문장들 언어가 행동으로 전진하고 행동에서 다른 것으로 되는 현상이 반사된다. 그런 문장들이 접속사 "그리고"로써 한결같이 단조롭게 나타나고, 본문들이 규정된 낭독이나 이야기의 재현에서는 그럼에도 급작스런 결어로 치닫는 효과적인 쇄도로 변형된다.

3) 산문의 문체론적인 특성 5가지를 약술하라(56-57)

1) 도치 동사문장에 나타난 서술부와 주어 어순의 이탈

2) 구전의 습득에 하나의 기억을 뒷받침하게 할 수 있다.

3) 명사문장은 이야기에서 목적 상태들을 기술해야 하고, 중요한 형편들을 진술하거나 결과들을 확정할 수 있다.

4) 중요한 단어들이나 문장부분들의 반복

5) 행위를 일깨우고 자극하거나 평안하게 하고 주저할 수 있는 이야기 속으로 이야기를 결합하도록 이끌어 나간다.

 

5. 시문

1) 시문이 이스라엘의 생활에서 가장 오랜 옛날에 출현했었음을 가리키는 시가들은?(59)

미라암과 드보라의 시가(출애굽기 1520절 이하와 사사기 5)

2) 가나안과 이스라엘의 시문은 어떤 관계에 있는가?(59-60)

상호조명하고 있었으며, 확고한 시적인 전통이 있었다.

3) Parallelismus membrorum은 누가 명명했으며, 이런 평행 대귀는 몇가지가 있는가? 그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60, 62-63)

Lowth

1) 동의어적인 평행귀 - 둘째 시행이 다른 단어를 가지도 첫번 내용을 반복한다.

시편 12"그러나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 하여/ 주야로 그의 율법을 말한다.

2) 반의적인 평행귀 - 둘째 시행이 첫째 시행의 내용ㅇ르 상반되는 표현으로써 뜻을 비춘다.

시편 16"왜냐하면 야웨는 의인들의 길을 아시나/약한자의 길은 멸망이다." 그 이외에 그의 시행들이 아무런 평행귀로써 결합되지 않는 장절들이 있다. 이런 장절들은 세 개의 시행들로 이루어지는데, 그중에서 한행은 다른 두행들과는 평행이 되지 않는다.

3) 종합적인 평행귀 - 둘째 시행이 첫째 시행을 발전 보충하기 때문에 평행이 아니다.

시편13"그는 한 나무와 같이/ 물가에 심겨졌으이라"

4) 단절(Kurzvers)에 대하여 다룬 학자들은 누구이며, 이 단절에 대해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어떤 것이 있는가?(64-65)

Balla, Fohrer, Kohler, J. Schmidt, Piatti

1) 아라비아어로는 운율적으로 조심스럽게 규정된 시문과 산문이외에 제3의 구성형식이 있는데 Gray는 그런 형식을 비 운율적인 시문으로 부른다.

2) 고대 동방의 비 이스라엘적인 시문에서는 흔히 장절과 관계를 맺는 한 분절적인 절을 보게된다. 따라거 양절류가 나란히 병행되어 사용된 혼합된 단락들이 취급되고 있다. 고대 동방적인 문서들의 하나의 새로운 시험은 아마도 순수한 단절들에 나타난 단락들을 밝혀준다.

3) 그와 일치해서 구약세어도 역시 장절에 여러에언자의 신탁들이 발견된다. 이런 장절은 왕관을 씌우는 결어 절이 되는 단절로써 맺는다.

4) 자모순서적으로 지어진 시편 111편과 112편은 자모의 한자로써 시작하는 단절로 성립한다.

5) 이사야 62장의 시문적인 구조가 가장 눈에 돋보인다.

 

 

'구약신학!! 구약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약총론  (0) 2021.09.10
구약성서개론(舊約聖書槪論)  (0) 2021.08.12
구약개론  (0) 2021.05.08
구약 서론  (0) 2021.05.03
구약 각권 연구  (0) 2021.05.03